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정진아(Jin-a Jeong),정주향기(EstherJuhyangi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이 연구는 장애·비장애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을 세 차례 진행하고 질적 사례연구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초등학교에서 1차 등굣길 버스킹은 2023년 5월 7일~6월 5일까지, 2차 광장 버스킹과 3차 기관 버스킹은 10월 13일~12월 6일까지 주중 두 번으로 나눠서 2시간씩 연습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주요연구참여자 10명, 버스킹을 관람한 청중들과 학부모를 포함한 보조참여자 14명으로 총 24명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찾아가는 버스킹’을 통한 학생들의 경험 및 변화, 그리고 청중들의 변화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 자료수집은 25회기 동안 ‘찾아가는 버스킹’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였고, 참여관찰을 보조자료로 사용하였다. 질적연구의 진실성과 타탕도를 위하여 연구자간의 검토, 삼각 검증법, 전문가 회의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희망의 불씨가 되어’에서 음악으로 소통하는 등굣길 쉼터는 학생들에게 설레고 기대되는 공연이었고 결국 버스킹이 끝난 후에도 그 여운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것이 발판이 되어 앙코르 버스킹이 광장과 기관에서 열리게 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그 안에 숨겨진 보물찾기에서 너‘’와 ‘나’의 불협화음으로 인하여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갈등과 학부모와 학교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우리‘’라는 숨겨진 보석을 찾아내다에서 다름‘’을 넘어 고‘유성 은 ’장애·비장애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숨은 잠재력을 발산하는 동기부여가 되었다. 그리고 배움이 가슴으로 융화되는 통합교육은 선입견을 깨고 ‘우리’라는 정체성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함’안에서 발견한 ‘고유성’은 비장애학생들 간의 관계 회복 및 친밀감 형성에도 도움이 되었고, 자신을 바라보는 생각이 확장되면서 자존감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셋째. ‘찾아가는 버스킹’으로 쓰는 편지에서 ‘퓨전 합창단과 ’청중 이‘ 함께 빚는 우리‘’라는 하모니는 음악적인 교감과 공감을 통해 모두 선순환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손의 언어 수어()로 음악의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음악은 언어보다 강력한 소통과 공감의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으로 통합을 이룬 나눔의 선순환 실현은 학생들, 학부모, 청중들 모두 ‘우리’가 되어 장벽없이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었다. 새로운 도약에서 학생들과 학부모 그리고 청중들은 음악 세계에서 우리가 품은 가능성에 날개를 다는 도전의 기회가 되었다. 교육자, 그 존재의 이유를 보면 버스킹을 진행하면서 힘들었던 과정들이 긍정적으로 바뀌며 모두에게 값진 경험이 되었고, 선생님과 학생의 관계에서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 변화는 새로운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결론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은 음악으로 통합을 이룬 나눔의 선순환 실현을 통해 학생들, 학부모, 청중들 모두 음악 세계에서 우리가 품은 가능성의 날개를 다는 도전의 기회가 되었다. 최근들어 느린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통합음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통합음악교육의 실행에 대한 근거 및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perform ‘Busking Outreach’ for the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three times and examine the results i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choir practiced two hours a week for the first busking on the way to ?? Elementary School from May 7 to June 5, 2023, the second at the plaza, and the third at an institute from October 13 to December 6, 2023. Fourteen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ten major and subsidiary participants comprising the audience and parents. The experiences and changes in students and the audience were examined using specific cases in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the ‘Busking Outreach’.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hile practicing the ‘Busking Outreach’ through 25 session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were used as subsidiary data. For the fidelity and validity of the qualitative study, peer review, triangulation, and expert meetings were used. Results First, at the ‘Becoming the Embers of Hope,’ a resting place on the way to school, was a performance stu-dents anticipated, and its effect lingered even after the busking. Encouraged by the first busking, encore busking was held at the plaza and an institute. Second, the Hunt for Treasure Hidden in the Integrated Education was a total disaster due to the disharmony between ‘You’ and ‘I,’ the conflict between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and the negative responses from parents and the school. At the Hunt for Hidden Jewels, ‘Us,’ the idea of ‘difference’ was incorporated into the study, and ‘Uniqueness ’ became a motive to display the hidden potentials of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At the Integrated Education to Harmonize Learning into Heart, students broke preconceptions and created a harmonious atmosphere unlike before. The ‘uniqueness’ found in ‘diversity’ helped rebuild the relationship and form friendliness between students without handicaps and became a chance to increase self-esteem by expanding their view of themselves. Third. Writing a Letter through the ‘Busking Outreach,’ the harmony, ‘created by the Fusion Choir and the ‘audience,’ resulted in a virtuous cycle through musical communion and empathy. By delivering the message of music with the language of hands (sign language), it is con-firmed that music can become a stronger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empathy than language. The realization of the virtuous cycle of sharing achieved through music lets everyone, including students, parents, and the audience, become’ and enjoy culture and art, bringing more-than-expected outcomes. The New Leap gave a chance to chal-lenge students, parents, and the audience to give wings to their potential in the world of music. At the Educators, the Reason for Their Existence, the difficulties felt while performing busking had positive turns and became a val-uable experience for all, changing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o the master-apprentice relationship. Conclusions The Busking Outreach for the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became a chance to make challenges, which gave wings of potential to students, parents, and the audience in the world of music by realizing the virtuous cycle of sharing that achieved integration through music.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re were no previous studies on integrated music education, and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on slow learners recently. This study is deemed to become a base for and play a role in implementing integrated music education.

      • KCI등재

        버스킹 문화의 도시 어메니티 저해 양상과 제도적 완화 방안 탐구 : 해외 정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효(Jong-Hyo Lee),김광재(Gwang-Ja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1

        버스킹 문화는 도시 어메니티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이자 공공예술문화로써 미디어 발전과 맞물려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혼잡 · 소음 · 공공불쾌감과 같은 버스킹 문화의 고질적인 문제들은 지역 공동체 내부의 갈등 요소로써 도시 어메니티를 저해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스킹 문화를 둘러싼 갈등 양상은 도시 어메니티 요소로써 버스킹 문화가 가지는 순기능보다 역기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확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 해 국내 버스킹 문화가 도시 어메니티 요소로서 지니고 있는 이점을 배가시키고, 올바른 버스킹 문화의 안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삼아, 이해관계자 인터뷰 및 해외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심층인터뷰와 해외 정책 사례 분석을 조사방법론으로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버스킹 문화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전반적인 인식은 정책 혹은 제도개선 측면에서 매우 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외사례분석을 토대로, 연구진은 버스킹 문화 안착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버스킹 허가제, 전문 버스커 양성을 위한 관리제, 시간 및 소음제한을 통한 민원관리제 등 세 가지 측면의 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Busking culture which is a element of Urban Amenities is spreading rapidly in the field of public art culture with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However, the lack of a proper institution and policy to manage the negative aspects of it continue to lower urban amenities and make the conflict among stakeholders. The study aims to increase the advantages from the domestic busking culture and derives suggestions to develop the institution and policy for the soft landing of the busking culture. Applied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n in-depth interview and overseas case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Stakeholders related to the busking culture in South Korea has presented very strongly and concretely in aspect of policy 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oversea cases, the researchers have proposed three ways for settling down a proper busking culture: the busking permit system, the management system for professional buskers, and the civil complaint management system through time and noise restrictions.

      • KCI등재

        우리 주변에서 부상하는 버스킹의 현장: 그 실태와 가치 부상의 가능성 연구

        조장원 ( Jo Jang Won ) 세계음악학회 2018 음악과 문화 Vol.39 No.-

        In the past, the pop culture received a negative view such as a low culture which was against high culture or mass produced culture for mass consumptions. However, in these days pop culture is considered as the comprehensive culture that people faces in their daily lives. Furthermore, it has taken a space as an important culture that strengthen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bringing strong economic effects. Among of the pop culture, pop music is rapidly absorbed and spreading out in everyday life. Especially, K-POP music is recognized globally, and in Korea everything related to K-Pop, such as concerts, entertainment, product development, and exhibitions, are influencing over society. Among the pop music industry's flow, street music performance, known as busking, is took a place as a new trend, and dragging people's attention. This research is targeted at the specific busking of having popular music performance character which is mainly based on singing and playing from various areas of busking. Therefore, in the study we were trying to define the meaning of busking, and inspected pros and cons. Busking effects are depicted as the busker, the audience and the busking area. As the aspect of busker, first of all, busker can form the identity and character of the busking area. Second, busking is a low expense, high-efficiency promotional tool. Third, it is the chance of the expression of musical talent as a pop musician. As the audience's view, it provides varieties of use of leisure time, so it improves quality of the life in general. Also, as the aspect of area of where performance is happening, it helps the local promotion the accelerate revitalization of the city. On the other hand, the busking cause noise pollution, and commercialized performances and confronting conflicts between buskers.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s, there are movements to study foreign busking culture and related polices, and applying on out own policies. However, it is still insufficient yet.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hat a systematic analysis was attempted by using existing studies and statics, in the mean time the reaseaching of busking in the pop music culture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 KCI등재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융복합 프로그램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내용과 활동의 사례를 통하여 시민예술교육의방향성을 찾고 우리 공동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융복합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화도시의형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삶 속에서 향유하는 예술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시민성 함양이 무엇보다중요하다. 문화도시로 대표되는 유럽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고찰할 때, 개방성과 소통으로전 세대를 포괄하는 시민예술교육에서는 융복합적인 사고와 내용에 공통적인 시사점이 있다. 시민예술교육에서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와 같은 연주방법은 이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방법이다. 하지만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가 도시의 문화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공공예술의 개방성을 고려하여 무분별한 거리연주를 지양하고 지역의 정체성에 기초한 전문가 및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aimed at creating culture city and propose convergence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realized in our community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existing citizen arts-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culture city, enjoying of art in life and desirable citizenship is important. This paper searches for the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art education programs in European culture cities. Because citizens from various backgrounds of the society are the leading subjects of the citizen arts-education, expression of convergence art becomes a common factor, along with openness and rapport. The implication lies in the contents that express artistic ideas and imaginations that cover diverse generations. In citizen arts-education, performance methods of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re some of the skills that can implement these attributes well.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s the culture of a city, continued interests and development through a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egional identity is required by considering the openness of public art, while rejecting from rash street performances.

      • KCI등재

        거리 공연에 관한 공법적 고찰

        이장희 한국법제연구원 2018 법제연구 Vol.- No.55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al meaning and issues of street performances. The key elements in the legal sense of street performances (or artistic performances) are 'public places' and 'artistic activities'. Therefore, as far as belongs to "artistic activities in public places", we can call them in principle as street performances regardless of its level of art, whether they are paid or not, size of performances or genre of artistic activities. Street performances are a way for anyone to freely participate and enjoy art by being performed on open places. In addition, street performances can be seen as more popular and democratic artistic acts than mainstream art culture in that anyone can become street performers. Although street performances are in vogue and becoming a universal cultural phenomenon, they do not appear to be legally organized yet. However, we don't have to strictly regulate street performances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something different and special. Instead, they should let their street performances be freely performed and enjoy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law that guarantees the freedom of art or the freedom of artistic expression.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relevant laws on key issues raised regarding street performances. Finally, for street performances to be well established as cultural phenomenon, it should be harmonized that efforts to observe the law and orders by street performers, mature rituals and cultural tolerances of citizens who enjoy street performances, and efforts to realize the purpose of cultural countries and to promote street performances by governments. 이 논문은 거리 공연의 법적 의미와 쟁점을 검토한 것이다. 거리 공연(또는 거리 예술)의 법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핵심 징표는 ‘공공장소’와‘예술행위’에 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의 예술 행위’라 할 수 있는 한, 원칙적으로 그 예술성의 수준이나 대가의 지급 여부, 공연의 규모, 예술행위의 장르를 불문하고 거리 공연 또는 거리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거리 공연은 개방된 길거리에서 행해짐으로써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예술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또 누구나 거리공연가가 될 수 있다는점에서 거리 공연은 주류적 예술문화보다 더 대중적이고 민주적인 예술행위라 볼 수 있다. 다만 거리 공연이 유행하고 보편적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아직 법적으로 정돈되어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보인다. 하지만 거리 공연을 뭔가 이질적이면서 특별한 것으로 취급하면서 법으로 규제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예술의 자유 등을 보장하는 헌법의 취지에 맞게 거리 공연을 자유롭게 행하고 즐길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타당하다. 거리 공연이 사회적 유해성을 가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이유에서 거리공연을 적극적으로 조례로 규율하고 있지만, 거리 공연을 규율하기 위한법률이 별도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판단된다. 다만 거리 공연에 관해 제기되는 주요 쟁점별로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것은 필요하다. 예컨대 공연 무대를 설치하는 대규모 거리 공연에서 별도의 허가가 필요한지 좀 더 분명하게 규정해 줄 필요가 있으며, 거리 공연으로 인한 생활소음의 규제를 받기 위해 「소음·진동관리법」상 거리 공연에 관한 근거 규정과 소음 기준을 별도로 마련해 주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거리 공연이 문화 현상으로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거리공연가의 법질서 준수 노력, 거리 공연을 즐기는 시민들의 성숙된 의식과 문화적 관용태도, 그리고 거리 공연을 활성화하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국가적 보호 노력이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