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고밀파(Bogomils)에 대한 비잔티움의 대응 의미 -10세기 중반~12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김차규 ( Cha Gyu Kim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3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2

        This article, focusing on ‘Empire and the unification of social structures’, researched the meaning of the byzantine confrontation on the Bogomils in the politics, military relations and socio-economic problems from the middle of the ten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twelfth century. So, I analyzed a letter from Patriarch Theophylact of Constantinople to Tsar Peter of Bulgaria, the work of Euthymius Zigabenus, the polemic Discourse against the Heresy of Bogomil written by Cosmas the Priest, a 10th-century Bulgarian official. King Simeon`s death in 927 left Bulgaria exhausted. Bulgaria had to face serious internal problems. One of them was the heretical movement started under Simeon`s son and successor, Peter. Based upon the conception of earlier Eastern sects as to a permanent struggle between the forces of good and evil, Bogomilism was a Gnostic religiopolitical sect founded in the First Bulgarian Empire by the priest Bogomil during the reign of Tsar Petar I in the 10th century. It most probably arose in what is today the region of Macedonia as a response to the social stratification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feudalism and as a form of political movement and opposition to the Bulgarian state and the church. The Bogomils called for a return to early Christianity, rejecting the ecclesiastical hierarchy, and their primary political tendencies were resistance to the state and church authorities. This helped the movement spread quickly in the Balkans, gradually expanding throughout the Byzantine Empire and later reaching Kievan Rus`, Bosnia, Dalmatia, Rascia, Italy, France. Bogomilism was an outcome of many factors that had arisen in the beginning of 10th century, most probably in the region of Macedonia. It was also strongly influenced by the Paulicians who had been driven out of Armenia. The Church in Bulgaria tried to extirpate Bogomilism. Tsar Peter of Bulgaria asked the Byzantine Empire to help to solve problems of Bogomilism. But Patriarch Theophylact of Constantinople gave a several advises to Tsar Peter of Bulgaria. It was not an aggressive attitude, but a passive-negative attitude. Although the heresy was poorly regarded officially, such was the Byzantine Empire`s need for manpower that Alexius I Comnenus raised a unit of Bulgarian dualists from the neighbourhood of Philippopolis(now Plovdiv). Alexius did not proceed further against the dualist heretics until the last two years of his reign. At that time, under pressure from the Church to establish religious conformity, many Bogomils were forcibly converted, and their leaders either imprisoned or executed.

      • KCI등재

        청일전쟁기(1894~1896) 주한일본영사의 영사보고와 ‘첩보’ 활용

        최보영 ( Choi Bo Young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20 동국사학 Vol.69 No.-

        본 연구는 청일전쟁기 주한일본영사가 한반도를 대상으로 불법적으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활용한 실태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항기 일본영사는 한국 내 정보를 취득 · 수합 · 정리하여 영사보고서 또는 첩보의 형태로 주한공사와 본국 외무성에 공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럼에도 지금까지는 일 본영사의 정보수집원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정보의 유통과정과 그 활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 결과 일본의 한국 병탄은 군사력과 외교력에 의해 일방적으로 이뤄졌다는 인식이 지배적이 되었다. 그런데 일본은 한반도전역에 상인을 비롯한 다양한 인물군을 이식 · 이주시켜 상업상의 이익을 추구하게 하고 이들로 하여금 한국에 관한 소상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이를 침탈의 토대로 활용하였다. 특히 청일전쟁기 혼란한 상황에서는 첩보를 활용하여 거류지의 자국민을 안정화하거나 일본군의 전쟁 수행을 유리하도록 지원 · 협조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일본영사의 첩보활동이 한국민의 대일 인식을 파악하는 데 상당히 유익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 condition that Japanese consuls illegally obtained and utilized information targeting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Japanese Consuls in Korea played a key role in obtaining, collecting, and arranging information in Korea and supplying them to diplomatic ministers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their own country in a form of reports and intelligence during the open port period. Nevertheless, we have not taken notice of information collectors of Japanese consuls and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 until now. As a result, the recognition tha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unilaterally done by military power and diplomatic power was dominant. By the way, Japan made different types of people including merchants move and migrate to the whol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eek commercial interests, and collect detailed information on Korea so that they could be utilized as the foundation of dispossession. Especially in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Sino-Japanese War, the fact that Japan stabilized its fellow countrymen in international settlements by utilizing intelligence or supported and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military to be advantageous for its war was confirmed. Awareness of Korea through these information was the high level that Korean people could not resist on a national scale when Japan annexed Korea in 1910. That is, espionage of Japanese consuls in Korea can be found to be very beneficial to understand Korean people’s recognition of Japan.

      • KCI등재

        비잔티움 신학자, 이단론자 및 "이단심문관"의 정교 정체성: 12세기 민중신앙에 대한 비잔티움 당국의 관점

        쿠사부히사츠구 ( Hisatsugu Kusabu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4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3

        비잔티움인들은 종종 이단에 대해 사형선고를 내리고는 했다. 역사가들은 기존의 역사연구에서 이러한 비잔티움식의 “관용”을 비잔티움 사회가 이교를 다루는 데 나타나는 성격들에 따라 생각해 왔다. 1099년경의 보고밀파 재판에 대한 연구는 이교에 대한 비잔티움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중요한 조건들을 살펴봐야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비잔티움시가 다양한 인민들로 이루어져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이단론자(이단연구자)들은 이단에 대한 지침서들을 제공받았다는 사실이다. 본 논문은 교리 방어자들에 대한 이와 같은 사회종교적 태도에서 기인하는, 비잔티움 당국의 이단들에 대한 관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The Byzantines seldom sentenced the heretics to death penalty. Historians have called this Byzantine “tolerance” in historiography considering following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in treatment of heterodoxies in Byzantine socie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ogomils trial in ca. 1099, two important conditions are to be noted for the understanding of Byzantine views of heterodoxy: the City is filled with a variety of people and the heresiologists was offering guidebooks on heresy. This paper sheds lights on the Byzantine view of their heterodoxy caused by such socio-religious attitude toward the doctrinal defendants.

      • KCI등재

        축산업의 환경적 영향과 한국 환경법의 대응 ― 밀집형가축사육시설을 중심으로 ―

        송정은 ( Song Jung-eun ) 한국환경법학회 2017 環境法 硏究 Vol.39 No.1

        덴마크, 뉴질랜드 등 유럽의 일부 국가들은 그들의 국가주력사업이기도 한 축산업에 세금을 추가로 부과하고 있거나 혹은 부과하려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축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환경문제라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축산분야는 대기, 기후변화, 토양, 수질 및 생물다양성 등 사실상 환경의 모든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산업적이며 기업화되어 거대한 규모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 현대 밀집형가축사육시설(CAFO)은, 밀집된 공간에 동물을 가두어 사육함으로써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따른 공중보건의 문제, 가축동물이 밀집된 장소에서 뿜어내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암모니아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문제, 밀집된 사육양식에 필수적일 수밖에 없는 물과 곡물 등의 소비로 인한 물 또는 자연자원의 고갈문제, 자연서식지의 파괴 및 기후변화의 가속화 그리고 생물다양성의 감소에 이르기까지, 환경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시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과밀집 형태의 농장운영을 운송수단, 에너지 등과 함께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맥락에서 미국은, 청정수질법(CWA) 하에서 점오염원의 하나로서 밀집형가축사육시설(CAFOs)의 개념을 인정하고 EPA가 관련 규칙을 제정하여 CAFO에 대한 규제를 하거나 혹은 각 주에서 규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비록 미국 청정대기법(CAA)에는 CAFO에 관한 개념이 없지만, 한국보다 다소 넓은 범위의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미국의 시민 소송제도에 의해 해당시설의 배출에 대한 환경단체 등의 소송을 통한 이의제기로 인하여 사실상 시설에 대한 오염통제가 가능하다. 이에 반해, 한국의 현행 법체계에서는 이러한 과밀집형식의 농장운영이 대기 및 수질오염 등의 배출오염원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상의 개념정립 조차 불비한 상황이다. 현행 「대기환경보전법」의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제` 규정을 CAFO에 적용하려고 하여도 우리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법상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CAFO를 하나의 점오염원으로서 통합하여 규제할 수 없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현행 가축분뇨법에서도 CAFO의 개념은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기존 과밀집형가축사육시설들의 규제를 위하여 「대기환경보전법」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와 관련된 부분에서 밀집형가축사육시설(CAFO)의 개념을 규정 속에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수질환경법인 가축분뇨법에서도 CAFO에 대한 별도의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 운영되는 가축사육시설에 대해서는 환경영향평가제도를 통하여 과밀집가축사육을 제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가축사육시설 내에서의 가축의 마릿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법제 정비가 필요하다. Livestock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virtually all aspects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atmosphere, climate change, soil, water quality and biodiversity. In particularly,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CAFOs) and/or factory farming with industrialized and commercialized farming operations are having negative impacts to the whole rang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problems that create significant threats to public health, pollute the air and water for animals generating enormous amounts of solid, liquid and gaseous wastes. Because Intensive confinement operations are also require large amounts of water and grain, the expansion of factory farming has exacerbated the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factory farms also undermine biodiversity by facilitating the destruction of natural habitat, accelerating climate change. For those reasons, densely popul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are recognized as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ound the world, along with sectors of transportation and energy. CAFO is accepted as one of the non-point sources under the United States Clean Water Act(CWA). The EPA therefore has enacted relevant rules to regulate CAFOs or allows states to enforce regulations. Although there is no concept of CAFO, as in CWA, under the US Clean Air Act(CAA), US citizens` suits, which acknowledge, to some extent, a broader scope of standing to sue than that of Korea, enable environmental groups or citizens to appeal against CAFOs. So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control the pollution of th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 does not even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law on the current legal system in Korea even though factory farming is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atmospheric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regulate existing concentrated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concept of CAFO within the `Chapter Ⅱ Regulation of Emissions of Air Pollutants in Places of Business, etc` under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of Korea. Furthermore, the provisions related to CAFO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ct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Livestock Excreta. And, to regulate new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densely popul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by u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Ultimately the environmental legal system in Korea should be developed to limit the number of livestock in the animal breeding facilities.

      • KCI등재

        울펀든 원칙의 몇 가지 문제와 하트-데블린 논쟁

        안준홍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가천법학 Vol.13 No.2

        The Wolfenden report provoked the famous Hart-Devlin debate on the n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morality.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criminal law should not engage in private morality unless public interest matters,” the report recommended decriminalization of some homosexual acts. Regarding prostitution, however, anti-lib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strengthen the components of the relevant criminal law and increase the sentence in order to expel sex-selling women from the streets.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ether the Wolfenden principle itself has the potential for such anti-liberal use by reviewing and answering follow ing questions: [Q1] Can the Wolfenden principle be used regardless of the moral assessment of the behavior in question? [Q2] Is the Wolfenden principle a useful guide in identifying free areas where criminal law cannot be involved? [Q3] Can the Wolfenden principle be used regardless of liberalism? After reviewing how Devlin and Hart dealt with these issues,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ⅰ) It is difficult to use the Wolfenden principle without the moral assessment of the behavior in question. (ⅱ) The Wolfenden principle is not a useful guide in identifying free areas where criminal law cannot be involved. (ⅲ) The Wolfenden principle can be used regardless of liberalism. And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conclusions listed (ⅰ) to (ⅲ) above, the following points have also been recognized: (ⅳ) In both Devlin’s and Hart’s arguments, [Q3] was not paid proper attention. (ⅴ) The conclusions listed (ⅰ) to (ⅲ) above are likely to be applicable to ‘the Simple Harm Principle’ isolated from J.S. Mill’s On Liberty or his moral theory. 울펀든 보고서는 법과 도덕의 규범적 관계에 관하여 유명한 하트-데블린 논쟁의 계기가 되었다. 그 보고서는 “공익에 반하지 않는다면, 사적인 도덕문제에 형법이 관여할 수 없다”는 원칙에 기초하여서, 성인들이 합의하여 사적으로 행하는 동성애행위를 비범죄화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성매매에 관하여는 성판매여성들을 길거리에서 내쫓기 위하여 관련 형사법의 구성요건을 강화하고 형량을 높이는 반(反)자유주의적인 권고를 하였다. 이 연구는 울펀든 원칙 자체에 그런 반(反)자유주의적인 사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다음의 문제들을 검토해서 답하고자 한다. [문제1] 울펀든 원칙은 문제되는 행위에 대한 도덕적 평가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 [문제2] 울펀든 원칙은 형법이 관여할 수 없는 자유로운 영역을 확인하는 데 유용한 지침인가? [문제3] 울펀든 원칙이 자유주의와 무관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가? 데블린과 하트의 논변에서 이 문제들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보고나서 이 문제들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에 이르렀다. (ⅰ) 울펀든 원칙은 문제되는 행위에 대한 도덕적 평가와 무관하게 사용되기 어렵다. (ⅱ) 울펀든 원칙은 형법이 관여할 수 없는 행위영역을 확인하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없다. (ⅲ) 울펀든 원칙은 자유주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음도 논증하였다. (ⅳ) 데블린과 하트의 논쟁에서는 [문제3]이 소홀히 다루어졌다. (ⅴ) (ⅰ)~(ⅲ)의 결론은 밀의 『자유론(On Liberty)』이나 도덕이론에서 해악원칙만을 떼어낸 ‘단순한 해악원칙(the Simple Harm Principle)’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 루마니아 신화에 내재된 민간신앙과 동방정교의 문화적 융합 양상

        이호창(Lee, Ho-Cha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루마니아 땅에 보편 종교인 크리스트교가 전파된 것은 지금부터 약 2000여 년 전의 일이다. 예수의 12제자 중 한 명인 안드레이가 흑해변의 도브로제아(Dobrogea) 지방에서 예수의 복음을 전했다는 기록과 기념물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다. 하지만 크리스트교의 전래 역사가 오래 되었다고 해서 고대의 민간 신앙이나 그것과 연관된 다양한 민속 전통들까지 모두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크리스트교의 종교체계 아래로 흡수되어 그 자취를 완전히 감추어 버린 것은 아니었다. 루마니아에서는 오히려 현재까지도 고대의 신앙과 풍습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되는 여러 속신, 미신 등의 민속 문화들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크리스트교가 초월적인 삶의 문제는 해결해 주었지만 현세적인 삶의 문제는 거의 해결해 주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크리스트교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원죄를 대속할 것을 약속했고, 예수의 재림을 통해 인간에게 영생을 줄 것을 약속하는 등, 영적인 근본 문제들에 대해서 해결책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인간들이 현세에서 겪는 소소한 질병이나 수시로 변하는 육체적 불만, 기후의 변화에 따른 불안감 등을 해결하는 방안은 개인적인 기도 외에는 딱히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민간 신앙과 민속 의례들은 주술이라는 방법을 통해 소소한 질병들을 치유하거나 육체적 불만을 위무하는 가능성을 제시했고, 기우제나 희생제의 등을 통해 기후 변화에 따른 불안을 진정시키고 풍작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초월적이고 영적인 문제에 관여하는 보편 종교와 현세적이고 육체적인 문제에 관여하는 민속 신앙은 서로를 보완하면서 융합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루마니아 인들의 이와 같은 삶의 방식은 루마니아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신화들의 내용 속에서도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즉, 신화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 속에 보편 종교인 동방정교의 영향 뿐 아니라 민간 신앙의 영향이 강하게 융합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미르체아 엘리아데에 의하면 고대의 신화들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모습만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뿐이라고 한다. 신화는 중세 이후의 보편종교, 철학, 과학 등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어 버린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그들의 뒤편에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루마니아의 시골마을 사람들은 아주 오래전에 이미 기독교화 되었다고는 하지만, 고대로부터 이어온 전통들까지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 기독교로의 개종은 종교 간의 공존과 융합을 가져다주었을 뿐이다. 일부 도시화된 곳에서는 크리스트교에 의해 고대의 신화와 이교도 신앙들은 모두 배척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고대의 신들은 아직까지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루마니아의 예를 들자면, 불멸을 가르쳤던 다치아의 잘목시스는 영원한 생명과 구원을 약속한 예수로, 벤디스 여신은 성모 마리아로, 천둥과 번개의 신이었던 트라키아의 제벨레이지스는 성 엘리야로, 카발레룰 트락은 성 게오르게로, 동물들을 다스렸던 이름 모를 신은 성 베드로로 그 모습을 바꾸었다. 그러나 트라키아와 다치아의 신들은 크리스트교 성인들의 이름 뒤편에 숨었을 뿐이지, 아직까지도 그 힘을 고스란히 발산하고 있다. 루마니아의 거의 모든 문화 양식이 외면적으로는 크리스트교화 되었지만, 내면적으로는 고대의 민간 신앙을 계승한 신화-의례적인 민속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One of the feature of Romanian culture i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Orthodox doctrine and ancient myths. Although the dominant religion in Romania is the Orthodox and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Romania was a long history, traditional believes derived from ancient paganism has not disappeared. As such, far from coinciding with the story in the Book of Genesis, the Romanian cosmogony is largely dualist in nature, depicting the Earth as the common opus of God and the Devil, imagined as counterparts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rather than in the biblical way. This cosmogony says that man’s desire is to give a purpose to every thing and being in order to gain full harmony. In Romania, the ancient gods have had Christian saints' names but their nature power, which is believed from ancient time, still inspire Romanian peasant's spirituality. For examples, Jesus replaced Zalmoxis in Dacia as the Savior, Elijah replaced Gebeleizis as god of the thunder and rain, Gheorghe replaced Cavalerul Trac as the god who expel evils, the Holy Mother Maria replaced Bendis in Trachea or Diana from Roma as goddess of management, Saint Peter replaced anonymous god for wild animals. Whereas in Southeastern Europe inclusive of Romania, Church has been imbued with so many cosmic symbols. The religious experience peculiar to the rural populations was nourished by what Mircea Eliade called, “Cosmic Christianity”. Cosmic Christianity is a peasant-centered religion with its array of cosmic liturgies and religious folklores. It is not a paganization of Christianity and is not expressed by a scholastic theology. It is a popular theology that is built 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easonal festivals and religious folklore, which reflect the life of the common folk. Thus, cosmic symbols of folkloric themes are passed on to the Church, which gave them sacramental meaning. Eliade explains Cosmic Christianity of the rural population in Romania as being dominated by 'nostalgia for a Nature sanctified by the presence of Jesus'. Romanian Cosmic Christianity is inherited ancient mythological thinking that god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in unity.

      • KCI등재

        도덕의 법적 강제에 대한 논쟁과 헌법재판소의 결정

        최봉철(Choi Bong-Chul)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성균관법학 Vol.18 No.3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o analyze the debates on the legal enforcement of morality which have done in England. This part includes the theories and arguments of J. S. Mill and J. F. Stephen in the 19th century and those of the Wolfenden Report, P. Devlin and H. L. A. Hart in the 20th century. The other is to review the decision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elevant to the theme of the legal enforcement of morality, and to criticize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hold the criminal law provision punishing adultery to be constitutional.<BR>  In the former part, I maintained that the debat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ncludes Mill, the Wolfenden Report and Hart, and the other Stephen and Devlin. Among them, Mill’s position is the most controversial, but as Hart interpreted him, he did not oppose paternalism very much.<BR>  In the latter part, I focused my analysis on the reasoning in the adultery case. The Court declares that the government may punish only such an act that infringes right of others. It should not punish such an act that merely violates sexual morality. In addition, the Court upholds that if the state punish such an act, the punishment should be supported by legal consciousness. It concluded that adultery was an act that infringed rights of others and whose punishment was supported by the legal consciousness.<BR>  It is dubious whether adultery infringes the rights of others. I think that some members of our society feel it does while not a few members feel on the contrary. In addition, insofar as the Court induces the support of legal consciousness as the practical criteria of punishment, it should be used as a criteria restricting the exercise of the government power. Is it justifiable for the government to punish adultery in case that the 60% of legal consciousness judges that it infringes rights of others? The criteria should be interpreted to demand an overwhelmingly high degree consensus for punishment.

      • KCI등재후보

        에너지다소비건물의 에너지사용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서동현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3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8 No.1

        Characteriz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t the level of nationwide per building type is mandatory data-base for developing building energy policies, 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low or zero energy buildings, etc. This DB is also very valuable for developing benchmark building model for detailed 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building energy labelling program of Korean government which uses computer simulation tool. However, there is no such a DB that is well organized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None the less, Energy Consumption Survey (KEEI, 2012) is the most available DB to obtain energy consumption features of national building stock. The DB only for Large Buildings (defined by government that use over 2,000 TOE per year) is re-defined for building energy labelling program’s EUI definition with some additional analysis such as end-user break-down and monthly energy use. The result shows that high-rise apartment building and university campus are satisfying national building energy labelling program and the others are out of criteria by using over 700 kWh/m2-yr. Relative to the various and vast data base in the Energy Consumption Survey, useful data for characteriz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is very lim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