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데이터에 적합한 다양한 소셜 그래프 비주얼라이제이션 알고리즘 제안

        이만재(Manjai Lee),온병원(Byung-Won On) 한국HCI학회 2015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0 No.1

        최근 다양한 공공데이터가 개방되고 있으며, 적절한 데이터 마이닝과 시각화 알고리즘을 통해 일반 시민에게 서비스 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 정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널리 알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이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재가공하여 서비스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공공데이터의 최종 사용자는 일반 시민이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를 적절히 시각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비주얼라이제이션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일반 국민이 관심을 가질만한 공공데이터로 UN 회원국의 투표 데이터를 고려한다. 외교와 교육 목적으로 그 활용 가치가 높고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절한 데이터 마이닝과 시각화 과정을 거친다면, 일반 사용자들이 유엔 회원국 간의 투표성향에 대한 통찰력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유엔 투표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회원국 간의 투표성향 유사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셜 그래프를 구현한다. 그리고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래프를 화면에 렌더링 하게 된다. 기존 방법을 이용하여 소셜 그래프를 비주얼라이제이션 할 경우에 그래프의 복잡도가 증가하여 유엔 회원국 간의 투표성향을 파악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친구 매칭(Friend-Matching), 친구-라이벌 매칭(Friend-Rival Matching), 버블힙(Bubble Heap) 알고리즘들을 차례로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기존 그래프 비주얼라이제이션을 개선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유엔 회원국 간의 투표성향과 관련된 특정 패턴이나 통찰력을 얻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웹에서 동작하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누구나 방문하여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주소: http://datalab.kunsan.ac.kr/politiz/un/ Nowadays various public data have been serviced to the public. Through the opening of public data, the transparency and effectiveness of public policy developed by governments are increased and users can lead to the growth of industry related to public data. Since end-users of using public data are citizens, it is very important for everyone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public data using proper visualization techniques. In this work, to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widespread public data, we consider UN voting record as public data in which many people may be interested. In general, it has high utilization value by diplomatic and educational purposes, and is available in public. If we use proper data mining and visualization algorithms, we can get an insight regarding the voting patterns of UN members. To visualiz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voting similarity values among UN members and then a social graph is created by the similarity values. Next, using a graph layout algorithm, the social graph is rendered on the screen. If we use the existing method for visualizing the social graph,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ocial graph because the graph is usually dense. To improve the weak point of the existing social graph visualization, we propose Friend-Matching, Friend-Rival Matching, and Bubble Heap algorithms in this paper. We also validate that our proposed algorithms can improve the quality of visualizing social graphs displayed by the existing method. Finally, our prototype system has been released in http://datalab.kunsan.ac.kr/politiz/un/. Please, see if it is useful in the aspect of public data utilization.

      • KCI등재
      • Telltale Sign : 심전도 기반의 몰입적 대화 비주얼라이제이션 시스템

        오승은(Seungeun Oh),원동인(Dongin Won),이다영(Dayoung Lee),이지원(Jiwon Lee),임보영(Boyoung Lim),조한결(Hangyeol Jo),최하은(Haeun Choi),자캅 알라일름(Zhakap Araily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Telltale Sign’은 두 명의 체험자가 서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감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전시 콘텐츠다. 두 명의 체험자는 등을 대고 마주 앉아 정해진 시간동안 준비된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주고받는다. 대화 중 두 사람의 심전도 데이터와 이를 통해 해석한 감정은 실시간으로 시각화되어 체험자 주위의 공간에 나타난다. 체험 마지막에는 두 체험자가 대화를 나누던 중 받았던 감정 데이터의 통계로 두 사람이 가장 많이 느낀 감정을 알 수 있게 한다. 전시를 통해 체험자들은 말과 표정으로 담아낼 수 없었던 진솔한 대화의 경험을 하게 된다.

      • 식품 영양소 공공 데이터의 시각화

        이주경,박명훈,김형준,정호철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좋은 음식을 선호하는 경향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많은 식품제조회사들은 자사의 제품들에 “웰빙“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출시하고 있다. 제조사들은 제품의 광고와 겉포장에 각종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강조함으로써 "몸에 좋은 음식"임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고 이를 통해 구매 욕구를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영양소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해당 성분이 정말 건강에 좋은 것인지 알기 어렵다. 또한 성분표를 확인해 보더라도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들의 절대적 양과 올바른 상대적 조합 비율을 모르기 때문에 다른 제품들과 일일이 비교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표는 가공식품들이 각종 영양소에 대한 권장 섭취 절대량과 상대비율을 얼마나 잘 충족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쉽고 빠르게 전달하여 올바른 제품 소비를 유도하는 데에 있다. 소비자들은 이를 통해 자신들의 기호에 숨어있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원하는 식품들을 분별하고 필요하다면 서로 다른 식품들을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people come to take interest in health and they tend to prefer healthy food. To follow this trend, many food manufacturers add the word ‘well-being’ to their products’ slogan. Manufacturers are trying to induce customer"s purchase by emphasizing that their products contain various kinds of nutrients through advertisement and package of these products, and making customers to realize that their products are ‘healthy food’. However, for ordinary people who lack of expertise regarding to nutrients, it is different to know whether these nutrients are really good for health. Even though people check ingredients inside products, it is not easy to compare with other products since they do not know absolute amount and appropriate relative combination ratio of nutrients that we require every day.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nvey how much nutrients containing inside processed foods are satisfying to recommended absolute amount and relative ratio and to induce correct product consumption. This allows consumers to know new facts of their hidden preference and to distinguish preferred food. Moreover, this let consumers to combine different food if they want.

      • 위키 탐험: 위키백과 링크 정보를 이용한 지식 탐험

        이만재(Manjai Lee)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위키피디어는 인터넷 사용자의 집단지성 장점을 활용하여 만든 백과사전이다. 한국어 버전인 위키백과는 영문 위키피디어에 비해 규모와 내용면에서 부족하나 한글로 표기되어 있기에 한글 사용자인 우리 나라에서는 활용가치가 높다. 위키백과의 문서는 위키백과 내의 다른 문서와 링크되어 있다. 이 링크 정보는 문서간 이동에 사용되고 있으나 원래의 목적 외에는 활용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링크정보를 수집하여 문서간의 연결형태를 보여 줌으로 지식의 연결 형태를 그래프 형태로 볼 수 있도록 한 위키탐험이라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정을 설명한다. 위키탐험에는 위키백과 문서의 특징을 사전 분류하여 인명이나 지명, 사건과 같은 특정분류의 문서만을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위키백과의 특징을 이용하여 문서의 첫 문장만으로 문서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래프의 노드나 에지가 많아져 그래프가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질 경우를 대비하여 에지 또는 노드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다. 프로그램 구현은 유니코드 처리 가능하며 사전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파이선 3.4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실시간으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Wikipedia is an encyclopedia developed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of internet users. The number of Korean version of Wikipedia articles is small compared to English Wikipedia but Korean Wikipedia is useful for Korean community because it uses the Korean character. Almost all Wikipedia article is linked to other articles through hyperlinks. These link information is however, only used to navigate through other articles. Wikplorer is a program that can visualize the network structure and increase the value of Wikipedia exploration. Using initial part of article, each article is classified by its type, such as people, group, event, or geography. W hen there are too many nodes or edges to visualize the network, heuristics are used to reduce the number of edges or nodes. Wikiplorer has been developed with Python 3.4, which has utf-8 unicode string handling and dictionary features. Wikiplorer provides full human interaction by coding all key function in python code.

      • 공공 데이터 분석결과의 게임화를 통한 웹 방문자 성향 분석

        허종욱(Jong-Uk Heo),온병원(Byung-Won On),이만재(Manjai Lee)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빅 데이터의 등장과 함께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에게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정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일반 국민이 관심을 갖는 국회의원의 본회의 표결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회의 의정활동을 파악하고자 하는 폴리티즈라는 웹 사이트를 개발하였다. 웹 사이트의 기능 중 하나는 실제 국회에서 처리된 법안에 대해 웹 사용자에게 찬반을 묻도록 하였으며 자신과 가까운 성향을 갖는 의원을 알 수 있도록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하였다. 방문자의 투표결과를 통해 해당 법안에 대한 국민의 생각을 알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http://www.politiz.org/에서 서비스 중이며, 구글크롬, IE8.0이상의 웹브라우저에서 사용가능함) The utilization of public data based on Big data analytics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arent public policy. As one of case studies, we developed the so-called Politiz web site in which we can understand congressional activities using roll call votes in the 18<SUP>th</SUP> Korean National Assembly. In the web site, a user can vote sixteen controversial bills and finally find the best match showing whom the user is close to among all congressmen. In our research, we showed a congressional social network that provides us with the holistic insight mined from the roll call data based on Big data analytics. In particular, we focus on studying how to apply the concept of gamification so as to make users more fun and engaging in the Politiz web site. In addition, our web site provides a handy tool for collecting public opinion about controversial issues occurring in our society.

      • KCI등재

        이미지 컬러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한 넷아트 구현

        김병원(Byeung-Won Kim),김종서(Jong-Seo Kim),곽훈성(Hoon-Sung Kwa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6

        새로운 미디어를 통한 예술작품의 속성 중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현재 넷아트(netart)에 있어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예술전반에서 그 영향력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매체로 한 다양한 실험적인 예술작품들이 네트워크 공간 속에서 제작되고 있으며 이는 예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한 시도이다. 본 연구자는 넷아트에 관련된 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작품 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한 색 데이터의 시각화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작업은 이미지에서 추출한 색 데이터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조형 요소에 기초한 유동적 형상을 제작하는 것은 데이터를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실험적 접근이고, 데이터의 미적 시각화 기법에 대한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Among the properties of new media art works, interaction with audience has now become a big issue, and its influence to general arts, in particular media art, is being stressed more and more. Under the this influence, various experimental works using digital media are being produced and having a try to combination of art and multimedia technology on the network. This paper analyses studies about netart and suggests visualization expression of color data to be interactive between users and art works. The work is to make formative elements based fluid shapes on the analysis of color data extracted from images. This is a new experiment in picturesque expression of data and aesthetic visualization of data.

      • KCI등재

        방사선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

        정지홍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방사선 정보의 빠른 전달과 이해, 그리고 방사선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피지컬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시각화의 사례를 살펴보고, 방사능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환경데이터를 Visible Radiation Cube의 제작, 설치를 통하여 방사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재현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뉴미디어 아트에 있어서 피지컬 컴퓨팅의 디지털 공간에서의 그래픽적인 데이터시각화에서 벗어나 현실공간에서의 물리적 표현은 정보에 감성을 부여하여 보는 사람들에게 흥미 유발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고, 새로운 정보매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은 방사선과 같은 환경데이터의 시각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Visible Radiation Cube의 설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얻어지는 방사선 데이터 수치를 LED의 점등량과 판단 기준이 되는 다른 방사선 정보와 함께 시각화함으로써 누구라도 간단히 현재의 방사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추상적으로 느껴졌던 방사선 정보가 구체적인 정보로서 가치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효과적인 정보전달과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이 지각하지 못하고 흘려보낼 수도 있었던 방사선을 비롯한 환경데이터의 시각화는 단순한 정보의 전달과 취득, 빠른 이해라는 목적을 넘어서, 방사선과 원자력, 환경오염 등과 같은 환경 데이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aimed at transferring radiation information with speed and understandings, and also renew the current perception of radi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cases of visualization of the data that was based on physical computing was looked into, created a Visible Radiation Cube to monitor the environment data that is usually invisible, and visualized the radiation data through this equi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modem new media art, there was a huge potential that it would trigger great interest in lots of people with numerous visual effects by expressing graphical data in a more physical form in a digital area through phtusical computing, and it can act as the new for of media. Also, as a visual tool for visualizing environmental data like radiation, the potential of physical computing was reassur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Visible Radiation Cube, the radiation data that is acquired in real time can be visualized through the brightness of the LED with other radiation information, and therefore anyone can see the current radiation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radiation information that seemed abstract can now be displayed in detail and the effective transfer of information had enabled direct understanding. The visualization of the environment data meant much more than letting the public visually see information like the radiation data that they could not otherwise see. With accomplishing the object of increasing the speed of data being understood, it is safe to state that it showed the potential to change the view on radiation and nuclear power that will eventually influence the society.

      • KCI등재

        국내 휴대폰의 진화패턴 규명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방안 제안 및 사례 연구

        온병원(Byung-Won 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2

        생물의 진화패턴과 원리는 지난 200년간 학문적인 영역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으며 생명의 진화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개념 및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진화경제학, 진화심리학, 진화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큰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진화생물학 논리를 인간이 만든 제품에 적용하려는 시도도 병행되어 왔다. 기존 연구들이 생물진화 논리를 인공물에 그대로 적용하거나 해당 분야 전문가의 직관에 근거하여 진화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어서 진화 모형에 대한 일반화를 시키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생물과 달리 인공물은 인간 의지의 상상력이 반영되기 때문에 생물진화 이론을 곧바로 적용할 수 없다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인의 주관에 벗어나 일반 대중들의 생각을 엿보고 이를 바탕으로 진화 모형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인공물을 계통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체계적인 틀을 제시하는 텍스트 마이닝 방안과 그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시각화 방안을 차례로 제안한다. 특히, 제안방안을 바탕으로 최근 혁신의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는 휴대폰과 스마트폰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한다.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출시된 휴대폰과 스마트폰에 대한 리뷰 포스트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진화패턴을 발견하고 요약해서 보여주며 그 결과에 대해서 자세히 토의한다. 더욱이 이러한 작업은 소수의 전문가들이 방대한 문헌과 자료를 조사 정리하여,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계통도를 그리게 되는 매우 지난한 작업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은 반자동(semi-automatic) 마이닝 알고리즘으로 인간의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그 효용 가치가 높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간의 창의력과 상상력이 구현되는 방식을 이해하고 휴대폰의 미래 모습을 전망하는데 있어 유관기업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다. Systematic theory, concepts, and methodology for the biological evolution have been developed while patterns and principles of the evolution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past 200 years. Furthermore, they ar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evolutionary economics, evolutionary psychology, evolutionary linguistics, making significant progress in research. In addition, existing studies have applied main biological evolutionary models to artifacts although such methods do not fit to them. These models are also limited to generalize evolutionary patterns of artifacts because they are designed in terms of a subjective point of view of experts who know well about the artifacts. Unlike biological organisms, because artifacts are likely to reflect the imagination of the human will, it is known that the theory of biological evolution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artifacts. In this paper, beyond the individual’s subjective, the aim of our research is to present evolutionary patterns of a given artifact based on peeping the idea of the public. For this, we propose a text mining approach that presents a systematic framework that can find out the evolutionary patterns of a given artifact and then visualize effectively. In particular, based on our proposal, we focus mainly on a case study of mobile phone that has emerged as an icon of innovation in recent years. We collect and analyze review posts on mobile phone available in the domestic market over the past decade, and discuss the detailed results about evolutionary patterns of the mobile phone. Moreover, this kind of task is a tedious work ove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a small number of experts carry out an extensive literature survey and summarize a huge number of materials to finally draw a diagram of evolutionary patterns of the mobile phone. However, in this work, to minimize the human efforts, we present a semi-automatic mining algorithm, and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understand how human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implemented. In addition, it is a big help to predict the future trend of mobile phone in business and industries.

      • KCI등재

        자연 요소를 활용한 감정의 시각적 표현 기법 연구

        유수연(Su-Yeon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피아노〉에서 자연은 사물 자체로서의 1차 의미를 거쳐 주체인 에이다가 자기를 이해해가는 과정의 매개 역할을 담당하며 뿐만 아니라 관객과의 의사소통 전달의 도구로 활용된다. 즉 자연이 1차적 의미를 통과해 2차적 의미를 지향하는 상징으로 쓰였다. 영화의 공간 중 자연 요소는 감독의 내러티브를 전달하고 캐릭터의 심리를 드러내기 위한 가장 효과적 표현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자연 요소의 종류의 그 일반적 의미뿐만 아니라 특정한 의미와 상징성까지 연구해보는 것은 미장센을 보다 정확하게 읽기 위한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이다. 영화 속에 존재하는 자연 요소를 총괄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한 논문은 아직 없고, 이에 본 논문은 선행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볼 수 있다. 본론에서는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1. 하늘, 2. 땅, 3. 물, 4. 바람, 5. 햇빛, 6. 공기의 확산, 7. 나무(가지)의 순서로 자연요소를 분류해 작성해 보았다. 본 논문은 영화 속에서 자연 요소를 미장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in the movie, especially 〈Piano〉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and nature`s meanings aspect of the subject through symbolic mediation. This paper considers symbols of nature as material mediation, sky, water, wind, light, tree and mist. In my paper, nature separates these seven element images. I selected the movie “Piano” to investigate by the use of nature elements in the movie. Nature elements in 〈Piano〉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s very eff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nature elements can make a audiences sympathy as a role playing like a main character or explain character"s feeling and emotion. For example, the nature lacking the light is full of the dead images and the nature with the light is full of energies of lives. But we must give attention to that the two natures are the same thing in his poems. This means that the nature is not the independent. As a result, the nature elements used in the movie were explained to study their relevancy to the narratives of the mov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