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자동 번역 시스템 현황과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

        신경미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본고에서는 현재의 자동 번역 시스템을 중국어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지금의 자동 번역시스템들은 인간처럼 해당 언어를 이해하고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으로 산출해 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어의 경우 여러 가지 자체만의 특징을가지고 있어 자동 번역 시스템에서 해결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앞으로 중국어 연구도 자동 번역 시스템의 설계와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욱세밀화, 체계화 및 데이터화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 제4차 산업과 관련한 연구와 개발에 있어서 이ㆍ공계열 분야의 연구는 매우 활발하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순수 학문과 관련된 인문학 분야는 크게 기여하지 못 하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중국어 연구도 이전과 같이 완전한 순수 언어학 분야와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 번역 시스템과 같은 인공지능 기기의 연구 및개발에 일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이러한 연구에 기여했던 전산언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또 다른 순수 언어학 이론에 근거한 중국어 연구를 진행하되, 지금보다 더욱 인공지능 사업에 기여할 수 있는 과제들을 몇가지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과제들은 다시 세분화 하여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거나 다양한 다른 연구 방법을 간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들은 향후 개인연구뿐만 아니라 공동연구 과제로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explains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MTS) in relation to the Chinese language. We already know the MTS does not show a result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the language, but it merely shows the result based on the entered data. Furthermore, Chinese has many unique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be solved by the MTS. Hence, many errors occur in the MTS. Thus, in the future, Chinese studies should be more detailed and systemized in order to design an MTS for Chinese. Until now, the studies on linguistics, except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have not contributed greatly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explains that other Chinese studies as well as computational linguistics need to be changed to facilitat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some of the related projects in the hope that these projects will be conducted as a joint research project in the future. Through this paper, it is hoped that not only Chinese linguists but other linguists will also be able to conduct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 소개 및 연구 - 현황과 향후 과제 -

        응웬 티 히엔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0 No.-

        최근 “한류”라는 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전 세계에 울려 퍼지고 있지만, 한국문학은 아직까지 베트남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의 소개와 홍보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영어, 중국어, 일본어나 프랑스어와 같은 다른 언어권에 비해 베트남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한국어 문학 작품은 많지 않다. 일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문학은 한국학의 한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한국문학 연구는 한국어를 알고 모르는 두 세대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이제 양적, 질적인 면에서 한국문학 교육, 연구 및 번역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의 번역은 두 나라가 외교 관계를 수립한 1992년부터 시작되었다. 첫 단계에서 한국문학은 제 3언어를 통해 중역되었으며, 대상 작품은 몇 권의 동화(고전/민화), 또는 사회경제 분야의 서적이었다. 2000년대부터 한국문학 작품은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통해 직접 번역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과 한류의 영향으로 많은 작품이 번역 및 출판되었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의 소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 소설, 에세이, 고전, 자서전, 그림책 및 아동 도서 등 번역 장르가 다양해졌다. 베트남의 한국어 연구 인력은 한국어와 한국학 전공자들이다. 한국문화, 사회, 경제, 정치, 한국문학 등을 전공으로 한 한국학 연구자들은 여전히 기성세대(다른 전공)와 신진세대(한국학 관련 전공)로 나뉘어져 있다. 아쉽게도 한국 경제, 문화 및 사회에 대한 연구는 한국문학 연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절반 이상의 연구논문은 한국학 전공자가 아닌, 타 전공자들에 의해 집필되었다. 2010년 이후 베트남의 한국문학 연구는 이전 시기에 비해 양ㆍ질 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 한국학 출신 신진 연구자의 출현으로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논문도 주제와 방법론 면에서 다양해지고 있다. 연구영역에서도 구비문학에서 현대문학, 한국시에서 에세이, 문학이론에서 문학교육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그러나 두 연구 세대 사이에는 여전히 거리가 남아 있다. 앞으로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소개와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국내외 연구자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더 나아가 한국문학의 위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While Korean popular culture named “Hallyu” resounds through the world, Korean literature is not widely known to Vietnames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in Viet Nam are facing many difficulties. There are not many Korean literature works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Vietnamese readers compared with other languages such as Engligh, Chinese, Japanese and French. Korean literature is being taught as one subject of Korean Studies at some Vietnam Universities. Korean literature research is conducted by two different generations who know and does not know Korean language. Now it needs to improve Korean literature teaching, research and translation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Vietnam began from 1992, after two countries began diplomatic relations. However at the first stage, Korean literature was executive from the third language and only a few books, all of which were children (classic/folktale) or social and economic contents. From 2000s literary works of Korean literature began to be translated directly from Korean language in earnest. Most of works especially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under the support of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LTI) an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n Vietnam is increasing steadily from 2010. The translation genres have become diverse, including poetry, fiction, essay, classic, autobiography, picture-novel, and children books. Though Korean language researchers in Vietnam are from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major,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such as Korean culture, society, economy, politics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research are still divided into older generations (other majors) and new generations (Korean studies related major). Studies on Korean economy, culture and society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literature, and more than half of researches done by who are in other majors. Since emergence of researchers from Korean Studies major recently, number of researchers is increasing and research papers have become diversified about the subject and methodology, be extensive from oral literature to contemporary literature, from Korean poetry to essay, from literary theory to literature education.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Vietnam after 2010 accomplish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gap between two research generations. In the near future, to promote th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s, establis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networks, and raise awareness of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고전문학 : 연구번역(硏究飜譯)에 있어서 주석(註釋)에 관한 연구 -『인재유고(麟齋遺稿)』 국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동욱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8

        이 글에서는 번역의 형태를 일반번역과 연구번역으로 나누고 양자 사이의 서로 다른 점들을 따져본 뒤, 번역 형태에 따라서 주석을 어떻게 다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인재유고』의 국역 및 주석의 실례를 통해 고찰하였다. 일반번역은 일반대중을 독자로 하는 교양서적의 번역 방식으로, 직역보다는 의역에 비중을 두어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번역문체를 평이한 현대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석을 달 필요가 있는 말은 본문에 풀어 쓰거나 주석을 달 경우도 이미 검증된 사실에 바탕을 둔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으로 간략하게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다. 연구번역은 전문적인 학습자나 연구자를 독자로 하는 전문서적의 번역 방식으로, 의역보다는 적극적인 직역에 비중을 두어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이한 현대어로 옮기되 편지글이나 대화 등 옛말의 맛을 살릴 필요가 있는 경우는 의고체를 쓸 수도 있을 것이다. 주석은 이미 검증된 사실에서부터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사실까지도 가능한 한 추적하여 달아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연구번역에서 요구되는 주석의 형태를 일반주석·정보주석·연구주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미 검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붙이는 것을 일반주석이라 하였고, 일반적이거나 상식적인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용어의 경우 설명의 근거가 되는 출전을 제시하여 독자들이 한층 전문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정보주석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은 사실이거나 혹은 기왕의 주석에서 미상으로 처리되었던 것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며 새롭게 밝히는 데까지 나아가는 주석방식을 연구주석이라고 명명하였다. 本論文將飜譯形式分爲兩種: 一般飜譯和硏究飜譯。首先, 對兩者間的不同點進行了比較, 然後再根據飜譯形式飜通過『麟齋遺稿』的國譯以及注釋的實例, 考察如何才能做好注釋工作爲本文的主要硏究目的。一般飜譯主要是以一般讀者群爲對象的, 對敎養相關的書籍進行飜譯的一種飜譯模式。與直譯相比, 更注重於意譯, 飜譯的文體也較適合采用平易的現代語言。需要添加注釋的語句, 可以列在正文之中直接加以解釋說明; 有必要添加注釋時, 可通過已得到驗證的事實基礎及常識進行簡略的(必要的)處理。硏究飜譯是以專業學者以及硏究專家們爲對象的專業書籍(工具書籍)的飜譯模式, 應積極側重於直譯。飜使可以飜譯成平易的現代語言, 但當有必要生動地飜譯出信函(應用文)以及激活對古話的實際語感時, 可以使用擬古體。不僅是已得到驗證的事實, 對尙未得到驗證的事實也應該在盡可能的調硏後加以注釋。根據以上情況, 我們又將硏究飜譯中所要求的注釋分爲一般注釋、情報注釋(信息注釋)、硏究注釋三類, 幷對타們進行了分析與硏究。一般注釋是已得到驗證事實爲基礎的注釋; 而情報(信息)注釋則是對超出普通知識範圍的術語進行注釋時要提供其典故出處, 以便讀者能구進一步接觸到完整的專業知識, 打好紮實的基礎。령外, 還有一種是對尙未得到驗證及在以往的注釋中標有未詳處理的內容, 提出依據從而爲該硏究奠定참新的依據方式, 我們稱之爲硏究注釋。

      • KCI등재

        서구 한국학 연구 성과의 한글 번역과 그 의미

        이훈상(Lee, Hoon-sa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7

        이 연구는 서구의 한국학 연구 성과의 한글 번역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에드워드 와그너, 제임스 팔레, 그리고 마르티나 도이힐러 등 세 연구자의 연구 성과에 대한 필자의 번역 작업에 논의를 집중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들 세 연구자들은 서구 한국학의 토대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이들의 성과에 대한 한글번역 작업은 서구의 한국학의 새로운 시선과 만나는 데 중요하다. 이와함께 이들의 연구가 한국의 한국사 연구와의 지속적인 긴장과 비판 위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도 주목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번역 작업은 오랫동안 한국사를 포함한 한국학의 지배적인 지적 조류인 내재적 발전론을 새로운 시점에서 거리를 두고 평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필자는 이 연구를 먼저 부산 지역의 번역 실태를 살피는 작업부터 시작하였다. 번역자 자신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지식 생태계를 돌아보는 데이 작업은 중요한다고 본 것인데 이제까지 이러한 시도는 없었다. 이어 1960년대 이후 이루어진 서구 한국학 연구 성과를 한글로 옮긴 성과들도 개관하여 필자의 번역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분명하게 드러내려 하였다. 이것은 번역을 둘러싼 역사적 문화적 유산 내지는 전통이 빈곤한 한국학계를 직시하려는 노력이다. 서구의 한국사 연구는 서구의 아카데미즘에서 한국학이 정립되는 데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이것은 이들의 독창적인 시선 때문인데 번역을 통하여 그 성과를 국내 연구자들도 공유하는 것은 창의적 긴장을 통하여 한국학의 새로운 향방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 한국학의 본질화와 자민족중심주의가 강인한 국내 한국학 연구에서 서구 한국사연구의 번역이 갖는 또 다른 의미는 여기에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meanings and contributions of Hangul Translation of the Western Korean Studies. For this, Hangul Translation of Edward W. Wagner’s, James B. Palais’, and Martina Deuchler’s works became the focus of discussion at issue. As is well known, these three scholars built up the foundation of the Western Korean Studies. Naturally, Hangul translation of their works contributed for domestic academy to see its own studies with new eyes. What is important is these three scholars’ academic works were accomplished through consistent tension and criticism of domestic Korean studies. Naturally, the translations helped domestic Korean studies to keep distance from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which was dominant academic current of domestic Korean studies. After all, the significance of Hangul translation of the Western Korean studie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se Western perspectives revealed the essentialization and ethnocentricism of domestic Korean studies.

      • KCI등재

        스포츠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설문연구와 역번역 사용동향

        천버이,한준영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3

        The survey method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adopted research methods in social sciences of sport for a long time. Influx of survey questionnaires have been developed in different languages, and many domestic researchers have utilized many foreign survey questionnaires after a translation process. Or, researchers tend to use survey questionnaires that were already translated for previous studies that might lose its equivalence at a certain degree. However, many experts in translation have suggested that translating an original survey questionnaire should be a better way for establishing a proper equivalence. Given that, many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employed the back translation technique in behavioral and bio-physical sciences. Nonetheless, lack of research as to back translation have been reported in social sciences of sport. Thu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verify how many social science studies in sport utiliz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survey methods; how many social science studies of sport employed survey questionnaires from either a direct translation, a previously translated from previous literature, or a domestic survey; and, how many of the survey have utilized back translation techniques. So, 4 professional journals in social sciences of sport were selected, and 1,597 published articles of the journals from 2006 to 2016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analyses, chi-square tests, and a Kruskal-Wallis test(a=.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50.5%) and the survey (41.5%) got less chosen although many research have still frequently utilized them in social sciences of sport. Also, many pre-translated survey questionnaires with modifications from previous literature were employed instead of direct translation from an original survey questionnaire. Lastly, only the 8.6% of the journal articles using survey questionnaires employed the back transl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social sciences of study have comparatively less used the back translation, and to establish validity and reliablity of a survey study the back translation should be adopted more. 스포츠사회과학에서 설문연구는 빈번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다수의 설문지는 국외에서 개발되어 직접 번역되거나기 번역된 번역본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학자들은 원 설문지를 역번역을 통해 번역의 정확성을 기해야한다고지적한다. 이에 일반 사회과학 분야나 행동과학,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역번역의 사용이 비교적 다수 보고되고 있으나, 스포츠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사용 및 사용 동향 보고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스포츠사회과학에서 양적연구로서설문연구가 최근 어느 정도 활용되는지, 어느 정도의 설문연구들이 국내외의 설문지를 사용하며, 국외 설문지를 번역하는데 역번역을 활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스포츠사회과학 분야의 네 종류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1,597편의 논문을 내용분석 하였으며, 기술분석과 카이스퀘어 테스트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여전히 양적연구방법(50.5%)과 설문연구(41.5%)가 스포츠사회과학에서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채택되고 있지만 그 빈도가 최근 들어 줄어드는 추세이다. 그리고 다수의 기존 설문지를 한 연구에 혼용되며, 번역본 설문지를 통한 연구가많아 번역의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설문지 번역을 위해 역번역이 추천되는 방법이나, 최근까지 스포츠사회과학 분야 연구들은 역번역이 낮은 수준(8.6%)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이 연구는 지적하며, 향후설문연구에서 역번역의 적극적 사용을 제언한다.

      • KCI등재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 소개 및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응우옌 티 히엔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0 No.-

        While Korean popular culture named “Hallyu” resounds through the world, Korean literature is not widely known to Vietnames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in Viet Nam are facing many difficulties. There are not many Korean literature works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Vietnamese readers compared with other languages such as Engligh, Chinese, Japanese and French. Korean literature is being taught as one subject of Korean Studies at some Vietnam Universities. Korean literature research is conducted by two different generations who know and does not know Korean language. Now it needs to improve Korean literature teaching, research and translation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Vietnam began from 1992, after two countries began diplomatic relations. However at the first stage, Korean literature was executive from the third language and only a few books, all of which were children (classic/folktale) or social and economic contents. From 2000s literary works of Korean literature began to be translated directly from Korean language in earnest. Most of works especially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under the support of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LTI) an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n Vietnam is increasing steadily from 2010. The translation genres have become diverse, including poetry, fiction, essay, classic, autobiography, picture-novel, and children books. Though Korean language researchers in Vietnam are from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major,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such as Korean culture, society, economy, politics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research are still divided into older generations (other majors) and new generations (Korean studies related major). Studies on Korean economy, culture and society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literature, and more than half of researches done by who are in other majors. Since emergence of researchers from Korean Studies major recently, number of researchers is increasing and research papers have become diversified about the subject and methodology, be extensive from oral literature to contemporary literature, from Korean poetry to essay, from literary theory to literature education.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Vietnam after 2010 accomplish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gap between two research generations. In the near future, to promote th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s, establis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networks, and raise awareness of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최근 “한류”라는 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전 세계에 울려 퍼지고 있지만, 한국문학은 아직까지 베트남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의 소개와 홍보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영어, 중국어, 일본어나 프랑스어와 같은 다른 언어권에 비해 베트남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한국어 문학 작품은 많지 않다. 일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문학은 한국학의 한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한국문학 연구는 한국어를 알고 모르는 두 세대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이제 양적, 질적인 면에서 한국문학 교육, 연구 및 번역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의 번역은 두 나라가 외교 관계를 수립한 1992년부터 시작되었다. 첫 단계에서 한국문학은 제 3언어를 통해 중역되었으며, 대상 작품은 몇 권의 동화(고전/민화), 또는 사회경제 분야의 서적이었다. 2000년대부터 한국문학 작품은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통해 직접 번역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과 한류의 영향으로 많은 작품이 번역 및 출판되었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의 소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 소설, 에세이, 고전, 자서전, 그림책 및 아동 도서 등 번역 장르가 다양해졌다. 베트남의 한국어 연구 인력은 한국어와 한국학 전공자들이다. 한국문화, 사회, 경제, 정치, 한국문학 등을 전공으로 한 한국학 연구자들은 여전히 기성세대(다른 전공)와 신진세대(한국학 관련 전공)로 나뉘어져 있다. 아쉽게도 한국 경제, 문화 및 사회에 대한 연구는 한국문학 연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절반 이상의 연구논문은 한국학 전공자가 아닌, 타 전공자들에 의해 집필되었다. 2010년 이후 베트남의 한국문학 연구는 이전 시기에 비해 양ㆍ질 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 한국학 출신 신진 연구자의 출현으로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논문도 주제와 방법론 면에서 다양해지고 있다. 연구영역에서도 구비문학에서 현대문학, 한국시에서 에세이, 문학이론에서 문학교육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그러나 두 연구 세대 사이에는 여전히 거리가 남아 있다. 앞으로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소개와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국내외 연구자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더 나아가 한국문학의 위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 용어의 번역과 사상의 토착화 연구 - 음역어 ‘예수’와 의역어 ‘하님’을 중심으로 -

        유경민(Yu Kyung-Min)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0 No.-

        번역 성경의 독자는 성경 원문을 해석하고 이해한다기보다는 번역어를 기준으로 해당 언어의 사전에 풀이된 의미나 번역된 단어가 갖는 일상적인 의미로 성경을 이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자들은 서양 문화권의 사상을 자신들이 아직 잘 모르는 동양 문화권의 언어로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대하여 고민이 깊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은 번역을 위해 번역자들이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먼저 번역 성경이 출판된 다른 언어권의 용어를 도입하는 방식보다는 해당 문화권에 익숙한 기존의 단어와 문체를 활용하여 번역하는 토착화 방식을 취하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번역 초기의 번역자들은 해당 문화권에 새로운 것을 전달하는 사람인 동시에 자신들에게 낯선 문화권의 언어와 사상을 그 누구보다 성심껏 배우는 학습자들이기도 했다. 이는 사상과 의미의 전달을 언어적 번역으로 완성시켜야 하는 사역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의 선교지 언어에 대한 연구와 성경 번역은 해당 언어에 생명을 불어 넣는 작업이다. 번역은 일상 언어의 연구, 언어의 표준화, 의미의 상세화, 맞춤법 등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주시경, 장지영 등 초기 한국어 문법의 기틀을 잡았던 국어학자들이 서양 선교사들의 한국어 연구 결과물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20세기 초에 우리에게 학문성의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고, 특히 언어 연구에 있어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고자 하는 목표성이 뚜렷했기 때문이다. 유학자 중심의 한문과 어려운 국한혼용문이 문자 생활의 주류를 이루던 사회에서, 또 일본어가 기능적으로 더 지배력을 갖던 시대에 한국어 성경 번역은 우리에게 한글 사용의 긍지와 한국어의 품격을 심어주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갖기에 충분하다. 한국어 번역 성경은 한국의 역사 속에서 한국인의 영적 성장을 견인하였으며 현대 한국어의 문체 정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언어적 번역과 사상의 전달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초기 번역본부터 현대역본까지 대비하며 ‘예수’와 ‘하ᄂᆞ님’을 중심으로 국어사적, 혹은 어휘사적 연구를 진행한다. 일차적으로는 주기도문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표기 양상을 살피고, 주기도문에서 확인된 표기를 신약전서 전체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언어, 문화, 성경 번역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과 관계될 것이다. The Korean people who read the Korean Bible would not interpret it in its original language but understand it in the ordinary or lexical meaning of its translated word. This caused the translators of the Bible into Korean language to suffer from the trouble of how to express the thought of their western culture in the language of oriental culture. This fact must have been a factor that motivated the translators, rather than to invent some new terms or employ the words of foreign cultures, to choose the method of linguistic contextualization in which they translate the Bible with the words and expressions and the aboriginal style of writings so familiar to the Koreans. The early translators of the Korean Bible were, obviously, foreigners who had to deliver something new in their culture for the Koreans and also to learn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Korean culture that was so unfamiliar to them, in order that they could realize the delivery of western thought to the Koreans via the linguistic translation. This paper exams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missionaries in early modern Korea as found in their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A translation is to breath into the native languages the breath of life. It directly involves in the issues of languages standardization, semantic mapping, orthography and so forth. Regarding this, it is obviou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done by the missionaries had influenced th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Korean grammar in its early stage, becau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re were only a handful of people who affected to our scholarship on Korean language and also because the Korean scholars of that time would not get any aid or influence from Japan in the field of linguistic study.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has a great historicity that it provides us with the pride of using Korean and the dignity of Korean, especially in the time when the Chinese language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complicated Korean-Chinese characters were mainly used, and when Japanese language prevailed in linguistic functi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did not just drive the religious or spiritual growth of the Koreans but also strongly impacted the modern style of writing in Korean to be settled. This paper intends, for see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delivery of thought and the linguistic translation, to examine the Lord s Prayer as the standard prayer in Christianity, comparing the various versions of the early Korean Bible, with the hope that this study will show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m. This study is immediately relevant to anyone interested in language, culture, and Bible translation.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고전번역연구』 와 『민족문화』 분석을 중심으로-

        이정원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This paper aimed to draw the future task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studies of Korean classics. Even though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been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韓國古典飜譯院) in 2007 and the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Classics(韓國古典飜譯學會) in 2009 was the main opportunity for the academic research in earnest. Thus,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by analyzing theses contained in Journal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nd Journal of Korean Classics, journals published by the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Classics and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So far, in the area of translation studies, the tendency of researches was mainly examin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Western theories. However, this paper applied a new classification method reflecting the current condition of translation site of Korean classics. Journal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showed the high percentage of non-theses while Journal of Korean Classics included less theses related to translation studies of Korean classics. Targeting total 72 theses related to translation studies of Korean classics, the percentage of original arrangement and literature translation was high, which was followed by translation theory, transla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and translation of specialized area in order. It might be much influenced by the project composition system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nd most of the theses were presented under the special themes of symposiums while individual researches were very insufficie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ranslation studies of Korean classics,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accept general theories of translation studies, and also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ystem to cultivate not only translators, but also researchers. In order to form specialized researcher groups, more active supporting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Also, for reinforcing its status as studies, it would be necessary to define the characters of translation studies of Korean classics, and to be settled down in the academic research area. 본고는 한국고전번역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한국고전에 대한 번역은 오래전부터 지속되었으나, 이에 대하여 본격적인 학문적 탐구는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의 출범과 2009년 한국고전번역학회의 창립이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고전번역학회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고전번역연구』와 『민족문화』에 수록된 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간 번역학 분야에서는 주로 서양이론의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연구의 경향성을 살펴보았으나, 본고에서는 현재 한국고전번역 현장의 상황을 반영한 새로운 분류방식을 적용하였다. 『고전번역연구』에는 비논문의 비중이 많았고 『민족문화』에는 한국고전번역학 관련 논문이 적었다. 분석의 대상이 된 한국고전번역학 관련 논문은 총72편인데, 원전정리와 문학번역에 대한 비중이 높았고, 다음으로 번역이론, 역사문헌번역, 전문분야번역 순으로 관심도가 높았다. 이는 한국고전번역원 사업의 구성 체계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부분의 논문은 학술대회에서 기획주제로 발표되었던 것으로 연구자의 개별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향후 한국고전번역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번역학 일반 이론의 수용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며, 역자양성 뿐 아니라 연구자 양성도 병행하는 교육 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문 연구자 집단이 생길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문으로의 위상 강화를 위해서는 한국고전번역학의 성격규정과 학술연구분야에서의 자리매김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뉴스 홍보 번역에서 모호언어의 중한번역 연구 -신화망(新华网) 한국어판을 중심으로

        장문려 ( Wenli Zha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뉴스 언어에서의 모호한 표현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번역문에서 뉴스 언어의 모호성 전환 방법을 찾아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신화망(新华网) 한국어판 뉴스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고 코퍼스 연구법, 비교 연구법을 활용하여 예문을 결합한 뉴스 홍보 번역의 측면에서 모호언어의 번역 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본문은 구체적으로 뉴스 홍보 번역에서의 모호언어 번역 연구 현황, 뉴스 홍보 번역에서 모호언어의 중한 번역 원칙 및 번역 전략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문은 뉴스 홍보 번역에서 모호한 언어의 번역 원칙을 요약하고, 번역자가 모호한 언어로 모호한 표현 번역, 정확한 언어로 모호한 표현 번역, 모호한 표현 추가, 모호한 표현 생략, 수사(修辞) 수단 강조, 유연한 전환 활용 등 구체적인 번역 전략을 채택하여 번역문이 원문의 모호한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문의 문화적 요소와 스타일 상의 특징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은 뉴스 홍보 번역에서 모호한 언어의 대외 번역 소개와 중국 문화의 대외 전파에 참고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Korean translation of fuzziness in Chinese news language. Specifically, this article adopts corpus methods and comparative methods to examine the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fuzzy expressions in the Korean version of Xinhuanet news. Three aspects are mainly investigated: (1) the current research situation of fuzzy language translation in news publicity translation; (2)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principles in news publicity translation; and (3)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strategies of fuzzy language in news publicity translation. This paper summarizes translation principles of fuzzy language in Chinese-Korean news publicity translation. It also proposes certain translation strategies to maintain the meaning and style of the fuzzy expressions in the Chinese source language. The strategies include adopting fuzzy translation, accurate translation, adding fuzzy expressions, omitting fuzzy expressions, highlighting rhetorical devices, and flexible use of conversion. This article can provide reference for the translation of fuzzy language and the spread of Chinese cul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인식과 그 의미

        김재석 ( Jae Suk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이 글은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인식의 확립과 실천 과정을 검토하고, 그 결과가 지닌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극예술연구회 제1기는 1932년 5월부터 1934년 12월까지이며, 11편의 번역극과 2편의 창작극을 공연하였다. 극예술연구회의 창립 배경에는 홍해성의 ‘틀 짓기 전략(framing strategy)’이 있다. 1930년 6월에 일본에서 귀국한 홍해성은 기존 극단을 통해 식민지조선의 연극계에 안착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했다. 그는 식민지조선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근대극운동을 ‘타락한 근대극운동’으로 규정하고, ‘새로운 근대극운동’을 추진할 적임자로 자신을 부각시키는 ‘틀 짓기 전략’을 구사하여 지지 기반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극영화전시회의 성공이 계기가 되어 설립된 극예술연구회는 번역극 공연을 통한 식민지조선의 근대극 창작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식민지조선의 근대극운동을 부정했던 홍해성의 틀 짓기 전략을 동인들이 수용한 것이다. 번역극 공연에 치중한 극예술연구회 제1기는 ‘구심적 번역극 공연’의 시기였다. 구심적 번역극 공연 활동의 핵심은 근대극의 정전(canon) 제시이며, 이를 통해 식민지조선 연극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겠다는 입장이었다.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은 그들의 목표와 어긋나는 결과를 낳았다. 근대극 형성기의 고전적 번역극의 경우에는 새로운 해석이 부재하였고, 근대극 발전에 기여가 큰 작가를 선택하고도 주변적인 작품을 공연하였으므로 정전의 제시라는 목적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창립 당시에 내세웠던 ‘연구와 실험’ 정신은 점점 퇴색하였고, 그들이 경계하고자 했던 대중추수적 태도는 조금씩 강화되어갔다. 극예술연구회 제1기는 서양 근대극 성립기의 중요한 작품이나 작가를 소개한 성과를 거두기는 하였으나,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변화를 만들어 낼만큼의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하였다. 그것은 그들의 번역극 공연 인식이 일본이 선별하여 번역한 근대희곡의 틀 속에 갇혀 있었기 때문이다. 외국어문학을 전공한 동인들이 많았으나, 식민지근대극운동의 주체적 입장에서 적절한 작품을 골라 현재적 의미가 강한 공연물로 만들어내는 단계로 나아가지 못한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perception of translated drama on the theatrical company,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The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was from the May in 1932 to December in 1934 and they performed 11 translated dramas and 2 creative works. The Geugyesulyeonguhoe was founded by Hong, Haeseong`s strategy of framing. He quitted the movement of Chukiji little theatre in Japan and came back home on June in 1930, only to fail in settling down in the theatrical world of colonized Choson. He defined the movement of modern drama which had been done till that time as ``wrong movement`` and made himself stand out as the suitable person who promoted ``new movement of modern drama``. The Geugyesulyeonguhoe centering Hong Haeseong established the aim of creating modern drama of colonized Korea by means of performing translated dramas. The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was the time of ``performing centripetal translated dramas``. In other words they claimed that the theatrical world of colonized Korea should try to perform creative drama modeling the translated dramas which they had performed. However their performance produced the results contrary to the aim they had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Its because their performance had little new interpretation when they chose the classic works, and they often performed other works than the representatives of the dramatist whom they selected, which made themselves fail to come up with the models. Eventually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ozed Korea were disappointed at the performances of Geugyesulyeonguhoe and became critical with them, so their strategy of framing came to lose its effect. Hong Haeseong representing the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left it and the other people of Geugyesulyeonguhoe began to find new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