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피에르 우다르의 봉합 개념 - 이중 구조를 중심으로

        안상원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1

        Jacques-Alain Miller's work on suture, inspired by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was an inspiration in its part to Jean-Pierre Oudart's work about the suture in the film. The suture means basically the relation of the subject with the chain of discourse. Meanwhile, the concept of suture which appears in Oudart's text,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version, introduced by Daniel Dayan. Oudart does not deny the suture in the sense of sealing the discourse, but Oudart's text "The Suture" is written to indicate the specific expressions in Robert Bresson's The Trial of Joan of Arc to reveal the fact of suture. Oudart's critical discovery enters into the theoretical area, by separating the Absent and the filmic subject in the process of suture. After Oudart, the concept of suture unfolded the argument about the ideology in the cinema, based on the standard understanding put forth by Dayan, while it is the discussions of Stephen Heath and Slavoj Žižek which show similar approaches to Oudart's. Heath made the concept of suture multiplicate, and Žižek related the suture to the Lacanian Reality. The conclusion of many discussions about the suture is paradoxically that the suture is impossible in the cinema, it exposes always the crack. 자크-알랭 밀레가 라캉의 정신분석학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작성한 ‘봉합’에 관한 글은 다시 장-피에르 우다르에게 영감을 주어, 비로소 영화에서의 봉합에 관한 글을 쓰게 한다. 봉합은 기본적으로 주체가 담화 연쇄에 대해 갖는 관계를 의미한다. 그런데, 우다르의 봉합 개념은 사실 주로 다니엘 데이언에 의해 설명, 소개된 내용과 차이가 있다. 담화를 봉해버린다는 의미에서의 봉합을 우다르가 부인하는 것은 아니나, 우다르가 내세운 ‘봉합’은 로베르 브레송의 <잔다르크의 재판>에 등장한 특정한 표현 방식, 즉 (일반적 의미에서의) 봉합이 ‘드러나게’ 하는 표현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다. 우다르의 비평적 발견은 봉합의 설명 과정에서 부재자와 영화적 주체를 분리함으로써 이론의 영역으로 진입하게 된다. 우다르 이후, 봉합 개념은 데이언이 제시한 표준적 이해에 따라 이데올로기 논쟁으로 전개되는데, 그와는 별개로 스티븐 히스와 슬라보예 지젝에게서 우다르와 유사한 문제의식에 입각한 봉합 논의를 발견할 수 있다. 히스는 봉합의 개념을 다중화했고, 지젝은 봉합을 라캉의 실재와 연관시켰다. 봉합에 관한 많은 논의들이 주는 결론은 역설적이게도 영화에서 봉합은 불가능하다는 것, 즉 영화는 늘 균열을 노출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에서 UU 봉합법은 변형된 MA(Mason-Allen) 봉합법을 대치할 수 있는가?

        Darren J Friedman,고상훈(Sang-Hun Ko),박기봉(Ki-Bong Park),전형민(Hyung-Min Jun),김태원(Tae-Won Kim),임현우(Hyun-Woo Lim),염영진(Young-Jin Yu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에서 일반적으로 건-봉합간 접촉면 (tenon-suture interface) 에 약한부위 (weak link)가 형성되어 있어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은 개방적 봉합술보다 높은 재파열율을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봉합사를 뼈에 고정할 때 관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UU(Ulsan University) 봉합과 개방적 변형 MA (Mason-Allen) 봉합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한 구의 사체 극상근 건을 채취하여 절반으로 나눈 후 다시 절반을 나누어 사체의 어깨 관절 한 구당 네 개의 건을 만들어 총 24개의 검체를 만들었다. 두 봉합 형태 (UU, MA)는 무작위로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건에 시행하였다. 검체는 0.25 Hz에서 5~30N의 조절된 외력하에서 50회 주기 부하 (cyclic loading)를 받았다. 각 검체는 초당 1mm의 전이가 되는 상황하에서 파열이 발생할 때(ultimate tensile load)까지 부하를 받았다. 조건 이완 (condition elongation), peak-to-peak 전이(displacement), 기울기 (stiffness), 최대 인장력 (ultimate tensile load), 파열 양상 (mode of failure) 등을 기록하였다. 결과: 주기 부하 실험에서 두 봉합 형태 간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최대 장력 실험에서 UU 봉합과 변형 MA (Mason-Allen) 봉합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9.4 N, and 110.6 N). 양 봉합 형태에서 가장 흔한 파열 양상은 봉합의 빠짐 (suture pull-out)이었다. 결론: UU 봉합과 변형 MA 봉합은 유사한 생역학적 특성을 가진다. Purpose: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there are generally weak link in tendon suture interfac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can have higher retear rates than open repai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ngth of UU (Ulsan University) suture than open modified MA (Mason-Allen) suture when suture anchored into bone. Materials and Methods: The human supraspinatus tendons were harvested from the shoulder of the cadaver and split in 2 times, producing four tendons per one shoulder, for a total of 24 specimens. Two suture configurations (UU, MA) were randomized and checked on each set of tendons. Specimens were cyclically loaded under force control between 5 and 30 N at 0.25 Hz for fifty cycles. Each specimen was loaded to failure under displacement control at 1 mm/sec. Cyclic elongation, peak to peak displacement, stiffness, ultimate tensile load, mode of failure were check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suture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peak to peak displacement, cyclic elongation, and stiffness. With regard to ultimate failure loa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UU suture and modified MA suture (109.4 N, 110.6 N). The most common mode of failure between both sutures was suture pull-out through the tendon. Conclusion: The UU suture and modified MA suture produced similar biomechanical properties.

      • KCI등재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최의성(Eui-Sung Choi),박경진(Kyoung-Jin Park),김용민(Yong-Min Kim),김동수(Dong-Soo Kim),손현철(Hyun-Chul Shon),조병기(Byung-Ki Cho),배승환(Seung-Hwan Ba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1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using a One Anchor Double Fixati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 Seventeen patients with a Bony Bankart lesion were treated using the One Anchor Double Fixation Technique (OADF Technique). There were 13 males and 4 females. The average age was 24 years (range 17-42).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2.3 months. One 3.0 mm suture anchor with doubly loaded sutures was inserted into the glenoid rim. One suture strand was passed the around the small bony fragment and tied first. Another suture strand was passed through the capsule and tied over the bony fragment. The result was measured using Rowe’s evaluation index & KSS score. The glenoid defect & bony fragment were measured by 3D-CT scan. Results: Rowe’s evaluation index on the final follow-up showed an overall improvement from an average of 54 (range, 23-71) to 83.4 (range 71-90). Of the 17 cases, 13 were excellent, 3 were good, and 1 was fair. KSS scores showed improvement from an average of 71 (range 49-82) to 92.5 (range 82-94). There were no cases where pain continued to the final follow-up, and no cases being re-dislocat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For six cases, we confirmed the bony healing of the bony Bankart lesion by CT. Conclusion: Bony Bankart lesion repair using this new method achieves excellent clinical results with low recurrence rates and is considered another choice for bony Bankart lesions.

      • KCI등재후보

        백서의 경비골 신경을 이용한 신경 단측 봉합술에서 축색재생에 관한 연구

        이광석(Kwang Suk Lee),서정대(Jeong Dae Suh),백종륜(Jong Ryoon Baek),이상원(Sang W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단측 봉합의 효용성과 신경재생의 증거를 알아보고자 단단 봉합과 단측 봉합에 따른 신경재생의 정도를 비교하고 단측 봉합의 방법에 따른 신경재생의 정도를 비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2마리(64예)의 백서를 대상으로 비골 신경을 절단한 후 절단된 비골 신경단을 단단 봉합한 군을 제 1군, 비골신경을 경골신경에 단측 봉합함에 있어 경골 신경외막에 봉합한 군을 제 2군, 경골 신경외막 창을 만든 후 단측 봉합한 군을 제 3군, 경골 신경외막 창을 만든 후 경골 운동 신경 축색을 절단하여 봉합한 군을 제 4군으로 나누었다. 신경 봉합 2주, 4주, 8주, 12주에 전 경골근의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고 신경봉합 원위부에서 신경절편을 채취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신경 재지배 후의 전 경골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결과: 비골신경의 근전도 검사상 복합 활성 운동 전위의 진폭은 제 4군에서 그 진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과전자현미 경적 소견상 유수신경과 무수신경의 비율은 제 2군과 제 3군간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수초의 두께에 있어서 제 2군과 제 3군간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전경골근의 무게는 제 1군에서 무게가 타군보다 증가 하였고 제 1군과 제 4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신경 손상시 단단 신경봉합이 가장 우수한 치료방법이나 근위부 결손시 단측봉합을 시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단측 신경봉합의 방법에 있어 신경외막에 봉합하는 경우와 신경외막 창에 봉합하는 경우는 결과의 차이가 없었고 신경 축색을 절단한 후 단측 봉합한 경우는 타군의 결과보다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axonal regeneration between end-to-end and terminolateral neurorrhaphy, and determine the degree of nerve regeneration for each method of terminolateral neurorrhaph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Sprague-Dawley rats (N=64)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End-to-end neurorrhaphy (Group 1), end-to-side neurorrhaphy without removal of the epineurial sheath (Group 2), with an epineurial window (Group 3), and with an epineurial window combined with tibial motor axonotomy (Group 4). Each group were sacrificed after needle electromyography at 2, 4, 8, and 12 week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histologic findings of coaptation sites. The weights of tibialis anterior muscles were measured. Results: The amplitude of the 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 was always lowest in group 4,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2 and 3 in terms of the ratio of myelinated to non-myelinated nerve fiber.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2 and 3 in terms of the thickness of the myelin sheath.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weight in Group 1 increased more so than in the other group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4. Conclusion: End-to-end neurorrhaphy is the best method of nerve repair,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ineurial and epineurial window coaptation in end-to-side neurorrhapy.

      • KCI등재후보

        흡수성 가시 봉합사를 이용한 토끼의 발꿈치 힘줄 봉합

        김재곤,권성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7 No.4

        목적: 흡수성 가지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한 군과 비흡수성 단일선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한 군에 대해 건의 장력과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2 마리 토끼 굽힘 힘줄 손상 모델에서 절반은 흡수성 가시 봉합사(2-0 Quill)를 이용한 3 strand core suture를 하여 매듭 없이 봉합하고 나머지는 비흡수성 단일선 봉합사(4-0 Prolene)를 이용하여 4 strand double modified Kessler 방법으로 봉합하였다. 힘줄을 당기면서 봉합 단면에 3 mm 이상의 틈이 생길 때까지의 최대 장력을 수술직후, 1주, 4주, 8주 후에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1주, 4주, 8주 째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1주 후, 4주 후의 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 후 8주의 장력은 실험군(144.02±10.21 N)과 대조군(125.26±8.75 N)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32). 조직학적으로는 실험군에서 이물반응이 더 심하였고 전반적인 염증 반응은 대조군에서 더 심하게 나타났다. 결론: 장력과 염증 반응의 정도로 평가하였을 때 흡수성 가시 봉합사를 이용한 힘줄 봉합이 기존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A barbed suture used in flexor tenorrhaphy can maintain prolonged strength despite absorption of the suture material and allows knotless repair with tendon-barb adherence along the suture’s entire leng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tendon and its histologic analysis after tenorrhaphy using barbed sutures. Methods: Forty-two New Zealand rabbit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knotless repair of the tendons was performed using absorbable barbed sutures. In the control group, a 4-stranded double-modified Kessler tenorrhaphy was performed using non-absorbable monofilament sutures. The force to failure for each tendon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tendon repair and at 1 week, 4weeks, and 8 weeks after the repair. Microscopic analysis of the tendons was performed at 1 week, 4 weeks, and 8 weeks after their repair. Results: Eight weeks after tendon repair, the force to failure value of the rabbits in the experimental group (144.02±10.21 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abbits in the control group (125.26±8.75 N) (p=0.032). The difference in the value during the perio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istologic findings showed increased foreign body reaction in the tend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sustained inflammation i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ith respect to load to failure and the degree of inflammation, the use of absorbable barbed suture resulted in better tendon repair than the conventional non-absorbable suture.

      •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박지강,박경진,김용민,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임세혁,Park, Ji-Kang,Park, Kyoung-Jin,Kim, Yong-Min,Kim, Dong-Soo,Choi, Eui-Sung,Shon, Hyun-Chul,Cho, Byung-Ki,Im, Se-Hyu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1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이 확인된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3예에서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21예에서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연령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50.4세,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5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24.1개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26.1개월이었다. 양 군의 결과를 견관절 운동범위, VAS (Visual Analogue Scale), ASE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 점수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에서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0예, 대파열이 11예였으며,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에서는 각각 1예, 8예, 12예 였다. 평균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은 3.8 cm이었고, 소 절개 봉합술군이 4.2 cm이었다. 최종 추시 시에 양 군에서 동통과 기능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양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양 군의 견관절 운동범위 (p=0.7493), VAS (p=0.9677), ASES (p=0.8032), UCLA (p=0.2289) 점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최종 추시 시 임상 결과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절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결과가 좋지 않았다. 회전근 개 전층파열에서 관절경적 봉합술군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 간에 임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compare the outcome of patients who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using all-arthroscopic mini-open repair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4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arthroscopic (group I) or mini-open (group II) rotator cuff repair. 23 patients underwent an arthroscopic repair and 21 patients had a mini-open repair. The mean age was 50.4 years in the arthroscopic group and 56.7 years in the mini-open group. The outcomes for the 2 groups were evaluated using ROM, VAS, ASES, UCLA sca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s, T-test, Paired T-test. The mean follow-up period i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groups were 24.1months and 26.1months, respectively. Results: The group I (arthroscopic group) had 2 small-sized tears, 10 medium sized tears, and 11 large sized tears (3~5 cm). The group II (mini-open group) had 1 small sized tears, 8 medium sized tears, and 12 large sized tears. The mean cuff tear size of the group I and Group II were 3.8 cm and 4.2 cm, respectively. At last follow-up periods, ROM and functional scores were improved. In the group I and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VAS, ASES, UCLA score. Conclusion: The size of the tear did not produce different results at arthroscopic repair group but larger tear size was associated with a worse outcome in mini-ope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group.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법에서 변형 ML법과 변형 MA법의 생역학적 비교

        고상훈(Sang-Hun Ko),염영진(Young-Jin Yum),전형민(Hyung-Min Jeon),박기봉(Ki-Bong Park),김태원(Tae-Won Kim),박성우(Sung-Woo Park),임현우(Hyun-Woo Im),최병기(Byung-Ki Choi),김종국(Jong-K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2

        목적: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에서 일반적으로 건-봉합간 접촉면 (tendon-suture interface)에 익힌 부위(weak link)가 형성되어 있어 관절경 하 회전근 개봉합은 개방적 봉합술보다 높은 재 파열율을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봉합사를 뼈에 고정할 때 관절경으로사용할 수 있는 변형 ML(Mattress Locking)봉합과 변형 MA (Mason-Allen) 봉합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한 쌍의 사체 극상근 건을 채취하여 절반으로 나누어 사체 한구당 네 개의 건을 만들에 총 24개의 검체를 만들었다. 두 봉합 형태 (ML, MA)는 무작위로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건에 시행하였다. 검체는 0.25 ㎐에서 5~30N의 조절된 외력 하에서50회 주기 부하 (cyclic loading)를 받았다. 각 검체는 초당 1㎜의 전이가 되는 상황 하에서 피열이 발생할 때(ultimate tensile load)까지 부하를 받았다. 주기 이완(cyclic elongation), peak-to-peak 전이(displacement), 기울기 (stiffness) 최대 인장력 (ultimate tensile load), 파열 양상 (mode of failure) 등을 기록하였다. 결과: 주기 부하 실험에서 두 봉합 형태 간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최대 장력 실험에서 변형 ML 봉합과 변형 MA 봉합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223.18N, 220.8N). 양 봉합 형태에서 가장 흔한 파열 양상은 봉합의 빠짐 (suture pull-out)이었다. 결론: 변형 ML 봉합과 변형 MA 봉합은 유사한 생역학적 특성을 가진다. 변형 Mattress Locking 봉합은 관절경 하에서 회전근 개 봉합에 사용 할 수 있는 단순하고 훌륭한 방법일 수 있으며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에서 변형 Mason-Allen 봉합에 필적할 수 있는 유사한 생역학적 대치 방법이다. Purpose: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there is generally a weak link in the tendon suture interface, and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can have higher retear rates than open repai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ngth of modified ML (Mattress Locking) suture vs. the modified MA (Mason-Allen) suture when the suture is anchored into bone. Materials and Methods: Paired human supraspinatus tendons were harvested and split in half, producing four tendons per one cadaver, for a total of 24 specimens. Two suture configurations (ML, MA) were randomized and checked for each set of tendons. Specimens were cyclically loaded under force control between 5 and 30 N at 0.25 ㎐ for fifty cycles. Each specimen was loaded to failure under displacement control at 1 ㎜/sec. Cyclic elongation, peak to peak displacement, stiffness, ultimate tensile load, and mode of failure were check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suture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peak to peak displacement, cyclic elongation, and stiffness. With regard to ultimate failure loa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odified ML suture and the modified MA suture (22318N, 220.82N) The most common mode of failure between both sutures was suture pullout. Conclusion: The modified ML suture and the modified MA suture have similar biomechanical properties. The modified ML suture may be a simple and clever method and similar biomechanical alternative to the modified Mason-Allen suture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의 결과

        구정회,이춘기,조형래,최승현,Ku, Jung-Hoei,Lee, Choon-Key,Cho, Hyung-Lae,Choi, Seung-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은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건-골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가 우수하다는 보고들이 많고 술기 또한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구를 동시에 사용한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의 기능적 결과 및 구조적 연속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회전근개 전층 파열로 진단받고 평균 6.5개월(5~11) 보존적 치료 후 관절경적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1예(남자 15예, 여자 6예; 평균 연령 55.6세; 48~6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측정된 파열부의 크기는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3예, 그리고 대파열이 6예로 평균 2.5cm(1.8~3.2)이었다. 수술술기상 내측은 매듭 결속 봉합나사를 이용한 수평 매트리스 봉합술, 외측 열은 생체흡수성 비매듭 봉합구를 이용한 단순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견관절 운동 범위, ASES, UCLA scale, 그리고 등속성 근력 평가로 하였으며, 술후봉합부의 연속성은 자기공명영상으로 판정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13~24)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평균 임상적 결과 지수와 근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p<0.01) 19예(90.1%)에서 치료결과에 만족하였다. 술후 평균 7개월째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21예중 17예(81%)에서 건 치유를 확인하였다. 술전 파열의크기에 따른 술후 견관절 기능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01) 6예 대파열의 경우 3예(50%)에서 봉합부의 재파열이 확인되었다. 결론: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구를 동시에 이용한 관절경하 이열 고정 봉합술로 양호한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를 얻었다. 이는 개방적 봉합술이나 알려진 다른 형태의 관절경적 이열 봉합술과 유사한 결과이나 생역학적 연구와 장기적 추시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results of arthroscopic double-row repair using combined knot-tying and knotless suture anchors in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June 2007, twenty-one patients (15 males, 6 females; mean age 55.6 years; range 48 to 67) were included who underwent arthroscopic double-row repair for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following conservative treatment for a mean of 6.5 months (range 3 to 11). The tear size was carefully inspected arthroscopically and we found 2 small, 13 medium and 6 large-sized rotator cuff tears, with a mean tear size of 2.5cm(range 1.8 to 3.2). The repair constructs were consisted of horizontal mattress sutures using conventional knot-tying suture anchors medially and simple suture at the same level of medial row stitch with Bioknotless RC anchors (DePuy Mitek, Norwood, MA) as lateral row.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s were made according to the range of motion, the ASES, UCLA scale and the isokinetic strength testing. Postoperative cuff integrity was determined thr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mean follow-up was 15 months (range 13 to 24). Results: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and strength were all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p < 0.01). Nineteen patients (90%)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treatment. In 17 of 21 patients (81%) were judged to reveal healed tend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a mean of 7 month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funct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tear size (p<0.01), but large-sized tear shows less favorable structural results in 3 out of 6 cases(50%). Conclusion: Our results document the usefulness and variability of arthroscopic double-row rotator cuff repairs comparable to the results of the other types of double-row repairs.

      •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간의 임상결과 비교

        손현철,조병기,김용민,김동수,최의성,박경진,박지강,Shon, Hyun-Chul,Cho, Byung-Ki,Kim, Yong-Min,Kim, Dong-Soo,Choi, Eui-Sung,Park, Kyoung-Jin,Park, Ji-Ka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만성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 환자에 대한 변형 Brostrom 술식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기법간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동일한 술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단일 봉합나사를 이용한 경우가 17예,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경우가 20예 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Karlsson 점수 및 Sefton의 평가법을 이용하였고, 발목관절의 기계적인 안정성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 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및 내반 스트레스 검사가 이용되었다. 결과: Karlsson 점수는 단일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45.2점에서 술 후 89.4점으로, 이중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46.4점에서 90.5점으로 각각 호전되었다. Sefton 평가법상 단일 봉합나사군은 우수가 7예, 양호가 8예, 보통이 2예 였고, 이중 봉합나사군은 우수 8예, 양호 10예, 보통 2예로 나타나 각각 15례(88.2%), 18례(90%)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스트레스 방사선검사 상 거골 경사각과 거골 전방전위는 단일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13.6도, 8.6 mm에서 술 후 최종 추시시 5.4도, 4.1 mm로, 이중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14.1도, 8.4 mm에서 술 후 3.9도, 4 mm로 각각 호전되었으며 두 기법간에 술 후 거골 경사각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만성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에 대한 변형 Brostrom 술식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기법간에 술 후 임상 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발목관절의 기계적인 안정성은 이중 봉합나사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 모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결과 및 생역학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using the single suture anchor and the double suture anchor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even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using suture anchor. Single surgeon treated seventeen cases with single suture anchor and 20 cases with double suture anchor.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arlsson scale and Sefton grading system. Radiologic measurement of the talar tilt and anterior talar translation was performed through anterior and varus stress radiographs using Telos device. Results: The Karlsson scale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45.2 points to 89.4 points in single suture anchor group, and from 46.4 points to 90.5 points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According to the Sefton grading system, 15 cases (88.2%) in single suture anchor group and 18 cases (90%)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The talar tilt angle and anterior talar translation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13.6^{\circ}$ and 8.6 mm to $5.4^{\circ}$ and 4.1 mm in single suture anchor group, from $14.1^{\circ}$ and 8.4mm to $3.9^{\circ}$ and 4 mm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Double suture anchor technique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postoperative talar tilt. Conclusion: Single and double suture anchor techniques produced similar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s except for talar tilt, which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Both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using the single and double suture anchor appear to b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urther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and biomechanical studies in athletes are needed.

      • KCI등재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에서 골 시멘트를 이용한 봉합 나사 구멍 보강술

        이호민(Ho Min Lee),태석기(Suk-Kee Tae,),박정민(Jeong Min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2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시 뼈에 봉합 나사못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고령의 환자에서 상완골 결절부위에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봉합 나사못이 빠지거나 고정이 불안정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에서 봉합 나사못의 고정 실패시 골시멘트를 이용한 봉합 나사못 구멍 보강 기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받은 223명 중 골 시멘트로 봉합 나사못 구멍을 보강했던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여자로 평균 65 (49~77)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6 (6~32)개월 이었다. 주사기를 이용해 골 시멘트를 걸쭉한 액상의 상태에서 봉합 나사못 구멍에 주입한 후 압박기로 압력을 가하였으며 항아리 모양의 시멘트 맨틀을 만들도록 노력하였다. 시멘트가 굳어가기 시작할 무렵 봉합 나사못을 구멍에 삽입하였다. 최종 임상적 평가는 시각척도 통증 점수,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 age-sex matched Constant score, UCLA score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촬영한 방사선 사진상, 상완골 대결절부의 낭종성 변화 또는 피질골의 위축 등 이전 예에서 보였다.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시멘트 음영의 변화는 볼 수 없었으며, 충진된 시멘트는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UCLA score는 평균 31점 (28~35점) 이었으며 최우수 6예, 우수 8예이었으며 1예는 보통의 결과를 보였다 (p-value 0.008). Age-sex matched Constant score는 평균 90점 (74~98점)으로 상승하였다 (p-value 0.008).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에서 상완골 대결절부의 골위축이 있는 경우에도 골 시멘트를 이용한 봉합 나사못 구멍 보강술에 의하여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었으며 골 시멘트의 사용이 수술 후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Purpose: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the crucial step is secure fixation of Anchor to bone. However, osteoporosis of the tuberosity is frequently encountered in old patients, and can cause insecure fixation of anchor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troduce a technique for anchor hole augmentation with bone cement when fixation failure of an anchor occurs, and to investigate the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223 rotator cuff repairs performed between 2005 and 2009, anchor hole augmentation with polymethylmethacrylate was performed in 15 cases (all females; mean age of 65 years: range 49~77). Bone cement was injected into the anchor hole in a thick fluid state and the procedure was repeated to make a pot-like cement mantle. The anchor was inserted into the cement mantle while the cement hardened. The outcome was investigated, on average, at 16 months (6~32). Results: Radiographs showed cystic changes of the tuberosity. On follow-up radiographs and MRI, a change in the cement mantle was not noted. The final average UCLA score was 31 (28~35); 6 had excellent, 8 good and 1 fair results (p=0.008). Age-sex matched Constants score was 90 (74~98) (p=0.008). Conclusion: Anchor hole augmentation with bone cement is useful when fixation failure of an anchor is encountered due to bone atrophy. Anchor hole augmentation with bone cement does not negatively influence the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