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inematic GPS 측량의 고정점 대체 방안 연구

        이은수(Lee Eun Soo),엄대용(Um Dae Y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현재 static GPS 자료처리의 고정점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GPS 상시 관측소 데이터를 보간하고 보간된 데이터를 kinematic GPS 자료처리의 고정점으로 대체하려는 것이다. 기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보간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NGS 7차 보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간값을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보간값과 본 연구에서 산출한 보간값이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개한 보간 알고리즘의 전개는 오류가 없음이 재차 확인되었다. 차수별 보간 정확도의 재검증에서 3차 구간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기 때문에 3차 보간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kinematic GPS 자료처리를 통해 고정점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interpolate the GPS permanent site data that are being currently utilized only as a fixed point for static GPS data processing, and to substitute the interpolated data by a fixed point for kinematic GPS data processing. Interpolation values were computed using a NGS 7<SUP>th</SUP> interpolation program to recheck the accuracy of developed algorithms, and the computed interpolation values appeared to coincide with the interpolation values calculated in this research. Therefore, it was confirmed again that there was no error in the interpolation algorithm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re-verification of interpolation accuracy by orders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the 3<SUP>rd</SUP> section, so the 3<SUP>rd</SUP> interpol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kinematic GPS processing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interpolated data can be substituted as a fixed point.

      • 加味枳朮丸 및 保和丸이 損傷된 肝組織에서의 膠原質生成 및 肝細胞再生에 미치는 影響

        金成桓,姜秉淇 圓光大學校 韓醫學硏究所 1997 원광한의학 Vol.7 No.1

        肝硬變症은 상당량의 肝細胞의 消失과 血管彎曲을 同伴하는 綱狀組織의 虛脫과 織維組織增殖 그리고 殘存 肝細胞群의 再生結節을 特徵으로 하는 모든 形態의 慢性肝疾患으로서 여러 原因으로 肝炎이 發生하고 慢性肝炎으로 移行되어 肝細胞 및 組織構造가 破壞되어 肝細胞 壞死後에 結合組織의 生成을 誘發하여 肝職維化가 進行되어 發生하는 疾患이다. 韓醫學에서는 肝硬變이 積聚, 鼓腸, 單腹脹, 비괴, 黃疸의 範疇에 들어 있는데 病因은 濕熱이나 肝鬱등이 日久하여 肝脾가 損傷되어 氣滯血瘀로 因하여 氣血이 瘀結하여 發生한다고 한다. 여기서의 瘀滯의 槪念은 肝構造의 細胞代謝障碍 肝織維素의 增殖等과 一致한다고 여겨진다. 加味枳朮丸은 食積, 酒積, 茶積, 肉積 等의 諸積症에 쓰이는 處方이고, 保和丸은 飮食所傷으로 적취비괴증에 쓰이는 處方으로서 이 두 處方은 氣血瘀結로 인한 積聚症에 應用할 수 있으므로, 慢性 肝疾患에도 有效할 것으로 思料된다. 膽道結紮 및 DMN으로 肝炎 및 肝硬變證을 誘發한 후 加味枳朮丸과 保和丸을 投與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膽道結紮로 인한 血淸 total bilirubin 과 direct bilirubin의 上昇은 保和丸을 投與한 實驗群 모두에서 抑制되었으며 두 處方간의 差異는 보이지 않았다. 2. 膽道結紮로 인한 血淸 AST의 上昇은 加味枳朮丸과 保和丸을 投與한 實驗群 모두에서 抑制되는 樣相을 보였으며, 특히 加味枳朮丸을 投與한 實驗群에서 抑制效果가 더 좋았으나 그 差異는 크지 않았다. 3. 膽道結紮로 인한 血淸 ALT의 上昇은 加味枳朮丸을 投與한 實驗에서 抑制되었으며 加味枳朮丸의 抑制效果가 保和丸보다는 좋았다. 4. Dimethylnitrosamine의 腹腔注射 後 誘發된 肝損傷에서 血淸 AST의 上昇은 加味枳朮丸과 保和丸 모두에서 抑制되었으며 加味枳朮丸의 抑制效果가 더 좋았으나 그 差異는 크지 않았다. 5. Dimethylnitrosamine의 腹腔注射 後 誘發된 肝損傷에서 血淸 ALT의 上昇은 加味枳朮丸과 保和丸을 投與한 實驗群 모두에서 抑制되는 樣相을 보였으며 두 處方間의 差異는 볼 수 없었다. 6. 膽道結紮과 Dimethylnitrosamine으로 誘發한 肝損傷으로 因하여 肝組織내의 hydroxyproline量의 增加는 加味枳朮丸과 保和丸의 投與로 모두 抑制되는 效果를 보였으며 두 處方間의 差異는 볼 수 없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nd anticirrhotic effects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on the liver cirrhosis or fibrosis induced by prolonged bile duct ligation; a new experimental model for cirrhosis and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methylnitrosamine in the rat. The development of fibrosis or cirrhosis and its inhibition by the two prescriptions were examined by the chemical analysis of AST, AST, and hydroxyproline,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increase of serum asparate aminotransferase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was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2. The increase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in rats was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3. The increased level of serum AST and ALT induced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methylnitrosamine was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4. The increasing level of hydroxyproline volume in the damaged liver tissues in rat were decreased by the oral administgration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extra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hibition rat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5.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damaged liver tissue and immunohistchemical observation of bromodeoxyuridine in the liver tissue of rats showed the significantly hepatoprotective effects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extract, and revealed the regenerative effects of Gamijichulwhan and Bowhawhan extract on the damaged liver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and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methylnitrosamine.

      • KCI등재

        이미지센서를 위한 조도에 따른 보간 기법의 성능 평가와 이를 이용한 가변적 보간 기법

        김병수 ( Byung-su Kim ),백두원 ( Doowon Pai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베이어패턴을 가지는 보간 알고리듬들을 조도에 따른 성능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보간 알고리듬으로는 양선형 컬러 보간 기법과 적응형 퍼지 컬러 보간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실험 결과 저조도하에서는 양선형 컬러 보간 기법에 미디언 필터를 적용한 보간 기법이, 고조도하에서는 적응형 퍼지 컬러 보간 기법이, 그리고 그 사이의 조도 하에서는 양선형 컬러 보간 기법이 우수한 영상을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응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조도에 따라서 각각 다른 보간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간하면 다양한 조도 하에서도 향상된 화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interpolation algorithms for Bayer patterned image sensors under the various illumination intensities. As the interpolation algorithms, we used bilinear color interpolation and adaptive fuzzy color interpolation and our experimentation shows that performance of interpolation algorithms depend on the lighting conditions; in low intensity of illumination, bilinear color interpolation with median filter performs best, in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adaptive fuzzy color interpolation performs best, and in between bilinear color interpolation performs best. This study suggested an interpolation scheme which applies different interpol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input image, resuting in the better image quality.

      • KCI등재

        인접 픽셀들의 특성을 이용한 보간 영상의 화질 개선 기법

        정수목(Soo-Mok J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1

        보간 기법이 영상 확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간 기법을 사용하여 확대한 영상은 입력 영상의 픽셀들과 입력 영상의 픽셀들을 사용하여 보간 된 픽셀들로 구성된다. 선형적인 값을 갖는 보간 픽셀 값들은 실제 영상의 특성인 지역성을 갖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실제영상에 존재하는 지역성을 갖도록보간 픽셀들을 추정하면 확대 영상은 실제 영상에더욱 가깝게 된다. 입력영상에 존재하는 인접 픽셀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보간을 수행함으로 보간픽셀들이 지역성을 갖도록 하여 확대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효율적인 보간 기법이 본 논문에서 제안되었고 제안된 기법을 사용하여 확대한 영상의 화질이 향상되었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여 확대한 여러 영상들의 PSNR 값들이 기존의 보간 기법들을 사용하여 확대한 영상들의 PSNR 값들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Interpolation schemes are used widely in image magnification. Magnified image generated by interpolation scheme is composed of the known pixels in input image and the interpolated pixels estimated from the known pixels in input image. So, as the interpolated pixels are estimated to have locality which exists in real images, the magnified image is much closer to the real image. In this paper, an efficient interpolation scheme was proposed to provide locality for the interpolated pixel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djacent pixels in input image. The quality of magnified image using the proposed scheme was improved. In experiment,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wa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e PSNR's of the magnified images generated by the proposed scheme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magnified images generated by the previous interpolation methods.

      • KCI등재

        원형 머리 모델을 이용한 머리 전달 함수의 보간

        이기승,이석필,Lee, Ki-Seung,Lee, Seok-Pil 한국음향학회 2008 韓國音響學會誌 Vol.27 No.7

        본 논문에서는 머리 전달 함수에 대한 새로운 보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각 방위각에 대한 머리 전달 함수의 충격파 응답이 인접 방위각에 대한 시간 지연된 충격파 응답의 선형 보간으로 주어진다고 가정하였다. 각 방위각에 대한 충격파 응답의 시간 지연은 방위각, 머리의 물리적 형태, 음원과 머리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는 귀와 음원간의 전파시간과 최소 자승 오차를 갖도록 하는 교정값의 합으로 주어진다. 또한 제안된 모델에서는 보간 시 방위각의 간격을 고정 간격이 아닌 가변 간격으로 하였으며 본래 충격파 응답과 보간된 충격파 응답이 본래의 충격파 응답과 비교하여 청취 상으로 큰 차이가 느껴지지 않고, 보간에 필요한 충격파 응답의 재수가 최소화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하였다. 제안된 보간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미 헤드 및 3명의 사람으로부터 측정된 머리 전달 함수에 대해 제안된 보간 모델을 적용하였다 머리 전달 함수는 0도의 고도각을 갖는 수평면을 5도 간격의 방위각으로 분할한 총 72개가 사용되었으며, 실험 결과 전체 머리 전달 함수 중 단지 $30\sim40%$ 만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보간에 의해 얻어진 머리전달 함수를 사용하더라도 청취상의 음원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new interpolation model for the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was proposed. In the method herein, we assume that the impulse response of the HRTF for each azimuth angle is given by linear interpolation of the time-delayed neighboring impulse responses of HRTFs. The time delay of the HRTF for each azimuth angle is given by sum of the sound wave propagation time from the ears to the sound source, which can be estimated by using azimuth angle, the physical shape of the underlying he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sound source, and the refinement time yielding the minimum mean square error. Moreover, in the proposed model, the interpolation intervals were not fixed but varied, which were determined by minimizing the total number of HRTFs while the synthesized signals have no perceptual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signals in terms of sound location.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interpol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the several HRTFs that were obtained from one dummy-head and three human heads. We used the HRTFs that have 5 degree azimuth angle resolution at 0 degree elevation (horizontal plan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using only $30\sim40%$ of the original HRTFs were sufficient for producing the signals that have no audibl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ones in terms of sound location.

      • KCI등재

        소득집중도와 소득분포함수

        윤종인 통계청 2018 통계연구 Vol.23 No.2

        Piketty and Saez(2003), Kim(2012) estimate the top income shares by Pareto interpolation. We estimate the top income shares by Pareto and Lognormal interpolation. Also,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two interpolations, we estimate the top income shares of percentiles which is known, and then compare the estimated top income shares to the known top income share. If the estimated top income shares by Lognormal interpolation fits the known top income share better than those by Pareto interpolation, we can conclude that Lognormal intepolation is better than Pareto interpolation.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timates of the top income shares by Pareto and Lognormal interpolation show similar trends and have risen recently. Second, estimates of the top income shares by Lognormal interpolation are lower than those by Pareto interpolation. Third, the estimated top income shares by Lognormal interpolation fit the known top income shares better than those by Pareto interpolation. We conclude that estimates by Lognormal interpolation is better than those by Pareto interpolation but differences between them is not so large. Piketty and Saez(2003), 김낙년(2012)은 파레토 보간을 이용하여 소득집중도를 추정한다. 본 연구는 이에 더하여 자연대수 정규분포 보간을 이용하여 소득집중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두 보간법의 성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소득집중도가 알려진 소득계급에 대하여 두 보간법을 이용하여 소득집중도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두 보간법 중 어느 것이 알려진 소득집중도에 더 잘 부합하는가를 비교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레토 보간과 자연대수 정규분포 보간을 이용하여 추정한 소득집중도의 추이는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두 추정치 모두 최근까지 상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파레토 보간을 이용한 소득집중도 추정치는 자연대수 정규분포를 이용한 추정치보다 크다. 셋째 자연대수 정규분포 보간을 이용한 소득집중도 추정치가 파레토 보간을 이용한 것보다 실제 소득집중도에 더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집중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자연대수 정규분포 보간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레토 보간을 이용한 소득집중도가 크게 과대 추정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 KCI등재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박종철 ( Jong Chul Park ),김만규 ( Man Kyu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3 가지 보간 방법으로 생산한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보간된 강수 자료를 생태환경모델링, 수문모델링, 기후변화 영향평가 등의 연구에서 이용할 때 보간 방법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연구에는 기후변화정보 센터에서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으로 작성한 강수 자료와 본 연구에서 공동크리깅과 역거리가중법으로 작성한 강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보간된 강수 자료의 공간해상도는 1㎞이다. 보간 방법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강수량의 차이는 대체로 산지 유역의 자료에서 크다. 특히 군사분계선 주변과 소백산, 월악산, 덕유산, 지리산, 태백산지의 강수 자료에서 보간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월강수량의 차이는 약 10~20%, 또는 그 이상이었다. 이는 이 지역의 연구에 보간된 강수 자료를 이용할 때 연구에 채택한 보간 방법에 따라 최종 결과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three interpolation methods. The differences of precipitation caused by interpolation methods is an important information when the interpolated precipitation data sets were used in researches such as ec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ing as well as regional climate impact studies. In this study, the precipitation data sets were produced by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and Cokriging in this study and the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data set obtained from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of Korea.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precipitation data is 1㎞. As a result, there was a great precipitation difference caused by interpolation methods in data of mountainous watersheds in general.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monthly precipitation was 10~20% or more in the mountainous watersheds near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dividing North and South Korea, Mt. Sobaik, Mt. Worak, Mt. Deogyu, Mt. Jiri and Taeback Mountain Range. It means that a final result of a research can be affected by adopted interpolation method when an interpolated precipitation data set is used in the research for the these study sites.

      • KCI등재

        ‘보다’와 ‘간(看)’의 인지의미와 대역 관계 연구

        노금송 ( Lujinsong ),정향란 ( Zhengxiangl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8

        본고에서는 ‘보다’와 ‘看’의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를 비교 분석하고 그들 의미의 대응관계를 살펴본 기초 상에서 병렬코퍼스를 이용하여 ‘보다’와 ‘看’의 실제 대역 양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보다’와 ‘看’은 사물의 대상에 대한 시각적인 접촉 즉 ‘목격’의 원형의미를 공동으로 갖고 있으며 ‘감상’, ‘열독’, ‘수호’, ‘고려’ 등의 확장의미에 있어서도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다. 이런 원인으로 인해 병렬코퍼스에서 추출된 총 240개의 ‘보다’ 용례에서 무려 전체의 61%를 차지하는 147개의 용례에서 ‘보다’가 ‘看’으로 대역이 되어 압도적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보다’와 ‘看’은 ‘목격’, ‘감상’, ‘열독’, ‘만남’, ‘보살핌’, ‘관찰’, ‘수호’ 등 확장의미에서 ‘看’이나 ‘看’의 유사 계열 동사인 ‘见’, ‘望’, ‘视’, ‘注视’, ‘凝视’, ‘瞥’, ‘瞟’ 등과 대응 관계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대역 결과는 문법적 언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어휘적 언어에 속하는 중국어의 언어 특성과 문학 작품의 문체적 효과 등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구어 텍스트 번역에서 저자의 화용론적 전략 부분도 반드시 고려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totypical meanings and extended meanings of the Korean word‘보다’and the Chinese word‘看’.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generality and differences, it mak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orresponding translation of the two words by utilizing the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Both‘보다’and ‘看’have the common prototypical meanings, with the implications of “seeing with one’s own eyes”, which refers to the visual contact activity taking the objects as targets. They have similar extended meanings in terms of “watch”, “read”, “guard”, “consider” etc. Through analyzing the 240 pairs of example sentences from the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147 sentences, accounting for 61% of the total, have been translated as “see”, which implies the prominent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words. In terms of the extended meanings such as “witness”, “watch”, “read”, “encounter”, “fend for”, “observe” and “guard”,‘보다’and‘看’are either translated correspondingly or the word of‘보다’is translated as the synonyms of‘看’, such as “catch sight of”, “look over”, “look at”, “gaze at”, “stare at”, “peer” and “glance” etc.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when it involves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the translator would usually take the stylistic effect of the target language-Chinese and its parataxis feature into account. While compared with the written language,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should consider more about the author’s pragmatic strategy.

      • KCI등재

        한국어 "보다"와 중국어 "간(看)"의 의미항목 대비

        김종호,이민혜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0

        韓語‘보다’和漢語‘看’都具有‘使視線接觸人或物’的本義, 竝且都是一個具有極强語義擴展性的高頻動詞. 特別是一些高頻動詞, 使用頻率越高, 語義的發展線素越□富, 其義項越多. 韓語‘보다’不僅在其基本意義上與漢語的‘看’相似, 而且也經曆了□多發展變化, 引伸出□多不同的的義項. 這些義項不僅在基本意義上具有相同的意思, 同時也有不同的意思, 在韓中兩國的語言中, ‘보다’和‘看’卽有共性語義內容, 也有屬於各自民族的個性語義內容. 本文主要通過《표준국어대사전》和《現代漢語詞典》來分析韓語‘보다’和漢語‘看’相同的義項和不同的義項, 以便更好地展現□們各自的語義特點. 根據這兩本詞典的比較總結出來的韓語‘보다’和漢語‘看’的主要共同點和不同點如下. 一,韓語‘보다’和漢語‘看’都具有‘使視線接觸人或物’的本義, 而且兩個動詞都在換喩方法下從本義擴張成爲多意詞. 二,韓語‘보다’和漢語‘看’都從具有具體性的意義擴張成爲具有抽象性的意義. 以上總結的是韓語‘보다’和漢語‘看’的共同點, 接下來的是兩個動詞的不同點, 一,韓語‘보다’和漢語‘看’在意義擴張的多種類型中賓語具有的屬性類型不同. 韓語‘보다’具有[+人物], [+事物], [+具體], [+抽象], [+受事]的意義特征, 漢語‘看’具有[+人物], [+事物], [+具體], [+抽象], [+受事], [+施事]的意義特征. 二,在漢語‘看’的義項中可以發現‘觀察’義項包括較多的詞意解釋和例子, 比如:觀察, 認爲, 判斷, 發現, 機會, 缺點, 問題, 結果等等. 這些義項的特點□明顯, 本文提出要詳細地分爲恰當的義項.

      • KCI등재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박종철,김만규,Park, Jong-Chul,Kim, Man-Kyu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3 가지 보간 방법으로 생산한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보간된 강수 자료를 생태환경모델링, 수문모델링, 기후변화 영향평가 등의 연구에서 이용할 때 보간 방법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연구에는 기후변화정보센터에서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으로 작성한 강수 자료와 본 연구에서 공동크리깅과 역거리가중법으로 작성한 강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보간된 강수 자료의 공간해상도는 1km이다. 보간 방법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강수량의 차이는 대체로 산지 유역의 자료에서 크다. 특히 군사분계선 주변과 소백산, 월악산, 덕유산, 지리산, 태백산지의 강수 자료에서 보간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월강수량의 차이는 약 10~20%, 또는 그 이상이었다. 이는 이 지역의 연구에 보간된 강수 자료를 이용할 때 연구에 채택한 보간 방법에 따라 최종 결과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three interpolation methods. The differences of precipitation caused by interpolation methods is an important information when the interpolated precipitation data sets were used in researches such as ec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ing as well as regional climate impact studies. In this study, the precipitation data sets were produced by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and Cokriging in this study and the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data set obtained from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of Korea.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precipitation data is 1km. As a result, there was a great precipitation difference caused by interpolation methods in data of mountainous watersheds in general.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monthly precipitation was 10~20% or more in the mountainous watersheds near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dividing North and South Korea, Mt. Sobaik, Mt. Worak, Mt. Deogyu, Mt. Jiri and Taeback Mountain Range. It means that a final result of a research can be affected by adopted interpolation method when an interpolated precipitation data set is used in the research for the these study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