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강수휘 한국논리학회 2010 論理硏究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possibility of mereology as philosophically satisfiable metalogic. Motivation for this is straightforward. As I see, a traditional approach to metalogic presented in the name of mathematical logic posits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entities such as sets, functions, models, etc. to give definitions of logical concepts like logical consequence. As a result, whenever logic is used in any individual sciences, this set-theoretical metalogic cannot but add these mathematical entities to the domain of them. This fact makes this approach contradict to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Mereology, however, has been alleged to be ontologically innocent, while it is a formal system very similar to set theory. So it may well be that some people thought of mereology as a good substitute for set theoretic metalanguage and concepts for ontologically neutral metalogic. Unfortunately, when we look into argument for the ontological innocence of mereology, we can find that mereological entities such as mereological sums or fusions are not ontologically neutral. Thus we can conclude that mereological approach to metalogic is not promising at all.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적으로 만족스러운 메타논리학으로서 부분전체론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소위 수리 논리학으로 알려진 메타논리학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은 집합들, 함수들, 모형들과 같은 수학적 존재자들의 존재를 미리 상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논리학을 개별 과학 분야에 적용할 때마다, 이러한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이들 분야의 논의영역에 언제나 이들 특수한 존재자들을 부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상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집합론과 유사한 형식 체계인 부분전체론은 존재론적으로 무고하다고 주장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가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중립적인 메타논리학으로 이 부분전체론을 고려하는 것은 상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부분전체론의 존재론적 무고함을 주장하는 논변들을 살펴보면, 우리는 부분전체론적 합 혹은 융합체와 같은 부분전체론적 존재자들이 존재론적으로 중립적인, 무고한 존재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우리는 부분전체론을 통한 메타논리학 역시도 논리학의 기초로서 올바른 접근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리게 된다.

      • KCI등재

        모빌리티의 모럴과 도시 상상력—셰인 엡팅의 『도시 모빌리티의 모럴리티』(2021)를 중심으로

        최영석 대중서사학회 2022 대중서사연구 Vol.28 No.1

        이 논문은 셰인 엡팅(Shane Epting)의 『도시 모빌리티의 모럴리티』(The Morality of Urnban Mobility)가 제안하는 도시 모빌리티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도시성은 지역과 세대를 막론하고 현대사회의 일상적 전제 조건이 된 만큼 도시 모빌리티를 사유하는 일 역시 도시공학자들만의 몫이 아니라 이동을 수락한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이 시대의 철학이다. 2021년에 발간된 이 책은 도시 모빌리티의 문제에 도덕적 차원을 부여하여 도시의 교통 시스템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지점들을 드러내 준다. 엡팅은 도시 모빌리티를 부분전체론(mereology)으로 검토한다. 교통 시스템의 각 부분들을 집합론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지 않고 부분과 부분의 역학 관계에 집중하면서 부분전체론적으로 보았을 때 도시 모빌리티가 제기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해답을 보다 유연하게 모색할 수 있다. 이렇게 보았을 때 현 도시 모빌리티가 낳는 부작용의 핵심은 단일기술적 포화 상태에 있으며, 이를 다중기술적 분산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엡팅이 제안하는 것은 약한 인간중심주의(weak anthropocentrism)다. 약한 인간중심주의 하에서 모빌리티에 매개된 부분들의 도덕적 우선순위를 숙고하는 것은 도시 모빌리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전제되어야 할 하나의 태도이다. 이 책은 도시 모빌리티의 조건과 다양한 스케일의 부분들을 생각할 때 모럴리티 차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엡팅이 요청하는 도시 모빌리티의 철학은 억압되고 배제된 부분들을 가시화하고 도덕적 질서에 따라 부분들을 재배치하기를 추동한다는 점에서 랑시에르의 ‘모럴’ 개념과 일맥상통한다. 이런 비전은 도시 상상력에 대한 텍스트 비평에 있어 유의미한 조망점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밀과 자연수 이론

        박준용(Park, Juny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자연수에 대해 적합한 설명을 제시하려면 적어도 두 가지 일을 해명해야 한다. 첫째로 자연수에 관한 산수 이론이 어떻게 실행 가능한지 해명해 주어야 한다. 둘째로 보통의 대상들을 세는 데 자연수들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지 해명해 주어야 한다. 이 글에서 나는 밀에게서 비롯된 자연수들에 대한 설명을 몇 가지 다룬다. 잘 알려진 것처럼 밀 자신의 자연수 설명은 프레게에게 혹독하게 비판받았지만, 여전히 몇몇 철학자들은 밀의 주요 생각은 부분전체론의 맥락 내에서 가치있게 발전될 수 있다고 믿는다. 나는 아래에서 두 논제를 보이려 한다. 첫째로 밀에게서 유래한 부분-전체에 관한 이론에 따를 때에는 앞에 언급한 두 종류의 설명을 동시에 제시하기 아주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로 부분전체론적 결합 개념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부분전체론은 보통의 대상들을 세는 일을 해명하는 데 여전히 유익하다는 것이다. Any adequate explanation of natural numbers should provide at least two kinds of explications. The one is to explicate how our ordinary theory of natural numbers can work. The other is to explicate how we can apply natural numbers for counting ordinary objects. In this paper, I deal with some Millean explanations of natural numbers. Although, as it is well known, Mill’s own explanation of natural numbers was severely criticized by Frege, some philosophers still believe that Mill’s main thoughts on natural numbers can be fruitfully developed in the context of mereology. I try to show two theses in the following. The first negative one is that it is very hard to provide the above two kinds of explications simultaneously on the basis of Millean mereological theory. The other positive one is that some mereology without mereological sum is still be useful to explicate for counting ordinary objects.

      • KCI등재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강수휘 ( Soo Whee Kang ) 한국논리학회 2010 論理硏究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possibility of mereology as philosophically satisfiable metalogic. Motivation for this is straightforward. As I see, a traditional approach to metalogic presented in the name of mathematical logic posits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entities such as sets, functions, models, etc. to give definitions of logical concepts like logical consequence. As a result, whenever logic is used in any individual sciences, this set-theoretical metalogic cannot but add these mathematical entities to the domain of them. This fact makes this approach contradict to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Mereology, however, has been alleged to be ontologically innocent, while it is a formal system very similar to set theory. So it may well be that some people thought of mereology as a good substitute for set theoretic metalanguage and concepts for ontologically neutral metalogic. Unfortunately, when we look into argument for the ontological innocence of mereology, we can find that mereological entities such as mereological sums or fusions are not ontologically neutral. Thus we can conclude that mereological approach to metalogic is not promising at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