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Optimum Aging Condition in the Percolation Phenomenon in the Preparation for Electrochromic Glasses

        Dong Soo Choi,Sunghee Kim,Jaehwa Kim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2

        목적: 스마트 안경은 안경과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효과적인 융합을 잘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스마 트 안경의 더 발전한 형태로, 전압에 의해 능동적으로 변색되는 안경의 제조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졸-겔 법에 의한 전기 변색 박막의 제조 과정에서 퍼콜레이션(percolation) 이론을 도입하여, 최적의 aging 조건을 찾아 전기 변색 코팅 박막 제조의 토대가 되고자 한다. 방법: 졸-겔 법을 이용하여 육 염화 텅스텐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전기 변색 용액을 제조하였다. Aging에 따른 용액의 특성을 분석하고, ITO glass위에 전기 변색 박막을 코팅한 후, 리튬이온 기반 전해질을 이용하여 전기 변색 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졸-겔법으로 제조된 전기 변색 용액은 aging에 따라 텅스텐과 산소의 결합이 달라지며, 이것을 적 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WO3/ITO glass의 가시광선 전 영역의 광 투과도(시감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aging에 따라 변색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percolation이 충분히 진행되기 전 샘플의 경우, 광 투과도 가 착색 시 43.0 %, 탈색 시 63.6 %로 1.10의 가장 높은 광밀도를 보였다. 또한, aging이 충분히 진행된 후의 샘플은 착색 시 광 차단 효과가 좋은 결과값을 보였다. 결론: 졸-겔 법에 의해 제조된 변색 용액으로 전기 변색 유리를 제작하였을 때, 용액의 aging에 따라 광 학적 특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긴 시간 aging하는 경우, 변색 효율을 가늠하는 광밀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변색효율이 좋은 렌즈가 필요한 경우, percolation 임계 점 이하의 aging 시간이 짧은 용액을 사용 하는 것이 좋으며, 진한 착색이 필요한 광학 샘플이 필요한 경우는 긴 시간 에이징한 용액으로 코팅막을 제 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코팅 박막에 대한 기초 조건의 연구가 향후 스마트 안경 등의 제작 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Smart glasses ar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wearable electronic devices and glasse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manufacture of chromic glasses actively performed by the applied voltage will be possible.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percolation threshold affected the electrochromic property in sol-gel fabrication method to optimize aging condition for the fabrication electrochromic coating. Methods : Electrochromic solution was synthesized using tungsten hexachloride and ethanol in sol-gel process. The solution samp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ging. And electrochromic properties were tested, when the ITO glass substrates were coated with electrochromic coating, using a lithium ion base electrolyte. Results : The electrochromic solution samples synthesized by the sol-gel method have different bindings of tungsten and oxygen according to aging. This samples were analyzed by infrared spectroscop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optical transmittance (luminous transmittance) of the whole visible light region of WO3/ITO glass, the aging affected the chromic efficiency. In addition, the sample that is not percolated ha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43.0 % at the colored state and 63.6% at the bleached state, with the highest optical density of 1.10 among samples. The sample that is aged for a long time turned out to be the darkest in the colored state. Conclusions : The electrochromic thin films,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were investigated their optical properties according to aging. In the case of aging for a long time, the optical density was decreased. Therefore, when a lens with good chromic efficiency is required,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ution having a shorter aging time than the percolation threshold. If an optical sample requires dark coloring, it is better to use a long-aged solution. We expect the study of basic conditions for these thin film coatings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abricating electrochromic smart glass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센환자의 변색안경 착용 전·후에 따른 자각증상의 개선효과

        이정임,이규병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Vol.17 No.3

        목 적: 한센환자에게 변색안경 착용 전, 후의 자각증상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변색안경으로 인한 눈물과 눈부심의 증상이 완화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원주에 거주하고 있는 한센환자 29명(남자 9명(31%), 여자 20명(69%), 평균연령 74.86±5.86세)을 대상으로 자각증상을 설문으로 조사하였으며 시력검사와 안경처방검사를 병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최초 상태를 검사한 후 변색안경 착용 2개월 후(23명)에 2차 문진을 통해 자각증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대상자 58안의 나안시력은 0.29±0.18이었고 교정시력은 0.44±0.21이었으며 교정효과는 22.58± 18.05%이었다. 자각증상으로 눈부심(26명), 침침함(25명), 눈의 피로(18명), 눈물(17명), 등으로 나타났으며 변색렌즈를 착용 후 자각증상의 순서는 문제없음(21명), 침침함(1명) 이물감(1명), 눈의 피로(1명)로 나타났다. 안경 착용 전 눈물흘림은 실내에서 무증상 10명, 경함 9명 중등도 9명, 심함 1명이었으며 실외에서는 무증상 10명, 경함 6명, 중등도 11명, 심함 2명이었다. 눈부심은 실내에서 무증상 5명, 경함 18명, 중등도 4명, 심함 2명으로 실외에서 무증상 5명, 경함 16명, 중등도 4명, 심함 4명이었다. 변색안경 착용 후 눈물흘림과 눈부심의 증상을 살펴본 결과 눈물은 실내에서 무증상 19명, 경함 4명이었다. 실외에서 무증상 20명, 경함 2명, 중등도 1명이었다. 눈부심은 실내에서는 전원 무증상 23명이었으며 실외에서는 무증상 22명, 경함 1명이었다. 눈의 피로는 무증상 22명, 경함 1명으로 호전되었다. 결 론: 한센환자에게 변색안경의 착용전후 자각증상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변색안경은 자각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눈물흘림과 눈부심 증상이 호전되었다. 눈물과 눈부심이 있는 한센 환자에게 변색안경의 착용은 자각증상을 개선시켜주는데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is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subjective symptoms to wear change color glasses to the Hansen patients. we evaluate to get better the symptoms of tears and glare caused by change color glasses Method: Hansen, 29 patients in Wonju (9 males, 20 females, mean age 74.86±5.86 years) were examined for symptoms to target in question was a vision exams and glasses prescription. After checking the state of the first person wearing glasses discoloration after 2 months was found a change in the secondary symptoms through a questionnaire(23 patients). Result: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9±0.18 in 58 eyes,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44±0.21, effect of visual acuity correction(EVAC) is 22.58±18.05%. First subjective symptoms was found to dazzling (26), Dim (25), eyestrain (18), tears (17), after wear change color glasses is no problem (21), Dim (1) foreign body (1), eyestrain(1). Before wear glasses, tears is no symptoms(10), mild(9), moderate(9), severe(1) in the indoor and no symptoms(10), mild(6), moderate(11), severe(2) in the outdoor. Glare is no symptoms(5) mild(18) moderate(4), severe (2) in the indoor and no symptoms(5) mild(16) moderate(4), severe (4) in the outdoors. Result of examining the signs of wear change color glasses and tear and glare, tears is no symptoms(19), mild(4) in room, it was no symptoms(20), mild(2), moderate(1) in the outdoor. weared change color glasses glare was no symptoms(23) in the room. it was no symptoms(22), mild(1) in the out door. Conclusion: Subjective symptoms of before and after wearing change color glasses to hansen patients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herefore, discoloration glasses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subjective symptoms. tears and glare became to eased to symptoms by change color glasses. Tears and glare with Hansen patients can be seen very effective to evaluates subjective symptoms.

      • 전기 변색 소자용 젤 고분자 전해질의 리툼 염 종류에 따른 효과 비교

        한태영,김석우,이후길,유명현,이용민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화석 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의 문제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건축물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전기변색소자를 사용한 스마트 창호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창호의 구성으로는 산화 환원을 통해 색이 변하는 전기변색층, 전해질, 이온저장층, 투명전극층 및 지지체로 구성된다.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 기술에 대한연구는 다양하지만 그 중 전해질에 쓰이는 리튬 염의 종류에 따라서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효율 및 변색 속도에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튬 염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효율 및 변색속도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전기변색소자의 구성으로는 작업 전극으로 WO3/ITO와 상대전극으로 NiO/ITO를 사용하였고, 전해질로 1M LiClO4, 1M LiTFSI, 1M LiFSI in PC/PEGDA(Mn:575) (7/3, v/v)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이온전도도 및 변색속도 측정, 투과도 측정을 통해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 KCI등재

        온도와 시간에 따른 변색 안경렌즈의 착색 성능에 관한 연구

        고경호,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2

        Purpose : We want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photochromic len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We are going to present basic data to photochromic lenses suppliers and consumers. Methods : The targets were 12 different types of photochromic lenses with refractive index of 1.56 and 1.60. The density of color was measured after exposed to ultraviolet radiation for one to five minutes at 20゜C, 30゜C, 40゜C, and 50゜C temperature using the thermostatic retention device. The dens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amera and the discoloration process was photographed as a movie, and the brightness of the center portion was measured using a Photoshop program (Adobe Photoshop CS5). Results : The results of exposure to ultraviolet light at 20゜C showed that changes in discoloration concentration were 69%(1 min), 76%(2 min), 78%(3 min), 78%(4 min) and 79%(5 min). The results of exposure to ultraviolet light at 50゜C were 44%(1 min), 46%(2 min), 46%(3 min), 48%(4 min) and 50%(5min). The refractive index 1.56 was 73%(1 min), 81%(2 min), 84%(3 min), 84%(4 min) and 85%(5 min), after exposed to ultraviolet radiation at 20゜C. The discoloratio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at 20゜C and at 50゜C it showed 41%(1 min), 43%(2 min), 43%(3 min), 44%(4 min, and 47%(5 min). The refractive index of 1.60 was 79%(1 min), 84%(2 min), 85%(3 min), 85%(4 min) and 85%(5 min) after exposing to ultraviolet light at 20゜C. At 50゜C, it was shown 41%(1 min), 41%(2 min), 43%(3 min), 43%(4 min) and 45%(5 min). The photochromic lenses produced by the coating method showed a discoloration concentration of 79%, and the monomer method showed a discoloration concentration of 76%. At 30゜C, the coating method was 74%, the monomer method was 72%. At 40゜C, the coating method was 68%, and the monomer method was 66%. At 50゜C, the coating method was 52%, and the monomer method was 48%. Conclusion : The concentration of discolor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for the same time. In both 1.56 and 1.60 refractive index, the discoloration concentr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20゜C). It was found that the photochromic lenses manufactured by the coating method were changed more darkly at the same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photochromic lenses manufactured by the monolithic method. 목적 : 온도가 변색렌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여 변색렌즈 공급자와 수요자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굴절률 1.56과 1.60의 변색렌즈 12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도 조절 유지 장치를 이용하여 20゜C, 30゜C, 40゜C, 50゜C 온도에서 1분에서 5분간 자외선을 조사한 후 농도를 측정하였다. 농도 분석은 변색과정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 포토샵 프로그램(Adobe Photoshop CS5)을 이용하여 중앙부분의 명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20゜C 환경에서 1분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 69%, 76%(2분), 78%(3분), 78%(4분), 79%(5분)로 나타났고, 50゜C에서 1분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 44%, 46%(2분), 46%(3분), 48%(4분), 50%(5분)로 나타났다. 1.56은 20゜C 환경에서 1분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 73%, 81%(2분), 84%(3분), 84%(4분), 85%(5분)로 나타나 온도 20゜C에서 가장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 온도 50゜C에서 41%(1분), 43%(2분), 43%(3분), 44%(44분), 47%(5분)로 나타났다. 1.60은 20゜C에서 1분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 79%, 84%(2분), 85%(3분), 85%(4분), 85%(5분%)로 역시 온도 20゜C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온도 50゜C에서 41%(1분), 41%(2분), 43%(3분), 43%(4분), 45%(5분)로 나타났다. 20゜C 환경에서 코팅방식으로 제조된 변색렌즈는 79%의 농도를 보였고, 모노머방식은 76%의 농도를 보였다. 30゜C에서 코팅방식은 74%, 모노머 방식은 72%, 40゜C에서 코팅방식은 68%, 모노머방식은 66%, 40゜C에서 코팅방식은 68%, 모노머방식은 66%, 50゜C에서 코팅방식은 52%, 모노머방식은 48%의 농도를 보였다. 결론 : 동일한 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온도가 증가할수록 변색의 농도는 감소하고, 1.56과 1.60 굴절률 모두에서 20゜C로부터 온도가 증가할수록 변색 농도가 감소하며, 모노머방식으로 제조된 변색렌즈보다 코팅방식으로 제조된 변색렌즈가 동일한 온도에서 더욱 진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현충사 옛집의 기둥 하부 변색에 관한 연 : 미생물에 의한 영향 및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정소영,서민석,홍진영,김수지,정아름,김지서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4

        일반적으로 목조문화재의 변색은 장식용 목재에서 자주 발견되는 현상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아, 이번 연구에서는 현충사 옛집을 대상으로 기둥 하부와 하방 등 지면과 인접한 목부재에서 나타나는 백색 변색 현상에 대해 목재단면 성능 조사, 미생물 조사, 현미경 관찰(SEM, 조직 분석 등)을 통해 강도 및 미생물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① 목부재 일부 구간에서 저항도가 낮게 측정되는 지점이 있었으나, 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으며, ② 변색 부위의 함수율이 정상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나, 변색부와 정상부에서 채취한 미생물 조사 결과에서는 정상부의 미생물 종류 및 미생물계수(CFU)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③ SEM을 이용한 표면관찰 결과, 500배의 배율에서 크고 작은 알갱이들이 관찰되었으며, 알갱이 부분은 탄소(C), 산소(O), 규소(Si), 칼슘(Ca) 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에서 Na, Cl 등의 성분이 미량 검출되었다. ④ 변색부 시료에 대한 조직분석 결과, 변색은 바깥쪽 표면부에 한정하여 나타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목조건축물의 부재에서 관찰되는 변색 현상은 강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미생물이나 염 등이 변색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general, it is thought discoloration on wood is frequently found in decorative wood product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white rot found lower parts of columns and baseboards of a wooden house, Hyunchungsa (shrine) to know whether microorganisms have any influence on discoloration or there is correlation with strength by investigating resistograph, occurrence of microorganisms and microscopy for analysis(SEM, tissue analysis et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①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resistograph showed there are little correlation between discoloration and strength though there was a spot indicating low resistance. ② The moisture content of discolored par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parts, but occurrence of microorganisms was less in discolored parts while more kinds of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in normal parts with high CFU(Colony Forming Unit). ③ The result of SEM (with a magnification of 500 times) on the surface of discolored parts, it was found out there are many kinds of particles in different sizes on the surface and those were composed of elements such as C, O, Si, Ca, and a small amount of Na and Cl (weight %) were detected in part. ④ The result of tissue analysis showed discoloration occurs limitedly to the outer surface of column. As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discoloration has nothing to do with strength, damage by microorganisms and salt.

      • KCI등재

        국내 유통 광변색렌즈의 퇴색속도 평가

        유동식,조현국,문병연 한국안광학회 2017 한국안광학회지 Vol.22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ading rate and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photochromic lenses. Methods: Thirty six brands of photochromic lenses were collected from 14 companies in domestic market. Transmittances (T%) of the lenses depending on time were measured within visible wavelength after activated (colored) state by UV irradiation. An UV/VIS spectrometer was used to obtain the transmittance. Fading rates were evaluated by half-life time (t1/2), and fading time to the 80% transmittance (T80%). Results: The performance of photochromic lenses was better express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olorless and colored state (ΔT%) than the change of optical density (ΔOD) and optical blocking % ratio (block %). For the t1/2 of photochromic lenses, coating method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of imbibition and casting method (one-way ANOVA, p=0.001). For the T80% of the lens with high index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middle index (student’s t-test, p=0.034), and the lens with gray color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brown color (student’s t-test, p=0.005). But the T80%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1/2. The photochromic action had a wide variety of 14.9% to 48.9% for ΔT%, 44 sec to 217 sec for t1/2, and 127sec (2′ 07″) to 3,523 sec (58′ 43″) for T80%. Conclusions: The performance of photochromic lenses based on fading rate had a large difference among brands. Therefore, the manufacture companies should provide consumer and agent with correct photochromic information (ΔT%, t1/2, T80%) in relation to fading rate. 목적: 광변색렌즈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퇴색속도와 요인들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4개 회사로부터 36개 제품의 국내 유통 광변색렌즈를 수집하였고, 자외선 조사로 변색시킨 후 가시광선 영역에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투과율은 UV/VIS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퇴색속도는 반감기(t1/2)와 투과율 80%까지 퇴색되는 시간(T80%)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광변색렌즈의 성능은 광밀도 변화(ΔOD), 광 차단율(block %)보다 투과율 차이(ΔT%) 에서 더 잘 드러났다. t1/2에서 코팅법이 침투법과 캐스팅법보다 빨랐다(one-way ANOVA, p=0.001). 광변색렌즈의T80%은 중굴절보다 고굴절에서, 갈색보다 회색에서 유의하게 빨랐다(student’s t-test, 각각 p=0.034, p=0.005). 그러나T80%은 t1/2와 상관관계는 없었다. 광변색 작용은 ΔT%에서 14.9%~48.9%, t1/2에서 44 sec~217 sec, T80%에서 127sec(2′ 07″)~3,523 sec(58′ 43″)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퇴색속도에 근거한 광변색렌즈의 성능은 각 제품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퇴색속도와 관련된 정확한 광변색의 정보(ΔT%, t1/2, T80%)를 소비자와 취급자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치열에서의 고빌리루빈혈증과 연관된 초록색 변색

        박민경,강정민,이효설,송제선 대한소아치과학회 201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4 No.3

        There are many reasons for tooth discoloration. An increase in the bilirubin level may cause tooth discolorations. Such cases are rare, but most involve tooth discoloration with a greenish hue.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describe green discoloration of the primary dentition in the presence of neonatal hyperbilirubinemia. 2 boys aged 16 and 22-months presented with chief complaints of erupting teeth of abnormal color. Their primary teeth exhibited a greenish discoloration along enamel hypoplasia. Both patients were born prematurely with a low birth weight and had been diagnosed with neonatal hyperbilirubinemia. Systematic diseases can affect the hard tissue of teeth during their formation and result in changes in tooth color. Periodic follow-ups are required for establishing a normal dental condition and meeting the esthetic needs of patients. A pediatric dentist may be the first person to observe patients with discoloration in their primary dentition. In such cases the dentist can deduce the systematic disease responsible for this discoloration. 치아 변색을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다.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도 치아변색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드문 경우이나, 대부분 초록색 변색이 보고 되었다. 본 증례는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병력이 있는 환아의 유치의 초록색 변색에 대한 것이다. 16개월, 22개월 두 남아가 맹출한 치아의비정상적인 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두 환아의 유치는 법랑질저형성증을 수반한 초록색 변색을 보였다. 두 환아 모두 저체중, 조산아였으며,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을 진단받았다. 전신적인 질환은 치아의 형성시기에 경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변색도 일으킬 수 있다. 정상적인 치아 발육과 환아의 심미적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소아치과의사는 유치열기의 변색을 먼저 관찰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례들을 통해 치과의사는 치아변색에 대해 전신적 질환을 추론할 수 있다.

      • 건물 외창용 변색유리 기술 고찰

        전윤기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주변 환경에 따라 투과도, 색상 등의 광학성능을 제어할 수 있는 변색소재 기술은 차세대 창호를 위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형태의 변색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변색, PDLC, 열변색 기술이 상용화되어 실제 건축용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 보편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성능 및 가격적인 면에서 해결할 과제가 있는 상황이다. 건축 외창용 변색유리는 태양광선에 장시간의 노출과 높은 온/습도에서도 열화되지 않아야 하고, 십수년 이상의 장기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높은 수준의 내구성이 필요하며, 또한 낮은 가격과 대면적을 실현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들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본 발표에서는 건축용 외창에 변색 유리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 및 시장 관점에서의 요구 조건과 각 변색기술 별 장단점 및 추가 개발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Abscisic acid의 처리시기 및 횟수가 포도 '거봉'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한동현,Han Dong-Hyeon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포도 '거봉'의 착색을 조장하기 위해 적절한 ABA의 처리시기와 처리 횟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AL 효소의 활성은 변색기 처리구와 변색기 10일 후 처리구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색기 10일후 처리구가 변색기 처리구보다 약간 더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 처리구 공히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ABA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훨씬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변색기 10일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당 함량에 있어서 과당과 포도당만이 검출되었으며, 처리구간에 함량의 차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처리 횟수에 있어서 PAL 효소의 활성은 각 처리구 공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회 처리구는 변색기 10일후의 2회째 처리 이후에도 급속한 PAL 효소 활성 증가가 이어져 최종수확기에서도 비교적 상당히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변색기와 변색기 10일 후의 2회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함량 증가가 가장 높아 최종수확기에 가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5배 이상, 1회 처리구에 비해서는 2배정도 많았다. 1회 및 2회 ABA 처리구 모두 과당과 포도당 함량 공히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그다지 큰 차이는 없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time and times of abscisic acid (ABA) treatment for the coloration in 'Kyoho' grapes. The L-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enzyme activities were showed highly in both ABA treatments at veraison and 10 days after veraison. However, PAL enzyme was slightly higher in ABA treatment at 10 days after veraison than in that at veraison. Anthocyanin content showed a tendency that were increased during fruit development after veraison in all treatments, and was the highest in ABA treatment at 10 days after veraison. Fructose and glucose as soluble sugars were detected by HPLC and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In times of ABA treatment, PAL activity showed a tendency that decreased after increased in all treatments. PAL activity in 2 times treatment of ABA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Also,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st in 2 times treatment of ABA, as 5 folds of control and folds of 1 time treatment of ABA. Both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in all ABA treatments was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 인가되는 전압과 시간이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태영,송성현,이후길,유명현,이용민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화석 연료 고갈 및 환경 문제로 인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법규가 지속적으로 제정됨에 따라, 스마트 창호로 언급되는 전기변색창호와 이를 제어하는 기술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전기변색창호는 착색 되어 외부의 태양광을 제어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게 되는데, 착색의 정도는 인가되는 전압 및 전압이인가되는 시간 등 운영되는 조건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기변색소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시간이 소자의 변색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극으로는 WO3와 NiO를 사용하였고, 전해질 구성으로 액체전해질 성분으로는 1M LiClO4 in PC, 가교제는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n: 575)를 사용하였으며 액체전해질과 가교제의 조성은 액체전 해질/가교제(70/30 wt%)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전기변색소자를 Solatron analyzer를 사용하여 Potentiostat 방법으로 -2.5V, -2V, -1V, 1V, 2V, 2.5V의 다양한 전압 범위 변수를 인가함으로써, 변색특성을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