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철학적 꿈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상담사례와 그것의 실천적 효과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그동안 연구해온 철학적 꿈 분석의 방법론에서 출발하여, 그 방법을 적용한 꿈 사례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그것의 실천적 효과를 검토하려고 한다. 즉 이 논문의 목표는 철학적 꿈분석 방법의 실천적 적용을 통하여 철학상담에서 어떻게 꿈을 다룰 수 있으며 철학적 대화를 통하여 꿈을 분석하는 것이 상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또한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지 논의하는 것이다. 나아가 실제의 상담 맥락에서 꿈분석 모델을 적용하고 그것의 실천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철학상담에서 꿈의 주제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의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천적 목표를 위하여 필자는 철학적 꿈분석 방법을 적용한 상담 사례들을 다루는 것에 초점을 둘 것이다. 즉 6개가량의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꿈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나아가 꿈을 내담자가 처한 문제 상황이나 상담의 맥락과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철학상담에서 꿈의 대화가 갖는 중요한 역할 내지 효과를 실천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하여 철학상담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꿈을 다룰 수 있으며 철학적 분석이 지향하는 꿈의 역할과 의의가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start with the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which I have researched. And I examine the roles and effects of philosophical dialogue of dreams. I will discuss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by analyzing cases of dreams which apply the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o I will provide the practical bases for dream analysis (or dream interpretation) by philosophical dialogue.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case study of dream analysis. I deal with the cases of six dreams which apply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n practice. Through analysis of cases, I show concretely how counselee"s dreams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her/his life history, and then I evaluate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t offers reflection on their values and world view, and profound insights for counselees. As a result, they could have found a clu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erefore, I assert that my model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s an important way which increase counselee"s self understanding by philosophical dialogue of dreams.

      • KCI등재

        상대성 이론에 대한 슐리크와 카시러의 철학적 분석 비교 연구

        강형구 ( Hyeong-gu Kang ) 한국과학철학회 2021 과학철학 Vol.24 No.2

        아인슈타인의 특수 및 일반 상대성 이론은 혁신적인 물리학 이론이었으며 그 출현과 더불어 중요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했다. 따라서 당대의 철학자들은 상대성 이론의 경험적 성공과 별도로 이 이론이 제기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에 대해 해명할 필요를 느꼈다. 나는 본 논문에서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해명을 제시한 대표적인 두 명의 철학자 슐리크와 카시러의 철학적 분석을 검토한 후, 이들의 분석이 갖는 주요 특징들을 비교 분석한다. 논문의 서론에서 나는 상대성 이론이 제기한 철학적 문제들이 물리학자와 철학자 모두에게 중요했음을 강조한다. 논문의 2장에서 나는 슐리크의 상대성 이론 분석을 검토한 후, 슐리크의 분석은 아인슈타인의 물리학 이론에 대한 철학적 해설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이론의 내용에 충실하고 아인슈타인 자신의 견해와도 부합하는 것이었음을 보인다. 논문의 3장에서 나는 카시러의 상대성 이론 분석을 검토한 후, 카시러는 이 이론이 자신의 신칸트주의적 인식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데 주력했음을 보인다. 논문의 4장에서 나는 카시러의 저서에 대한 슐리크의 비판적 논평을 중심으로 상대성 이론을 분석하는 슐리크와 카시러의 입장 사이의 차이에 관해 논한다. 나는 두 사람 사이의 철학적 입장차이가 물리학 이론에 대한 철학적 분석 방법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주장한다. 슐리크의 경우 문제가 되는 물리학 이론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한 후이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제시하는 것에 주력했다면, 카시러는 자신의 신칸트주의적 관점을 전제한 후 물리학 이론을 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에 주력했다. 나는 슐리크의 철학적 분석이 갖는 타당성을 카시러의 분석과 대비하여 편들어 옹호한다. 카시러에 대한 비판적 논평 이후 슐리크는 신칸트주의와 차별화되는 논리경험주의 철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했다.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본문의 내용을 요약한 후, 슐리크의 상대성 이론 분석 이후 상대성 이론에 대한 추가적인 경험주의적 분석이 필요했음을 지적한다. Einstein's special and general relativity theory was an innovative physical theory, and it raised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s with its emergence. So philosophers of the time had to explicate philosophical problems raised by the theory apart from its empirical successes. The most representative two philosophers of the time who discussed on the relativity theory were Moritz Schlick and Ernst Cassirer.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ose two philosopher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relativity theory and do the comparative study on their analyses’ major features. In the paper's introduction, I emphasize that the relativity theory's philosophical problems were important for both philosophers and physicists. In Chapter 2, I argue that Schlick'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relativity theory was a detailed philosophical presentation of the theory and his philosophical conclusion was harmonious with Einstein’s own opinion. In Chapter 3, I argue that Cassirer'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relativity theory was for his own philosophical view point, so he regarded the relativity theory as a confirming example for his view. In Chapter 4, I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chlick’s and Cassirer’s standpoint based on Schlick’s review on Cassirer’s publication. I argue that their philosophical difference was due to their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analyzing a physical theory. Then I support Schlick’s methodology rather than Cassierer’s. Finally, I summarize my arguments and point out the necessity of further analysis on the relativity theory after Schlick based on the empiricist viewpoint.

      • KCI등재

        분석철학과 역사배격증

        한상기(Han, Sang-Ki)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분석철학은 오랫동안 철학사와 불편한 관계를 형성해왔다. 분석철학자들은 종종 철학사를 경멸하거나 무시한다. 분석철학자들은 흔히 철학과 철학사를 구별하고, 진정한 철학을 하는 데에는 철학사가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철학사가 관점에서 볼 때 분석철학은 철학사에 종속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분석철학은 그 자체가 역사적 전통인데, 이 전통은 그저 어쩌다 지금 지배적 전통이 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철학사가 관점에서 보면, 분석철학도 철학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 논문은 분석철학과 철학사의 이른바 이러한 긴장이 가짜임을 밝히고, 철학사가 분석철학을 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수 있으며, 분석철학도 철학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전에 역사배격증이라는 비난을 초래한 분석철학의 일반적 분위기를 살피고, 역사배격의 근거로 작용한 논증들을 살핀다. 그런 다음 철학과 철학사의 관계에 대한 역사주의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는데, 글로크(H.-J. Glock)에 따르면, 이 역사주의는 세 가지 유형, 즉 본래적 역사주의, 도구적 역사주의, 약한 역사주의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글로크는 본래적 역사주의와 도구적 역사주의를 거부하고, 약한 역사주의를 제시한다. 필자는 본래적 역사주의와 도구적 역사주의에 대한 글로크의 비판을 승인하지만, 그의 약한 역사주의 보다는 좀 더 강한 형태의 역사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실제적 차원에서 철학을 하는 데 철학사가 반드시 필요하며, 분석철학과 철학사의 관계도 대립이나 긴장이라기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Analytic philosophy has had an uneasy relationship with history of philosophy throughout its life. Some analytic philosophers often either scorn or simply ignore history of philosophy. They often distinguish philosophy from history of philosophy, and then maintain that we can do substantial philosophy without studying history of philosoph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 of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analytic philosophy might be seen as subordinate to history of philosophy. Analytic philosophy is itself an historical tradition, which just happens to be dominant now. So according to him, analytic philosophy depends on history of philosophy. This paper uncovers that an alleged tension analytic between history of philosophy is spurious. I argue that history of philosophy can be an useful instrument for analytic philosophy, and analytic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history of philosophy. Before to do those things, however, I examine general tendencies of analytic philosophy which have brought the charge of historiophobia, and consider arguments for nonhistorical attitude of analytic philosophers respectively. I use the term ‘historicism’ for any position which promotes historical thinking in philosophy and warns against ignoring the past. According to H. Glock, historicism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viz., intrinsic, instrumental, or weak types. However, he says, both intrinsic and instrumental historicists are wrong, for intrinsic historicism is misguided, and the case for instrumental historicism remains unproven. So he proposes a weak historicism that a study of past is useful to philosophy, without being indispensable. While I am largely convinced by his criticism of the alternative positions he examines, I maintain that his weak historicism seems too weak. Finally, I argue that while it may be possible to pursue philosophy without detailed study of history of philosophy, it is impossible to do philosophy in fact engaging with that history.

      • KCI등재

        분석철학과 자연주의: 반 인와겐의 ‘자연주의 없는 분석철학’

        한상기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0 No.3

        최근에 분석철학자들은 철학적 탐구의 다양한 영역을 자연화하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이른바 “자연화된 인식론”(naturalized epistemology)에 대한 콰인의 천거 이후 분석철학자들은 인식론은 물론이고, 심리철학, 과학철학, 윤리학, 예술철학 등 철학의 다양한 분야들을 자연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자연화 시도들은 모두 철학의 이 다양한 영역들을 경험적 방법에 따르게 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자연화 프로그램이 마치 유행처럼 하나의 커다란 흐름을 이루면서 최근 분석철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연주의를 승인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어떤 철학자들은 자연주의가 아예 현대 분석철학의 주류 의견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렇다면 왜 대부분의 분석철학자는 자연주의를 승인하는가? 다른 철학자들, 특히 유럽 철학자들이 보기에 왜 분석철학자는 열렬한 분석철학자이면서 동시에 반자연주의자가 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가? 분석철학과 자연주의의 관계는 무엇인가? 분석철학과 자연주의는 내적 연관성이 있는가?이 논문은 분석철학과 자연주의 사이에 아무런 내적 연관성이 없으며, 설령 대부분의 분석철학자가 자연주의자가 된다 할지라도 그것은 우연적 문제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 과정에서 필자는 반 인와겐(P. van Inwagen)의 “자연주의 없는 분석철학” 견해를 필자 주장의 논거로 끌어들이면서, 자연주의를 포함한 특정 신조들을 토대로 “분석철학”을 규정하려는 시도를 반대할 것이다. 더 나아가 필자는 신조적 분석철학 개념에 대한 대안으로 글로크(H.-J. Glock)의 가족 유사성 개념과 역사적․발생적 개념이 결합된 분석철학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철학과 자연주의 사이의 관계를 재검토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by analytic philosophers to naturalize various different domains of philosophical inquiry. Since W. V. Quine’s recommendation to naturalized epistemology, analytic philosophers have stressed the need for naturalization of various areas of philosophy, including epistemology, philosophy of mind, philosophy of science, ethics, and philosophy of art etc. All these attempts have had the common goal of rendering these areas of philosophy amenable to empirical methods. So, naturalism probably constitutes mainstream opinion in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Why do most analytic philosophers accept naturalism? Why are other philosophers―especially in Continental Europe―convinc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be a committed analytic philosophers and at the same time anti-naturalis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analytic philosophy and naturalism? Is there a inner connection between analytic philosophy and naturalism?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no inner connection between being an analytic philosopher and being a naturalist. Of course, most analytic philosophers today are naturalists. Likewise, most naturalists are analytic philosophers. This fact, however, is a contingent matter. I argue that there is no inner connection between analytic philosophy and naturalism, citing van Inwagen’s ‘analytic philosophy without naturalism as grounds. Finally, I introduce H.-J. Golck’s conception of analytic philosophy as one of proper concepts of analytic philosophy. And then, I re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nalytic philosophy and naturalism.

      • "가치정향" 대 "사실정향" -화이트헤드와 분석철학 간의 대비-

        윤자정 ( Ja Jung Yoo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6 화이트헤드 연구 Vol.13 No.-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은 ``가치정향``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존재의 본질은 바로 경험의 가치보유적 속성에서 결정적으로 발견된다. 그리고 이 점은 ``사실정향``을 지향하는, 흔히 ``분석철학``이라고 통칭되는 현대 영미철학의 주도적 흐름과 비교적 뚜렷하게 대비를 이루고 있는 부분이다. 분석철학에서도 일찍부터 ``사실정향``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반성이 활발히 일었고, 그런 맥락에서 다양하고도 풍부한 견해들이 도출되어 나온 것 또한 사실이지만 철학의 본질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나 철학적 방법론 및 인간 경험의 속성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 양자 간에는 근본적으로 심연이 놓여 있다. 분석철학에서는 방법론적이고 인식론적인 문제들을 형이상학적 체계화로부터 독립시켜 다루는 것이 거의 유행이 되어 있으나, 화이트헤드는 경험에 대한 올바른 이론은 일련의 해석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체계로부터 분리되어서는 결코 성립될 수 없다고 보았다. 화이트헤드에게는 어떤 포괄적인 우주론적 도식을 구성하는 일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분석철학은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에 도전한다. 분석철학은 전체적으로 반형이상학적이고 경험론적인 성격을 뚜렷이 가지며 그 근본정신에 있어서는 영국 경험론, 특히 흄의 사고를 대단히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흄에 따라 인간의 정신은 기본적으로 지각들의 묶음(다발)에 지나지 않아 ``사물세계를 초월해서 가치를 포함하는 또 다른 질서의 실재``가 존재할 가능성은 차단되고, 그런 의미에서 분석철학은 ``사실정향``의 길을 걷는다. 분석철학의 주요한 특징 중 화이트헤드의 접근방식과 두드러지게 대비되는 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어떤 완전한 사변적인 우주론의 체계를 시도하는 화이트헤드와 달리 거기에는 철학의 주된 방법론으로서 논리적 언어적 분석에 호소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둘째로, 인간의 경험은 일반적으로 철학자들에게서 인정되는 바의 것보다도 훨씬 넓은 것이라는 화이트헤드의 주장과는 달리 분석철학은 감각주의적 경험론(sensationalist empiricism)이라는 보다 좁은 견해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화이트헤드는 전자와 관련하여 논리적이고 언어적인 개념들을 자신의 형이상학 체계 내의 올바른 시각 속에 위치시키며 논리와 언어가 형이상학에 의존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과학적 인식과 가치경험 둘 다 어떤 단일한 통합적인 이론 안에서 설명됨을 보이는 방식으로 감각지각을 보다 넓은 인간의 경험 이론의 맥락 내에 위치시킨다. 결국 화이트헤드에게서는 분석철학과 달리 경험의 총체성이 추구된다. 그리고 화이트헤드에게 있어서 이 경험의 총체성은 어디까지나 경험의 근원적 가치성에 대한 주목을 통해 확보된다. 요컨대 분석철학으로 대표되는 현대 영미철학에서 대체로 간과되고 있는 인간 경험의 총체를 화이트헤드는 원상회복시키고 거기다 정당한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 The philosophy of A. N. Whitehead stands in marked contrast to the mainstream of twentieth-century philosophy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t the middle of the century and continuing into the present, the dominant philosophical emphasis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has been the so-called analytic approach to philosophy. In my opinion, the contrast be defined as ``value-oriented`` versus ``fact-oriented``. Two of the major emphases of analytic philosophy stand in contrast to Whitehead`s approach to philosophy. First, there is wide-spread appeal to logical and linguistic analysis as the primary methodology in philosophy in contrast to Whitehead`s attempt at a complete speculative cosmological scheme. Second, the dominant temper of analytic philosophy is decidedly empiricist, and it tends toward the rather narrow view of sensationalist empiricism, in contrast to Whitehead`s insistence that human experience is much broader than is generally recognized among philosophers. Whitehead was critical of both of these views, and, in the formulation of his own speculative scheme, he attempted to remedy their inadequacies. With respect to the former, he attempted to place logical and linguistic notions in proper perspective within his metaphysical system and to show the dependence of logic and language upon metaphysics. In regard to the latter, he attempted to place sense perception in the context of a broader theory of human experience, accounting for both scientific cognition and value experience in a single, integrated theory. According to Whitehead, experience itself is reality. He explains "actual entity" as follows. "``Actual entities`` -also termed ``actual occasions``- are the final real things of which the world is made up. There is no going behind actual entities to find anything more real. … and these actual entities are drops of experience, complex and interdependent."(PR, p.4) So far as the above quotation tells us, actual entities as the final real things are nothing but experience. And the fundamental figure of reality is the interconnection of all elements. To Whitehead as realist, the world is not a subjective idea (presention) but something which really exists, and is made up by the "really existing occasions". Then this really existing occasions is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the totality of reality. In this sense, all existing ones "feel" one another, and the world is a dynamic unity in which all constituent elements continuously influence mutually. And Whitehead regards this reality of concrete facts as continuously realizing "value" at the same time. The expressions such that "``value`` is the word I use for the intrinsic reality of an event."(SMW, p.93), "Existence, in its own nature, is the upholding of value intensity. Also no unit can separate itself from the others, and from the whole. And yet each unit exists in its own right. It upholds value intensity for itself, and this involves sharing value intensity with the university."(MT, p.111) support this scheme. With the above outline of the Whitehead`s point of view, I especially focus on some points. Basically Whitehead` thought is sharply contrasted with the so-called "analytic philosophy" in their philosophical methods. To cut a long story short, the former is "value-oriented" and the latter is "fact-oriented". I think that this difference should be emphasized and "value"(or "value-orientation") be stressed in our daily life. So I observe at first the anti-metaphysical position of analytic philosophy. Secondly, I research on Whitehead`s vindication of metaphysics. Thirdly, I discuss about Whitehead`s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 so-called "analytic philosophy". Through these studies we`ll have one more time the opportunity of appreciation at the status and meaning on Whitehead`s thoughts in the framework of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 KCI등재

        현대 영미 법철학에 있어서 분석철학의 영향

        권경휘(Kyung-Hwi K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0 No.-

        법철학은 당대의 주류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현대 영미법철학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동시대의 영미철학을 지배한 분석철학(analytical philosophy)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분석철학의 성과를 도입하여 법철학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인물은 하트(H. L. A. Hart)이다.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일상언어학파(ordinary language school)의 일원이기도 하였던 그는 오스틴(J. L. Austin), 헤어(R. M. Hare), 바이스만(F. Waismann), 윈치(P. Winch) 등의 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이론을 전개해나갔다. 하트 이후 영미법철학은 여전히 분석철학의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하트의 논의를 비판하기도 하고 그것을 보완하거나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현대 영미 법철학의 모습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2장에서는 분석철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3장에서는 하트가 분석철학의 어떠한 성과를 어떤 방식으로 응용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제4장에서는 하트 이후에도 영미 법철학이 여전히 분석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을 기술하였다. Philosophy of Law has been developed greatly being influenced by mainstream philosophy. As contemporary Anglo-American philosophy of law is no exception, it has also been developed being influenced by analytical philosophy which dominated Anglo-American philosophy. The representative person who has introduced the achievements of analytical philosophy and developed philosophy of law is H. L. A. Hart. He, who was also a member of Ordinary Language School, actively accepted arguments of philosophers such as J. L. Austin, R. M. Hare, F. Waismann, and P. Winch and developed his own theory. After Hart, Anglo-American philosophy of law has been introduced the achievements of analytical philosophy. In chapter 2, I tried to explain what analytical philosophy of law is. In chapter 3, I looked into what achievements of analytical philosophy Hart applied and how he did it. Lastly, I tried to show that Anglo-American philosophy has still been influenced by analytical philosophy.

      • KCI등재

        상대성 이론과 철학 사이의 관계 설정을 위한 두 시도 : 라이헨바흐와 카르납의 초기 물리 철학(1920-1926) 비교 연구

        강형구(Kang, Hyeong-gu)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2 No.-

        슐리크가 상대성 이론을 신칸트주의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카시러의 시도에 반대하는 논평(1921년)을 낸 이후, 상대성 이론을 신칸트주의적 관념론과 구분되면서도 마흐의 현상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험주의에 입각해 철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나는 논리경험주의를 대표하는 두 학자 라이헨바흐와 카르납이 1920년대 전반기에 상대성 이론을 분석하며 보인 철학적 행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 2장에서 나는 라이헨바흐가 상대성 이론을 적극적으로 편들어 옹호하는 동시에 이론의 경험적 타당성에 대한 별도의 철학적 정당화를 제시하고자 했음을 보인다. 논문 3장에서 나는 카르납의 경우 상대성 이론만을 편들기보다는 물리학을 바라보는 다른 관점들도 함께 메타적으로 성찰하며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 사이의 논쟁을 철학적으로 중재하고자 했음을 보인다. 논문 4장에서 나는 라이헨바흐와 카르납의 입장을 비교하며, 두 사람이 추구했던 새로운 과학적 철학의 지향점이 상이했음을 보인다. 라이헨바흐는 새롭게 등장한 성공적인 물리학 이론을 인식론적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이 이론의 인식적 의미를 명료화하는 데서 철학의 새로운 기능을 찾았다면, 카르납은 새로운 이론의 구성적/규약적 측면을 드러내어 이 이론이 실제로는 여러 대안들 중 하나이며 각각의 대안을 선택할 때의 장점이 무엇인지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데서 철학의 새로운 기능을 찾았다. 나는 카르납에 대비하여 라이헨바흐의 철학적 입장을 편들어 옹호한다. 상대성 이론과 같이 첨예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하는 물리학 이론의 경우, 철학적 분석을 통해 이 이론의 인식적 측면을 명료화함으로써 이 문제들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는 것이 철학의 중요한 역할이기 때문이다.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본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향후 다루어야 할 논의 주제를 제시한다. After Schlick’s critical review of Cassirer’s interpretation of relativity theory (1921), wheth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relativity theory from an empirical stance whi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neo-Kantian idealism and Mach’s phenomenalism has beco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 With this background, I compare Reichenbach’s and Carnap’s philosophical works on relativity theory in the early 1920s. In chapter 2, I show that Reichenbach actively defended relativity theory and simultaneously he tried to suggest distinctiv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relativity theory. In chapter 3, I show that Carnap tried to moderate controversies between various physical theories from a meta-theoretic perspective instead of defending relativity theory. In chapter 4, I compare Reichenbach’s and Carnap’s viewpoints to show that their concepts of a ‘new scientific philosophy’ differ from each other. Reichenbach thought that philosophy’s new task was to analyze and reconstruct the new successful physical theory to explicate the theory’s epistemological foundation. On the contrary, Carnap tried to show the constitutive and conventional aspects of the new theory to explicate what merits we take when we choose the new theory instead of alternative theories. I then defend Reichenbach’s viewpoint in relation to Carnap’s viewpoint because when we confront fundamental and innovative physical theory such as relativity theory which raises serious philosophical problems, it is philosophy’s important role to suggest clear answers to its problems through the philosophical analysis and explication of this theory. In conclusion, I summarize my arguments and suggest further thesis for discussion.

      • KCI등재

        현대사회와 분석철학

        석기용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철학논집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분석철학이라는 현대철학의 중요한 사조를 현대 과학 문명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검토해보는 것이다. 분석철학이 현대 문명의 핵심인 자연과학과 어떤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되었으며, 그것이 철학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대체로 분 석철학이 전반적인 과학주의의 영향 하에 소위 ‘가치’에 관한 논의를 배제함으 로써 전통적으로 기대되어온 철학의 역할에서 크게 벗어났으며, 더 이상 사회 속 의 실천적인 문제들에 크게 관심을 갖지 않고, 대중들에게도 거의 호소력을 갖지 못하는, 마치 예술을 위한 예술과도 같은, 철학 그 자체를 위한 순수한 철학이라 는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는 점을 주장한다.

      • KCI우수등재

        철학적 분석의 의미와 한계

        배식한(Sik Han Bae)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분석철학이 중세 스콜라철학의 길을 답습하지는 않을까? 명제, 의미, 지시 등에 관해 집요하게 논의했던 중세의 문헌들처럼 분석철학의 전문적 작업들도 근친번식의 악순환에 빠져 결국 고립과 망각의 길을 자초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글은 이러한 우려를 낳는 분석철학의 학문지상주의적 경향과 ‘초형이상학화’에 대해 그 원천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내가 주목하는 것은 분석철학 특유의 문체와 논증 전개 방식, 그리고 그것의 뿌리가 되는 ‘분석’이라는 방법이다. 나는 그 병폐들이 ‘분석’이라는 방법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분석이 자신의 방법과 목적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어떻게 초형이 상학화가 일어났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그 흐름을 되돌리고 분석철학의 지적 생산성과 현실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 논증과 형이상학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Does analytic philosophy follow the path of medieval scholasticism? Like the medieval literatures that had persistently discussed proposition, meaning, reference, etc., are not the professional works of analytic philosophy falling into the vicious cycle of the inbreeding and eventually leading to the path of isolation and oblivion? This essay attempts to trace the origin of scholasticism and ‘meta-metaphysicalization’ of analytical philosophy that leads to such concerns. What I pay attention to is the unique style of analytical philosophy and its distinctive way of deploying arguments, and finally the method of analysis as their root. I think those vi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thod of analysis. I will look historically at how meta-metaphysicalizat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changing its own methods and purposes. I will suggest that we have a new perspective on argument and metaphysics in order to reverse the trends and increase the intellectual productivity of analytical philosophy and its relevance to reality.

      • KCI등재

        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

        박병철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5

        최근 10여년 사이에 영미철학계에서는 분석철학의 역사 및 정체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논의되어 온 것은 분석철학에 대한 더밋의 정의였다. 그러나 분석철학의 기초를 언어철학으로 보는 더밋의 견해는 분석철학의 영역을 지나치게 협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분석철학의 정의 및 성격 규정에 대한 최근의 연구 사례들을 검토해 보고,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통해서 분석철학의 성견을 새롭게 규정하는 것의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