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Assuming that the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is the founda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the space of Baekje history is located outside the current Chinese territory.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were not many achievements in analyzing Chinese research on Baekj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distor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based on the so-called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Northeast Project”. However,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their interest in areas that were outside the scope of the Northeast Project. Now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and analyze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a that have been identified so far.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current research situation based on the existing trends on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examines it by reviewing the system and contents of recent publications, Chronicles of Baekje History(『百濟歷史編年』)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百濟·集史』).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confirmed so far are over 360 pieces which show huge increase in quantity since 2000.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topic selection is that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relations, cultural exchanges, and refugees takes significant proportion.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historical perception, politics, system, economy, and research history has increased. This article has confirmed the following facts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recently published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will serve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that provides a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a milestone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other fact is that Baekje·Collection of History aims to build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Baekje history in China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long with compiling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other characteristic of recent research is that there are many results that have attempted micro-analysis focusing only on the content of the historical material itself. This means that the basis of Baekje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ing in China.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promote presenting more organized academic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foundat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completed b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academic circles should not lose interest in future research achievements while reorgan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역사 인식이 동북공정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때, 백제사의 공간은 현재의 중국 영토 밖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른바 ‘동북공정식 역사 인식’에 입각한 중국의 한국 고대사 왜곡이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분석한 성과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중국학계는 동북공정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던 영역에까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다시 정리하고 분석해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동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최근 출간된 『백제역사편년(百濟歷史編年)』과 『백제·집사(百濟·集史)』의 체제와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동향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 성과는 360여 편이며, 2000년 이후 연구의 양적 증가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 선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국제관계와 문화교류 및 유민 관련 연구 주제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역사인식과 정치·제도·경제 및 연구사 관련 논문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된다. 최근 발간된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역사편년』은 후속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사료집인 동시에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백제·집사』는 이제까지 중국학계에서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를 집성하는 것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향후 중국에서의 백제사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 편찬의 목적이 있다고 여겨진다. 최근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백제사 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사료의 내용 자체에 천착한 미시적 분석이 시도된 연구 성과가 다수 제출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중국에서 백제사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저변의 확대가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를 통해 완비된 백제사 연구의 토대 위에서 학술적으로 좀 더 정비된 연구 성과의 제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학계가 중국에서 이제까지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 성과를 다시금 정리하는 동시에 향후 이루어질 연구 성과에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하는 이유이다.
김영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6 No.-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external relations and cultural exchanges in order to examine why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Baekje history and culture has been biased in Korea. In order to activate Baekje research and enable it to be widely informed to the public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biased perceptions so far and to apply fair judgment standards to Baekje history research. It should also be based on extensive and detailed research. To that end,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 Baekje history researchers. Currently, there are about 88 full-time professors teaching ancient Korean history at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there are only 20 professors majoring in the Baekje history: 9 professors study history through texts and 11 through archeology. It is difficult to educate Baekje researchers properly with suc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Even though there are three Baekje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re are few full-time workers. The institutes are just unsubstantial.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ter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Baekje studies. Until now, research on Baekje history was usually conducted within the old area of Baekje. Most of the research papers on Baekje mentioned above were published at Universities in Baekje area. This was the background where the Baekje history has been studied from a biased viewpoint of local history. Indifference of central government also resulted in area-bas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get out of it. Third, it is an underrepresented fact that there are few Baekje researchers at central government or historical research institutes. There is no researcher majoring in Baekje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e same goes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uyeo National Museum, and the Gongju National Museum. Although there are curatorial researchers who are classified as professional researchers, there are no researchers getting a Ph.D. in Baekje history. It is essential for these institutions to expand the researchers of Baekje history. Thus, research of Baekje is not well established. Future prospects are not bright at the present time. After being based on specializ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ekje, you should be able to educate Baekje culture widely both in and out of count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at the moment. It is difficult to publicize and educate broadly Baekje history and culture without expanding its research base. 백제세계유산센터에서 구축한 디지털 아카이브에 따르면, 지금까지 백제에 대해 약 50편의 박사 논문, 600편의 석사 논문이 제출되었다. 관련된 학술 연구 논문도 1,823편을 넘나든다. 이러한 논문 제출 건수는 신라에 비해서는 적지만 고구려에 비하면 적은 편이 아니다. 오히려 고구려를 능가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와 신라에 비해 연구 자료가 부족하고 관심이 덜한 백제에 대해 이런 연구 성과를 낸 것은 아이러니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백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 대외관계와 문물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봄으로써 백제 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편향되게 흐른 까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으로 백제 연구를 활성화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려면, 지금까지 드러난 편향된 인식을 바로잡고 공정한 잣대를 백제사 연구에 들이대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광범하고 치밀한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몇 가지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로, 전문 백제사 연구자의 양성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고대사를 강의하는 전임 교수 숫자는 대략 88명이다. 이중 백제사 전공 교수는 20명뿐이며, 9명이 문헌사 전공이고, 11명이 고고학 전공자이다. 이처럼 소수의 인원으로 백제사 연구자를 제대로 양성하기는 어렵다. 백제사 전문 연구 기관이 3곳이 있지만, 전임 인력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백제 연구기관은 허울뿐인 것이다. 둘째로, 백제 연구에 대한 중앙 정부의 관심 확대이다. 백제사 연구가 이제까지는 대개 백제의 고토지역 내에서 이루어졌다. 앞서 언급한 백제에 대한 연구 논문 대부분이 백제 지역 소재 대학에서 간행되었다. 이는 백제사를 향토사적인 시각에서 편향되게 바라보고 연구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지역 중심의 연구는 중앙의 무관심이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이를 탈피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로, 중앙정부 또는 역사 연구기관에 백제사 전문연구자가 거의 없다는 것은 드러나지 않은 사실이다.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등에 백제사 전공자는 없다. 백제 역사와 문화 보급을 위해 세워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도 마찬가지이다. 전문연구자 그룹으로 분류되는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들이 있지만, 백제사를 전공한 박사급 인력은 아예 없다. 이들 기관에 백제사 연구자의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백제에 대한 연구는 기반이 튼튼하지 못하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못하다. 백제의 역사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토대로 백제 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교육하고 알릴 수 있는 것인데, 지금으로서는 부실하기만 하다. 연구기반의 확충 없이 백제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리고 교육하기는 어렵다.
최근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2013년도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문동석 ( Dong Seok Moon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3
2013년도 백제사의 연구 성과와 동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휘보』제161호(2013. 6. 10)~제164호(2014. 6. 10)를 대상으로 2013년 백제사 연구 성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대략 140편이 넘는 논문을 찾을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전문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것들과 학위논문들, 그리고 고고학 분야를 제외한 문헌사 중심의 논문 연구 성과와 동향을 다루었다. 2013년도 백제사 연구 동향은 고고학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문헌 자료를 해석하고 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문헌 연구자들이 고고학 자료를 어떻게 수용하고 해석할 것인가가 앞으로 백제사 연구의 큰 과제라 하겠다. 한편 2013년도 백제사 연구 성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현혜에 의해 3세기 후반 백제 고이왕대의 정치·사회적통합 수준이 연맹왕국 단계에 이르렀다는 기존의 통설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 동안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졌던 백제 고대국가 형성사를 새롭게 만들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고이왕대부터 근초고왕대까지 새롭게 볼 연구 방법론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한편 2013년도에 소개된 백제사 연구 성과 중 40대 이상의 기존 연구자들의 논문이 90% 이상을 차지고 하고있다. 이는 20~30대 젊은 연구 인력이 백제사로 확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백제사로 신진 연구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각 세대와 백제학회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I have examined studies on History of Baekje published in 2013. In order to examine the studies, I looked in a bulletin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한국사연구휘보』) Vol. 161(2013.6.10.)~Vol. 164(2014.6.10.) and found articles over 140 pieces. I excluded unprofessional articles, graduate theses, and studies based on Archeology from the articles and focused on historical articles. Most of studies published in 2013 not only analyze literature materials but also refer to archeology materials. A future challenge in studies on History of Baekje is how researchers utilize archeology materials. The most notable article is a study published by Lee, hyun hye. She argued that a common theory about the level of socio-political integr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should be reconsidered. This study allows us to rebuild a history of the state formation process in ancient Baekje coutrny. Meanwhil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y over 40’s age research group. It means that an age 20~30 young research group has not made up in the study field of History of Baekje. I think that it is in nee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young researchers on the field.
박현숙 백제학회 2025 백제학보 Vol.- No.51
이 논문은 회고와 전망의 성격을 가지는 글로서, 2024년 시점에서 백제사 연구의 현재 동향과 이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다. 백제사 연구의 양적 팽창에 따른 명암, 사료의 발굴과 연구 스펙트럼 확장을 위한 노력, 백제사 성과의 활용과 대중화의 딜레마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백제사 연구의 양적 팽창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창기 자료들에 대한 데이터화와 활용을 통해서 연구사적 맥락을 존중하며, 연구의 질적 내실화를 위한 고민과 성찰이 필요하다. 또한 백제사 사료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사료 발굴 노력과 연구 주제의 개발 및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도입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백제사 연구 성과의 활용에 있어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역사문화권의 정비와 역사 대중화 문제이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역사문화권 계획은 백제사의 실상을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백제학 관련 기관과 학회, 연구자들이 현재의 역사문화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제학 연구의 발전과 활용을 위해서는 학문 후속세대 육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향후에도 백제사 연구와 교육, 그리고 그 활용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retrospective assessment and a prospective outlook on Baekje history research, examining its current trends and critical reflections as of 2024. The discussion addresses both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the efforts to uncover new historical sources and broaden the scope of research topics, and the complexities surrounding the appl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research findings. While the expans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has contributed to significant advancements, it also necessitates continuous critical engagement to ensure that research maintains its qualitative depth, as this requires a commitment to preserv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studies, leveraging digitalization and early research materials, and avoiding the production of superficial, hastily conducted research. Furthermore, sustained efforts are needed to overcome the inherent limitations of existing historical sources on Baekje by actively discovering new materials, developing innovative research themes, and integrating advanced methodologies, so that ongoing discussions can address the challenges of research, education, and the responsible dissemination of Baekje history, while also exploring viable strategies for its effective utilization.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is the formulation of historical-cultural zone frameworks and the potential misrepresentation of historical realities during the popularization process, because the current historical-cultural zoning initiatives risk distorting the historical authenticity of Baekje,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academic institutions, scholarly societies, and researchers to critically engage with these issues, devise countermeasures, and propose viable alternatives. Lastly, fostering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is essential to ensuring the continu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aekje studies, since ongoing discussions must address the challenges of research, education, and the responsible dissemination of Baekje history, while also exploring viable strategies for its effective utilization.
이동훈(Lee Donghoon)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0
백제사와 관련하여 중국과 한국에서 발표된 중국 학자의 논저(論著) 300여 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국의 백제사 연구는 전통적으로 위진남북조수당(魏晉南北朝隋唐)시기 조공책봉(朝貢冊封)을 매개로 한 중국에 존재했던 왕조들과 백제의 정치적 관계, 불교와 음악 등을 대표로 하는 문화교류 등이 주요 의제였다. 근래에는 백제 유민(百濟遺民) 묘지명(墓誌銘)의 분석과 백제 멸망 후 중국으로 이주한 백제 유민의 동향에 대한 연구도 급증하고 있다. 한편 고고학적으로는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을 비롯한 유물 유적과 중국 남조(南朝)에서 발견된 유물 유적의 상관관계를 밝힌 논문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목간 등 백제 문자자료에 관한 논문들도 등장했다. 일본과의 관계를 다룬 논문도 적지 않은데, 단일 사건으로는 중국과 일본의 최초의 전쟁이라고 평가받는 백강(白江)전투에 관한 논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백제사 관련 논문은 초기에는 대외관계사(對外關係史)가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백제사 자체에 관한 연구로 구체화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 초기사와 지방행정제도를 연구하는 논문이 등장하는 것은 중국 학계의 연구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전체적으로 보아 논문의 양이 급증했음에도 질적으로는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한 논문이 극히 적은 것이 한계이다. This paper analyzed 300 research papers from the field of Chinese studies which were related to Baekje history and published in both China and Kore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nese studies on the history of Baekje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political relations of Baekje and traditional Chinese dynasties, including Wei (魏), Jin (晉), the Nanbei Chao period (南北朝), Sui (隋), and Tang (唐), based upon the tributary-appointment relationship. Another major topic of research was cultural exchange in relation to Buddhism and music. Recently, papers on Baekje refugees (百濟遺民) increased, including analyses of their tomb epitaphs (墓誌銘) and the trends of their movement to China after the destruction of Baekje. Regarding archeological studies, many papers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relic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武寧王陵) and those from the Chinese NanChao period (南朝) period. In addition, there were recent publications on Baekje philology, featuring wood strips discovered in Baekje area. Not a few papers studied Baekje-Japan relations, primarily regarding the Battle of Baekgang (白江),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irst international battle between China and Japan. Another characteristic discovered from this analysis was the shift of the central topics from foreign [international] relations to domestic issues in Baekje history. The emergence of papers on early Baekje history and its provincial administration system testifies to the advancement of this topic in the field of Chinese studies. In general, there was rapid development in the quantity of articles, yet the number of quality research publications was still limited.
崔章烈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1 百濟硏究 Vol.74 No.-
Yi Byeong-do (courtesy name: Dugye, 1896-1989)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Korean historians of the 20th century, best known as a champion of empirical history. Yi’s lifelong emphasis on empirical methodology is traced back to his years in Tokyo during which he met his Japanese mentor while studying at Waseda University. While h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throughout the long career as a historian, he was particularly proud of the one he made in the field of ancient Korean history. Yi compiled a volume of research papers he had written on ancient Korean history until his later years, and published the book A Study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1976). The book also contained his early research papers on Baekje history, some of which were originally published as early 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basic idea on Baekje history that the ancient Korean kingdom had two pivotal periods, one when it was under the reign of King Goi and the other under the reign of King Geunchogo, is still widely accepted. A pioneer in the historical research of Baekje, Yi laid the groundwork for this field. Notwithstanding, some of his theories related to Baekje history such as the presumed locations of Jinhan and Wiryeseong Fortress in Hanam or the new date he proposed as the founding year of Mireuksa Temple have been mostly dismissed today. This, however, should not be seen as a proof of imperfection of the Yi’s researches, but rather as a natural consequence of advances in the field. New findings and further research most often lead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a period. His research based on a modern methodology is considered to have made immeasurable contributions in transforming Korean historiography into historical science and raising scholarly standards in this field. At the same time, Yi has been also criticized as a historian with a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His critics accused him of echoing the Japanese-made colonial vision of Korean history. Such criticism has been mainly directed against his research in ancient history. Yi’s research was undeniably limited by his circumstances as a Korean historian who liv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conformed, in many ways, to the Japanese perspectives and methods. However, the fact that Yi’s research was not free of such limitations in no way diminishes the value of the many contributions he made over his career. A historiographic assessment of a historian ought to be based on a comprehensive and through evaluation of his or her scholarly activities and accomplishments. 한국 사학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두계 이병도(1896~1989)는 일반적으로 실증사학을 대표하는 역사학자로 알려져 있다. 두계가 역사연구 방법론으로 평생 동안 실증적 방법을 중요시한 것은 적어도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시절 일본인 스승과의 만남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두계는 긴 생애를 통해 역사가로서 두드러진 족적을 남겼는데, 한국 고대사는 스스로 가장 큰 성과를이룬 분야로 자부하였다. 두계는 만년에 이르기까지 쓴 고대사 논문을 모아『한국고대사연구』(1976) 를 출간하였고, 이 책에 일제강점기부터 개별적으로 발표한 백제사 관련 논문도 재수록하였다. 두계가고이왕대와 근초고왕대를 중요한 획기로 설정한 백제사 체계의 큰 틀은 지금까지도 통설이 되어 유지되고 있다. 백제사 연구는 두계를 제1세대로 하여 그 기반이 이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두계가 제시한 백제사 관련 여러 견해들, 이를테면 삼한의 위치 비정, 하남위례성 비정, 미륵사 창건연대 재해석 등은 더 이상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두계의 연구가 부실했기 때문이라기 보다 그간 신자료의 발굴및 관련 연구의 심화 등 학문적 발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두계는 근대적 역사연구 방법에 입각한 연구로 한국사학이 역사학으로 정립하고, 그 학문적 수준을향상시키는데 크게 이바지 하였다고 평가받는다. 한편으로는 식민주의 사학자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의 한국사 연구가 일본인들이 만든 식민사관을 추종한다는 것이다. 두계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주로 고대사 분야에 집중되어 왔다. 일제강점기 한국인 연구자의 연구가 내포하고 있던 한계, 즉 일본인들이 설정하고 이끌고 간 문제의식이나 연구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두계 역시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고 두계가 쌓아왔던 연구업적을 평가 절하할 수는 없다. 역사가에 대한사학사적 평가는 그의 학술 활동과 학문적 업적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16년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 웅진·사비시대 문헌사를 중심으로 -
장미애 ( Jang Mi-ae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본고는 2016년에 발표된 웅진~사비시대 문헌사 연구를 중심으로 백제사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웅진~사비시대 백제사 연구는 몇 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우선 시기적으로는 사비시대에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연구 주제 역시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데,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국제관계사이며, 지방사와 자료 소개에 대한 연구가 뒤를 잇고 있다. 국제관계사 연구 역시 사비시대, 특히 무왕 대 이후에 집중되고 있다. 다만 단선적으로 이루어지던 대외관계사 연구를 탈피하여 고대 한-중-일 諸國의 이해관계 속에서 백제의 대외정책을 복합적으로 파악하려 하고 있다. 지방사 연구는 지방 제도와 지방 세력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나주 혹은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여러 고고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이들 연구는 문헌사와 고고학 자료가 복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연구 분야이다. 한편 최근 고고 발굴을 통해 발견되는 목간 및 중국에서 발견되고 있는 금석문 등을 비롯한 문자 자료의 확대는 연구 주제의 확대까지 불러오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ults of Baekjae`s research on the Woongjin - Sabi period published in 2016. The study of Baekjae in the Woongjin-Sabi period shows some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researches on Sabi period are being done intensively. Research topics also have a clear tendency. The most studied research is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llowed by local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research data. Research o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also been concentrated in the Sabi era, especially after the King Mu era. It is characterized by trying to grasp Baekje`s foreign policy in a complex way in the interests of ancient Korea - China - Japan. The study of local history has focused on the study of local institutions and local forces. The study of local history is based on archeological data found in the area. This is a typical field where a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archeology is conducted.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expansion of textual materials, including the Wooden Tablets and the Epigraph, has led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themes.
이동재 한국한문교육학회 2024 한문교육논집 Vol.63 No.-
본 고는 역대 문인들이 지은 백제회고시의 현황과 내용, 문학사적 특징을 파악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18세기 문인들이 지은 백제회고시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백제회고시는 부여 등 백제사와 관련된 장소를 소재로 하여 지은 시를 말하는데, 18세기에는 朴泰茂의 「白馬江舟中」 시 외에 46題 49수가 지어졌으며 주된 내용은 역사에 대한 무상감과 무관심 등이다. 18세기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백제회고시의 문학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회고시 형식의 변화이다. 회고시는 서정성보다는 서사성이 더 강하므로 주로 排律이나 換韻이 가능한 고체시로 作詩한다. 하지만 18세기에 지어진 백제회고시 50수 가운데 43수가 絶句나 律詩이다. 이는 당대 사회 분위기가 집단성보다는 개인의 사유를 중시하는 분위기로 변해가면서 과거사에 대한 의미 부여를 통한 鑑戒 보다는 역사에 대한 무상감과 무관심을 주로 드러냈기 때문이다. 둘째, 백제회고시를 지은 문인들의 신분 변화이다. 17세기 이전에는 주로 충청도관찰사 등이 공무수행으로 부여에 들러 백제 회고의 정서를 드러낸 회고시를 지었으나, 18세기에 이르면 지방관보다는 주로 민간인 신분으로 부여 등을 유람하며 백제회고시를 지었다. 이는 18세기에는 경제적 여유로 인한 여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백제회고시의 장소와 대상 인물의 확대이다. 17세기 이전에는 백제회고시의 장소가 백마강 등 부여가 전부였으나, 18세기에는 장소가 이하곤의 「熊津懷古」와 같이 웅진(공주)까지 확대된다. 또한 회고 대상의 인물도 17세기 이전에 지어진 백제회고시에는 의자왕 등 백제사 인물이 전부였으나, 18세기에는 唐나라 원정군의 사령관이었던 蘇定方 등까지 확대된다. 넷째, 역사에 대한 무상감과 무관심의 심화이다. 18세기에 지어진 백제회고시는 17세기와 마찬가지로 역사에 대한 무상감과 무관심이 주된 주제였다. 이는 18세기도 17세기처럼 정치적으로 극한 대립이 지속되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18세기에는 17세기와 마찬가지로 成忠 등을 褒揚하여 자기화한 시가 전혀 지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당대의 정치ㆍ사회적 분위기에서 기인한다.
이동재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in the 17th century, as part of the stud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Baekje retrospective classical Chinese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in our coun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history. Baekje retrospective poems refer to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visiting historical sites related to Baekje history and using relics, characters, and events related to Baekje history. The 17th century Baekje retrospective poems include 86 poems with 64 titles written by 34 writers including Kwak Yeol, etc. The 17th century Baekje retrospective poem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diversification of the group of writers. In the previous period, songwriters were mainly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Chungcheong Gwanchalsa, but in the 17th century, there were 17 poets from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Chungcheong‐do Gwanchalsa, and the remaining 17 were civilians, not government incumbents, or local residents who lived in Buyeo.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economic activities were actively taking place, leading to the atmosphere for excursions growing, and the literati participating in it has increased. Second, there is a change in the form of the poems. Among the 86 poems of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in the 17th century, five‐character verses and seven‐character verse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50 poems. Since retrospective poems mainly take the rise and fall of dynasties as the central material, they are more epic than lyricism, so it is common to compose them in styles of Pailu poems or ancient verse poems. However,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in the 17th century have a sense of ephemerality as their main sentiment, which is a personal lyric. This shows that the social atmosphere is gradually changing to an atmosphere in which individual will and thinking are emphasized rather than collectivism. Third, the use of Baekma‐river as a space for writing poems and as a material for poems has increased. Among the Baekje retrospective poems in the 17th century, poems with Baekma‐river as the subject matter accounted for 50 out of the 86 poems. One reason is that the number of cruises using a boat has increased as the way to cruise Buyeo, but the main reason is that the sense of ephemerality, the main sentiments of poems, is revealed through water. Thus, Baekma‐river has come to have meaning and value as a medium to remember Baekje history, or sometimes, as a space symbolized by history itself. Fourth, the sense of ephemerality and apathy emotions were deepened. Among the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in the 17th century, 76 poems out of the 86 poems showing apathy or sense of ephemerality accounted for 88%. In the 17th century, due to the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political forces, the literati distanced themselves from the issues of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their historical interest has diminished significantly, and they revealed only the sense of ephemerality of history, which is far from the reality of the time. 본고는 우리나라 역대 문인들이 지은 백제 회고 한시의 현황과 내용, 문학사적 특징을 파악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17세기 문인들이 지은 백제 회고시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백제 회고시는 백제사와 관련된 유적지를 찾아가서 백제사와 관련된 유적, 인물, 사건 등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를 말한다. 17세기 백제 회고시는 郭說 등 34명의 문인이 지은 64제 86수의 시가 있다. 17세기 백제 회고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작가 군의 다양화이다. 이전 시기에는 작사자가 주로 충청관찰사 등 관원이었으나, 17세기에는 작시자가 충청도관찰사 등 관원이 17인이고, 나머지 17인은 현직 관료가 아닌 민간인 신분이거나 부여에 살았던 지역민이었다. 이는 17세기 후반에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유람에 대한 분위기가 커지고 여기에 동참하는 문인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둘째, 시 형식의 변화이다. 17세기에 지어진 백제 회고시 86수 가운데 5언 절구와 7언 절구가 50수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회고시는 주로 왕조의 개국과 몰락 등을 중심 소재로 삼기 때문에 서정성보다는 서사성이 더 강하여 배율시나 고체시로 작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17세기에 지어진 백제회고시는 주된 정조가 무상감인데, 이는 개인의 서정을 읊은 것이다. 이는 사회적 분위기가 집단성 보다는 개인의 의지, 사유가 중시되는 분위기로 점점 변해가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작시의 공간과 시의 소재로 백마강의 활용이 많아졌다. 17세기 백제회고시 가운데 백마강을 소재로 한 시는 86수의 시 가운데 50수를 차지한다. 이는 부여를 유람하는 방법이 배를 활용한 유람이 많아진 것도 한 가지 이유이지만, 주된 이유는 시의 주된 정조인 무상감을 물을 통해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백마강은 백제사를 기억하는 하나의 매개체로서, 또는 때때로 역사 그 자체로 상징화된 공간으로서 의미와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넷째, 무상감과 무관심 정서가 심화되었다. 17세기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백제 회고시 가운데 무관심이나 무상감을 드러낸 시가 86수 시 중 76수로 88%를 차지한다. 17세기는 정치세력의 극한 대립으로 인해 문인들은 당대 현실에 대한 문제로부터 거리를 두게 되었고, 역사적인 관심도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었으며, 당대의 현실과 거리가 먼 역사의 무상감만 드러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대교일장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3 백제문화 Vol.1 No.48
2007년 10월, 한국 부여에 있는 백제시대 왕흥사지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불탑지 밑에서 사리기가 발견 되었다. 금, 은, 청동제, 3점의 사리기가 포개서 넣어진 상태로 안치되어 있었고, 가장 바깥쪽의 청동제 용기 측면에 「丁酉」라는 기년명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이 간지는 서기 577년에 해당되지만, 이 해는 일본의 敏達天皇 6년으로, 그 해의 11월에 백제왕, 즉 위덕왕이 일본에 조불공과 조사공을 보내온 해이기도 하였다. 그로부터 10년 후에 일본에서는 최초의 본격적인 가람을 갖춘 아스카데라(飛鳥寺)가 발원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스카데라는 백제 공인의 지도하에서 조영되었기 때문에 백제사원이라고 보아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왕흥사의 사리안치에서는 불탑지 기단의 상면으로부터 약 50cm 아래로 100×110×45cm의 석재가 확인되었다. 이 석재 상면의 중앙에 80×80cm의 정방형의 판축시설이 있었고, 이것은 기단상에 심초를 놓기 위한 적심 시설이라고 한다. 이 석재 상면의 중앙부에 적심시설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것을 피해 석재 상면의 남단부에 16×12×16cm의 장방형의 사리공이 설치되었고, 이곳에 사각추대의 돌뚜껑이 덮여 있었다. 사리공의 내부에는 앞에서 말한 사리용기들이 포개어진 상태로 놓여 있었다. 고스기가즈오(小杉一雄)씨에 의하면, 중국 육조시대 목조탑의 사리안치는 사리를 직접 금제용기에 넣고, 이것을 은제, 동제의 용기에 포개 넣고, 마지막에는 석제의 함에 넣어 지하의 심초석보다 더 아래에 매장하였는데, 이러한 사리안치의 양상은 당시 매장의 작법을 모방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리안치 방법에 대해 전혀 알 수 없었던 백제에서는 동아시아의 최첨단 문명인 중국의 불교문명을 수용하는데 있어, 당연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무조건 받아들이는 시대인 한성·웅진시대에서 538년에 사비로 천도한 사비 시대가 되면 궁리와 고안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577년에 사리를 매장한 왕흥사에서는 궁리와 고안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었다. 즉 지상식 심초석 바로 밑에 심초석의 지반강화를 꾀함과 동시에 사리안치의 가장 바깥쪽 용기인 석함의 대용품으로서 심초석에 필적하는 석재를 매납하였다. 석재 상면의 중앙부에는 적심토를 판축하였는데 그 때문에 중앙부를 피해 주변부에 사리공을 만들고 육조시대의 전통인 석함의 뚜껑의 형상과 같은 사각추대의 돌뚜껑을 만들었다. 왕흥사에서는 석재가석함의 대용품이었지만, 심초석 그 자체가 석함의 대용품, 즉 심초석에 사리공을 만들었던 것이 백제 부여의 구아리 절터의 심초석이다. 이 심초석은 시대적으로는 왕흥사의 석재의 사리공과 같은 시기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해서 587년에 발원하는 아스카데라에서는 백제 조사공의 지도에 의해 심초석에 사리공을 뚫고 그곳에 불사리를 안치하게 된다. 二00七年十月、韓國の扶余にある百濟時代の王興寺址の發掘調査がおこなわれ、佛塔址の地下から舍利容器が發見された。金、銀、청銅製の三点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納められ、もっとも外側の청銅製舍利容器の側面に「丁酉」の紀年銘が陰刻されていた。その干支は西歷五七七年に當たるが、この年はわが敏達天皇の六年で、その年の十一月に百濟王、すなわち威德王がわが國に造佛工と造寺工を送ってきた年でもあった。この十年後にはわが國初の本格的伽藍を擁した飛鳥寺が發願されるが、私見によると飛鳥寺は百濟の工人の指導のもとに造營されたため、百濟寺院と言ってもよかった。さて、王興寺の舍利安置であるが、佛塔址の基壇の上面から約五十センチ下から一00×一一0×四五センチの石材が確認された。この石材の上面の中央に八0×八0センチの正方形の版築施設があって、この版築は基壇上に心礎を据えるための積心施設という。この石材の上面中央部に積心施設をつくったため、それを避けて石材上面の南端部に一六×一二×一六センチの長方體の舍利孔が設けられていて、これに四角錐體の石蓋が被せられていた。舍利孔の內部には先述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置かれていた。小杉一雄氏によると、中國六朝時代の木造塔の舍利安置は舍利を直に金製容器に納め、銀製、銅製の容器に入れ子式に、最後は石製の函に納め、地中の心礎よりさらに下方に埋藏したが、このような舍利安置の諸相は當時の埋葬の作法に倣ったものという。こうした舍利安置法について一切知らなかった百濟では、東アジアの最先端文明であった中國佛敎文明を受容することになると當然ながら丸呑みせざるを得なかった。丸呑み時代の漢城·熊津時代から五三八年に遷都した泗비時代になると、工夫考案の時代を迎える。五七七年に舍利を埋藏した王興寺では工夫考案の時代がはじまっていた。すなわち、地上式の心礎の진下に、心礎の地盤强化を目指し、同時に舍利安置の最外容器たる石函の代用品として心礎に匹敵する石材を埋納した。石材の上面中央部には積心土を版築し、そのため中央部を避けて周邊部に舍利孔を穿ち、六朝傳統の石函の蓋の形狀と同じ四角錘台の石蓋をつくった。王興寺では石材が石函の代用品であったが、心礎そのものが石函の代用品、つまり心礎に舍利孔がつくられたのが百濟扶余の舊衙里の寺院址の心礎である。この心礎は時代的には王興寺の石材の舍利孔と同時期と思われる。こうして五八七年發願の飛鳥寺では、百濟の造寺工の指導により心礎に穿った舍利孔に佛舍利を安置するの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