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관계망 유형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비자발적과거기반형 사회적관계망과 자발적현재기반형 사회적관계망을 중심으로

        임창균,양동우,Eim, Chang Kyun,Yang, Dong Wo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4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support types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for elderly people focused on the impact of voluntary and present oriented social network type represented by hobby club vs. non voluntary and past oriented social network type for example alumni association in Korean societ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dvanced studies figured out by preceding researchers, most of social networks had a good and positive effects on the elderly people's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However,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the social networks by type such as starting time to make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voluntary or non voluntary for participation to the networks. As a result of this study, voluntary and present oriented social network represented by hobby club has a very positive relationship with Korean elderly people's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while non voluntary and past oriented social network as alumni association has no relationship with elderly people's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Therefore, government policies and budget should be concentrated on encouraging or supporting voluntary and present oriented social networks such as hobby club, voluntary agency etc. rather than non voluntary and past oriented social networks so as to maximize the effect for increasing Korean elderly people's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관계망의 구성원 관계형성 시기가 과거에 기반을 두면서 모임에의 참석이 반 의무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대표적인 모임인 동창회와, 이와는 반대로 주로 현재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모임에의 참석이 자발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대표적인 모임인 동호회/취미클럽 활동이 각각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대다수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회적관계망이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관계망을 성격과 참여 형태에 따라 보다 깊이 있게 세분하여 살펴본 결과 주로 과거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조직원들의 반의무적인 참여를 특성으로 하는 동창회 모임의 경우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와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현재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모임 참석자들이 대부분 자발적으로 참석하는 모임을 대표하는 동호회/취미클럽의 경우에는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이 우리에게 주는 정책적 함의는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를 효율적으로 제고하기 위하여 노인복지정책 입안자들과 실천자들은 예산과 노력을 과거의 관계에 기반을 둔 비자발적과거기반형 사회적관계망 보다는 현재의 관계에 기반을 둔 자발적현재기반형 사회적관계망의 활성화에 집중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김종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2

        고령자의 재취업은 개인적으로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취업을 통해서 안정된 역할을 갖게 됨으로써 노년기의 무료함이나 고독감을 해소하고, 신체 및 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국가적으로는 사회보장기금의 절약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밝히고, 그 요인들이 고령자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취업한 고령자 집단과 미취업 고령자 집단의 사회적 관계망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재취업에 도움을 주는지를 밝히고, 취업욕구가 있는 고령자들의 취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서울시 노원구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최근 2년간 등록한 노인 중 과거 취업경험이 있고, 55세 이후 재취업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에 의해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대면조사와 우편조사를 실시, 총23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과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재취업을 위해 개인적 관계망 유형보다 제도적 관계망 유형을 이용할 경우 재취업 할 확률이 1.8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가 증가 할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2.3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0.35(1-0.647)배 감소하지만,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접촉빈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관계망의 도움유형 중 정보제공 유형 보다 영향력 제공 유형일 경우가 재취업을 할 확률이 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수로 투입된 이질적 결합정도, 상향지향적 결합정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값을 가지지 않아 고령자의 재취업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관계망 요인 중 고령자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Wald값과 유의도를 기준으로 볼 때,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Wald=20.726, p=.000)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자가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사회적 관계망이 많을수록 재취업률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요인으로는 도움유형(Wald=11.324, p=.001)으로. 고령자에게 있어 재취업을 위해서는 추천?직원소개?직접고용 등의 영향력을 제공하는 도움이 재취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이 건강증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라이프스타일 영역별 건강증진행동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은 비동거 가족, 친인척, 친구, 이웃의 4가지 관계망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인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기능적 특성인 사회적지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 사회적 관계망 크기는 친구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으며, 접촉빈도와사회적 지지는 비동거 가족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동은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생산적⋅사회적 활동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 중성별,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건강증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웃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우울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은 3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정책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Social networks based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by lifestyle were measured in 226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and ov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 independent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etwork size was the highest in the friend network,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in the non-living family network.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highest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owest for productive and social activities. All subfactors of social network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as the variable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gender and depression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and this model showed 37%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of older adultsin the community,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related policies considering social networks centering on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is required.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이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전영혜,이재신,김수경,전병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이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9월 5일부터 2012년 11월30일까지 대전, 충청남도, 경기도에 위치하는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95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설문지는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였고, 일상생활활동 평가는 담당 치료사가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적 관계망 집단별 분석은 빈도 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일상생활활동과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계수와 회귀분석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은 이웃이나 친구와의 관계에 비해 가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독립적일수록 이웃 및 친구와의 관계 형성이 잘 되고, 의존적일수록 가족과의 관계가 밀접하였다.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은 독립적일수록 가족, 이웃, 친구 세 집단 모두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은 가족 중심적 유형이며,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적 관계망의 밀접한 관련성 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은 물론, 가족관계 뿐 아니라 이웃 및 친구와의 관계망 형성에 작업치료사들의 관심과 접근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 type of patients suffering from a stroke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95 survey questionnaires given to stroke 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t hospitals located in the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area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5, 2012 to November 30, 2012.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social network questionnaires were written directly under the supervision of this same therapist. Results : As the social networks of patients post-stroke, th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were closer than the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or friends. Stroke patients who perform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dependently have closer relationships between their neighbors and friends, and those with depend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ve close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When perform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stroke patients more independently, the social networks for all groups including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ppeared to be good. Conclusion : This study determined the types of family-centered social networks of stroke patients. We were also abl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oke patients with a good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who have social support through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and friends, should return to society.

      • KCI등재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정창순,이동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RS), social network(SN) and loneliness, and to test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of S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S and loneliness. Participants were 412 college students who were freshmen, sophomores, juniors or seniors from 15 universities, and they completed online self-report surveys on their RS, SN and loneliness. Loneliness was measured using the Loneliness in Context Questionnaire (LCQ), a newly developed measure specifically focusing on emotional experiences of loneliness. Social network was defined and measured in terms of structural (e.g., number of relationships, frequency and duration of contact, etc.) and functional (i.e., social support, social conflict, and friendship quality) dimension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S and lonelines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dimensions of SN and lonelines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S and three functional dimensions of SN, with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al dimension of SN and RS. Results from testing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RS, with social conflict having the largest indirect effect, while friendship quality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ese findings imply that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experienced with many significant others in various social contexts may have greater impacts on loneliness than the quality of dyadic relationship with a close friend among college students with high RS in emerging adulthood.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관계망의 다양한 요소들이 매개하는지, 하나의 모형 내에서 여러 변인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추정하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대학생 412명에게 거부민감성,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을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로움은 정서적 경험에 국한하여 LCQ라는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구조적 차원(접촉하는 사람 수와 빈도, 도움을 주거나 받는 빈도 등을 합산한 양적 지표로 단일 변인)과 기능적 차원(사회적 지지, 사회적 갈등, 친구관계의 질의 세 변인 포함)으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간에,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의 모든 요소와 외로움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을 측정하는 세 변인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차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사회적 관계망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 중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구관계의 질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이 매개역할을 하지만, 이자관계에 기초한 친구관계의 질 보다는 사회적 갈등 같은 집단수준의 대인관계 과정 변인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경혜,김주현,김경민 韓國老年學會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기 남녀의 도움 및 갈등 관계망의 구조를 살펴보고,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 및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간의 관련성에 있어서의 남녀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5-59세의 중년기 남녀 1,667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지도기법(hierarchical mapp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도움/갈등 관계망을 조사하였으며, 정신건강의 부정적 측면으로 우울감, 긍정적 측면으로 심리적 복지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들이 남성들에 비해 도움 및 갈등 관계망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은 배우자와 친족을 중심으로 갈등 관계망이 구성되어 있는 반면, 남성은 여성에 비해 갈등 관계망에서 비친족(친구, 직장동료)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에 대한 평가에서 남녀간 차이가 나타나 남성은 배우자를 도움 관계망 성원으로 언급하는 경향이 높은 반면, 여성은 배우자를 갈등 관계망으로 언급하는 경향이 높았다. 넷째, 여성들은 시가의 식구들을 갈등 관계망의 성원으로 언급하고 있었다. 다섯째, 특정 관계범주(형제자매)는 도움과 갈등 관계망 모두에서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여섯째, 갈등 관계망은 남녀 모두의 우울감 및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과 유의한 관련을 보였으며, 도움 관계망은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만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갈등 관계망이 그 크기면에서는 도움 관계망에 비해 훨씬 작음에도 불구하고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plore the structure of supportive and confiictual networks of Korean middle-aged. (2)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networks on mental health. (3) To explore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structure of network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of the network and mental health.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236 Korea middle-aged man and women. Major findings are (1) Women have larger networks for both supportive and conflictual networks than men. (2) In the case of conflictual network, men tend to name their non-kin, whereas women are more likely to name their spouse and relatives, (3) While men are more likely to nominate their spouse as a supportive network member, women choose their spouse as a conflictual network member. (4) Women frequently name their in-laws as conflictual network members. (5) Some relatives(sibling) are nominated as both supportive and conflictual networks. (6) The size of conflictual networks wa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for both men and women and with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n. The size of supportive networks was associated with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ly for men.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군 조종사의 성격과 유사성이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인옥(In-Ok Choi)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6 경영경제연구 Vol.38 No.1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적 연결망의 결과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회적 연결망이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직관리 측면에서 사회적 연결망의 선행요인의 필요성 측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사회적 연결망의 특성을 우호적 관계와 비우호적 관계로 분류하여 사회적 연결망 특성의 선행요인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연결망 특성의 선행요인은 성격과 유사성으로 구분하였다. 성격은 성격의 5요소 중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을, 유사성은 가치유사성, 연령유사성, 지리적 근접성, 직무관계유사성, 출신학교 일치성으로 구분하여 성격과 유사성이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사회적 관계 특성은 공군 대대단위로 폐쇄형 사회적 연결망을 분석하여 개인의 사회적 연결망 중심성 지수를 분석하였다. 군 조직의 중간관리자 385명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신경성은 비우호적 관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격은 친화성이 그리고 유사성은 지리적 근접성, 직무관계 유사성, 출신학교 일치성이 우호적 관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Studies on social networks mainly focus on the effects of such networks.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antecedents of soci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Social relationships were classified as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s at the individual level. Personality factors included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Similarity was characterized as including value similarity, age similarity, geographical proximity, job similarity, and common schools.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was test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385 Korean Air Force pilots revealed that the major antecedents of negative relationships included neuroticism and geographical proximity, while the antecedents of positive relationships included agreeableness, geographical proximity, job similarity, and common schools. The study provide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북한 도시 주민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장세훈(Chang Se Hoon)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2

        1990년대 이후 극심한 식량난을 겪으면서, 그동안 사회주의체제에 안주해 왔던 북한 도시 주민들의 삶의 방식이 크게 바뀌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해서 특히 청진, 신의주, 혜산 등 북한의 지방 대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차원에서 이들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주의 건설 이후 북한 당국의 관료제적 통제가 주민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침투하면서,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가 ‘공적 관계망’ 일색으로 바뀌었다. 그렇지만 공적 관계망이 기존의 ‘공동체적 관계망’을 대체하기보다는 후자를 포섭해서 집합주의적 생활양식을 유지하면서 지역사회를 단위로 사회구성원을 조직하고 감시ㆍ통제하는 기제로 기능했다. 그러나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토대가 와해되면서, 공적 관계망이 위축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반면에, 공동체적 관계망과 ‘사적 관계망’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사적 관계망이 폭넓게 확산되면서, 공적 관계망과 공동체적 관계망이 이에 포섭되고 통합되면서 변질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외부와의 접촉이 비교적 잦은 청진, 신의주, 혜산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물론 지역별로 사회적 관계망 변화의 형태나 시기에서 약간의 편차를 보이지만, 전반적으로는 계획경제체제의 붕괴를 계기로 사회적 관계망에서 사적 관계망이 우위를 점해가고 있다. 사회의 실핏줄과도 같은 사회적 관계망의 이러한 변화는 사회의 구조적 변동이 투영된 결과일 뿐 아니라 쉽사리 되돌리기 어려운 변화의 흐름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great famine in North Korea since 1990s has greatly changed North Koreans' socialist life sty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ransformation of social network of metropolitan residents in Chungjin, Sineuiju and Hyesan. Since its socialist building, North Korea authorities' bureaucratic control have deeply penetrated into the citizens' everyday life and 'public network' type based on the state bureaucracy was predominant among social network types of urban residents. But this new one was not substituted for the old 'communal network'; the one subsumed the other and functioned as the mechanism to maintain collectivist life style and to control and supervise its resident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But at the moment of the great famine, the basis of the North Korean socialist economic system ruined and the public network dwarfed or lost most of its original functions. Contrarily the communal and private network began to be revitalized. Especially the private network spreaded broadly and began to subsume and integrate the others. This symptom of change strongly appears in the borderland metropolises such as Chungjin, Sineuiju and Hyesan which have a frequent contact with foreign countries. Of course,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the transforming period and forms of social network. But private network becomes dominant in the process of destruction of planned economic system. This transformation of social network as capillaries of society is the result of structural change of North Korean social system and shows us that the recent tendency is difficult to reverse.

      • KCI등재

        국제결혼이주가정 부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순희(Park, Sun-Hee),이주희(Lee, Ju-Hee),안효자(An, Hyo-Ja),조원탁(Cho, Wo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이주가정 부모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부모의 사회적관계망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주가정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본사항과 부모용(남편용, 아내용), 자녀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336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요인들이 다른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버지의 사회적관계망은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 부모의 사회적관계망의 특성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 기능과 더불어 부정적 기능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결혼가족을 지원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원기능의 개발이 요구되며,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공식적, 비공식적 모임 등을 활성화함으로써 사회적관계망을 구축하여 자녀양육 및 교육에 필요한 정보와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social network i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the effects of parent"s social network on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residing in Gwangju and Jeonnam.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basic information for parents(husband and wife respectively) and children and a total of 33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mother"s social network had a greater effect than other factors, whereas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father"s social network.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social network did not always have a supportive effect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quire to develop detailed and various supportive functions in supporting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emphasize the need of approach in various aspects. Accordingly, a social network should be constructed to play a role of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support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by revitalizing formal and informal meetings in community.

      •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관계망의 매개효과

        한선화,방극천 전국사회복지학회 2020 전국사회복지연구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과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노인회관, 경로당 이용 노인과 지역사회 거주 노인 4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과 AMOS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노인의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network in the relation of th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provide practical measures and empirical basic data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tudy subjects were 405 senior citizens visiting or living in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bas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4.0 and AMOS 24.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health statu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social network.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self-esteem and social net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both the self-esteem and social network had a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raise the level of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um of self-esteem and social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