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사랑의 정의와 그 형상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시대를 막론하고 문학의 가장 강력한 테마는 사랑이다. 이 논문에서는 시조를 대상으로 그러한 사랑이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시조에 나타난 사랑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사랑이란 단어로 시작되는 시조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것은 두괄식 구조가 갖는 장점에 기인한 것으로, 사랑으로 작품을 시작함으로써 그만큼 그 의미가 강조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시조에 나타난 사랑은 요컨대, 이중적 의미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즉 한편으로는 인간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이 받아들이는 ‘운명적 사랑’이라고 정의하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의지대로 조작 가능한 ‘의지적 사랑’이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영원토록 사멸하지 않을 ‘불멸의 사랑’으로 보는가 하면, 또 한편으로는 금세 사그라지고 마는 ‘덧없는 사랑’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사랑이 이처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은, 환언하면 사랑은 어느 하나로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는 다중적이며 모호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랑의 정의를 토대로 그것이 작품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는지 살펴보았다. 대상으로 삼은 것은 기녀시조와 함께, 조선후기의 사대부 작가인 이세보의 시조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녀와 이세보는 계층이 다른 만큼 표현해 내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사랑을 슬픔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아울러, 시조에서 사랑을 노래할 때 슬픔을 주로 하게 되는 것은, 문학이 이루어지는 이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Regardless of time and era. literature's most popular and powerful theme is love. This essay investigates how this particular theme is presented and defined in Korea's literary form of Sijo. First, I have elected a particular Sijo of the same title (Love) as a subject of research. This is based on the positive qualities that a possesses, and the fact that starting with a literary piece with such a title would amplify the effect of the overall theme. In Sijo, love generally holds a dual meaning, 'destined love', which man has no control over, and 'intentional love', which man conveys with his own will. This duality can also be viewed as the division between 'immortal love', which lasts forever, and 'meaningless love', which is temporary. This versatility of 'love' proves that it is a subject that is multilateral and ambiguous. Based on this definition, this essay examines the figuration of love in Sijo pieces. The particular subjects of research were Ginyeo, and works by Lee, Sebo, a one that holds an important administrational position in the govening system of the late Chosun period. These works represent two highly different classes, and thus use expressional techniques that are unlike from one another, but share the main theme of sorrowful love. The fact that love in Sijo is mostly associated with sorrow is also related to the reasons why this particular type of literature became popular in its time.

      • KCI등재

        리샤르 드 푸르니발의 『사랑의 동물지』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주나미 ( Ju Na-m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13세기 중반에 등장한 리샤르 드 푸르니발의 『사랑의 동물지』는 당시에 유행하던 ‘(궁정식 사랑풍의) 로망’과 ‘동물지’라는 두 장르를 결합시켜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를 흥미롭고 독창적으로 변화시켰다. 동물들의 특성에서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가르침을 이끌어내고 있는 일반적인 동물지와는 달리, 그것을 남녀의 사랑이라는 주제의 알레고리로 바꿔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적·설교적 문헌인 동물지에서 『사랑의 동물지』가 출현한 이러한 변형은 ‘성(聖)’에서 ‘속(俗)’으로의 변형, 다시 말해 종교적 심성으로부터 세속적 심성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13세기의 지적 전통과 문화 안에서 바라보면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세속적 감수성이 아니라, 오히려 ‘신에 대한 열망’이라는 종교적 감수성과 사고들이 더욱 뚜렷하게 발견된다. ‘사랑’이라는 개념이 지닌 가장 커다란 특징은 어느 시대나 사회에서든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은 상징성을 지니고 중의적(重意的)으로 쓰일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랑을 최고의 덕목으로 선언하며 ‘사랑의 종교’임을 강조해왔던 기독교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기독교에서는 남녀의 교제와 결혼이라는 형식으로 신과 인간의 영적인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전통을 오래전부터 발달시켜왔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기독교 신비주의의 핵심을 이루어 왔다. 따라서 신과의 영적인 결합을 남녀의 교제와 결혼으로 표현한 기독교 전통과 신을 향한 영혼의 상승을 사랑의 기술로 표현한 중세 신비신학의 맥락 안에서 살펴보면, 『사랑의 동물지』의 의미는 전혀 다르게 해석된다. 『사랑의 동물지』가 내용을 전개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사랑’과 ‘기억’, ‘감각’, ‘절제와 헌신’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바탕을 둔 중세 신비신학의 핵심 개념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사랑의 동물지』의 전체 내용을 요약해보면 그 작품이 ‘기억-감각-절제와 헌신-신의 은총-신과의 일치’라는 중세 신비신학의 논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곧, 『사랑의 동물지』는 동물지의 소재를 빌어서 로망의 형식으로 중세 신비신학의 가르침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동물지가 자연 안에 내재된 신의 섭리를 성찰·묵상하려는 신학적 전통과 신플라톤주의적 우주관·자연관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라면, 『사랑의 동물지』는 동물이라는 소재를 신비신학의 내면적이고 주관적인 신학으로 범위를 넓혀 활용한 작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사랑의 동물지』에서는 신비주의적인 종교적 열망과 세속적인 육체적 욕망이 하나의 양식 안에서 상징적으로 서로 통일되어 공존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인 상징주의야말로 중세 문화의 독특함을 구성했던 중요한 특질임을 확인하게 된다. In the middle of the thirteenth century, Richard de Fournival’s Bestiaire d’amour(Bestiary of love) transformed the symbolic meanings of animals in an interesting and ingenious way by combining the two genres of ‘Roman(courtly love literature)’ and ‘Bestiary’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Unlike ordinary Bestiary which draw religious and moral teaching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s, Bestiaire d’amour translated into allegories under the theme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this respect, the appearance of Bestiaire d’amour seems to have been a transformation from ‘the sacred’ to ‘the profane’, that is to say, a shift from the religious mentality to the secular mentality.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intellectual tradition and culture in the 13th century, in Bestiaire d’amour the religious sensibilities and thoughts of ‘desire for God’ are more clearly found rather than such secular sensitivities.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of “love” is that it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in any age or society, and it can be used as symbols. In Christianity, which has emphasized love as the best virtue and “religion of love”, such tendency became more prominent. Thus if we look at Bestiaire d’amour through Christian tradition that expresses the spiritual union with God as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and marriage, the meaning of love in Bestiaire d’amour is interpreted quite differently. “Love”, “Memory”, “Sensation”, “Moderation and Devotion”, that are being used by the Bestiaire d’amour, are key concepts of medieval mystical theology based on St. Augustine's thought. Therefore, if we summarize the whole contents of Bestiaire d’amour centered on these concepts,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are composed mainly of the logical structure of medieval mystical theology “Memory”-“Sensation”- “Moderation and Devotion”-“Grace of God”. In this sense, if ordinary Bestiary reflects the theological tradition and the Neoplatonic cosmology and nature view to seek and meditate on the providence of God embedded in nature, Bestiaire d’amour can be interpreted as a work that uses the natures of animals for inner and subjective theology of mystical theology and widen its scope. Moreover, in Bestiaire d’amour, we can see that the mystical religious desire and the secular physical desire coexist and symbolically unite in one style. And this dual symbolism is an important attribute that constitutes the uniqueness of medieval culture.

      • 성인기 사랑의 개념적, 발달론적 이해에 대한 연구

        유가효(Ka-Hyo Yo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젠더와 문화 Vol.3 No.2

        이 연구는 성인기의 사랑에 관한 연구의 기초가 된 개념 및 유형 분류의 이론, 사랑의 발달적 기원으로서의 애착관계와 사랑, 사랑의 성차와 성격과의 관련성, 성인기 동안의 사랑요소 및 유형의 발달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주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성인기의 사랑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종합하여 보면 아동기에 안정애착을 가졌던 사람이 사랑의 세 가지 요인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이고 사랑유형에 있어서는 우애적 사랑, 열정적 사랑, 이타적 사랑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을 보이나 애착경험과 사랑유형의 관계는 다소 비일관적인 결과도 나타나고 있다. 사랑에 있어 성차도 나타났는데 남성은 과업지향적이고 여성은 관계지향적으로 보는 기존의 성역할고정관념과는 오히려 불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사랑의 구성요소에 따른 특성과 유형은 성격 및 자아존중감과도 관련이 있었으나 그 중 사랑유형과의 관계는 다소 비일관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시간에 따른 사랑의 변화는 관계가 지속될수록 친밀감과 헌신이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며 특히 이러한 사실은 한국사회에서 부부관계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love in adulthoo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transition of the pattern and components,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between love, personality traits and love, sex differences in love. As a result, this review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love in adulthood has close relations with the attachment experiences in childhood. Sex differences in love is appeared, but inconsistent with sex-role stereotypes. Also, components of love are related to one's personality and self-esteem, but the relations of patterns of love with personality and self-esteem show inconsistent results. The change of love components during adulthood shows that intimacy and commitment rather than passion are important factors to maintain the marital relationships. Especially, commitment is a remarkable factor increased by marital years in Korean couples. This result has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Korean couples'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진리인식을 위한 원리’로서의 시몬느 베이유의 ‘사랑의 개념’에 관한 고찰

        이명곤(Lee, Myung-gon)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2 No.-

        시몬느 베이유에게 있어서 사랑(l’amour)의 개념은 윤리・도덕적 행위 이전에 ‘인식의 원리’ 혹은 ‘진리인식의 원리’처럼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녀가 사랑의 삶으로 불림 받은 신비가로서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사랑이 인식의 원리인 것은 실재를 최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사태가 대상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진정한 실재(réalité)에 대한 인식이란 ‘최고의 주의집중’을 통해 ‘실재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곧 사랑의 힘이다. 따라서 사랑은 실재를 밝혀주는 빛처럼 고려된다. 사랑은 항상 사랑하는 대상의 선과 올바름을 지향하는 것이기에 윤리・도덕적 지평에서 역시 진리추구의 원리가 된다. 따라서 사랑이 없이는 진리에 대한 추구가 불가능하고, 진리에 대한 추구가 없다면 사랑은 공허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진리에 가까이 갈수록 사랑은 보다 참되고 순수한 사랑이 된다. 이렇게 진리와 사랑은 비례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베이유의 사유는 탐구 대상에 대한 사랑이 부재하는 현대의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견지하게 하며, 항상 보다 더 세계의 근원적인 존재, 신성한 존재에 가까이 다가가도록 하는 신비주의적 사랑을 추구하게 한다. For Simone Weil, the concept of love (l’amour) is considered as a ‘principle of knowledge’ or ‘principle of truth recognition’ before ethical and moral action. This fact has to do with her life as a mystic, in which she called her life of love. Love is the principle of cognition because it is through love for the object that reality is best known. Recognition of réalité means ‘direct contact with reality’ through ‘highest concentration of attention’, so it is the power of love that makes this possible. Thus, love is considered as a light that illuminates reality. Since love always aims for the good and rightness of the object it loves, it also becomes the principle of the pursuit of truth in the ethical and moral horizons. Therefore, without love, the pursuit of truth is impossible, and without the pursuit of truth, love is empty. And the closer one gets to the truth, the more true and pure love becomes. In this way, truth and love exist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Such philosophy keeps the critical thinking about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bsence of love for the subject of inquiry, and pursues mystical love that brings us closer to the divine existence, the fundamental existence of the world.

      • KCI등재후보

        매체와 코드로서의 사랑, 그리고 사랑 이후의 도시

        정성훈(Sung-Hoon Ju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4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2

        이 논문은 근대화 시대에 사랑의 탄생지였던 도시가 ‘사랑 이후의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는 진단을 내림으로써, 그에 따르는 ‘사랑 이후’에 관한 여러 물음들에 대한 답변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사랑 혹은 연애가 도대체 어떤 관계를 뜻하는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필자는 사랑을 ‘친밀성의 코드화’를 이룬 ‘상징적으로 일반화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간주하는 니클라스루만의 이론에 따라 사랑의 의미론이 변화해온 과정을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근대화 혹은 도시화가 왜 사랑과 깊은 연관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 근대 사회의 성립과 근대적 자아 형성에서 연애의 기능은 무엇인지 밝힐 것이다. 이 논문의 후반부는 정이현의 소설을 비롯한 최근 한국의 소설, 음악, 영화, 그리고 청춘의 현실에 관한 문헌들을 기초로 사랑 이후의 도시로 변화하는 서울을 진단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진단은 근대 사회 혹은 근대인의 기초가 흔들리고 있다는 문제의식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In this paper, I diagnose a change of urban life. It is the turn from the city of love to the post-love city. Through the age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place which lovers met had been city. Nowadays radical individualism and the risk of exclusion are bringing about a turn to the post-love city. This diagnosis premises the concept of love. I regard love as a symbolic generalized communication media. This media has been coded for intimate relations. By Niklas Luhmann, the passionate love causes the coding of love and the romantic love causes the distinct differentiation of this symbolic media. Love as a coded media has formed the self-narrative of individual. In the Korean popular literature, music and cinema after 1990"s, young women and young men do not pursuit loving. Love is being pushed out for the individual life or the social inclusion. This change implies the crisis of modernity.

      • KCI등재

        자기사랑을 통한 도덕 심리학의 기초 설정

        홍순원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전통적으로 심리학과 윤리학은 기초심리학으로서 연관되어 있다. 둘은 인간 행동 분석에 집중함에 있어서 인간의 심성을 공통적으로 다룬다. 윤리학은 심리학을 위한 실천적 기초를 제공하며, 심리학은 타당한 행위를 위한 근거를 확립시킨다. 자기사랑은 두 영역사이의 연결점이 될 수 있다. 존재와 행위, 법과 규범의 통일성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면서 자기사랑은 분명히 윤리학의 근원적 원리가 될 수 있다. 이웃사랑은 자기사랑을 전제하며 거꾸로의 길도 타당하다. 자기사랑과 이웃사랑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결코 성취 될 수 없다. 우리가 하나님을 더 사랑하면 할수록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더 책임적이 되며, 이웃을 더 사랑하게 된다. 자기사랑은 우리에게 선물로 주어진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수용이다. 인간실존의 완성은 오직 자기사랑과 하나님 사랑의 연합 안에서만 실현되며, 그 둘은 오직 이웃 사랑 안에서 성취된다. 오직 이웃 안에서 나 자신과 하나님은 사랑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 사랑을 떠나서 자아와 이웃은 자각 될 수 없으며, 사랑 받을 수도 없다. 이기적인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여 타자에게 관심을 가지는 대신에 자기가 원하는 대로 소유하는 것을 즐긴다. 그는 도구적 가치에 기초해서 결단하고 행동한다. 이기주의는 사랑의 과도함이 아니라 그것의 결핍에서 유래한다. 그것은 자기사랑의 결핍에 기인하는 자아도취증 정신건강과 인격의 문제이다. 우리는 윤리적 실존과 행동에 있어서도 특별하게 자기사랑의 기능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인간존재는 외적인 동기가 아니라 자신의 자아와 그것의 완성에 따라 행동하며, 자아는 올바른 자기사랑의 근거위에서만 진정으로 실현되고 완전히 인식될 수 있다. Psychology and ethics are traditionally connected as basic anthropologies. They care about human mind in common, when they devote themselves to analyzing human behavior. Ethics can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psychology and psychology can establish the ground for proper conduct. The self-love can be a connecting point between two areas. Establishing the basis for the unity of being and act, virtue and norms, self-love has good reason to be a fundamental principle of ethics. Neighborly love prescribes self-love and also over the left. Self-love and neighborly love can not be achieved apart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 more we love God, the more responsible we are for ourselves, and the more we love our neighbors. Self-love is the acceptance of God's love which is given to us as a gift. The completion of human existence comes true only in the union of self-love and love of God, and both are accomplished only in the neighborly love. Only in the neighborhood the self and God can be loved. In the same way, apart from the love of God the self and neighbor cannot be perceived and be loved. A selfish man is absorbed only in his own self so that he enjoy possessing what he wants, instead of caring for others. He decides and conducts on the basis of the instrumental value. Selfishness does not come from the excessiveness of love but from lack of love. The symptom of narcissism which is caused by the lack of self-love is the problem of mental health and of personality. We should especially care about the role of self-love, even in the ethical existence and behavior. Human being conducts not by the external motives but by his own self and its completion. The self can be actually realized and wholly recognized only on the basis of correct self-love.

      • 기독자의 완전을 위한 관상과 활동의 중요성

        송성진(Song, Sung Jin)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8

        아빌라의 성 테례사에 의하면,관상과활동 양자모두 기독자의 완전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관상이 기독자의 완전을 위해서 필요한까닭은 다름 아니 라 관상이 영혼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충만하고도 강력한 임재인 동시에 그 하나님을향한 영혼의 응답적 사랑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사랑은 기독자의 완전의 원인이요,그 능력 이다. 기독자는 완전을 향해 나아가는 도상적 존재인 바,기독자의 완전이란 곧 사랑의 완전인 것이다. 이웃을 향한 선행은 기독자의 완전을 위하여 중요한데,그 까닭은 사랑이란 필연적으로 선행을 통해서 표현되기 때문이다. 하나님과 이웃을 향한 사랑의 순도와 사랑의 폭의 정도가 곧 사랑의 완전의 정도를 나타내게 된다. 가장 높은 수준의 기독자의 완전은 그 의도가 선하고 그 폭이 우주적 인 사랑의 선한 활동을 통해서 표현된다. 기독자의 완전에 도달하기 위한 영적 진보란 곧 하나님과모든 피조물들을 향한 순수하고도 나뉨 없는 사랑에로의 진보에 다름 아니다. 진실된 기독교적 사랑은 한편으로 하나님 에 대한 사랑과 다른 한편으로 동료 피조물에 대한 사랑을 피차 구별할지 언정 결코 분리하지 않는다. 기독자의 완전에 관한 테례사의 사상은 일종의 과정신학을 요청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구별하되 결코 분리하지 않는 그런 과정신학 말이다. 찰스 핫스혼 식의 과정신학에 의하면,하나님은 만유를 포괄하는 전체적 존재이다. 결국 기독자의 완전이란 전체적 존재이신 하나님에 대한 나뉨 없는 전일한 사랑에 있다. 만약우리가 하나님을 만유 내포적 존재로 이해하게 되면, 만유에 대한 우리의 사랑과 창조자이시면서 또한 만유 내포적 전체이신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은 피차간에 분리될 수 없이 전일한 것이 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St. Teresa of Avila, both contemplation and action have a decisive meaning for Christian perfection. Contemplation is necessary for Christian perfection in the sense that it means both the abundant and powerful inflow into the soul of the divine love and the soul’s responsive love toward God. The divine love is the cause and power of Christian perfection. Christians are on the way toward Christian perfection, which consists in the perfection of love. Good works for neighbors are significant for Christian perfection in that love necessarily expresses itself through good works. The degree of the purity and scope of one’s good works toward God and fellow creatures indicates the degree of one’s perfection of love. Christian perfection in the highest degree is manifested through good works of love which are pure in intention and universal in scope. Our advance toward the attainment of Christian perfection is an advance toward a pure and undivided love for God and for all fellow creatures. An authentic Christian love distinguishes between one’s love of God and one’ love of fellow creatures but never separates them. St. Teresa’s thought on Christian perfection is in need of a kind of process theology that distinguishes between, but never separates, one’s love of God and one’ love of fellow creatures. According to Hartshornian process theology, God is the Whole encompassing all beings in the universe. In the end, Christian perfection consists in the undivided whole love for the Whole, who is God. If God is conceived as encompassing all beings in the world, our love for all creatures and our love for God who is both the Creator and the inclusive Whole cannot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 사랑이 가진 치유력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적 적용

        박현철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10 성결심리상담 Vol.2 No.-

        본 연구는 사랑의 치유력이 인간의 삶과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후 기독교 상담적으로 적용하였다. 사랑을 문자적으로 정의하고 확립시키는 것은 아직도 난해한 연구과제이지만 사랑이 지닌 치유력은 전 세계에서 수십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랑의 의미의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의 요소와 사랑의 결과로 사랑의 치유력과 사랑 결핍 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제시하였으며 기독교 상담에서 사랑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기독교상담적 적용을 통해 정리하였다. 특히 사랑은 기독교의 핵심이며 사랑이 기본 전제로 되어진 종교이기 때문에 기독교상담에서 사랑의 치유력의 힘은 반드시 구체화되어야 하며 적용되어야 할 중요한 자원임에 틀림없다. 기독교상담자는 모든 내담자에게 Henry Drummond가 고린도전서 13장을 근거로 제시한 아홉 가지 사랑의 미덕인 인내, 친절, 관대함, 겸손, 예절, 이타심, 평정, 솔직함, 성실을 지닌 사랑의 상담자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기독교상담자가 사랑의 자세로 내담자에게 다가설 때 진정한 치유와 회복의 역사가 열리고, 내담자의 삶이 구원과 감사의 삶으로 변화되는 상담이 되리라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healing power of love on human life and problems, and then applied it in a way of Christian counseling. It is still hard to mean love literally and establish it, but healing power of love was scientifically approved through the studies of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study aimed to find out that healing power of love has the superior power to medical techniques or authoritative counseling techniques. Therefore, it presented healing power of love resulted from elements of love and results of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love, and raised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love. The power of love not only ha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healing but also becomes the motivation beyond the problems of fear and pain in human life. In particular, love is the key of Christian which is based on love, so it is certain that the healing power of love is the importance source that should be specified and applied in Christian counseling. Christian counselors should be improved as the counselors of love who have nine virtues of love such as patience, kindness, generosity, modest, manners, altruism, composure, honesty, and sincerity that Henry Drummond presented to every client based on I Corinthians 13. When Christian counselors treat clients with the attitude of love, the history of true healing and recovery will be held, and the counseling can change clients’ life to the life of the salvation and grace.

      • KCI등재

        사랑이 견인하는 법과 제도

        한철 ( Cheol Han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Jesus said. "Woe to you, teachers of the law and Pharisees, you hypocrites! You give a tenth of your spices-mint, dill and cummin. But you have neglected the more important matters of the Law-justice, mercy and faithfulness. You should have practiced the Latter, without neglecting the former. You blind guides! You strain out a gnat but swallow a camel."(Mt.23:23-24) And He said,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This is the first and greatest commandment. And the second is like it: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All the Law and the Prophets hang on these two commandments."(Mt.23:37-40) According to His teaching, the greatest commandment in the Law is Love. It`s not different in secular law. Love is the very foundation upon which Laws should be based.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serve justice; and Love can serve as a road map to get us there. It is a powerful force that can generate Laws consistent with the goals of justice and equality. Focusing on reason and analysis to the exclusion of Love results in laws that are not always just or fair. There is a need for a broader, more synoptic linkage of law with love. The connection between human-crafted law and inspirational forces that should challenge and, possibly, even transform or transcend Law." Viewing the Law as a "derivative discipline," a discipline derived from Love, will enhance justice throughout the legal landscape. The Law is a tool for human justice. A Love-based approach to the Law can provide a road map to Lead us toward justice. We should not neglect Love, the core value of law. Love and Law are inherent in many of the questions Lawyers grapple with. 일반적으로 법학적인 논의공간에서 사랑과 법의 연관성을 다루는 연구는 낯설게 생각되는 듯 하다. 그러나 오랜 세월동안 법률가들이 붙잡고 씨름해온 문제들의 본질에는 사랑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궁극적으로 법의 목적은 사회정의의 실현을 위해 봉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랑은 그곳으로 인도하는 로드맵 역할을 한다. 사랑의 문제를 배제하고 추론과 분석에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언제나 공정하거나 정당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법과 사랑의 융합, 인간이 고안해 낸 법과 법에 도전을 가하고 심지어 법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영감의 결합이 필요하다. 법을 파생적인 규율. 즉 사랑으로부터 유래된 규율로 이해 하면 법적 환경 전체에 걸쳐서 정의의 수준이 고양될 것이다. 법은 정의사회의 실현을 위한 도구이다. 법에 대해 사랑에 기반한 접근방식을 취한다면 우리 사회는 실질적으로 정의로운 사회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사랑으로부터 비롯된 법을 만드는 열쇄는 사랑의 에너지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개방적이고 동정심을 가진 관대한 마음이다. 사랑은 모든 사람에 대한 깊은 동정심과 건강한 삶에 대한 접근권의 부여를 요구한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에 노출되는 것에 무관심할 수 없게 만들고, 지구상의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과 동정의 마음은 지구환경을 기후변화의 충격에 무방비 상태로 방치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하여 사랑으로 파생된 법에 의해 이웃사랑의 제도가 제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혼인과 가정 이해의 신학적 전망으로서의 사랑과 자비

        최현순(Choi Hyeon Soo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 철학 Vol.- No.30

        본 연구는 『사목 헌장』과 『사랑의 기쁨』에서 혼인과 가정 문제를 바라보는 신학적 전망을 고찰하고 한국 교회의 상황에서 『사랑의 기쁨』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해석학적 원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사랑의 기쁨』을 관통하는 주제는 사랑과 자비이므로 이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사랑과 자비의 관점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자체어서 뚜렷이 드러나지만 『사목 헌장』 에서 혼인과 가정을 다룰 때는 그렇지 못했고, 특히 가정 사목을 다룰 때는 자비의 측면이 간과되었다. 『사랑의 기쁨』은 『가정 공동체』, 그리고 2014년과 2015년 두 차례의 세계주교시노드 최종보고서를 수용하면서 자비의 관점을 강하게 드러냈다. 『사랑의 기쁨』은 혼인과 가정을 삼위일체적 모상이자 삼위일체적 사랑을 목표로 향해 가는 여정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여정 중에 있는 모든 가정은 저마다 ‘약함’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약함은 은총의 장이다. 띠라서 교회는 이 약함을 동감하고 동반하며, 식별을 통해서 모든 가정이 각기 고유한 방법으로 교회 공동체와 통합되어 본질적인 목표를 향한 여정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회가 취해야 할 가정 사목의 길은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하신 행동 방법, 곧 사랑과 자비의 길이다. 이런 점에서 『사랑의 기쁨』은 사랑이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혼인과 가정을 바라보고자 했던 『사목 헌장』의 의도를 더욱 구체화하고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e pastoral principle about the pastoral care of the family in Gaudium et Spes and Amoris Laetitia. The research took caritas and misericordia, the penetrating themes through Vatican Council II and Amoris Laetitia, as its starting point. But in dealing with family and marriage, these issues are not obvious in Gaudium et Spes. Instead, in Amoris Laetitia, which takes the prospects of final reports of two Synods of Bishops in 2014 and 2015, the aspect of mercy is very evident.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both family and marriage are the images of the Trinity, and in the ongomg Journey toward the Trinitarian Caritas. Since all the families have their own fragility, those are the places for the grace, the Church must have fellow-feeling(compassio), accompany their fragility, also discern their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 the Church and help them to arrive at the goal of their journey. The way of the Church in the pastoral care for the family should be the same way with that of God, that is caritas and mercy. Amoris Laetitia has developed and refined these theological perspectives which had appeared in the embryonic form at Vatican I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