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대만의 국가무형유산 제도 비교연구: 전통공연예술 종목의 보유자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정다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4 문화정책논총 Vol.38 No.1

        이 글은 문헌연구법에 기초하여 한국과 대만의 국가무형유산 중 전통공연예술 종목 보유자에 대한 양국의 지원제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양국은 상위법인 「문화재보호법」과 「文化資產保存法」에 근거해 무형유산을 보존 및 전승하고 있는데, 대만의 경우 중앙과 지방의 분권화를 통해 지방 등록을 선행하기 때문에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양국은 ‘보유자(holder)’와 ‘보존자(preserver)’라는 주요 전승자를 규정했는데 용례상 보유자는 경제적 관념을 연상케 하고, 보존자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 기본적 용어의 차이처럼 양국의 지원 규모는 크게 대별되었다. 한국의 보유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매월 획일적인 정액을 영구히 지급하는 방식이었고, 대만은 매년 제출된 프로젝트의 내용을 중심으로 보존자를 지원하는 방식이었다. 즉 한국은 ‘인적 지원’, ‘보편적 지원’, 대만은 ‘프로젝트(과정) 지원’, ‘선별적 지원’의 성격이었다. 이 글은 무형유산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여 다양한 국가의 무형유산 제도를 논의하는 차원에서 학문적 기여를 꾀하고자 했고, 이밖에 대만 제도가 가진 지방 분권화 시스템 등을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으로 제공하였다. This study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s the support plan for holders of traditional preforming art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 both the Republic of Korea and Taiwan. Korea and Taiwan preserve and transmit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ct. However, a key difference between Taiwan and Korea is that Taiwan places priority on the registration of intangible heritage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is means that the decentralization of intangible heritage management has been implemented. Also, while Korea uses the name “holder,” Taiwan uses the name “preserver” to designate the main transmitte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As a result of analyzing etymology and examples of two words, while “holder” is associated with economic notions, “preserver” is associated as “guardian” rather than economic notions. Just a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undamental approaches, there's also a notable contrast in the scale of support provided by the two countries. Korea subsidizes holders uniformly and permanently based on a monthly payment system, whereas Taiwan subsidizes preservers based on the content of projects submitted annually. Korea is characterized by “human support” and “universal support,” whereas Taiwan is characterized by “project support(process support)” and “selective support.”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to the discussion of diverse intangible heritage systems globally in response to the era of intangible heritage globalization. Additionally, it emphasizes the potential of the Taiwanese system as an alternative for addressing Korea’s limitations and provides insights for consideration.

      • KCI등재

        Hermann Hesses Anschauungen von Dichtung und Kunst im Spiegel seiner Gedichte

        노태한 한국헤세학회 2008 헤세연구 Vol.19 No.-

        헤르만 헤세는 수많은 서평과 편지, 『나르치스 운트 골트문트』와 『황야의 늑대』, 『로스할데』 등과 같은 소설 작품에서 뿐 아니라 여러 편의 시 작품에서도 ‘문학’과 ‘예술’, ‘작가(시인)’ 내지 ‘예술가’의 문제를 다른 테마들과 함께 하나의 중요한 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는 시인, 소설가로서의 자의식이 강하고 문학을 일종의 자기고백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했던 헤세로서는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인지도 모른다. 특히 일련의 시에서 헤세는 문학과 예술의 본질과 기능, 나아가 작가나 예술가의 과제와 임무와 관련해 여러 가지 견해들을 문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그의 창작 시기에 따라 몇 가지 전형적인 견해와 함께 그것의 일정한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시를 통해 헤세의 문학관이나 예술관뿐 아니라 그 변화의 양상까지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대체로 탐미주의의 경향이 강한 초기의 시에서 헤세는 작가, 시인을 꿈꾸는 자, ‘고향’을 찾는 자, 유미주의자로서 형상화하고 있으며, 이른바 ‘위기시대’로 불리는 중기의 시에서 시인은 현실에 절망하는 자, 아웃사이더, 자기비판자. 미래의 이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자로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소설 『유리알유희』의 분위기가 지배적인 1930, 40년대의 시에서 헤세는 시인과 작가를, 언어의 질서 부여 능력과 명증성을 이용하여 과거의 원형적인 아름다운 세계를 불러내고 보존하는 자, 신의 세계창조를 모방하는 제2의 창조자로 이해하고 있다. 시인, 작가로서의 자기 존재의 본질과 사명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이 같은 헤세의 일련의 시들을 우리는 헤세의 ‘문학시’ 또는 ‘예술시’라 부를 수 있을 것인데, 이들 시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감상하는 일도 예술가로서의 헤세의 자의식 및 자기이해와 그의 문학 활동 전반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한 의미 있는 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선형보존자 문제들에 관한 연구

        송석준,Song, Seok-Jun 대한수학회 2006 대한수학회논문집 Vol.21 No.4

        선형보존자 문제들은 행렬들로 구성되는 벡터공간들 사이에서 어떤 함수, 부분집합, 관계 등을 불변하게 옮기는 선형연산자의 형태를 규명하고 그와 동치가 되는 조건들을 찾는 연구주제들을 말한다. 이 논문에서는 선형보존자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문제들과 연구의 동기와 원인들, 활발한 연구주제들, 연구방법들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요약한다.

      • KCI등재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신화의 탄생

        김남균 한국미국사학회 2011 미국사연구 Vol.33 No.-

        How was the Lincoln myth born? This paper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he contemporaries of Lincoln, who witnessed his assassination and funeral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When President Abraham Lincoln was assassinated in 1864, Americans were shocked and heartbroken. They arranged unprecedented great funeral ceremonies across the country. The funeral train took two weeks to take the fallen president to his final destination in Springfield. His sudden death and the long funeral process left unerasable memories in American minds. The Lincoln myth took root during this process. Following his funeral, Lincoln began to be mythicized through biographies, statues, paintings, and literary works. Subsequently Lincoln was remembered as a union saver and a slave liberator. Everything related to Lincoln was important and had to be memorialized. Some stories were exaggerated and others were sometimes made up. His myth has gradually integrated into a core part of American historical mind itself, making it almost impossible today to discern the real Lincoln from the mythical Lincoln. His assassination made Lincoln immortal so that he was reborn as the American myth conclusively. 링컨 신화는 어떻게 탄생되었는가?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대통령 링컨의 암살과 장례를 목격한 동시대인들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1964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암살이 되었을 때 미국인들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그들은 전국적으로 선례가 없는 장례절차로 링컨의 장례를 치렀다. 장례 열차는 사망한 대통령을 싣고 2주일 후 스프링필드에 도착했다. 그의 갑작스런 죽음과 긴 장례절차는 미국인들의 가슴에 지울 수 없는 기억을 남겼다. 이런 과정에서 링컨 신화가 탄생하는 토양이 만들어졌다. 장례가 끝나자 링컨은 전기와 동상, 그림, 그리고 문학작품으로 신화화되기 시작했다. 링컨은 무엇보다 연방의 구원자와 노예 해방자로 기억되었다. 링컨에 관련된 모든 것은 소중했고 또 기념되어야 했다. 링컨에 관한 이야기는 과장되고 또 만들어지기도 했다. 링컨 신화는 미국인들의 의식의 심연 속으로 슬며듦으로써 오늘날 실제 링컨과 신화인 링컨을 구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결국 암살은 링컨을 불멸의 존재로 만듦으로써 링컨은 미국의 신화로 재탄생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