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吳梅戱曲批評方法的繼承與創新

        趙得昌 中國語文硏究會 2002 中國語文論叢 Vol.23 No.-

        중국의 근대 전환기에 생존했던 吳梅의 중국희곡에 대한 비평방법은 계승적인 측면과 독창적인 측면이 아울러 존재한다. 吳梅의 희곡비평 중 계승적인 측면이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는 부분은 주로 '序'· 跋 · '敍의 형식을 취해 '一劇一評'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곳이다. 여기에서 吳梅는 전통적인 '曲話'식의 형식을 취해 즉흥적이고, 잡론적이며, 심지어는 인상식적 비평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中國戱曲槪論》, 《元劇硏究》, 《曲學通論》 등의 저작에서 주로 볼수 있는 진화론에 입각한 비평방범, '知人論世'와 '不以人發言'에 의한 비평방법, 역사적인 사실과 희곡이론을 상호 결합한 비평방법, 비교법에 의한 비평방법, 유파분류에 의한 비평방법 등에서는 계승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독창적인 측면들이 보인다. 예를 들어 元明이래로 元曲四大家를'關漢卿, 馬致遠, 鄭光祖 白樸'이라고 지칭함에 견주어 역사적 사실에 의거하여 반론을 펴 '王實甫, 關漢卿, 馬致遠'세 명의 작품 스타일이 당시 연극계에서 큰 세력을 형성했음을 밝혀, 王實甫가 지은 《西廂記》의 예술적 가치 및 그것의 문학사적 지위를 긍정한 점, 明代 중엽에 활동했던 극작가들이 臨川派와 吳江派로 확연히 분별되어졌다는견해에 대해, 두 유파의 장점을 취해 창작했던 극작가들이 결코 소수가 아니었으며, 두유파의 경계가 아주 분명한 것이 아니었음을 밝힌 점, 진화론적 사고에 근거하여, 元雜劇만을 숭상했던 王國維와는 달리 明淸시기의 雜劇과 傳奇의 가치를 인정한 점 등이 그의 독창적인 견해라고 할 수 있겠다. 吳梅의 희곡비평방법에 비록 이와 같이 독창적인 일면이 보이지만, 그는 동시대의王國維에 비해 중국과 서양의 문화를 소통시켜 새로운 이론체계를 확립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그래서 그의 비평방법은 계승적인 측면이 주요한 것이며, 독창적인 측면은 단지 부차적인 역할밖에 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하지만 그의 비평방법에보이는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 및 독특한 견해는 이후의 연구자에게도 영향을 미쳐 중국희곡연구사 발전에 큰 역할을 했음을 간과할 수는 없다.

      • 교육비평방법론을 활용한 질적연구

        김명희,조재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2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heoretical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present practical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methodology of educational criticism. The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is composed of two elements; criticism and connoisseurship. Criticism refers to a task in which a researcher evaluates a phenomenon, based on certain grounds, by observing a scene or a site as it is. In criticism, there is no final, conclusive or perfect defini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of research, the result of criticism can always be different. On the other hand, connoisseurship is dependent on intellectual capacity of a researcher and it is a capability of carefully analyzing certain event and phenomenon that is likely to be overlooked, to distinguish various characteristics out of the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connoisseurship,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fact artistically, based on sharp discernment in conjunction with rational judge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n a certain scene or a sit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realize ourselve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ur world of life. Educational criticism combines both concepts and is character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which a variety of phenomena happening in the field are describ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educational criticism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it defines research problems. As for the necessity of research, it can use episodes, while the type of research problems can be stated in the form of description,understanding and depic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in parallel with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Second, it explains research methods. It is required to describe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spot where the event occurred in detail, as the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form the structure of a research. Moreover, it is vital to make a full explanation about theoretical knowledge of connoisseurship, constituting a core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As for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should choose the best way to explain the research. At the last stage, it is important to clarify how the problems of research ethics have been solved. Third,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In educational criticism methodology, data collection takes place in a circular and concurrent way. So as to ensure the research validity, educational criticism applies the methods of structure corroboration, consensual validation and referential adequacy. Finally, research results are laid out. The results are also laid out in paper writing. When the research results are described, it is essential to clearly mention, from whom the paper is originated and apply the appropriate writing strategy.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의 주요한 방법 중 하나인 교육비평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론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개념들의 의미를 다시 되새김과 동시에 심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질적연구자들에게 교육비평방법론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한편으로는 교육비평방법론을 적용한 질적연구의 절차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질적연구의 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비평을 활용하고자하는 질적연구자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도 교육비평과 감식안 개념은 생소하고 새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교육비평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많이 시도되었지만 구체적으로 현장작업과 관련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소개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있는 교육비평방법론의 실제적 적용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키고자 한다. 그리하여 조직, 기관, 집단, 프로그램의 과정 연구에서 교육비평방법론을 활용한 질적연구가 더욱 널리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수업 비평의 방법과 활용

        이혁규(Lee, Hyugky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이 논문은 필자의 수업 비평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비평의 구체적인 방법을 탐색하였다. 필자는 월간 '우리교육'에 수업 비평을 연재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비평 작업 속에 내재된 수업 비평의 방법을 반성적으로 성찰하여 그 방법을 구체화하고 그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수업 비평방법에 대한 성찰에 앞서서 우선 필자는 수업 비평의 인식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업 비평의 방법을 '수업과의 만남을 위한 사전 준비'→'수업 관찰 및 촬영하기'→'관련 자료 수집.분석 및 수업 전사하기'→'수업의 중심 주제 부각시키기'→'수업 비평문 작성하기' 의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의 의미와 각 단계에서 필요한 방법적 성찰이나 태도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수업 비평을 구체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considers personal experience of class critique to clarify the methods of class critique.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writing an article for a monthly magazine, ‘Urigyoyuk’, this study reflected and refined the methods of class critique and discussed its utilization. In review of the class critique method, the study examined its epistemological background. Secondly, class critique methods were arranged into five stages; preparation of encounter with class, observation and video-taping of class, collecting and analyzing related data including transcription of class, finding the main topic of class, and writing of class critiques. In addition, the meaning of each stage was explored in detail. Finally, the study discussed how to apply class critique for the purpose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宋代 詩話 批評方法 考察

        박정순(Park, Jeong-soo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1 No.-

        본고에서는 송대 시화의 비평방법인 이미지 비평방법, 비교 비평방법 등 구체적인 시 비평방법을 연구내용으로 삼았다. 송대 시화에서는 이미지 비평방법을 매우 광범위하게 응용하고 있다. 사물이나 사람, 그리고 사실을 비유하는 세 가지 주체의 이미지 비평 양식이 많이 적용되면서 송대 시학은 더욱 다양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시학의 심미성에 대한 이해 역시 이에 따라 더욱 정밀해졌다. 송대 시화의 이미지 비평은 비평가의 시학 관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비평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것으로 비평의 이론이 강화되었음은 분명하다. 송대 시화에서 비교비평 방법은 주로 다음과 같이 구현되고 있다. 첫째, 시인과 시풍에 대한 비교이다. 둘째, 어떤 글자를 쓰고 어떤 구를 지을지 결정하는 시법 활용에 대한 비교이다. 송대 시화의 비교비평 방법은 이전의 체제를 계승했을 뿐만 아니라 내용과 형식 면에 있어서도 새로운 점이 있다. 첫째, 시의 경지를 형상화하는 데 대한 비교가 시작되었고 둘째, 시의 이치에 대한 논술적 요소가 더 확대되었으며 셋째, 다른 시체와 비교가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four critical methodologies for Poetry Talks in Song Dynasty, that is, Image Criticism, Comparative Criticism, Origin Criticism, Excerpt Criticism. The Image Criticism was widely applied in Song Dynasty Poetry Talks. In the course of the application, the variations of poetics in Song Dynasty were developed more positively. The trend towards the intension of theorization of the Criticism continued deeply. The Comparative Criticism was used to finding the principle of poetic creation unlike the previous criticism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poetics.

      • KCI등재

        시를 발견하는 비평의 기술(記述/技術) - 김현 시 비평의 방법론적 특징

        강계숙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methodology in Kim Hyun’s poetry criticism. He establishes his literary theory while writ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and embodies the methodology for text analysis based on it. For this reason, the changes that occur after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should be noted. This study typifies the methodology of his criticism of poetry and poets of the time and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ose typified. Kim Hyun’s poetry criticism evolved from examining the poet’s imaginary world and its origins to analyzing the variations in poetic imagery and the structure of text. The former methodology is to explore the primitive experiences inherent in the work and its poetic variations. The former methodolog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itive experiences inherent in the work and its poetic variations. However, his perception grows deeper and deeper as he realiz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s told by the author and the truth shown by the work. This results in the latter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for criticism. I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writer’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importance of the primitive experience, and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are explained.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form serve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versifying the methods of criticism. His methodology becomes more sophistica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structure is re-recogni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and the work is understood to be homologous. This transition to textualism becomes more pronounced as the analysis of the counterpoint becomes the method of poetry criticism. He refers to the contrast between poetic images and the repetition of such contrasts as counterpoint. When conflicting things in poetry are found to be contradictoryly integrated, he recognizes analyzing them as the most important task of criticism. The counterpoint, as an in-depth structure of the poetry is not a technique intended by the author, but it is found during the analysis of text. His poetry criticism, which uses analysis and search of this as a method of criticism, can be called the art of discovering contradiction. 본고는 김현 시 비평의 고유한 방법론 및 그 구체적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문학의 위상』을 통해 자신의 문학론을 정립한 그는 텍스트 분석에 요구되는 방법론을 구체화하게 된다. 『한국문학의 위상』을 전후로 시 비평에 나타나는 변화 양상에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본고는 당대의 시와 시인을 대상으로 한 김현의 실제비평의 방법론적 특징을 유형화하고 그러한 특징 간의 내적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현의 시 비평은 시인의 상상 세계를 이루는 기원을 고찰하는 데서 이미지의 형태적 변용 및 텍스트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화된다. 전자는 작품에 내재된 원초적 경험의 형상과 그것의 시적 변용을 탐색하는 것을 주된 방법론으로 삼는다. 하지만 작가의 사실과 작품의 진실이 동일시되었을 때의 오류를 체험하면서 문학적 진실에 대한 그의 사유는 점차 심화된다. 이 과정에서 후자가 비평의 주된 과제로 인식된다. 『한국문학의 위상』에서 작가와 세계의 전이성적 관계, 원초적 세계체험의 의의, 세계관과 진실내용 등이 주의 깊게 다루어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특히 ‘내용형식’으로서의 형태 개념의 정립은 비평의 방법을 다양화하는 이론적 토대가 된다. 시적 이미지의 형태 분석과 언어의 통사적 기능에 대한 재고, 이를 텍스트의 무의식과 연결지어 통합하는 방식은 형태와 구조의 관계를 재인식함으로써 정교화된다.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상동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구조주의적 관점의 수용 또한 방법론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된다. 텍스트 비평으로의 이러한 전환은 대위법의 탐색이 시 비평의 방법으로 자리하면서 더욱 뚜렷해진다. 김현은 작품의 심층적 구도인 이미지의 교차와 반복, 그에 따른 의미들의 대립항을 대위법이라 명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립 관계의 모순적 통합이 내적 구조로 발견될 때, 그것의 의미작용의 분석을 비평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의식한다. 모순적 구조로서의 대위법은 시인에 의해 의도된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분석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를 방법화한 김현의 시 비평은 모순의 발견술이라 할 수 있다. 텍스트에 내재된 대립관계의 모순성을 날카롭게 통찰한 그는 그러한 모순성을 세계와 자아의 근원적 균열을 가리키는 징표로 인식하였고, 그에 따라 대위법의 구조적 탐색을 시인에 의해 의식되지 않는 세계관과 작품의 진실내용을 파악하는 최선의 기술로 활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평교육 평가에 대한 소론 : 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우문영(Woo, Moon-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2 No.1

        비평이란 개념 속에는 이미 평가를 가지고 있다. 비평을 근간으로 하는 비평교육 역시 평가를 함의하고 있지만, 비평 활동 과정에서의 평가와 비평교육 평가 사이에는 상이점이 존재한다. 비평은 비평 대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지만, 비평교육의 평가는 비평교육을 수행하는 주체인 교사와 비평적 학습자, 비평교육 내용은 물론 동료 비평적 학습자와 비평교육에 대한 메타적 평가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문학교육이나 예술교육, 비평교육에서 겪는 평가의 어려움은 무엇보다 평가 방법의 곤란함에 기인한다. 대상에 대한 평가는 비평가의 주관이나 혹은 객관적이라고 인정된 시선만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과정 중심 평가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교수-학습 시간에 활동한 결과물만을 평가하는 결과중심 평가법이 중심을 이루었었다. 이 방법은 교사 입장에서 평가를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과 평가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 행위 일체가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교육 평가 철학을 근본적으로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과 학습자의 결과물 생성 과정을 지켜보지 않고서는 신뢰할 수 없다는 한계를 노정하게 되었다. 결과물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는 학습자의 내면적 태도까지를 관찰하는 과정중심 평가법이 제시되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오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오독에는 작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오류적 오독과 작가의 의도를 의도적으로 벗어난 창조적 오독으로 대별된다. 비평교육 과정에서의 오독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기에 오류적 오독을 넘어 창조적 오독으로 전이시키는 일이 비평교육 평가의 주된 작업이 된 것이다. 그러나 과정중심 평가법 역시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데 한계를 노정하였고, 과정과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과정중심 평가법의 하나인 오독중심평가법과 결과중심 평가법을 결합한 탈중심 평가법을 본고에서는 제안하였다. 탈중심 평가법이란 교사 중심 혹은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 결과 중심에서 벗어나 이들 모두를 수용한 통합적 방법을 말하는데, 아직까지는 추상적 개념만 있을 뿐 구체적 방법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A meaning of critical involves evaluation and so does critical education.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evaluation of critical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 critical education. Criticism evaluate only a critical object, but on the critical education, teacher, learner, learning-mates and contents are evaluated. Evalua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art education has difficulty for difficulties of evaluation method. Critical objects aren’t evaluated only by a critics view - subjective or objective. Before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 was introduced,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which evaluated only results from learning activities was used mainly. It has merits that teacher evaluate easy and objective. But it was contrary to evaluation philosophy that all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 without educational process was not to be trusted.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 was suggested to observe inner attitude of lerner who performed educational process to meet good results. Reading miscue is another method of process-based evaluation. Because reading miscue comes naturally in the critical education, as Paul de Man assert, it is main work to overcome misunderstanding and change into creative misunderstanding. But process-based evaluation has limit to evaluate affective domain and has problem what to do if process and result do not coincide. On this essay propose decentration evaluation method what combined reading miscue-based evaluation method with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Decentration evaluation method integrate with teacher-based, lerner-based, process-based and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For now, it is just a concept. It need to discuss about study of methods concretely.

      • KCI등재

        비평사 서술의 방법과 과제

        이도연(Lee, Do-y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4

        김영민의 한국근대문학비평사 는 엄밀한 실증을 통해 비평사 서술 작업에 과학적 객관성을 부여하였다. 한편으로 그것은 사회사와 형식사를 아우르고 종합하는 것으로서, 동반자작가와 중간파문학까지를 포괄하는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비평사 전체에 대한 통찰과 한국문학의 독자적 개별성에 대한창조적 직관을 드러내는 데 성공하였다. 향후 새로운 카프문학비평사의 서술은 기본적으로, 개별 비평가로서 박영희, 김기진, 임화, 김남천, 한설야, 안함광, 안막의 텍스트와 비평활동을 중심으로, 각각의 문학적 고유성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실제비평을 근간으로 하는 작가론의 층위에서 탈구축되고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문학사 방법론의 일반 과제와 더불어 마르크스주의(비평)를 역사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론이 독자적인 개념으로 구상되고 고안되어야한다고 하겠다. 비평사 서술의 과제 및 전망은 이상의 진술과 관련된 몇몇 명제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Kim, Young-min’s Hangukgeundaemunhakbipyeongsa(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granted scientific objectivity to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through rigorous demonstration. On the other hand it encompasses social history and formal history, so it shows flexibility and wave balance. It succeeded in revealing the entire insight and creative intuition about singularity of korean literature. The new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must be based on an individual critics and critical texts of them. For example, Park, Young-hee, Kim, Gi-jin, Im hwa, Kim, Nam-cheon, Han, seol-ya, An, Ham-gwang, An mak etc. In addition to actual methodology is to be submitted which is based on a layer of deconstruction in writers’ biography and their practical criticism. As well as with the general task of literary history, a methodology of Marxist literary criticism is to be designed by unique concepts.

      • KCI등재

        미술 비평 교수 ·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백윤소(Yun-So Bae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지금까지 미술 감상 · 비평 학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소개되었으나, 많은 연구들이 현대 철학적 흐름에 부합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는 미술 비평 교수 ·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감상과 비평에 대한 범주, 감상 · 비평 활동과 사고력, 현대 철학적 흐름 등 감상 · 비평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고, 둘째, 기존의 비평 교수 · 학습 방법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파악한다. 셋째, 이를 토대로 연구자는 비평 교수 · 학습 방법을 재구성하여 제안하고, 그 예시를 소개한다. 현장 적용을 위한 실천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제안한 교수 · 학습 방법을 보완할 필요성을 밝힌다. Many studies o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have been introduced, but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not consistence with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flow.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an criticism pedagogy that complements these limit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examines the discourse about categories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s, critical activities and thinking power, and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flow. Second, study the existing critical pedagogy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is, the reorganized rt criticism pedagogy is proposed, also the example by utilizing it is presented.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instructional methods proposed by this study through practical follow-up study for field application.

      • KCI등재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 : ‘신비평 논쟁’의 수용과 영향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본고는 196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대두된 ‘신비평 논쟁’이 김현의 비평 의식에 미친 영향관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김현은 이 논쟁과 관련된 글을 편역하여 간행(『현대비평의 혁명』, 1979)할 만큼 논쟁 과정 및 핵심 내용에 관심이 많았고, 여러 평문에서 이에 대해 직접 논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신비평 논쟁의 주요 쟁점을 수용 · 검토하면서 ‘비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이 어떻게 그 내적 논리를 획득하게 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비평의 객관성과 주관성, 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 전환,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문학작품의 구조적 이해, 작품 평가의 기준과 비평가의 역할 등 신 비평 논쟁의 핵심 주제는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 인식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문학이해에 필수적인 이 주제들은 그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에 의해 재검토되는 숙고의 과정을 거쳐 비평을 위한 이론으로 체계화되었다. 이를 통해 그의 실제비평은 고유한 논리적 체계를 갖춘 담론의 수행과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 신비평 논쟁의 이론적 전유는 그에게 절대적 객관성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절대적 객관성의 명제화야말로 진리 추구의 과정을 강제하는 오류임을 각인시켰고, 비평적 글쓰기는 과학적 실증의 영역이 아니라 타자의 담론을 자신에게 주어진 기호체계의 규약에 따라 재구성하는 담론의 담론임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비평의 객관성은 내적 조리 정연함에 의해 유도되는 논리적 타당성이자 주관성의 영역 속에서 그것을 극복해내는 이론적 엄격성을 재구하는 작업을 뜻하며, 비평의 주관성은 내재적 분석의 엄밀한 방법화 및 그러한 방법의 일관된 적용을 통해 객관적인 것으로 기술 · 현상될 수 있음을 자각하게 된 전환점이 되었다. 바슐라르, 바르트, 제네바 학파 등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수용은 그가 자신의 비평적 자의식을 갱신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제공한 자극의 원천이었고, 비평가로서의 그의 자기 갱신은 비평의 역사와 당대 비평의 경향을 안팎으로 살피는 이중의 작업 속에서 시대적으로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문학 이론의 수입을 적극 도모하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작품의 구조와 형태를 규명하는 내재적 분석을 실제비평의 방법론으로 삼아 이를 문학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고 동시대 한국 비평문학의 한계를 타개할 방책으로 실행해 보인 그의 노력은 자신의 비평이 텍스트 내부에 한정되기를 거부하고 그가 살아가는 시대와 사회현실에 유의미한 발언이 되길 바란 내적 고투의 과정이었다. 비평이 진정한 비평이 되기를 원한다면 이데올로기 비평이 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은 김현에게 일종의 정답과 같은 것이었다. 기만적 허위로 가장된 지배 이데올로기의 탈신화화야말로 “이론적 실천”으로서의 비평이 가닿고자 한 궁극적 목적지였다는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Debate of New Criticism’ in France in the mid-1960s on Kim Hyun’s critics. He was interested in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is debate, and wrote several articles explaining it. The Revolution of Modern Criticism (1979) translated by him is a book about this debate. The main theme of the ‘New Criticism debate’ wer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f criticism, new directions in literary research,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work, structural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nd the role of critics. These key them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im Hyun’s meta awareness of literature criticism.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se subject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his relativistic epistemology, and through this deliberation he organized his critical theory. By looking at the ‘Debate of New Criticism’, he realized that absolute objectivity does not exist, and that literary criticism is not a product of scientific proof, but a reconstruction of the discourse of the other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symbol system given to him. Kim Hyun’s interest in and acceptance of theories of Bachelard, Barthes, and Geneva School was to provide himself with the impetus to renew his criticism. And he continued his efforts to look inside and outside at the trends of literary criticism of the time, agonizing over his role as a critic. He used an intrinsic analysis that reveale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work as his methodology of criticism. Through this methodology, he tried to correct people’s mis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at the time. This efforts illustrate his hope that his criticism would become a meaningful statement in his own society and times. He thought true criticism was bound to be ideological criticism. Criticizing a deceptive dominant ideology is a good indication that criticism as a “theoretical practice” was the ultimate goal to reach.

      • KCI등재후보

        종이 위에서 춤추다

        Deborah Jowitt 한국무용예술학회 2007 무용예술학연구 Vol.21 No.-

        미국 춤 비평의 특성은 춤의 사회적 지위와 불가피하게 얽혀있다. 미국에는 아시아 국가들과 같은 오래된 춤 전통이 없으며, 특히 오랜 기간 청교도주의가 춤에 대한 인식을 지배했기 때문이다. 춤을 정신성이 결여된 것으로 보았기에 그에 대한 논의 역시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20세기 초까지도 춤은 음악의 부속물로 취급되거나 뮤직홀에서의 춤과 공연예술로서의 춤이 구분되지 않았다.20세기 전반기 미국의 대표적인 무용비평가들의 경향은 변호적 비평, 즉 대중들이 오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특정 양식을 옹호하는 비평이었다. 존 마틴은 마사 그레이엄과 도리스 험프리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현대무용을 옹호하였고, 에드윈 덴비는 발란신의 줄거리 없는 발레를 해설했으며, 질 존스턴은 1960년대 포스트모던 춤을 옹호했다. 변호적 비평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며, 평론가가 개인적인 이유 때문에 특정 예술가를 광고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다. 허나 대중들이 작품을 심도있게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평론가의 과제 중 하나이며, 이는 설교나 강의가 아니라 춤을 생생하고 흥미롭게 묘사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된다.춤 비평의 네 가지 요소인 묘사, 해석, 평가, 맥락 중에서 20세기 초의 평론가들이 평가와 해석을 강조했다면, 1960년대 이후의 평론가들은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고 춤의 흥취를 전달할 수 있는 묘사를 강조했다. 묘사를 강조하는 이유는 첫째, 너무나 잘 알려진 춤의 덧없음 때문이며, 둘째, 집필의 대상인 춤 자체가 변하였기 때문이다. 즉 춤에서 서사구조가 배제되고 실험성이 강조되자 안무가가 풀어내는 소재 자체 보다는 이를 어떻게 풀어내는지가 중요해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묘사란 동작 하나하나를 정확하게 나열하는 것이 아니며, 단어를 통해 그리고 문장의 리듬과 형태를 통해 글쓴이가 보고 느낀 바를 예리한 직감력으로 환기시킬 때 가장 설득력 있는 묘사가 된다.나아가 비평가는 그들이 살고있는 환경과 시대의 산물이며, 춤에 대한 글쓰기는 춤 자체에서의 변화에 상응한다. 예컨대 1960- 70년대의 비평가들은 움직임 발견, 혁신적 구성, 그리고 예술에 대한 급진적 생각들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80년대 이후 비평가들은 제각각의 텍스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의미한 관계, 혹은 그 의도적인 부재를 찾으려 노력한다. 최근 춤계의 범위가 넓어지고 세계화되면서 평론가는 인종과 젠더, 혹은 전통적 스타일과 현대적 실험에 주목해야할 필요 역시 증대되었다. 이처럼 맥락, 역사, 의미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비평의 방식 자체가 변하기도 한다.현재, 미국에서는 무용비평을 위한 활자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반면에 춤에 대한 글쓰기는 블로그나 온라인 출판을 통해 인터넷에서 번성하고 있다. 인터넷에 글을 쓴다는 것은 공간적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즐겁기도 하고, 돈을 벌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암담하기도 하다. 종이 위에서건 가상적 공간에서건, 많은 춤 비평가들이 춤에 대해 생각하고, 이를 탐사하고, 언어로서 다시 소생시키고자 노력하는 것을 단순히 직업이 아닌 소명으로 삼고있다는 것은 참으로 행운이다. 우리는 계속 나아갈 것이며, 좀더 잘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