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조선 ‘본풀이’의 역사인식과 본풀이사관의 수립

        임재해(Lim Jae-Hae) 고조선단군학회 2009 고조선단군학 Vol.2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classification of the times new by recognizing early describing style of history as ‘Bonpuri’ and establishing Bonpuri concept of history through disclosure of historical recognition about Bonpuri, starting from meta history questioning about history of historical description. The study reanalyzed ‘The birth myth of Korea’ handed down as an oral history by ‘Bonpuri’, a Korean language of myth, by re securing the position of the prehistoric age called until now in the historic world as the oral historic age and reviewing values of oral history and living history. The study newly captured identification and history of Sinsikoguk before Kojoseon by dividing ‘the birth myth of Kojoseon’ called as ‘Dangun Myth’ into Sinsi myth of Hwanung and Kojoseon myth of Dangun according to descriptive methods of myth. Double structure of Bonpuri was exposed to the birth myth of Koguryeo and Silla and escaped from the existing linear analysis of myth. Therefore, the traditional theory of Nordic myth can also be overcome critically by analyzing a diachronic flow of continuous and accumulative history as the logic of Bonpuri. Bonpuri concept of history is a cosmic and global history and includes the past history, the present history and the future history as a general history. More key point is to set up a desirable history of the future and to make the present history move toward the direction. To be so, we shall spread the timely classification of history to the future, differing from now, and propose value to have to pursue. Such historic recognition is reflected in Gut oral?.narrating Bonpuri. Therefore, Bonpuri concept of history can make classification of the times new with incantation, art, revolution and symbiosi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Gut. We can sort the times into ‘Incantation age’ recognizing and settling realistic problems in ways of religion and incantation, ‘Art age’ depending on literary recognition and countermeasure about the world to overcome limitation in settling problems in a way of incantation, ‘Revolution age’ settling problems in social scientific recognition and countermeasure about the world to overcome limitation in artistic expression and ‘Symbiosis age’ recognizing the world and settling problems in a biological way. If the modern is revolution age, the future is symbiosis age. Therefore, it goes on making the future of mankind progressive to make eco environmental culture according to the value of symbiosis. The Bonpuri concept of history is historical recognition by Bonpuri describing history and a historical view depending on historic functions. First, it highly appreciates the value of oral history and overcomes a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times called as the prehistoric age through the times of oral history. Second, to raise understanding, handing down power and reliability of historical knowledge, we describe history with interest in sacred stories. Third, we secure broad diachronic recognition and cosmic spatial recognition from history of the beginning of the world to historical view of the future. Fourth, we always find clues to settle problems in history by describing history till the viewpoint of the present and describing history again where realistic problems take place. Fifth, we propose the future history as an alternative plan to settl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the reality and to lead the future of community to a prosperous way.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roductive history going on making history.

      • 사관의 수립과 사료 개척에 입각한 주권사학의 변혁적 구상

        임재해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5 No.-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e rise of colonialist historiography is to go beyond nationalist historiography and adopt sovereignist historiograph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boldly implement a transformative action that changes the landscape of existing historical research b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historical view and developing new historical materials. Rather than relying on the existing historical views, the “bonpuri historical view”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e oral history of Korean shamanic culture centered on the gut rite. The bonpuri historical view starts from recognizing the present problems, finds the sources of the problems in the past and solves them, and presents bright prospects for the future. Address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 light with the history of the past and moving forward into the future is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bonpuri historical view. Historical research can achieve original results when it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ew historical materials. The colonialist historiography that denies the history of Gojoseon can be overcome by discovering more living historical materials. The animal totems have been present in many living historical materials of Korea. Bears and tigers are commonly found animal totems presented in the murals and ornaments of Goguryeo and historical materials on Dangun, and these traditional totems are still prevalent in modern Korean society in the form of dangsannamu (deified tree), sotdae (sacred poles), and jangseung (village guardian posts). The living historical materials about eating mugwort and garlic testify to the history of the Hwanung period.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adopting the view regarding Hwanung as the founder of Korea, rather than Dangun, and Hwanung’s Sinsi as the first state in Korean history, rather than Dangun’s Joseon (Gojoseon). The Siberian origin theory of the colonialist historiography also needs to be overcome with new historical approaches. Siberian culture is not a concrete entity, but an ideological construct based on Westerners’ imagination. Since various tribes have kept a nomadic lifestyle, moving from one area to another, they cannot be the center of an ancient culture, aside from their unidentified cultural origin. In particular, the theory of the shamanic origin of Korean gut is not convincing since it has a structural difference from the other shamanic rite types, as a possessive type rather than an ecstasy type. The view considering the origin of Silla’s gold crowns as the Siberian shaman’s headpiece is also a mere repetition of groundless assumptions of Japanese scholar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old crown ornaments clearly shows that it was evolved from the basic type in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advanced type and to the completed type. Putting aside the basic tree shape, it is self-contradiction to search for the origin of the 5th century royal gold crown in the 19th century shaman’s headpiece. In the Siberian region, there was no case of producing a royal crown based on the design of a shamanic headpiece or a shaman leading the state or being enthroned. Therefore, the view associating Silla’s gold crown to Kim Al-ji is a much more persuasive explanation than the Siberian origin theory. The tendency of idolizing the historical periodization of 200 years ago also acts as an obstacle to sovereignist historiography. In academia, only traditional periodization dividing history into the Paleolithic Age, Neolithic Age, Bronze Age, and the Iron Age has been continuously repeated. In actual history, there was a long ice age between the Paleolithic and Neolithic. The 110,000-year Ice Age cannot be compared with the 10,000-year history since the Neolithic Age. The Neolithic culture can be properly understood on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ce Age living cultur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sert the Ice Age into the existing historical periodization scheme. There is a need for breaking away from conventional periodization schemes and diversifying them based on the different independent criteria to enhance their usefulness in understanding history. To pioneer a transformative pathway to sovereignist historiography, it is also critical to overcome the existing world civilization theories. Historical studies will have a future only when the civilization theories centered on large-scale ruins such as the pyramids of Egyptian civilization and the stone temples of the Maya civilization, which are the products of slavery, are overcome and a new civilization theory grounded on the universal value system of humankind is proposed. The Hongik Civilization that pursues human liberation and ecological symbiosis presents a model for future civilization that humankind should build together. In brief, sovereignist historiography needs to go beyond establishing a new historical view and developing hidden historical materials, and proceed to take transformative action to rewrite the history of world civilization. 식민사학의 준동을 극복하는 길은 민족사학을 넘어서 주권사학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독자적인 사관을 수립하고 새로운 사료를 개척하여 기존연구의 판도를 바꾸 는 변혁적 구상을 과감하게 실천해야 한다. 기존 사관에 종속될 것이 아니라 굿문화의 역사 구술 현장에 입각해서 ‘본풀이사관’을 수립할 수 있다. 본풀이사관은 현재의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과거에서 원인을 찾아 해결한 뒤에 밝은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과거 역사로 현재의 문제를 풀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본풀이사관의 역사인식이다. 역사학은 사료 개척에 관심을 기울어야 독창적인 연구성과를 거둘 수 있다. 고조선 역사를 부정하는 식민사학을 생활사료의 개척으로 극복할 수 있다. 동물 상징의 토템은 생활사료로 전승되고 있다. 고구려의 벽화나 장신구 등에 단군사료의 곰과 범 등이 등장할 뿐 아니라, 그러한 토템전통이 당나무와 솟대, 장승 등으로 지속되고 있다. 특히 쑥과 마늘을 먹는 생활사료는 환웅시대의 역사를 증언한다. 그러므로 단군시조론 이 아니라 환웅시조론, 단군조선이 아니라 환웅신시를 민족사의 출발점으로 재인식할 수 있다. 식민사학의 시베리아기원설도 극복 대상이다. 시베리아문화는 구체적 실체가 아니 라 서구인들에 의해 상상된 관념적 구성물이다. 여러 종족들이 제각기 이동하면서 생활 하는 까닭에 고대문화의 구심점이 될 수 없는 것은 물론 그들의 문화적 기원도 알지 못한다. 특히 한국 굿의 샤머니즘 기원설은 엑스타시형에 대한 포제션형이자, 탈혼형에 대한 빙의형으로서 구조적 차이를 이루고 있어 설득력이 없다. 신라 금관의 시베리아 무관 기원설도 일본학자의 억측을 동어반복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금관 세움장식의 발전과정을 보면 5세기 초의 기본형에서 발전형, 완성형으로 전개된 사실이 뚜렷하다. 나무 모양의 기본형을 제쳐두고 19세기 샤먼의 무관에서 5세기 금관의 기원을 찾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시베리아에서 무관에 따라 왕관을 만든 사례가 없으며, 샤먼이 국가조직을 이끌고 왕이 된 역사도 없다. 그러므로 무관 기원설 보다 금알지 기원설이 더 설득력을 지닌다. 2백 년 전의 시대구분을 우상화하고 있는 것도 주권사학의 장애물이다. 아직도 구석 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와 같은 시대구분을 되풀이하고 있다. 실제 역사는 구석기와 신석기 사이에 장구한 빙하기가 있었다. 11만년의 빙하기는 신석기 이후 1만여 년의 역사와 비교도 되지 않는다. 빙하기인의 생활을 포착해야 신석기인의 문화도 제대로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빙하기를 시대구분에 새로 삽입해야 순조롭다. 그러므로 상투적 시대구분에 갇혀 있지 말고 독자적인 준거로 다양한 시대구분을 해야 역사 이해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주권사학의 길을 변혁적으로 개척하려면 기존 문명론도 극복해야 한다. 노예노동의 산물인 이집트문명의 피라미드나 마야문명의 석조신전 등 거대 유적 중심의 문명론을 극복하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체계로 구성된 새로운 문명론을 제시해야 미래가 있다. 홍익인간 문명은 인간해방의 생태학적 공생문명으로서 인류가 함께 추구해야 할 미래 문명이다. 그러므로 주권사학은 사관을 수립하고 사료를 개척하는 데서 나아가 세계문명사를 다시 쓰는 변혁적 실천까지 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각기 주목하고 북방의 여러 유목민족들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는 데 머물고 말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건국본풀이들은 민족문화 유산으로서 같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건국시조들의 동질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도자상을 추론해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천지개벽본풀이에는 하늘을 한울, 또는 한알이라 하여 우주적 한울과 생명개체로서 한알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건국본풀이에서 시조왕들은 한결같이 천제의 아들로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강림하거나 큰 알의 형태로 출현한다. 큰 알은 모두 밝은 해를 상징한다. 따라서 건국시조는 천제이자 하느님인 우주알로서 ‘한울’의 대우주 해와, 인간생명의 모태이자 태반의 수정란으로서 ‘한알’의 소우주 아해가 대립적이면서 통일을 이루는 변증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건국시조들은 한결같이 ‘해’를 상징하고 있다. 고조선본풀이의 환인과 환웅, 단군은 모두 해의 밝음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아사달과 조선이라는 도읍지 또는 국호까지 동녘이나 양달을 나타낸다. 홍익인간 이념도 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해의 온생명(global life) 기능을 드러낸다. 천제의 아들로서 아침에 내려왔다가 저녁에 하늘로 올라가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 햇빛을 받아 잉태되고 큰 알로 출산된 고구려의 시조 주몽, 붉고 큰 알로 출현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모두 해를 상징한다. 박혁거세의 이름도 불구내(弗矩內)와 더불어 세상을 널리 밝히는 뜻을 지녔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혁거세 사상은 세상을 널리 밝혀서 이롭게 한다는 해의 생태학적 기능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홍익인간의 이상이 혁거세 사상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 사상은 가락국의 시조까지 이어진다. 수로왕은 금합 안에서 황금알로 나타나는데 해처럼 둥글었다고 한다. 해처럼 둥근 알의 모양이나 황금빛은 모두 해를 상징한다. 해와 같은 인물이 건국시조가 되었다는 태양시조 사상으로 귀결된다. 세상을 밝히고 뭇생명을 살리는 해의 섭리와 변화 양상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을 잘 알기 때문에 태양시조 사상을 확립했을 것이다. ‘해’에 대한 세계관적 인식과 과학적 이해 때문에 상고시대 한국인은 ‘해[太陽]’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한 해[年]’를 설정하는 태양력의 역법도 일찍 깨우쳤을 것이다. 건국시조는 우리 민족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지도자상이다. 진정한 지도자는 해와 같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존재이다. ‘다스리는 것’ 곧 ‘다 살리는 것’이 해의 생명성이자 민주적인 지도자상며 혁거세의 ‘불구내 사상’이자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이다. 따라서 건국 시조왕들처럼 세상의 빛이 되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지도자가 가장 훌륭한 현실의 지도자이자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지도자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에서 노래하는 시조왕은 건국시조로 추대된 태초의 지도자상이자, 지금 여기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지도자상, 곧 미래의 생태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지도자상으로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P>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각기 주목하고 북방의 여러 유목민족들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는 데 머물고 말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건국본풀이들은 민족문화 유산으로서 같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건국시조들의 동질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도자상을 추론해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P><P> 천지개벽본풀이에는 하늘을 한울, 또는 한알이라 하여 우주적 한울과 생명개체로서 한알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건국본풀이에서 시조왕들은 한결같이 천제의 아들로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강림하거나 큰 알의 형태로 출현한다. 큰 알은 모두 밝은 해를 상징한다. 따라서 건국시조는 천제이자 하느님인 우주알로서 ‘한울’의 대우주 해와, 인간생명의 모태이자 태반의 수정란으로서 ‘한알’의 소우주 아해가 대립적이면서 통일을 이루는 변증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건국시조들은 한결같이 ‘해’를 상징하고 있다.</P><P> 고조선본풀이의 환인과 환웅, 단군은 모두 해의 밝음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아사달과 조선이라는 도읍지 또는 국호까지 동녘이나 양달을 나타낸다. 홍익인간 이념도 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해의 온생명(global life) 기능을 드러낸다. 천제의 아들로서 아침에 내려왔다가 저녁에 하늘로 올라가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 햇빛을 받아 잉태되고 큰 알로 출산된 고구려의 시조 주몽, 붉고 큰 알로 출현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모두 해를 상징한다. 박혁거세의 이름도 불구내(弗矩內)와 더불어 세상을 널리 밝히는 뜻을 지녔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혁거세 사상은 세상을 널리 밝혀서 이롭게 한다는 해의 생태학적 기능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홍익인간의 이상이 혁거세 사상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P><P> 이러한 해 사상은 가락국의 시조까지 이어진다. 수로왕은 금합 안에서 황금알로 나타나는데 해처럼 둥글었다고 한다. 해처럼 둥근 알의 모양이나 황금빛은 모두 해를 상징한다. 해와 같은 인물이 건국시조가 되었다는 태양시조 사상으로 귀결된다. 세상을 밝히고 뭇생명을 살리는 해의 섭리와 변화 양상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을 잘 알기 때문에 태양시조 사상을 확립했을 것이다. ‘해’에 대한 세계관적 인식과 과학적 이해 때문에 상고시대 한국인은 ‘해[太陽]’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한 해[年]’를 설정하는 태양력의 역법도 일찍 깨우쳤을 것이다.</P><P> 건국시조는 우리 민족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지도자상이다. 진정한 지도자는 해와 같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존재이다. ‘다스리는 것’ 곧 ‘다 살리는 것’이 해의 생명성이자 민주적인 지도자상며 혁거세의 ‘불구내 사상’이자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이다. 따라서 건국 시조왕들처럼 세상의 빛이 되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지도자가 가장 훌륭한 현실의 지도자이자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지도자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에서 노래하는 시조왕은 건국시조로 추대된 태초의 지도자상이자, 지금 여기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지도자상, 곧 미래의 생태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지도자상으로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