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동맹운동(Non-Aligned Movement)의 세계사적 위치와 성격

        김정배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2

        1961년 제1차 베오그라드회의에서 설립된 비동맹운동(Non-Aligned Movement)은 모든 나라가 타국의 체제와 상관없이 서로 공존하며, 민족해방운동을 지지하고, 강대국의 군사동맹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 정책을 추구하려는 신생 독립국들의 국제기구였다. 비동맹운동의 이념과 대의는 기존 세계질서를 극복할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비동맹운동은 두 진영 사이의 관계가 변질될 경우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주로 두 가지 이유 때문이었다. 첫째, 비동맹운동의 내적 모순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것은 식민지를 경험한 신생국의 모임으로 식민지 경험을 제외하면 동질성이 거의 없었다. 그들은 나름의 개별적, 지역적, 그리고 냉전 강대국과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이 단오 대오를 형성하는 것은 무리였고 남남 갈등은 오히려 당연한 일이 되었다. 둘째, 세계자본주의체제 자체가 비동맹운동의 대의와 주장이 실현되기 어렵게 만들었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재편하고 새로운 세계질서를 추구하려는 미국의 정책은 제3세계 일반은 물론이고 비동맹운동의 존재 기반을 위협했다. 특히 개별 비동맹운동 국가들의 권력투쟁은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빌미가 되었다. 신생국에게 국가건설과 정권유지 비용은 구조적이고 치명적인 약점이었다. 비동맹운동은 인류사회를 위한 숭고한 대의를 천명하고 실현을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태생적 모순과 세계자본주의체제의 막강한 힘 때문에 1970년대 중반 이후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그 역할 때문에 비동맹운동은 식민지 이후 국가의 성격, 냉전의 의미, 그리고 20세기 후반 세계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The concept of Nonalignment fused ideas of neutrality with ideals and agendas specific to the eras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It did not mean non-engagement or neutral to all kinds of conflict, but positive reaction against imperialism,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Non-Alignment Movement was the organization of solidarity of the newly emerging Afro-Asian States which their positions were uncommitted in relation to the Cold War. Even though its lofty Cause, Non-Alignment Movement failed to realize their vision and program, because of following two reasons. Firstly, Non-Aligned Movement which constituted with smaller and weaker new nations lacked persistent coalition which created from respective personal and national interests. Secondly, Mechanism of world-system of capitalism operation itself led to the rise and fall of Non-Aligned Movement. As early as 1970s, US-led world capitalism becoming to prevail the Second World and Thirdism. Non-Aligned Movement wa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of the world history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at is a core reason why have to revisit the era of the Cold War.(Silla University)

      • KCI등재

        비동맹운동 60주년에 돌아보는 냉전기 북한의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인식 변화

        김태경 역사문제연구소 2021 역사문제연구 Vol.25 No.2

        This paper explores Yugoslavia's position in the North Korean version of ‘peaceful coexistence’ discourse and practice during the Cold War. The examination of the North Korean responses on Yugoslavia's line of peaceful coexistence and development offers fresh light to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Third World," or "non-aligned movement" diplomacy, which has strengthened the characteristics of anti-imperialist and anti-revisionist struggles, since the Sino-Soviet conflict in the late 1950s. From the 1950s to the 1970s, North Korea’s discourses on Yugoslavia have undergone dramatic changes–from a hostile denigration of Yugoslavia as a “betrayer,” or "enemy" to an emphasis on the firm solidarity as an indispensable “friend” in the Third World. This conspicuous transformation in bilateral relations provide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to identify North Korea's stance on peaceful coexistence and non-aligned movements during the Cold War. 본 연구는 냉전기 북한판 평화공존 담론 및 실천에서 유고슬라비아의 위치에초점을 맞춘다. 1950년대 후반 중소대립 이후 반제국주의, 반수정주의 투쟁 노선을 강화한 북한의 ‘제3세계’ 정책, 혹은 ‘비동맹운동’ 외교의 맥락에서 유고슬라비아의 평화공존 노선에 대한 담론은 ‘적’, 혹은 ‘동지’로 극명한 변화를 보이며, 북한의 평화공존론, 비동맹운동에 대한 입장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1961년 비동맹운동 1차 회의 개최국으로 비동맹운동창설 멤버인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북한 담론이 변화한 궤적을 검토하면서, 전후1970년대에 이르는 북한의 평화공존론, 비동맹운동에 대한 관점을 파악한다.

      • KCI등재

        냉전기 비동맹 국제정치의 의미와 한계

        김민수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2 No.-

        This paper focuses on meaning of international politics of the political imagination in the Non-Alignment Movement(NAM). The NAM attempted to present an international political imagination that was distinguished from realism as an alternative at a time when the two superpowers and the international block surrounding them that constituted and enforced the Cold War would not allow any alternatives other than the logic of realist power. The NAM advocated a political neutrality that did not belong to either the East or the West, and at the same time presented a perspectiv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though not established as a single political theory or policy program, it can be viewed as an attempt at a new political imaginary about the unprecedented world order that emerged after the Cold War. In this sense,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perceptions and political solutions proposed by the NAM differ from other contemporary international political perceptions, and what unique meanings they have. And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discover the reason why the NAM no longer developed as the Cold War deepened, not in the external conditions, but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imagination of non-alignmen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imagination of the NAM who sought to establish a new international order could not escape the tension inherent in the long-standing modern plan to establish a transnational norm and universal order after the Westphalia system. In particular, the historicality of the Third World, in which the nation-state was supposed to be a bearer of liberation to escape from colonialism and imperialism, had no choice but to intensify the tension between the nation-state and international norm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imagination of the NAM, and tries to gauge the meaning of a new international political imagination through this. 본 논문은 비동맹의 정치적 상상이 지니는 여러 의미 중에 특히 국제정치와 관련한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비동맹 운동은 냉전을 구성하고 강제하고 있던 두 초강대국과 그들을 둘러싼 국제적 블록이 현실주의적 힘의 논리 이외에는 어떤 대안도 허락하지 않을 것 같았던 시기에 현실주의와 구분되는 국제정치적 상상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비동맹 운동은 동・서 어느 한 진영에도 속하지 않는 정치적 중립성을 표방하면서, 동시에 국제사회에 대한 하나의 전망을 제시했다. 비록 하나의 정치 이론이나 정책 프로그램으로 정립되지는 못했지만, 냉전 이후 등장한 전례 없는 세계 질서에 대한 새로운 정치적 상상(imaginary)의 시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냉전기 비동맹 운동이 제시했던 국제사회에 대한 인식과 정치적 해법이 동시대의 다른 국제정치적 인식과 어떤 차별성을 지니는지, 그리고 어떤 고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냉전이 심화되면서 비동맹운동이 더 이상 발전하지 못했던 이유를 외적 조건이 아닌 비동맹의 국제정치적 상상 내부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새로운 국제질서를 확립고자 했던 비동맹의 국제정치적 상상은 베스트팔렌체계 이후 초국가적 규범과 보편적 질서를 구축하고자 하는 오랜 근대적 기획에 내재된 긴장을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국민국가가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지배와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해방의 담지자로 상정될 수밖에 없었던 제 3세계의 역사성은 국민국가와 국제적 규범 사이의 긴장을 심화시킬 수밖에 없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비동맹의 국제정치적 상상에 내재했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통해 오늘날 새로운 국제정치적 상상의 의미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전후 아시아에서 ‘중립’의 이몽과 비동맹운동―한국전쟁 종전에서 인도 요인을 중심으로

        백원담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8

        This study discusses how Asian factors worked in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nd before and after it. I tried to raise it by focusing on the Indian Factor. In the harsh conditions of the violent post-war reorganization of the post-war order in Asia, where the Cold War has been devastated by the Indonesian War, Indochina War, and the Korean War, Prime Minister Nehru of India tried not to follow the path of historical misfortune in Asia again. Thus, he took the lead in advocating for the problem of restructuring Asia led by Asia. It has a huge impact across Asia, which was struggling with the task of forming a modern nation-state through decolonization. Here, the Indian factor can be summarized as the representation of Asia as a peace zone, the submission of neutralism as a respons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Cold War, and the formation of a new sphere of influence through Asian regionalization as a non-aligned movement. Nehru’s position was raised in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s a paradox of the Asian peace zone, raising the ques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war into an international war, and ending the war. Nehru led the Asian peace process through ceaseless mediation efforts through the United Nations and solidarity among Asia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question of how Nehru’s neutralism as a discourse on Asian peace was carried out in the Korean War, and how it resulted in the non-aligned movement. And I tried to explain that it is the phase that drives the post-Cold War from the early stage of the global Cold War as an Asian intervention by Asia. 이 연구는 한국전쟁과 그 전후가 전개되는 과정에 아시아 요인은 어떻게 작동하였는가를 인도요인(Indian Factor)으로 집중하여 제기하고자 하였다. 인도네시아전쟁, 인도차이나전쟁, 한국전쟁 등 냉전이 열전화한 아시아에서의 폭력적 전후 질서의 재편이라는 엄혹한 상황에서, 인도의 네루 수상은 아시아의 역사적 불행이라는 전철을 다시 밟지 않기 위해 애썼다. 그리하여 그는 아시아에 의한 아시아의 주도적 재구성문제를 선도적으로 주창하였다. 그것이 탈식민화를 통한 근대적 국민국가 형성 과제에 부심하고 있던 아시아 전역에 일으킨 파장이 크다. 여기서 인도요인은 평화지대로서 아시아의 표상화, 냉전의 세계화에 대한 대응으로서 중립주의의 제출, 비동맹운동으로서 아시아지역화를 통한 새로운 세력권의 형성 등으로 집약할 수 있을 것이다. 네루의 이러한 입장은 한국전쟁 과정 속에서 아시아 평화지대의 역설과 전쟁의 국제전으로의 전화에 대한 문제제기, 전쟁종식 등으로 제기되었다. 네루는 UN을 통한 부단한 중재노력과 아시아의 국가간 연대를 통해 아시아 평화프로세스를 주도해나갔다. 따라서 이 연구는 네루가 아시아 평화담론으로서의 중립주의를 한국전쟁에서 관철해가는 가운데, 그것이 어떻게 비동맹운동으로 귀결되는가하는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아시아에 의한 아시아 개입으로서 세계적인 냉전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탈냉전을 추동하는 국면임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냉전기 중국과 아시아(1) -가네포(GANEFO)를 중심으로

        이병한 ( Byeong Han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8 No.-

        이 논문은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가네포 운동의 핵심 당사국들이 발행한 각종 문서와 회고담, 사진집 등을 활용하여 그 운동의 전모와 실상을 밝힌다. 특히 올림픽과 아시안게임과는 구분되는 독자적인 가치와 지향에 주목하여 1950~60년 대 아시아(운동)의 맥락 속에서 접근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 내부에서 다기한 지역 구상이 분화하여 길항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아시아는 냉전 의 균열선에 따라 동서대립 구도를 복제한 것이 아니라, 중소분쟁의 파장과 중인갈 등의 착종 속에서 한층 복합적인 분화를 노정했었다. 그 복수의 갈래 길의 교착점에 가네포가 자리하고 있던 것이다. 이를 통해 그간 막연히 동일시되었던 AA운동과 비동맹운동, 제3세계운동의 차이를 분별하는 단초도 발견할 수 있다. 가네포를 소재 로 삼는 본 연구가 ``죽의 장막`` 너머 활달했던 또 다른 지향의 아시아 건설 운동사 를 실감나게 전달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학문적 차원의 ``후기냉전``을 청산하고 냉전과 아시아를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탈냉전의 과업에 일조할 수 있기 를 기대하는 것이다. 나아가 ``반체제 사회운동으로 점철되었던 아시아의 60년대를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는 데에도 작은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면 좋겠다. The Games of the New Emerging Forces (GANEFO) were the games set up by Indonesia in late 1962 as a counter to the Olympic Games. Established for the athletes of the so-called “emerging nations” (mainly newly independent socialist states), GANEFO made it clear in its constitution that politics and sport were intertwined; this ran against the doctrine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which strove to separate politics from sport. The IOC decreed that the athletes attending GANEFO would be ineligible to participate in the Olympic Games. Indonesia established GANEFO in the aftermath of IOC censure for the politically charged 4th edition of Asian Games in 1962 in Jakarta which Indonesia hosted and for which Taiwan and Israel were refused entry cards. The IOC`s eventual reaction was to indefinitely suspend Indonesia from the IOC. This was the first time the IOC suspended one of its members. The period after 1956 was marked by serious setbacks for the Soviet Union, most notably the breakdown of the Sino-Soviet alliance, beginning the Sino-Soviet split. Mao had defended Stalin when Khrushchev attacked him after his death in 1956, and treated the new Soviet leader as a superficial upstart, accusing him of having lost his revolutionary edge. For his part, Khrushchev, disturbed by Mao`s glib attitude toward nuclear war, referred to the Chinese leader as a “lunatic on a throne”. After this, Khrushchev made many desperate attempts to reconstitute the Sino-Soviet alliance, but Mao considered it useless and denied any proposal. The Chinese-Soviet animosity spilled out in an intra-communist propaganda war. Further on, the Soviets focused on a bitter rivalry with Mao`s China for leadership of the global communist movement. As a result of the Sino-Soviet split, tensions along the Chinese-Soviet border reached their peak in 1969, and United States President Richard Nixon decided to use the conflict to shift the balance of power towards the West in the Cold War. The Chinese had sought improved relations with the Americans in order to gain advantage over the Soviets as well. In February 1972, Nixon announced a stunning rapprochement with Mao`s China by traveling to Beijing and meeting with Mao Zedong and Zhou Enlai. At this time, the USSR achieved rough nuclear parity with the United States; meanwhile, the Vietnam War both weakened America`s influence in the Third World and cooled relations with Western Europe. Although indirect conflict between Cold War powers continued through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tensions were beginning to ease.

      • KCI등재

        반둥 프로젝트와 아민의 제3세계 마르크스주의 : 사미르 아민을 추모하며

        서동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1

        The Bandung Conference (1955) and the beginning of the non-aligned movement (1961) announced a third world composed of three quarters of humanity, invoking an understanding of a capitalist and imperialist world system beyond commonplace understandings of the cold war. Samir Amin (1931-2018) was an independent Marxist committed to the Bandung project and engaged in the national, popular development of the South as part of a multipolar and polycentric world system. We introduce Amin’s major concepts about the Bandung projectas part of his theory and practice of third world Marxism and the non-aligned movement. And we examine delinking, the controversial core of Amin’s thought and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radical left’s practices in the South. Amin was not so much a third worldist as a globalist, but above all he was a Marxist of the south, and his theoretical legacies contain a range of issues thatthe radical left in the north and south must tackle after the demise of the Bandung project. It is impossible to imagine the prospect of a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that detours around or transcends his intellectual efforts. 반둥회의와 비동맹운동은 이른바 제3세계라는 인류의 4분의 3을 이루는 인민들의 정치적 존재를 알리는 것이면서 ‘냉전’이라 알려진 세계질서에 대한 흔한 이해를수정하고 자본주의 세계 체제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촉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독립적 마르크스주의자 사미르 아민은 ‘반둥 프로젝트’라는 비동맹운동의 역사적 시대(1945~1980)에 뛰어들어, 자본주의적 세계화의 첫 번째 물결이 만들어 낸 다극적·다중심적 세계체제 속에서 제3세계의 민족적·민중적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아민의 이론적 실천을 비동맹운동과 제3세계 프로젝트의 마르크스주의로 여기면서, 그의 반둥 프로젝트, 반둥 시대, 반둥 체제에 대한 논의를 소개한다. 그리고 그의 논쟁적인 개념이자 또한 이행의 프로젝트를 요약한 ‘단절’이라는 개념에 주목하고, 그것이 남부의 마르크스주의적 실천에 갖는 함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아민은 제3세계주의자가 아닌 남부의 글로벌리스트였다. 그러나 그는 남부의마르크스주의자였다. 그가 남긴 지적 유산은 반둥 시대 이후 남부와 북부의 급진 좌파에겐 결산해야 할 모든 쟁점들이 집적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의 지적 실천을 우회하거나 초월하여 현시대의 변혁 전망을 사유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 KCI등재

        1960년대 비동맹·중립주의 확산과 유엔한국통일 부흥위원단(UNCURK)의 균열

        류기현 역사문제연구소 2021 역사문제연구 Vol.25 No.2

        The UNCURK was a key organization symbolizing the United Nations' involvement in the Korean Question. Until the 1950s, UNCURK wholly reflected the Western camp's position on Korean affairs and maintained its status despite demands from communist countries to dismantle. However, in the 1960s, as a large number of emerging nations advocating non-aligned movement and neutralism emerged and joined the UN as members, UNCURK began to falter. Non-aligned and neutral nations pressured the Western camp at the UN General Assembly, demanding the reorganization or dissolution of UNCURK. In addition, amid the global spread of nonaligned movement and neutralism, Chile and Pakistan, UNCURK members since its establishment, also began to distance themselves from UNCURK activities as they deviated from pro-Western foreign policy. Since the mid- 1960s, Chile and Pakistan have begun to make claims within UNCURK that contradict Western positions on Korean affairs, and finally withdrew from UNCURK in the early 1970s. The withdrawal of the two members directly hurt UNCURK's international legitimacy, which served as a factor in the U.S. and China's agreement to dismantle UNCURK. Dissolution of UNCURK was not only by-product of compromise between great powers, but also the result of the growth of the non-aligned movement and neutralism in 1960s.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은 한국 문제에 대한 유엔의 관여를 상징하는 핵심 기구였다. 1950년대까지 언커크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의 한국 문제에 대한 입장을 충실히 반영했고, 공산 국가들의 해체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 위상을 굳건히 유지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비동맹·중립 노선을표방하는 신생 국가들이 대거 등장하고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언커크는 동요하기 시작했다. 비동맹·중립 국가들은 유엔총회에서 언커크의 개편이나 해체를 요구하며 서방 진영을 압박했다. 또한 비동맹·중립 노선의 세계적 확산 속에서 언커크 회원국인 칠레와 파키스탄도 친서방적 대외정책에서 이탈하며 언커크 활동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칠레와 파키스탄은 언커크 내부에서 한국 문제에 대한 서방 진영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주장을 본격화했고, 1970년대 초반 언커크에서 최종적으로 탈퇴했다. 칠레와 파키스탄의 탈퇴는 언커크의 국제적 정당성에 직접적 타격을 주었고, 이는 미국과 중국이 언커크 해체에 합의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냉전의 ‘중심부’ 국가들이 언커크 해체의 최종 결정을 내렸지만, 그 배경에는 1960년대 ‘주변부’의 비동맹·중립 노선의 성장이 있었다.

      • KCI등재

        1950년대 북한의 반둥회의와 비동맹운동 인식

        홍종욱(Hong Jongwook)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1

        냉전이 심화됨에 따라 아시아 · 아프리카 여러 나라는 중립, 평화, 반식민주의를 주장하였고 이러한 흐름은 1955년 반둥회의 개최로 이어졌다. 반둥회의에 참가한 중국은 평화공존 5원칙을 주창하여 참가국의 지지를 이끌어내었다. 사회주의 진영의 평화공세가 중립, 평화, 반식민주의와 어울려 냉전을 가로지르는 평화 · 민주 진영 대 제국주의 진영의 구도를 만들어 낸 것이다. 북한은 반둥회의를 지지하고 그와 보조를 맞추고자 하였다. 반식민주의 이념이 냉전 논리를 어느 정도 억제하는 상황을 엿볼 수 있다. 1956년 이른바 8월 종파사건으로 김일성 유일체제 수립이 본격화되었고, 같은 해 10월 소련의 헝가리 침공 이후 평화공존 5원칙은 형해화되고 사회주의진영 논리가 강화되었다. 중립과 평화공존을 내건 유고슬라비아의 티토는 수정주의자로 비판 받았다. 티토 등이 주도하여 1961년 제1차 비동맹제국정상회의가 열리지만 『국제생활』에서는 관련 기사를 찾아볼 수 없다. 1950년대 중반 반식민주의에 대한 공감이 정점에 달하지만, 1960년 전후가 되면 아시아라는 시점은 사라지고 사회주의 진영 논리만이 앞서게 된다. As the Cold War deepened in many countries in Asia and Africa, many countries insisted on neutrality, peace, and anti-colonialism. This trend led to the 1955 Bandung Conference. China, which participated in the Bandung Conference, advocated the five principles of peaceful coexistence and received the support of many countries. The “peace attack” of the socialist camp, being integrated with neutrality, peace, and anti-colonialism, created a picture of the peace and democratic camp versus the imperialist camp throughout the Cold War. The DPRK supported the Bandung Conference and tried to stay abreast.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anti-colonial ideology suppressed the Cold War logic to a certain extent. In 1956, after the so-called August sectarian case, Kim Il Sung seized sovereignty. In October of that same year, after the Soviet invasion of Hungary, the five principles of peaceful coexistence were broken down and the logic of the socialist camp was strengthened. Tito, in Yugoslavia, who supported neutrality and peaceful coexistence, was criticized as a revisionist. He and others led the first Non-Aligned Movement summit in 1961. However, no related articles are available in International Life. In the mid-1950s, sympathy for anti-colonialism peaked, but around 1960 the view of Asia disappeared and only the logic of the socialist camp lay ahead.

      • KCI등재

        1980년대 냉전의 균열과 북한의 대응: ‘우리 식 사회주의’의 출현과 함의

        박아름 ( Ah Reum Park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21 동북아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1980년대 냉전의 해체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이 와해되고 있는 사회주의 진영과의 연대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 정황을 주목하고, 그 양상과 함의를 고찰하고자 『대한민국 외교사료해제집』과 『조선중앙년감』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시도하였다. 결과 첫째, 비동맹 운동에 주력했던 북한이 불리한 국제정세와 남북한 경쟁의 한계를 인식하고 사회주의 진영과의 연대를 회복하고자 노력한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외교관계 변화와 민족에 대한 재정의를 통해 국내정치 담론인 ‘우리 식 사회주의’를 완성하는 흐름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북한의 대외관계 변화를 통해 북한 대외정책의 초점이 남북한 대결에서 김일성-김정일 중심의 체제수호와 내부결속으로 옮겨진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literature analysis centering 『Korean Diplomatic Historical Records Removal Collection』 and 『DPRK Yearbook』, paying attention on the circumstance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made an effort to recover the solidarity with the collapsing socialist camp at the situation of the breakup of cold war in 1980s. This study, firstly finds that DPRK recognized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limitation of competi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isadvantageous to DPRK focused on non-alignment movement and made an effort to recover the solidarity with socialist camp.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DPRK completed ‘Own Style of Socialism’ as a domestic political discourse by the change of diplomatic relations and redefinition for the people.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DPRK moved the focus of foreign policy by the change of foreign relationship of DPRK in 1980s from confron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o system protection and internal unity centering Il-sung Kim and Jung-il Kim.

      • KCI등재

        냉전과 제3세계 - 상호관계와 역사성 -

        김정배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0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world order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by revisit the established concepts of the Cold War, and explore correlations between the Cold War and The Third World. There may be two reasons for that. Firstly, the concept of the Cold War, an epic struggle for power, influence, and ideological supremacy erupted between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their respective allies, was not based on historical facts but on particular 'belief' or 'myth'. And the Cold War compassed two aspect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Especially in the Vietnamese War, the most important example of the wars in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nderstood and consult their respective positions. There are many cases about 'complice' between two great powers. Secondly, The rise of a decolonized Third World and the United States policies on them was a dialect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Western colonialism's last stage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ical causes and successes. The Third World accepted any type among the models of the United States, or the Soviet Union, and their independent ways. Therefore, the 'global Cod War,' or the 'Cold War in the Third World' approaches were more probable to overvalued the Cold War and distorted interrelations between the Cold War and the Third World. To sum it up, it is most important to hierarchize the correlations of imperialism and decolonization, the two superpowers' foreign policy and models, the Third World project. 기존의 냉전체제 개념으로는 20세기 후반 국제질서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구사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크다. 미국과 소련의, 혹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이념적 제도적 팽창 경쟁이라는 냉전 혹은 냉전체제 개념은 역사적 사실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믿음’에 기초한 것이다. 미국과 소련이 세력 팽창을 기도하고 그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국가나 세력을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한 것도 핵무기를 비롯하여 무기 경쟁을 일삼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두 나라는 경쟁만 한 것이 아니라 매우 중요한 문제들을 놓고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속내를 터놓고 협력하기도 했다. 물론 경쟁과 적대를 중심에 놓는다면 협력은 부차적인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 그리고 두 진영 사이의 대결이라고 선전되었던 베트남전쟁의 경우 양국의 협력은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더구나 미국과 소련이 다른 경우에서도 유사하게 협력했다면 냉전의 개념과 이미지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제3세계의 ‘역사성’을 어떻게 이해할것인가? 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제3세계는 미국과 소련의 세력 확대 대상으로서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제3세계 국가들이 새로운 세계질서를 추구하려는 주체적이고 공세적인 일종의 프로젝트였다.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의 빈국을 망라하는 제3세계는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국주의 국가들의 지배와 수탈을 경험하거나 제국주의 지배 이후 빈곤과 혼란을 공통으로 겪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에 공감했다. 냉전 시기는 16세기 이래 제국주의 역사의 마지막 단계에 속하며, 식민지를 경험한 세계 인민들이 독립과 탈식민지, 그리고 근대국가 건설 과업을 추진해간 과정과 맞물린 시기였다. 제3세계 앞에 놓인 모델은 소련식과 미국식, 그리고 그들 스스로 내세운 독자적이고 중립적인 것이었다. 특히 비동맹운동은 독립, 평등, 평화, 정의, 번영 등 유럽의 근대성 모델들이 담을 수 없었던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대의를 추구했다. 그러나 그 대의는 유럽과 여타 세계, 혹은 부국과 빈국 사이의 힘의 차이, 그리고 역사적 이상과 현실의 벽에 부딪쳐 좌절되고 말았다. 냉전체제 이해든 새로운 지구사 모색이든 기존의 강대국 중심, 혹은 냉전 중심의 접근방식으로는 문제가 있다. 사실에 근거하기보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제국주의와 탈식민주의, 소련식 혹은 미국식 팽창주의, 제3세계의 기획과 선택 등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위계’ 지을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