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후기 白蓮寺 結社佛敎의 교학과 실천

        박용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0

        This study examined the T’ien-Tai Scripture on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Baekryeon-gyeolsa(白蓮結社)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reviewed the teachings and practices of Baekryeon-gyeolsa based on this.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The T’ien-Tai Scripture of Baekryeon-gyeolsa include the basic scriptures of Cheontaejong, “ Beoghwagyeong (法華經)”, and the Cheontaejiui “ Beobhwasammae- chamui (法華三昧懺儀),” and other scriptures were used. Pure Land Buddhism of Tiantai Sect of Baekryeon-gyeolsa used “ GwanmuryangSukyung (觀無量 壽經)” and “ GwanmuryangSukyung-myojong (觀無量壽經妙宗)” as well as “ Amitagyeong (阿彌陀經)” and so on. In the 1240’s, when Baekryeon-gyeolsa declared the association(結社), the Daejang-dogam(大藏都監) published books such as “ Cheontae-samdaebu-boju (天台三大部補注)” and so on. The teachings and practices of Baekryeon-gyeolsa divided into T’ien-Tai Doctrine, Beobhwa-sammae, and Pure Land Buddhism of Tiantai Sect. The Baekryeon-gyeolsa centered on the practice of Yeombul(念佛) and Repentance(懺悔), Songgyeong(誦經) and Jwaseon(坐禪), and Beophwa- Sammae(法華三昧) at Beobhwa-doryang(法華道場). The Baekryeon-gyeolsa’s Cheontae Jeongtogyo presented faith of Pure Land(淨土) through Amitabha Buddha yeombul while conducting repentance, exposition of Sutras(講經), and songju(誦呪) with a focus on T’ien-Tai Doctrine. On the other hand, Baekryeon-gyeolsa’s Jeongtogyo(淨土敎) pursued enlightenment through the practice of the ‘Silsang-yeombul(實相念佛)’ found in the “ Myojongcho (妙宗鈔)”. This two-sided upaya method(方便) can be a characteristic of the Baekryeon-gyeolsa’s Cheontae Jeongtogyo. 고려후기 백련결사의 관련 자료에서 천태교학과 실천에 대한 교전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백련사의 교학과 실천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백련결사의 천태교전을 살펴보면, 천태종의 소의경전인 『법화경』을 핵심으로, 천태 지의의 『법화삼매참의』, 천태정토의 교전으로 『관무량수경』과 『관무량수경묘종초』 이 외에 『아미타경』 등 다양한 경론과 주석서가 천태교전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백련결사 가 본격적인 결사를 표방한 1240년대에 대장도감 및 분사도감에서는 『천태삼대부보주』, 『법화문구병기절요』, 『묘법연화경계환해』 등 천태교전을 간행하였다. 이 천태교전이 백 련결사가 주관한 간행인지는 분명치 않고, 그 관련성은 보다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백련결사의 천태교학과 실천에 대해서는 천태교관과 법화삼매, 그리고 정토신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백련결사는 법화도량의 염불과 참회, 송경과 좌선, 법화삼매의 지관 수행이 중심이 되었다. 특히, 백련사의 천태교관과 법화삼매참은 기본적으로 대자 적 수행의례에 해당되지만, 국가 진호와 개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대타적 기원의례인 축 수의 성격도 찾을 수 있다. 백련사의 천태정토신앙을 살펴보면, 천태교관을 중심으로 참회와 『법화경』 강경, 준제주 송주를 행하면서, 아미타불 칭명염불을 통하여 서방정토 왕생이 제시되었다. 한편으로 『묘종』에서 확인되는 관상염불과 실상염불의 지관수행을 통한 제법실상의 증득을 추구하는 수행과 교화의 방편성이 백련결사 천태정토신앙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백련결사는 사상적 측면에서는 천태교관을 중심으로 정토사상을 갖추었고, 의례적으로는 보현도량을 세워 참회행과 염불행의 실천수행을 핵심으로 하였 다. 백련결사의 성립과 전개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교 수행 지향적 결사에서 보현도 량을 세우고 결사를 표방한 이후에는 대타적 기원의례를 설행하면서 국가와 지역사회의 종교적 요구에 대응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 KCI등재

        無畏國統 丁午와 원간섭기 백련결사의 전개

        강호선 진단학회 2014 진단학보 Vol.- No.120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changes of Baekryeon-gyeolsa(白蓮結社, the White Lotus Association) developed through the activities of Jeong'o(丁午), National Preceptor Muoe, during the period of Mongol intervention. The changes of Baekryeon-gyeolsa in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have been dually understood by dividing into two opposing forces; one is the party holding fast to the founding spirit of Baekryeon-gyeolsa established by Yose(了世), and the other is the party gradually turned into pro-Yuan(元) dynasty and become part of the aristocratic class. It has been also understood that the watershed moment of the deterioration and division in the Baekryeon-gyeolsa was establishment of Myoryeonsa(妙蓮寺) by King Chungryeol(忠烈王). However,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Jeong'o during that period, a member of the Baekryeon-gyeolsa it is difficult to discern whether the Baekryeon-gyeolsa was dually divided or not. First of all, Jeong'o is confirmed to hav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Cheonchaek(天 ). In terms of his intellectual succession and changes, his philosophy, activities and his insight of the Cheontae Order(天台宗) history in Goryeo need to be reviewed on the basis of his relationship with Cheonchaek. In addition, the fact that Jeong'o and his disciples maintained a relationship with the Baekryeon-gyeolsa even after they moved to Gaegyeong(開京), capital of Goryeo indicates that the activities of Jeong'o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activities of the Baekryeon-gyeolsa. Though Jeong'o served as the head monk of Myoryeonsa, he seems to have been relatively inactive while he stayed there. Instead he was mainly engaged in the reconstruction works of Yonghyeolam(龍穴庵) and Gwaetapam(掛塔庵), both located near Baekryeonsa and of Yong'amsa(龍巖寺) dedicated to retired Royal Preceptor or National Preceptor and Geumjangsa(金藏寺) as well as the refurbishment work of Kukcheongsa(國靑寺), a major temple for the Cheontae Order in Goryeo. His major activities also include publication and transcription in gold of Buddhist scriptures, mainly the Lotus Sutra. Among these activities significance of the refurbishment of Kukcheongsa is important in many respects. Above all it was in the process of the temple’s refurbishment that the Baekryeon-gyeolsa obtained the representative status of the Cheontae Order. Jeong'o trie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heontae Order through refurbishing work of Kukcheongsa and his pride derived from this project was eventually manifested in reappraising Uicheon(義天), founder of the Cheontae Order and in political interpretation of the Cheontae thoughts. Through Jeong'o's activities, it is noted that the Baekryeon-gyeolsa was developed during the 14th century as the dominant force embracing the entire Cheontae Order. On the other hand, his activities also show the overall trends and limitations of Goryeo Buddhism during the 14th century that the Baekryeon-gyeolsa, the reformative Buddhist movement in the late Goryeo led by the local Buddhist sects, lost its founding spirit in the end by returning to the conservative Buddhism led by Gaegyeong sect during the period of Mongol intervention. 본고는 丁午의 활동을 통해 원간섭기 白蓮結社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추구하였다. 14세기 전반 백련결사의 변화에 대해 了世가 개창한 백련결사의 정신을 지키는 세력과 변질되어 親元化․귀족화된 세력으로 二元化하여 이해해왔고, 충렬왕의 妙蓮寺 창건이 백련결사 변질과 분열의 계기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정오로 대표되는 백련결사를 이원적으로만 구분지어 보기는 어렵고, 정오와 묘련사와의 관계를 특별히 중요하게 볼 수 있을지 재고해 보아야 한다. 우선 정오는 天 과 밀접한 관계가 확인되며, 정오의 사상과 활동 그리고 고려 天台宗史에 대한 인식 역시 천책과의 관련성 속에서 계승과 변화의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오와 문도들은 개경으로 진출한 이후에도 백련사와의 관계를 지속하고 있고 정오가 묘련사 주지를 지내기는 했으나 묘련사와 관련해서는 그다지 주목되는 활동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백련사 인근 암자인 용혈암 및 괘탑암과 하산소로 지정된 용암사 및 금장사 중수, 고려 천태종의 중심사찰인 국청사 중창, 그리고 『법화경』을 중심으로 한 佛書간행과 寫經이 그의 주된 활동이다. 이중에서 국청사 중창이 갖는 의미는 여러모로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백련결사가 천태종단을 대표하는 위상을 확보하였다. 정오는 국청사 중창을 통해 천태종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했고, 이러한 자신감은 천태종 개창자로서의 義天에 대한 재인식과 천태사상에 대한 정치적 해석으로 발현되었다. 정오의 활동은 14세기 백련결사가 천태종 전체를 아우를 정도로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는 한편, 고려후기 지방교단 주도의 개혁적인 불교운동이었던 백련결사가 원간섭기 개경교단 주도의 보수적인 불교로 회귀함으로써 결국 결사정신이 쇠퇴하는 14세기 고려불교의 전반적인 동향과 한계를 보여준다.

      • KCI등재

        고려후기 백련사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의의

        박용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7

        Baekryunsa began as a religious association, became the central temple of the province and further advanced into the central Buddhist Communit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is Buddhist association were examined through Buddhist rituals.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aspect of Buddhist ideas, Baekryunsa had the idea of Jeongto (淨土) centering around Tientai-ideas. The ritual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penitence and meditation concentrating on Amihaba (彌陀念佛). In the aspect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Baekryun-gyulsa (白蓮結社), Yose (了世) created a performance-oriented association of religious communities. After establishing Bohyun-doryang (普賢道場) in1232 and expressing Baekryun-gyulsa (白蓮結社) in 1236, Baekryunsa carried out activities to respond to the religious demand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state. Analyzing the Somun (疏文) of Buddhist rituals of the Baekryun-gyulsa (白蓮結社), they have similarities in the form and content of Somun (疏 文) of national Buddhist rituals. Buddhist rituals of Baekryeon all prayed for national well-being and King’s life. In response to the concerns of the region and the state, Baekjunsa conducted Buddhist rituals that conformed to the national notions. 고려후기 결사불교로서 대표적인 것이 원묘국사 요세의 백련결사와 지눌의 수선결사 이다. 이 결사불교는 지방에 위치하면서 그 시대와 사회의 관심사에 대해 종교적으로 대응하였다. 백련사는 신앙결사에서 출발하여 지방의 중심 사원으로 전개되었고, 나아가 중앙 불교계로 진출하였다. 이러한 결사불교의 성립과 전개를 불교의례를 통하여 검토하 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한다. 요세의 실천수행은 법화삼매와 정토왕생이 중심이 되었는데, 법화참법행, 준제주, 아 미타불 염송 등 천태교관을 중심으로 정토를 결합한 천태정토교로 전개된 경향성을 지적할 수 있다. 天因의 실천수행과 불교의례는 법연, 참선, 六時禮懺 등으로 요세 이래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불교의례라 할 수 있다. 천책의 실천수행과 불교의례는 대자적 수행의례로는 보현도량, 법화도량, 사경과 송경, 율회, 대타적 기원의례로는 축수재, 법화경 인성 경찬, 수륙재 등의 불교의례를 확인할 수 있다. 고려후기 충렬왕과 충선왕대에는 백련사 출신의 원혜와 정오 등이 개경에 진출하여 활발히 활동하였다. 정오와 불교의례를 살펴보면 관련 자료의 대부분은 『東文選』에 남 아있고, 禮懺, 축수재, 薦度齋, 寫經과 轉讀, 點眼, 龍華會 등의 불교의례 자료가 확인된 다. 백련결사는 사상적 측면에서는 천태교관을 중심으로 정토사상을 갖추었고, 의례적으 로는 보현도량을 세워 법화삼매참의 참회행과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실천수행을 근간으 로 하였다. 백련결사의 성립과 전개라는 측면에서 요세는 종교적 동신공동체의 수행지향 적 결사에서 보현도량을 세우고 결사를 표방한 이후에는 대타적 기원의례를 설행하면서 지역사회와 국가의 종교적 요구에 대응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백련결사의 불교의례 소문을 분석하면, 국가 불교의례의 소문의 형식과 내용상 유사성을 갖는다. 불교자인 승려의 대자적 수행의례와 대타적 기원의례에서 공히 국가안녕과 국왕축수를 발원하였 다. 백련사는 지역 및 국가의 관심사에 대응하면서 국가 관념과 합치되는 불교의례를 설행하였다.

      • KCI등재

        고려후기 백련사 결사의 계승과 전개 : 백련사 결사의 전개 再試攷

        황인규 韓國佛敎硏究院 2013 불교연구 Vol.38 No.-

        The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and expansion of the Baekryeon Association. It started from the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by Wonmyoguksa Yose. Cheonchaek wrote the determination of the association under the order of his mentor, Yose; the association absorved the outer moats of the military juntas of Choi as well as the powerful families and people of the region. Therefore, Yose was praised as the highest monk along with Uicheon and his students, Gyeung and Jinul and his student, Hyesim. The association was organized by Cheonin and it sought the revival of the Cheontaejong in Mt. Cheongwan. The Ayukwangtap Tower in Mt. Cheongwan proves it. The Baekryeonsa Temple was expanded and spread to the Dongbaekryeonsa Association. It also raised their spirits by hosting the Gyeongchanhoi in the Dongbaekryeon association, by Cheonin and Cheonchaek from the support of Choija, who gave the Daboseotapdo from the Emperor of Song. In particular, Cheonchaek became the head Buddhist monk in the Dongbaekryeonsa Temple and he raised spirits by contributing Buddhism books to the Temple, including Bulseolmyeong, Josachan, Jeongtowongi and Beophwasupumchan, brought by Buddhist monk Beopuntakyeon, a friend of Wonoguksa Cheonyeong in the Suseonsa Temple and the head Buddhist monk of Jindo Yongsangsa Temple. The Baekryoensa Temple was expanded by having relations with Dongbaekryeon in Sangju and Baekryeonsa Temples in Wando Island and Jeju Island. Buddhist monk Hyeil expanded the association with Cheonchaek in the Wando Beophwasa Temple and even in the Jeju Beophwasa Temple. Associations were expanded not only in the Gojongdae region but also at the Boamsa Temple and Yeonhwawon, around Gaegyeong. The movement spread from Gangjin to Gaegyeong, and Muoiguktong Jeongo improved the power of Cheontaejong by contributing spells in the Gukcheongsa Temple established by Uicheon. Later, Buamunmuk, a student and the eldest disciple of Jinjeongguksa Cheonchaek, raised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around Siheung. Together, Bohae and Myohye, who were descendants and students of Samjangbeopsa Uiseon of Ingyu Cho's family in the Cheontaejong, raised spirits by publishing 'Beophwayeongheomjeon (Dharma-flower absorption)' at the Suwon Manuisa Temple. 본 논고는 백련결사의 성립과 전개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백련결사는 원묘국사 요세에 의하여 강진 백련사에서 시작되었다. 천책은 스승 요세의 지시를 받아 결사문을 작성하였으며, 백련결사는 최씨 무인정권의 외호 뿐만 아니라 그 지역의 호족층과 민이 대거 동참하였다. 그리하여 요세는 의천과 제자 계응과 지눌과 제자 혜심과 더불어 국가의 최고의 고승으로 받들어졌다. 백련사 결사는 제자 천인에 의해 주관되었으며, 나아가 천관산에 가서 천태종의 부흥을 꾀하였던 듯하다. 천관산의 아육왕탑이 그것을 대변해준다. 그 후 백련사는 상주에 동백련사 결사로 확대 전개되게 되며, 여기에 일찍이 송나라 황제에게 받은 다보서탑도를 문인 최자의 후원으로 천인과 천책이 동백련 결사에서 경찬회를 주재 봉안하며 결사를 진작시켰다. 특히 천책은 동백련사의 초대 사주가 되어 수선사사주 원오국사 천영의 도반이자 진도 용장사 주지인 선승 법운탁연이 송의 영파 연경사에서 가져온 불설명, 조사찬, 정토원기, 법화수품찬 등 불서를 봉안하며 결사를 드높였다. 백련사는 상주 동백련사 뿐만 아니라 완도의 법화사와 제주의 법화사와 연계를 가지면서 확대되었다. 승려 혜일은 완도법화사에서 천책과 교유하며 결사를 전개하였고 나아가 제주 법화사에 진출하여 결사를 확대하였다. 그 무렵 고종대 지방 뿐만 아니라 개경 일대에서도 보암사와 연화원에서 결사가 전개되었다. 강진에서 시작된 결사가 개경으로 확대되어 무외국통 정오는 의천이 개창한 국청사에서 주불을 봉안하며 천태종의 사세를 진작시켰다. 향후 진정국사 천책의 적사인 이안의 제자 부암운묵이 근기지방 시흥 일대에서 결사정신을 전개하게 된다. 아울러 조인규 가문의 천태종 승려 삼장법사 의선의 후손인 보해나 묘혜, 요원 등도 수원 만의사 일대에서 『법화영험전』을 간행하는 등 결사정신을 선양하게 되는 것이다.

      • KCI우수등재

        고려후기 백련결사에 대한 재검토

        강호선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58 No.-

        After the 1970s, studies on Buddhism in the late Goryeo have maintained their focus on two Buddhist Communities, i.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Suseon Gyeolsa) and White Lotus Community (Baengnyeon Gyeolsa). Gyeolsa has been highly rated as reformist, popular, and regional movement of Goryeo Buddhism. Nowadays, however, criticism of such argument has been raised and this brings needs of re-research on Gyeolsa to the academia. Gyeolsa of late Goryeo was started in order to criticize Buddhism of those days, not to pursuit rebirth in pure land. Yose found his solution in the tradition of Tian-tai of Song period, not in Uicheon‘s Cheontae school. Most of researches have said Baengnyeon Gyeolsa chose easy practise for the public who had lower intellectual, practise level and ability. However, practise of Baengnyeon Gyeolsa was never easy, because Tiantai’s traditional meditation and method of repentance were not easy and faith of pure land was accepted in context of Tiantai faith and practise. Whether Baengnyeon Gyeolsa aimed at common people or not, it is clearly relevant that Gyeolsa was opened to low class people who lived in province and had lower intellectual. In addition, it was an important social phenomenon that young Confucian scholars who passed national examinations renounced world to Gyeolsa. Recent criticism that if we view late Goryeo Buddhism only focusing on Gyeolsa, it will mislead us to pass over various aspects of late Goryeo Buddhism is correct. Nevertheless, it is also clear that Gyeolsa was new attempts and efforts in the late Goryeo and, being the most notable Buddhist movement in the late Goryeo period, it is still the most important points to understanding Goryeo Buddhism. 고려후기 결사불교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시작된 이후 수선결사와 백련결사라는 양대결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결사의 성립, 전개, 변질은 13~14세기 불교사의 가장 중요한 흐름이었고, 고려후기의 결사불교는 개혁적이고, 민중적이며, 지방사회 중심의 불교라는 점에서 고려전기 개경 중심의 귀족불교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최근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면서 결사불교를 다시 검토하는 계기가 만들어졌는데, 본 연구 역시 최근 제기된 반론을 계기로 요세의 결사불교를 사상과 시대라는 측면에서 다시 한번 검토하였다. 고려후기의 결사는 동아시아의 기존 결사와 달리 정토왕생에 대한 희구가 아닌 당시의 고려불교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 백련결사를 개창한 요세는 그 해결책을 송대 천태종의 수행전통에서 찾고자 했으나 의천에 의한 고려천태종 개창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한편, 백련결사의 수행에 대해 하근기에 적합한 쉬운 수행을 택하여 대중적인 결사를 지향했다고 이해하여 왔으나 이보다는 하근기까지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 즉, 결사의 저변이 넓었던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통적인 천태의 지관과 참법을 택한 백련결사의 수행법을 “쉬운” 수행이라 보기 어렵고 정토왕생 역시 천태의 신앙과 수행의 맥락에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고려후기 결사불교 이해에서 “업유자(業儒者)” 출가의 중요성은 이들의 사회계층의 문제보다는 이 시기 두드러지게 결사불교에만 나타나는 과거급제자의 출가라는 점에 있고, 이후 결사가 중앙의 무신정권과 연결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있다. 결사불교 중심의 고려후기불교사 이해는 고려후기 불교의 다채로운 흐름을 사장시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결사는 고려후기 불교에 나타나는 새로운 시도이자 노력이며, 당시 고려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불교였다는 점에서 여전히 고려후기 불교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요소임은 분명하다.

      • KCI등재

        結社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

        김호성(Ho Sung, Kim)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1 No.-

        The term Gyŏlsa(結社, Jiéshè), which means generally ‘association’, has the special meaning in the Buddhist history. We can easily suppose it from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Baekryŏn Gyŏlsa(白蓮結社, Báilián Jiéshè) and Jŏnghae Gyŏlsa(定慧結社, Dìnghuì Jiéshè) etc. My focus, however, is not on the specific meaning but on the general definition. It is also derived from the historical events though. From the aspects of modern development of Gyŏlsa, I have made the definition: “The Community which is grouped by people who are sharing the ideology, having been training themselves, in order to reform the Buddhist System.” This definition is based on these four key words such as practice of austerities, reformation, ideology, and community. My definition, however, is needed to review by himself when he observed the Korean Buddhist development. Gyŏlsa should be differed from the participation of the secular Buddhist affairs with crying for a reform. The latter would be accompanied with the institutional power, and it can not be any more Gyŏlsa. Accordingly it is defined again, “It is the efforts that one who wants to reform the problematic Buddhist System, train oneself in order to recover it, instead of participating it directly. It is free from any secular powers, so that need not to be grouped.” Gyŏlsa should be away from the secular affairs, so that could be a hope for people. That is the reason that I suggest ‘Holo Gyŏlsa’, or Gyŏlsa of being alone. It is actually inconsistent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just like the term, ‘Holo Gyŏlsa’. However it never breaks Buddhist harmony, rather it would be helpful for them. There could be numerous opponents against this writing. It is, however, not the point to find and criticize my faults. Our concern must be on these questions, “What is the way for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o be free from the institutional power?”, “How cannot the reformer downfall to be another object of reformation?”, and “How can they keep their original intentions?” I am always open to be criticized, what I would not give for to be helpful to our Buddhist Community. 일반적으로 모임이나 조직을 의미하는 ‘결사’라는 말은 불교사 안에서는 독특한 의미를 갖는 술어로서 거듭났다. 예컨대, 정혜결사, 백련결사 등에서 우리는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결사’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무관심해왔다. 이에 나는 구체적인 결사를 떠나서 결사 그 자체의 일반적 정의를 물어보았다. 그리하여 「결사의 근대적 전개양상」에서 “이념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먼저 스스로 수행을 하면서 불교교단을 새롭게 개혁하고자 실천한 공동체 운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는 결사를 ㉠수도운동, ㉡개혁운동, ㉢이념운동, 그리고 ㉣공동체운동으로 파악하고 있음이 반영되었다. 그런데, 나는 조계종을 중심으로 한 현대 한국불교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내 자신의 정의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결사에는 근본적으로(혹은 결과적으로) 개혁적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음은 사실이지만, 근래 종단개혁을 부르짖으면서 종단정치에 참여하는 움직임과 결사를 구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종단개혁을 부르짖고 현실적으로 宗團事에 참여하게 되면 반드시 거기에는 권력화가 수반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미 결사정신의 망각 내지 이탈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한 운동까지 결사로 부를 수는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결사정신의 측면에서 볼 때, ‘참여 속의 개혁’과 그것이 필연적으로 초래할 정치화의 길과는 반대로 결사는 脫정치/脫권력의 길(=수도의 길)을 걸어갔기 때문이 아닌가. 이러한 생각의 반영으로 나는 결사를 “불교교단의 문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직접 그 상황 속에 참여하여 개혁하고자 하는 대신, 그 상황으로부터 避隱하여 먼저 스스로 수행함으로써 장차 그러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일”로서 재정의하였다. “그것은 권력이나 정치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므로, 종단의 제도나 조직을 활용하지 않는 순수 민간, 在野 차원이어야 한다. 脫권력 내지 脫정치를 지향하므로 반드시 2인 이상의 모임이 아니어도 무방”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2인 이상의모임이 아니라도 무방하다는 데에서 ‘홀로결사’도 가능하리라 보았다. 이는 사실상의 결사의 해체에 다름 아니다. 형식보다도 정신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며, 결사정신이 살아있는 곳에 결사는 존재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백련결사의 화엄사상 포섭의 사상적 연원에 대한 검토 - 보현도량의 「묘법연화경요해」 수용과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 -

        석길암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0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Baekryeonsa Bohyeon Doryang’s acceptance of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is not only due to its political intention of establish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then ruler Choi Woo, but also due to the internal ideological stream of the Baekryeonsa to accept it. Based on this presuppos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the Order of Cheontaejong before Yose (1163-1245) and the issue of Yose’s lineage, examines the Baekryeonsa’s ideological intention in its acceptance of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by Jiehuan (戒環),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ryeon Association and the Order of Cheontaejong in order to identify the Baekryeonsa’s identity.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n this article, the writer found that the spirit of association in the founding of Baekryeonsa by Yose with the lineage of masters and disciples according to the proper canon of the Order of Cheontaejong, following the Mountain Sect (Shan-chia-p’ai) as the norm, originated from the movement of the whole Cheontaejong families to return to their fundamentals. Uicheon, the Seungtong, or the president of the Order of Hwaeomjong, founded the Order of Cheontaejong, assigning it to the Seon (Ch’an) school, although it belonged to the Doctrinal school in Chinese Buddhism, also assigning Buddhist monks and temples from the Seon school to the Order of Cheontaejong. In this process, it can be understood that he pursued the integration of the Buddhist world with the unity between the Doctrinal school and the Seon school by establishing the Order of Hwaeomjong as the representative doctrinal school and the Order of Cheontaejong as the representative Seon school. In conclusion, Yose and Baekryeonsa’s movement to return to their fundamentals was a movement to overcome the impairment of the purity of the northern Song dynasty’s Mountain Sect ideology of the Cheontaejong, which had been caused by its forced coalition with Seon schools, including the Order of Fayan (法眼宗) in the process of Uicheon’s creating the Order of Cheontaejong. In short, Baekryeonsa’s movement was a movement to restore its purity based on the Cheontae ideology of the Northern Song dynasty’s Mountain Sect within the Cheontaejong of Goryeo dynasty. Therefore, the early figures of the Baengryeonsa Association seemed to have been negative toward the five-literary school system, while being humanly and ideologically close to the Order of Hwaeomjong. If we accept this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establishment of Goryeo dynasty’s Order of Cheontaejong by Uichoeon, the president of the Order of Hwaeomjong, which is to become the foundation of the Baekryeonsa Association, we might think that its ideological base for accommodating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in the Bohyeon Doryang had been prepared from the beginning. Thus, we can naturally understand that the Baekryeon Association was not negative toward embracing the Hwaeom thought or the Hwaeom faith until the end of Goryeo dynasty or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논자는 백련사 보현도량의 「계환해」 수용이 당시의 집권자인 최우와 백련사 간의 관계설정에 대한 정치적인 의도가 포함된 것이기도 하지만, 백련사 내부적으로도 「계환 해」를 수용할 수 있는 저변의 흐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입각하여 요세 이전의 천태종의 흐름과 요세의 사승 문제를 검토하고, 백련사의 「계환해」 수용의 사상적 의도를 검토하였으며, 백련결사와 천태종의 관계성을 검토하여 백련사의 정체성 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검토 결과, 논자는 요세에 의한 백련사 창사와 천태적전에 의한 사자상승과 산가파를 규범으로 삼는 결사정신은 범 천태종 계열의 반본(反本)운동이었다고 파 악하였다. 화엄종의 승통이었던 의천은 천태종을 창종하면서 중국불교에서는 교종이었 던 천태종을 선종(禪宗)에 배속하였고, 선종 출신 승려들과 선종의 사원을 천태종에 배 속시켰다. 이 과정에서 교종의 화엄종과 선종의 천태종을 선교양종의 대표 종단으로 삼 아서 교선일치와 불교계 통합을 추구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요세와 백련사의 반본(反本)운동은 의천의 천태종 창종 과정에서 억지로 통합된 법안종 계열을 포함한 선종과의 융합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 북송(北宋) 산가파 천태사상의 순수성 훼손 을 극복하려는 운동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곧 백련사의 반본(反本)운동은 고려 천태 종 내부의 북송 산가파 천태사상을 근본으로 한 순수성 회복 운동이었다. 따라서 백련사 초기 인물들은 5문학도 계열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던 반면에, 화엄종과는 인적으로도 사상적으로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관점을 수긍한다면, 백련결사의 근원이 되는 고려 천태종이 화엄종의 승통(僧 統)이었던 의천에 의해 개창되었다는 점에서, 백련사는 초기부터 보현도량에 「계환해」 를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저변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보면 백련 결사가 여말선초에 이르는 시기까지 화엄사상 혹은 화엄신앙을 포섭하는데 부정적이지 않았던 점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백련결사 보현도량의 의미에 관한 고찰

        오지연(Oh, ji-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백련결사와 정혜결사는 한국불교사에서 대표적인 두 결사이다. 정혜결사의 뜻은 간화(看話)의 선맥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계승되어 오고 있지만, 법화예참도량이었던 백련결사의 취지는 오늘날 찾아보기가 힘들다. 원묘의 비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보현도량을 열어서 널리 선관[禪]과 송경[誦]을 행하도록 권한 것은 처음이었다고 한다. 백련사의 보현도량은 근본적으로 법화 일불승(一佛乘)의 뜻을 천명하며 그것을 실현하고자 한 도량이었다. 그것을 네 측면으로 말하면, 삼승의 가르침들을 묘법(妙法)으로 회통해내는 교일(敎一), 송경(誦經)과 선정 등의 여러 수행법들이 모두 한결같이 성불도(成佛道)라고 하는 행일(行一), 모든 사람이 신분차이나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모두 부처와 다름없다고 인식하는 인일(人一), 사(事)법과 이(理)법이 둘이 아니라고 깨닫는 이일(理一) 등의 네 가지 일승[四一]을 그대로 실현하고자 한 도량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re have been two famous and important Buddhist practice communities in Korean dynasties, one was the practice community of the Meditation and wisdom (定慧結社) by Ji-nul (知訥), the other was the practice community of White Lotus (白蓮結社) by Yo-sae (了世). Even if the point of the former still exists through Koan meditation, the purpose of the latter which was the gathering of the repentance method of the Lotus Samadhi would be hard to find these days. The epitaph of Yo-sae, the first president of the community of White Lotus, says: ‘It was the first time to recommend dhyāna-contemplation (禪觀) and reciting sūtras (誦經) to the public through opening the practicing site of Samantabhadra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In essence, the community of White Lotus was the meeting to clarify and actualize the essential of the One Vehicle in Lotus sutra. Again in four aspects, the four ones [四一]: the first, to unite the three other teachings in one subtle dharma is called ‘the teaching of one vehicle (敎一)’, the second, including many other practices like recitation or meditation are one and the sam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called ‘the sole Buddha procedure (行一)’, the third, the thinking that everybody regardless of sex, age or class is none other than Buddha is called ‘men all and only as Buddha (人一)’, the fourth, the understanding that Noumenon and phenomena are non-dual is called ‘one ultimate truth of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理一)’.

      • KCI등재

        고려 백련결사의 사상적 연원에 대한 일 고찰

        석길암 ( Gil Am Se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9

        본 논문은 원묘요세(圓妙了世, 1163-1245)가 주도했던 백련결사의 사상적 연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특히 백련결사의 핵심사상으로 생각되는 정토구생(淨土求生) 사상의 직접적 연원으로서 먼저 북송 초기 사명지례(四明知禮, 960-1028)의 『관무량수경묘종초(觀無量壽佛經疏妙宗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시 그의 스승인 고려 출신 보운의통(寶雲義通, 927-988)의 ‘향인(鄕人)’론을 지례의 『묘종초』와 결부하여 분석하였다. 보운의통의 ‘향인(鄕人)’론이 백련결사의 직접적인 연원은 아니다. 하지만, 북송초기 이후의 천태정토결사의 근원은 보운의통에게서 비롯된다. 때문에 백련결사의 사상적 연원의 하나로서 보운의통의 ‘향인’론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더불어 보운 의통의 활동, 그리고 지례와 그의 동문 사형제인 준식의 정토결사, 『묘종초』를 통해 지례의 영향을 받고 있는 백련결사에 이르기까지의 셋이 모두 민간대중을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민간 중심의 대중결사를 지향했다는 점에 공통적인 특징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점이 요세가 지눌의 수선사와 결별하고 독자적으로 백련결사를 추구할 수밖에 없었던 사상적 분기점임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origin of the Baengnyeonsa Society led by Wonmyo Yose (圓妙了世, 1163-1245). First, I analyzed the Guanwuliangshoufojingshu-miaozongchao (觀無 量壽佛經疏妙宗抄, Profound and Core Annotation for Commentary on the Sutra of Contemplation on Buddha Amitayus) by Siming Zhili (四 明知禮, 960-1028) in the early North Song dynasty, which played a role of the direct origin of the core idea of the Baengnyeonsa Society, “saving people into the Pure Land.” And next, in connection with Zhili’s Annotation, I investigated a theory of Bo-un Uitong (寶雲義通, 927-988), who had came from Goryeo dynasty and was a teacher of Zhili. It is the theory of Rural People (鄕人). The Baengnyeonsa Society did not originate in Bo-un Uitong’s theory directly. However, because most Tiantai Pure Land Societies had their origin in him after the early North Song dynasty, we need to focus on his theory as one factor of the beginning of the Baengnyeonsa Society. Bo-un Uitong’s activities, the Pure Land Society led by Zhili and his alumnus Zunshi (遵式), and the Baengnyeonsa Society affected by Zhili’s Annotation; these three have common in aiming for the popular society by accepting ordinary people actively. This common factor is the philosophical intersection which made Yose leave the Suseonsa Society led by Bojo Jinul (普照知訥) and plan his own Baengnyeonsa Society.

      • KCI우수등재

        高麗後期 白蓮結社의 淨土思想 연구

        김양순(Kim Yang-Soon),오지연, 김정희 불교학연구회 2000 불교학연구 Vol.1 No.-

          In late Koryo, Pure Land Buddhism had a tendency to be mixed with other Buddhist thoughts. At that time Seon(神), T"ien-t"ai(天台), Hwaom(華嚴) and Tantric Buddhism(密敎) school"s thinkers accepted Pure Land Buddhism as a kind of expedient to get the awakening(覺). Thingking or calling Buddha(念佛) was understood as a means, and Pure Land was understood not in the west(西方淨土) but in one"s mind(唯心淨土). That"s the character of Pure Land Buddhism at that time.<BR>  This tendency could be found in the White Lotus group(白蓮結社). Although the leaders of the group recommended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group to call Buddha(念佛), they warned people not to stay the observance of phenomena(事觀). They recommended participants to thinking of Amit?bha by Observance of truth(理觀念佛).<BR>  Their thought was based on the theory of Amit?bha"s thinking of mind(約心觀佛說) which was the important principle of Chih-li(知禮)"s practice of Pure Land of T"ien-t"ai(天台淨土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