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파 긍선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

        이창안 ( Chang-an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고는 『선문수경』에 나타난 백파 긍선의 삼종선에 대한 문제에서 출발한다. 백파는선(禪)을 조사선, 여래선, 의리선의 셋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조사선에 임제종과 운문종을 배대하고, 여래선에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을 배대하고 있으며, 의리선에 화엄을 배대하고 있다. 그런데 조사선과 여래선에 선종 5가를 각각 배대한 백파의 관점에는 청허 휴정 이후 조선후기 불교계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이 집약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백파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목적 아래 다음의 세 가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백파의 삼종선 사상은 어떠한 목적에서 출현하였으며, 그 사상적 연원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핵심은 임제의 3구를 통하여 선의 문구(文句)를 판별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백파가 조사선과 여래선을 구별한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임제종과 운문종이 조사선으로 분류된 특징은 무엇이고,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이 여래선으로 분류된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백파가 선종 5가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던 내용에 대한 특징과 한계 및 그 의의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백파의 인식은 조선후기 선종의 청허계와 부휴계 문파들의 공통된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것으로서, 이는 선종 5가의 역사적 사실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지만 조선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는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paper starts on the problem of “Baekpa-Geungseon(白坡亘璇, 1767~1852)’s Three Kinds of Meditations(三種禪)” in the book,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禪文手鏡)』. Baekpa divided Zen into three kinds of meditations, Patriach-Meditation(祖師禪), Tathagata-Meditation(如來禪), and Principle-Meditation(義理禪). Among these meditations, he matched Patriach-Meditation into Linji school(臨濟宗) and Yunmen school(雲門宗), Tathagata-Meditation into Weiyang school(위仰宗), Fayan school(法眼宗) and Caodong school(曹洞宗), and Principle-Meditation into Huayan school (華嚴宗). By the way, in Baekpa’s viewpoint, the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in the late Choseon Buddhism world after Cheongheo-Hwujeong had been summar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Choseon Zen Buddhism through Baekpa’s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So I handled the next three problems under the purpose. First, I tried to inquire the reason why Baekpa’s Three Kinds of Meditations had been appeared and the source and characteristics in his thought. The point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istinct the Zen phrase through Linji’s three phrases(臨濟三句). Secondly, studied the standards for the Baekpa’s distinction of the Patriach-Meditation from the Tathagata-Meditation. And then I tr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of meditation. Thirdly, I tried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the limit and the meaning of Baekpa’s understanding of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His understanding speaks for the common recognition of the division of Cheongheo’s line and Buhyu’s line in the late Joseon Zen Buddhism. It is a little far from historical fact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but it gives u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understand Zen Buddhism in the late Joseon.

      • KCI등재

        백파의 삼종선에 관한 초의의 비판에 대한 고찰

        김보혜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90

        The dispute on the theory of Seon is the dispute over the doctrine of Seon between Baekpa-Geungseon and Choui-Uisun, its point is made up of the dispute on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and the dispute has been continued by the two Seon teachers' disciples. While there was 'a dispute on the same and difference of human nature and material nature' in Korean Confucianism, there was 'a dispute on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Although there is a lot of dispute on the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this thesis will first introduces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and examine what is the issue and gist of Choui's criticism of three kinds of Seon.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discuss whether Choui's criticism of three kinds of Seon is valid. Baekpa advocated the three kinds of Seon in Seonmunsugyong(禪文手鏡), whose name comes from the division of the levels of Seon into Patriarch Seon(祖師禪), Tathāgata Seon(如來禪), and Principle Seon(義理禪). On the contrary, Choui disputes Baekpa's Seonmunsugyong in his Seonmunsabyeonmaneo(禪門四辨漫語), which has a form that first introduces Baekpa's theory and then criticizes it. It seems that Baekpa's attempt to allocate all Seon analects to one of the three kinds of Seon intentionally goes too far and undermines the original spirit of Seon according to Choui's criticism. However, it can be said that Baekpa's three kinds of Seon is evidently valuable in that his theory presented the standard to judge the depth and shallowness of Seon that is meant to realize the original face beyond language and logic. 선문논쟁(禪門論爭)이란 조선 후기 고승이었던 백파 긍선(白坡亘璇)과 초의 의순(草衣意恂)사이에서 촉발된 선(禪)에 대한 교리논쟁으로 삼종선(三種禪)과 이종선(二種禪)에 대한 논쟁이 그 핵심을 이루며, 이후 무려 100년이 넘는 시간동안 두 선사의 제자들을 통해서 이어져 나갔다. 18-19세기 한국유학에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논쟁’이 있었다면, 불교계에는 ‘삼종선-이종선 논쟁’이 있었던 것이다. ‘삼종선-이종선’에 관해서는 많은 논쟁거리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백파의 삼종선의 내용과 출현 배경에 대하여 소개한 후, 초의가 삼종선을 비판한 쟁점과 요지가 무엇인가를 살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초의의 삼종선 비판은 과연 타당한 것인가?’하는 문제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백파는 『선문수경(禪文手鏡)』을 통하여, 삼종선을 주창하는데, 삼종선이란 선을 그 경지에 따라 ‘조사선(祖師禪), 여래선(如來禪), 의리선(義理禪)’의 세 종류로 나누어 보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반면, 초의는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를 통하여 백파의 『선문수경』을 반박하고 있는데, 먼저 백파의 설을 소개한 후 자신의 비판을 가하는 형식을 띄고 있다. 모든 선어록의 말들을 인위적으로 삼종선의 하나에 배대하려한 백파의 시도는 지나친 점이 있으며, 초의의 지적대로 선의 본래정신을 훼손한 면이 있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언어와 논리를 떠나 본래면목을 곧장 깨닫고자 하는 선의 특성상 그 깊고 얕음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백파의 삼종선은 분명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백파 긍선의 십선계 주장과 계율적 경향

        이자랑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1

        본 논문에서는 1827년에 간행된 『작법귀감(作法龜鑑)』의 수계 부분을 중심으로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의 십선계(十善戒) 비구 수계법 주장을 살펴보고, 그안에 담긴 계율적 경향 내지 의의를 고찰하였다. 『작법귀감』을 보면, 백파는 당시 전통적인 비구 수계의식이 붕괴된 현실과 이로 인한교단의 혼란에 크게 상심하며 진정한 참회를 동반한 십선계 수계로 교단의 질적 개선을도모한다. 십선계는 신구의(身口意) 삼업, 즉 ‘마음[意]’의 번뇌까지 고려한 계이므로 이를 잘 수지하면 출가자들의 내적 변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원래 비구 수계는『사분율』 등의 율장에 규정된 ‘이백오십계 구족계’ 수지가 정통적인 방식이므로, 십선계수계는 전통에 부합하지 않는 주장이다. 하지만, 백파는 한국불교의 계율 전통에 큰 영향을 미쳐 온 유가계 계통의 삼취정계(三聚淨戒)나 진표(眞表)의 망신참회(亡身懺悔)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점찰선악업보경』의 참회 사상 등의 전통을 충실하게 답습하면서십선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자성 청정의 각오(覺悟)라는 입장에서 십선계를삼취정계 안에 자리매김하여, 출가자가 자타의 청정한 본성을 있는 그대로 파악함으로서자연스럽게 악을 떠나 선을 계발하고, 나아가 중생을 구제한다고 하는 독자적인 입장을가미하여 비구가 보살행을 완성할 수 있는 궁극적인 계율로 십선계를 위치지우고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dination part of Paragon of Rules on Conduct 作法龜鑑(K. Chakpŏp kwigam) book published in 1827, the arguments of Paekp’a Kŭngsŏn(白坡亘璇, 1767-1852)’s ten wholesome precepts 十善戒 and the preceptive tendencies or significance contained therein. Looking at the Paragon of Rules on Conduct, Paekp’a is greatly disheartened by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Buddhist monk aqueduct consciousness at the time and the confusion of the denomination resulting from this, and seeks to improve this confusion through the ten wholesome precepts accompanied by true repentance. It is believed that the ten wholesome precepts can promote the inner improvement of the monks in that it is a system that can control the defilements of the bodily actions, speech, and thought, especially the ‘thought 意’. Originally, as Four Part Vinaya 四分律, it is the traditional method to receive bhikṣu ordination, so it is argued that it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aquatic tradition that only the ten wholesome precepts can be received. However, Paekp’a has given important meaning to the ten wholesome precepts by faithfully following the traditions such as the Yogâcāra precepts and Jinpyo 眞表’s repentance practice, which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mandment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termination of self-purity, the ten wholesome precepts is positioned within the three categories of pure precepts 三聚淨戒, so that the monks naturally grasp the pure nature of their own, so that they naturally leave evil and develop the good, and furthermore, they take an independent position to provide relief for rebirth. By adding them, bhikṣu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ultimate commandment that can complete the bodhisattva practice.

      • 『작법귀감』의 편제와 구성의 특징 -의례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곽묘신 ( Kwak Myo-shin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백파 긍선(1767~1852)의 의해 편찬된 불교의례서 『작법귀감』의 편제와 구성의 특징을 의례 역사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19세기 초 편찬된 『작법귀감』은 이전 의례서와 다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이전의 의례는 수륙재의문이 중심이고, 시왕권공과 작법절차, 제반문, 범음산보집 등이 중심인 것에 반해 『작법귀감』은 현대 한국불교 의례의 양상을 구축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작법귀감』서문에 작법의 절차에 대한 책들은 많지만 미비한 부분이 있고 사리(事理)의 옳고 그름과 시비(是非)의 분간이 높고 낮음을 구분할 수 없고 학문이 깊지 못하여 잘못 표기되었음을 바로 잡고자 하는, 편찬의 목적을 거론하였다. 『작법귀감』에 편찬된 의례 편제의 특징에서 상권은 ‘일상성’과 ‘공통성’이 나타남이 특징이며, 하권의 의례 편제의 특징은 본 의식이 설행되기 이전에 의례가 평시가 아닌 수시에 실행되는 편제가 ‘수시성’과 ‘식전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작법귀감』의 의식 구성의 특징은 상위적인 측면의 ‘상하성’이 있고, 의식을 구성하면서 간략한 약례의식을 먼저 구성하는 ‘광약성’을 들 수 있으며, 상호 이어지는 의식을 구성하는 ‘연속성’은 의례를 이어줌으로 의례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수륙재에서 보이는 상중하 삼단의 권공 법식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설주이운만의 작법절차를 전통 방식 의식으로 구성하는 방식도 ‘전통성’을 잘 이어가고 있다.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Jakbeopguigam and its composition, a Buddhist ritual book compiled by Baekpa Geungseon(1767-1852)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tual history, the book, compiled in the early 19th century,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ritual books. While the previous books were centered on the ritual oration for Suryukjae, the invitation of the Ten Kings to offerings,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 Jebanmun(outline of Buddhist Rituals), Beomeumsanbbojip(the collection of Brahma voice), etc., it can be sai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style of modern Korean Buddhist ritual. Its first volume is characterized by 'dailiness' and 'commonality' in its ritual organization, and its second volume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asional’ and ‘the pre-ritual’, that the ritual is performed at any time, not during normal times before the main ritual is per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ritual composition include 'the superior and inferior' in the higher-level aspect, the 'the full detail and briefness' of composing a brief ritual ceremony first, and 'the continuity' of composing rituals that follow each other which promotes the convenience of the rituals by connecting them. In addition, It inherits the tradition well in the traditional way of the ceremony of invitation to offerings on the upper, the middle, and the lower of the three alters seen in Suryukjae, and in which the procedure for the rule of carrying the speaker is structured.

      • KCI등재

        한국 근현대불교의 태동과 擎雲 元奇

        오경후 한국동양철학회 2018 동양철학 Vol.0 No.50

        The Emergenc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in Korea and KYUNGUN-WONGI(擎雲 元奇) KYUNGUN-WONGI is a person who has lived the tradition and modernity of Korean history. During this period, Korean Buddhism was also in a great turning point. KYUNGUN is a person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Study of Zen and Non-zen Buddhism, Chantingf Buddhism, Vinaya Pitaka of the Korean Buddhism which has been blurred since the 19th century. Because of this, even the Japanese have regarded the Buddhist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m as a person who has maintained the identity. Although the order of Korean Buddhism was confused by the influx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isciples said that they were afraid of their hearts as if they were listening to the commandments themselves. KYUNGUN has also systematized the collapse of Sun-am Temple(仙巖寺). In the future, Choi Nam-seon(崔南善) said that KYUNGUN was a virtuous practice to keep the Vinaya, not to stick to and keep it. He formed Baekryeon-gyeolsa(白蓮結社), even the people who did not know Buddhism had a deep influence on Buddhism. H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Korean Buddhism as well as establishing Buddhism’s Order(Samgha) at the time. At that time, Buddhist denomination's efforts to nurture the post-Buddhist education of the Korean Buddhism and to improve the Propagation were the only reason for the tide to go outside the prose. The disciples of Tongun were outstanding. Han-Young Park( 朴漢永)·Jin Jin Eung(陳震應)·Geumbong byeong-yeon(錦峰 秉演) The disciples followed the tide of Buddhism at that time, an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education of Buddhism and to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Buddhism in Korea. 경운 원기는 한국 역사의 전통과 근대를 살다 간 인물이다. 이 시기 한국불교 역시 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경운은 조선후기 불교계에서 부흥했지만, 19세기부 터 그 명맥이 희미해진 한국불교의 선교학과 염불, 그리고 계율의 전통을 선암사의 스승들로부터 온전히 계승한 인물이다. 때문에 일본인조차도 결연하게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보호 유지해온 인물로 평가하였다. 일제강점기 일본불교의 유입으로 승가 의 질서가 혼란스러웠지만, 제자들은 경운을 보는 자체로 계율을 듣는 것처럼 마음 에 두려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경운은 선암사의 무너진 계율을 체계화시키기도 하 였다. 훗날 최남선은 경운이 계율을 지키는 것은 얽매여서 지키는 것이 아닌 좋아서 하는 고결한 실천이었다고 하였다. 그가 결성한 백련결사 역시 불교를 모르는 사람 들조차도 불교에 입문할 정도로 깊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당시 불교계의 교단 설립 과 함께 한국불교의 방향설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당시 불교교단의 한국불 교의 후학 양성과 포교 향상을 위한 노력은 경운이 유일하게 산문 밖을 나가는 이유 였다. 경운의 제자들은 걸출했다. 영호 정호·진응 혜찬·금봉 병연은 경운에게 선 교학을 수학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불교정신을 따르고자 하였다. 제자들은 당시 불 교계에서 경운의 뒤를 이어 후학양성과 한국불교 안정과 발전에 진력하였다.

      • KCI우수등재

        삼처전심(三處傳心)에 대한 논의 연구

        김성욱(Kim, Seong-Uk)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삼처전심(三處傳心)의 기원과 그 의미에 대한 전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논의를 살펴본다. 삼처전심의 분반좌(分半座), 염화(拈華), 곽시쌍부(槨示雙趺) 일화가 인도나 또는 중국에서 기원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각각의 일화는 중국 에서 교(敎)로부터의 독립 그리고 그에 대한 우월을 주장하는 선(禪)의 정체성과 연결됐다. 그러나 이 세 일화를 포괄하는 삼처전심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한국의 선 문헌에서 발견되며, 또한 나아가 둘 이상의 전심 사건이 갖는 종교적 의미를 고찰하는 경우도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됐다. 특히, 백파긍선(白坡亘璇)은 삼처전심에 대한 위계적 해석을 통해서 당시 한국선이 법맥(法脈) 상으로 동일시하는 임제종(臨濟宗)의 우월성을 정당화했다. 그의 해석은 삼처전심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 냈다. 초의의순(草衣意恂), 김정희(金正喜), 설두유형(雪竇有炯)과 같은 전근대 시기의 인물 뿐 아니라, 누카리야 카이텐(忽滑谷快天), 박한영(朴漢永), 김동화(金東華)같은 근현대의 학자들도 논의에 참여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삼처전심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불교 사상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discussions on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term, “Samcheojeonsim”, (三處傳心) from pre-modern times to the present.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three episodes of “sharing the seat”, “picking up a flower”, and “displaying both legs” originated from India or China, each episode was connected to the Chan (K. Seon, 禪) claim of separation from and even of superiority to Jiao(敎, doctrines) in medieval China. However, “Samcheojeonsim” was first used in Korean Seon texts as an umbrella term for those three episodes. It was also in Korea that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existence of multiple mind-transmission episodes was sought for the first time in Chan and Seon history. In particular, the 19th century JoseonSeon master BaekpaGeungseon (白坡亘璇) justified the superiority of the Linji (K. Imje臨濟) school, which the Korean Seon community of the time claimed to be affiliated with, through his hierarchical interpretation of the term. His interpretation has generated various discussions and controversies on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term. Such pre-modern figures as ChouiUisun(草衣意恂), Kim Jeong-hui(金正喜), and SeolduYuhyeong(雪竇有炯), as well as modern scholars, including NukariyaKaiten(忽滑谷快天), Bak Han-yeong(朴漢永), and Kim Dong-hwa(金東華) also joined the discussions. This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term, “Samcheojeonsi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t thought by examining those discuss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김방룡 ( Bang Ryo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5 No.-

        본 논문은 2011년 9월 ``한국과 베트남 사상과 역사에 있어서 유교와 다른 사상 간의 교류와 관계``라는 주제아래 열린 한-베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즉 베트남 학자들을 상대로 하여 조선시대의 유불교섭의 전개와 철학적 담론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조선시대를 전기와 중기 및 후기로 구분하여 매 시기 유교와 불교 간의 교섭내용과 철학적 담론을 개괄하였다. 조선시대는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왕권과 신권이 조화된 사회였지만 정책적으로는 ``억불숭유정책``을 취하여 불교에 대한 탄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이로 인하여 불교계 전반의 세력은 위축되고 승려들의 지위 또한 사회의 최하층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계는 유교와의 회통이론을 제기하였으며, 승려들은 유자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그 명맥을 유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매 시기의 주요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유교와 불교 간의 교섭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두 종교 간의 철학적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규명하였다. This paper is what I presented in the conference between Korean and Vietnam on September of 2011 under the title "The Exchange and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and Other Thoughts Through the History Between Korea and Vietnam". I amended and complemented the paper to generally introduce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exchange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Joseon dynasty. First of all, I divided Joseon dynasty into early, middle and the later period and summarized the feature of every period. Joseon dynasty was a harmonious society between the kings` rights and religion. But they had continuously sustained suppression upon Buddhism through the policy of respect for Confucianism but restraint for Buddhism. Due to this policy, the general power of Buddhism had been shrunk and the rank of Buddhist monks fell into the lowest level of the society. Nevertheless the society of Buddhism submitted the theory of conciliation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he monks barely kept themselves in existence through the exchanges with some Confucian scholars. In this paper, I looked into how Buddhism and Confucianism exchanged their thoughts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especially how they developed their philosophical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