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

        박정련(Jeong-ryeon Park)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2

        이 글은 『삼국사기 』(三國史記) 「열전」(列傳) 중, 신라(新羅)의 음악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물계자(勿稽子)와 백결선생(百結先生)에 대한 몇 줄의 사료를 단서로 하여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 1897~1966)이 『화랑외사 』(花郞外史)에서 재현한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신라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풍류도, 좁게는 그들의 음악에 대한 사유를 범부 김정설이 당시 통속적 언어를 통해 이를 해석하고 밝힌 것이다. 김범부가 『화랑외사』의 서술방법으로 택한 윤색(潤色)과 연의(演義)의 목적은 ‘활광경’(活光景)과 ‘활현’(活現)을 위한 것인데, 이는 화랑과 풍류도가 우리의 혈맥에 살아 움직이고 환히 보일 수 있는 활물(活物)로서의 기능을 기대한 그의 선택적 서술방식이었다. 그러나 ‘외사’(外事)라 하여 황당무계한 내용이 아니라, 오히려 정사(正史) 이상으로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고 뚜렷하게 전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물계자와 백결선생은 비록 화랑(花郞)은 아니었지만, 화랑을 이해함에 있어 그들이 숭봉한 화랑도(花郞道)의 정신을 먼저 이해하고, 이러한 화랑도의 정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풍류적 인물의 이해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김범부는 그들을 등장시킨 것이다. 『화랑외사 』에서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풍류도를 생생하게 재현한 김범부는 나름의 표현방법을 ‘제 빛깔’, ‘제 길수’, ‘제 멋’ ‘사우 맞음’, ‘제 작’이라는 통속적 용어를 빌어 전반적인 풍류도 및 풍류도적 음악을 표현하였고, 마침내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그것이 ‘제 작’의 단계에서 절로 터져 나오는 음악적 상황을 생생히 재현하였다.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revival of musical contents which was studied by Beom-bu(凡父) Kim Jeong-seol(金鼎卨 1897~1966) describing some of historical paragraphs for the musical element of the culture in 『Hwa-rang-oi-sa(Extra history out of Hwarang)』 (花郞外史), which examined Mul-gae-ja(勿稽子) and Sir Baekg-yeol (百結先生) during Silla dynasty in the book 『Samkuk-saki(History of Three Kingdom)』(三國史記) part of ?Yeoljeon(various records)?(列傳). To say, Beom-bu Kim Jeong-seol explained and interpreted the Pungryu(refined beauty of art) and thought of Mul-gae-ja and Sir Baek-gyeol during Silla kingdom by common language of the age. The purpose of Yun-sek(潤色: coloring) and Yeon-ui(演義: exposition) selected as a method to describe ?Hwa-rang-oi-sa(history out of Hwarang)? by Kim Beom-bu was ‘Hwal-hwang-gyong’(vitalize scenery: 活光景) and ‘Hwal-hyeon’(vitalize reality: 活現), which was a selective method of description for the expectation of the function as a living material seen and living in the context of our history in the spirit of Hwarang, and Pung-ryu-do. However, ‘Extra history(外事)’ is not unrealistic but it aims to transfer live historical fact and make it realistic than authentic history(正史). Though Mul-gae-ja and Sir Baek-gyeol were not a member of Hwarang(花郞) group but they understood the spirit of Hwarang-do they honored and Kim Beom-bu commented them to understand the spirit. Kim Beom-bu who revitalized the Pungryu-do(refined beauty in art way) in ?Hwa-rang-oi-sa(history out of Hwarang)? by Mul-gae-ja and Sir Baek-gyeol, using characteristic way of expression by the term ‘Jae-bit-gal(own color)’, ‘Jae-gil-su(own way)’, ‘Jae-meot(own taste)’, and ‘Sau-ma-zeum(harmony)’, or ‘Jae-jak(own works)’ in general Pungryu-do and the style of music, which finally revitalized the musical situation in the stage of ‘won works’ by Mul-gae-ja and Sir Bae-kgyeol.

      • KCI등재

        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

        박정련 ( Park Jeong-rye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6 No.-

        풍류도(風流道)는 오랜 동안 한국인의 내면화된 정신세계를 상징하는 용어로 우리나라 근현대기에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 1897~1966)에 의해 ‘풍류’(風流), ‘풍류도’(風流道), ‘동방학’(東方學) 연구의 방법론이 정립되었다. 김범부는 좌우의 사상이 예민했던 시기에도 독자적인 길을 가고자 했으며, 근·현대기 한국의 사상과 학문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현한 인물이기도 하다. 범부 김정설은 일제 강점기와 이념의 대립이 난무했던 국가적 상황에서 화랑의 풍류도를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찾고자 노력했다. 특히 풍류도적 품격을 지닌 대표적 인물들을 『화랑외사』(花郞外史)를 통해 재현함으로써 자신이 발견한 풍류도의 본질과 정신을 피력하였다. 논자는 이 글에서 김범부가 밝히는 풍류도가 ‘제 작’이며, 이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용어인 ‘참 멋’으로 실현된다는 것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가 재현한 인물 중에서 물계자(勿稽子)·백결선생(百結先生)과 관련된 음악적 내용을 통해 풍류도적 음악이 ‘제 작’, ‘참 멋의 인간’으로 현재 우리에게 구체적이고 어렵지 않게 실현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 핵심이다. Pungryudo(gentleman romanticism)(風流道)is the term symbolizing Korean inner world of spirit for history, which established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the study in ‘Pungryu’(風流), ‘Pungryudo(gentleman romanticism : 風流道), ‘Dongbanghak : Study on East World’(東方學) during Modern Korea by Beombu(凡父) Kim Jeong-seol(金鼎卨 1897~1966). Kim Beombu maintained his own stance in the midst of conflicting age of modern ideological thought, who attained his reputation on Korean thought and research during premodern and modern age. Beombu Kim Jeong-seol,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s through the Hwarang Punryudo in a national situation whe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were widespread. In particular, he recounted the essence and spirit of Pungryudo and discovered by reproducing representative peop;e’s figures with elegance through the Hwarang-oisa(花郞外史). The writer developed in this article that Kim Beombu’s Pungryudo is ‘my work’, which is realized as a ‘true good’, a term that is not unfamiliar to u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Pungryudo (gentleman romanticism) music is being “my work” and “a very beautiful human being” and is now being realized to us in a specific and easy way through the musical content related to the Mulgaeja(勿稽子) and the teacher Baekgyeol(百結先生).

      • KCI등재후보

        연민의 「동도편(東都篇)」과 「동도유기(東都遊記)」에 보이는 경주 유람의 내용과 특징

        윤호진 ( Yun Ho-jin ) 연민학회 2019 연민학지 Vol.32 No.-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1917-2000)은 유람을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유람한 뒤에는 이에 대해서 시문(詩文)으로 남겼다. 연민의 유람 내지 여행은 1939년 젊은 시절 명륜학교 다닐 때와 1982년 연세대 정년퇴임할 무렵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동도편(東都篇)」은 연민이 23살 때인 1939년에 지은 시를 모아놓은 『청매자주지관고(靑梅煮酒之館藁)』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모두 16수로 이루어져 있는 연작시인데, 칠언율절, 오언절구, 오언고시 등 다양한 형식으로 지었다. 「동도유기(東都遊記)」는 경주 여행을 다녀온 뒤에 지은 유람기이다. 여기에는 여행의 자세한 일정이 소개되어 있고, 동시에 「동도편」 16수가 모두 들어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민이 젊은 시절 지은 시 가운데 명륜학원 시절 경주를 여행하면 지은 「동도편」을 중심으로 같은 시기에 지은 「동도유기」와 함께 역사회고의 유람시(遊覽詩)로서의 어떠한 내용과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연민은 그의 경주 여행의 산물인 「동도편」에서 사물과 경관에 대한 섬세한 묘사를 하였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그는 시에서 사물의 실재하는 모습을 묘사하고자 하였고, 시에서 부족한 부분은 「동도유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둘째, 연민은 「동도편」에서 신라의 천년 역사를 회고하면서 자신이 처했던 현실을 바라보는 시를 많이 지었다. 「동도편」의 처음에는 사물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데에 치중하였으나, 점차 흥진비래의 수법으로 사물에 대한 묘사보다는 자신의 마음을 묘사하는 데에 몰입하였다. 셋째, 연민은 「동도편」과 이 작품을 지을 즈음에 음악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음악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음악이 세상을 조화롭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음악을 통하여 현실의 어려움을 초월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 백결선생(百結先生)을 신라 인물 누구보다도 높이 평가했던 것으로 보인다. Not only did Yeonmin(1917-2000) enjoy the travel, he also wrote about it after the trip. Yeonmin traveled a lot when he was attending Myongryun School in 1939 and in the retirement age of Yonsei University in 1982. “Dongdopyun” is contained in a collection of poems, Chengmaejajujiguango, written by Yeonmin in 1939, when he was 23 years old. This poem is composed of 16 syllables. It is composed of various poetic forms including ChilunYuljeol, Oeonjeolgu, and OeonGosi. “Dongduyugi” is a writing after a trip to Gyeongju. It introduces the detailed itinerary of the trip,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16 “Dongdopyun” poems. In this book, we will look a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m that he wrote when he was young, along with the “Dongdoyugi,” which was written at the same time when he traveled to Gyeongju during Myungryun Academy period. Firstly, Yeonmin showed the subtle depiction of things and scenery in “Dongdopyun,” and he tried to describe the realness of things in the poem, and the deficiencies of the poem were explained in more detail in “DongdoYugi.” Second, Yeonmin wrote many poems in “Dongdopyun,” reflecting on Sinla's 1,000-year-old history, and looking at the reality he faced. In the beginning of “Dongdopyun” he focused on objectively portraying things, but gradually became absorbed in portraying his own mind rather than on portraying things. Thirdly, Yeonmin seems to have been very interested in music around the time of writing this piece with “Dongdopyun.” But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music itself, he thought that music can contribute to harmonizing the world, and that music can transcend the difficulties of reality, so he thought highly of Backgael of Sinla.

      • KCI등재

        고대음악사 서술의 제 문제 -『삼국사기』 인물 해석과 악기 서술을 중심으로-

        이용식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1 No.-

        한국음악사에서 고대음악사 서술은 전적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존한다. 기존의 고대음악사 연구가 실증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문헌 기록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역사는 역사가의 사관에 의해 걸러진 역사이다. 그렇기에 고대 음악에 관한 문헌기록은 ‘있는 그대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삼국사기』는 김부식 등의 유학자들이 철저히 유학적 시각에서 신라중심적으로 쓴 역사이다. 그렇기에 『삼국사기』는 오랫동안 학계의 논쟁을 통하여 그 기록적 가치가 평가되어왔다. 이글에서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음악인을 중심으로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하는 고대음악사 서술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거문고를 창제한 것으로 기록된 왕산악은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이 많다. 고구려 귀족의 성씨 중에 왕씨가 없고, 다른 인물들과는 달리 ‘제2상’이라는 모호한 관직명을 기록했다. 더욱이 왕산악과 관련된 ‘현학래무’ 설화는 중국 금과 관련된 ‘탄금무학’과 ‘봉황래의’ 설화의 고구려 버전이다. 왕산악이 만든 거문고는 고구려 이전부터 존재했던 악기였을 것이다. 이를 중국의 칠현금을 본따서 만들었다는 왕산악 창제설은 중화사상을 중시하는 유학적 시각의 반영이다. 우륵은 고구려 계통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많다. 고구려에는 우씨 왕비가 있고, 우씨는 상당한 권력을 가진 집안이었다. 고구려와 가야가 연맹을 맺은 4~5세기 무렵 고구려의 우씨 중에 가야에 정착한 후손이 우륵이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진흥왕은 우륵을 고구려 유민이 많은 국원에 안치하는 정치적 고려를 했을 것이다. 음악인 중에서 유일하게 「열전」에 기록된 백결선생의 본명은 박문량으로 박혁거세의 후손이다. 그는 5세기 경주의 인물이기에 그가 <대악>을 연주했던 금은 거문고로 해석하기 어렵고 오히려 신라금으로 해석해야 한다. 결국, 『삼국사기』에 기록된 음악인들에 대한 재해석이 있어야 『삼국사기』를 통한 음악적 재해석이 가능하다.

      •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정하운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우리의 전통악기 중 하나인 <거문고>는 <백악지장(百樂之丈)>으로, 또는 현악기의 통칭으로 불리면서 고구려에서 제작, 통일신라의 <금도(琴道)>를 이루었고, 고려와 조선 선비들의 수양을 위한 필수품으로서 독창적인 이면(裏面)에 대해 찬사를 받아가며 오랜 세월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나, 실용성의 여부와 연주방식의 어려움으로 그 위상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거문고(玄琴)>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악지」의 <현금(玄琴)>조에 있고, 『악학궤범』의 권지 칠에도 <현금(玄琴)>이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고전문헌 안에서 중국의 <금(琴)>에 대한 음악사상이 <거문고>의 음악사상을 대신하고 있는 걸로 보아 <거문고연주자>의 음악정신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확인된다. <금>의 표기가 <재래현악기>와 <가야금>을 포함하고 있는 점과 <금>의 이칭이 <거문고>의 이름으로 사용된 점에서 <거문고>의 무형적 가치 중 상당한 부분이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칠현금>을 개조하여 만들었다고 했으나, 일본학자들은 <와공후>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국 음악학계에서 밝혀진 <위진시대 와공후>가 <거문고>의 전신(前身)이라는 해석이 한·중·일 학자들 간에 논의되고 있다. <칠현금>의 전래 전에 유사한 악기로 추정되는 고분벽화의 <금>을 <현금>으로 보는 국내학자와 <와공후>로 보는 일본학자의 의견대립이 있고, <거문고>로 주장하는 국내학자들도 견해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거문고(玄琴)>·<금(琴)>·<고토(こと: 琴)> 외에 성경(Bible)에서도<거문고>로 해석된 서양 현악기의 기록이 발견되고 있어, 이미 고대에서부터 구한말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체형이 비슷한 현악기는 <거문고>로 해석 또는 번역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의 이칭이나 특정 연주가와 관련되어있는 악기이름이 <금>의 사상과 함께 수입되어져 우리 고전문헌 안에서 <거문고>를 대신했으며, <금>의 연주에서 비롯된 미학적 요소와 사상들을 <거문고연주가>들은 답습하게 되었고, 우리의 선비들은 <금>·<슬(瑟)>·<거문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거문고>를 설정하여 중국의 음악사상과 함께 수용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금>은 고려 예종 11년(1116)때 들어와 <문묘제례악>에 <슬>과 함께 쓰이다가 한말(韓末)에 주법(奏法)이 끊어졌다. <가야금>과 <슬>은 각각 오른손과 양손 손가락으로 뜯는 점, 줄(絃)의 수와 크기만 다를 뿐, 별 차이가 없는데, <금>과 <거문고>는 구조와 <탄주(彈奏)>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문헌의 내용에 <금>·<슬>·<거문고> 등의 재료나 부품은 오동나무·명주실과 <금>의 <휘(徽)>·<줄(絃)>, <슬>의 <주현(朱絃)>·<주(柱)> 등이 있으며, <거문고>의 부품명인 <안족(雁足)>·<괘(棵)>·<술대(匙)>에 대한 표기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명금(名琴)들은 고사(故事)의 내용을 갖추고 있어, 제작자의 품격·재능, 당시대의 배경·사상 등을 이면(裏面)에 동반하여 고전문헌상의 내용을 상징과 은유로 견인하면서 <거문고>의 사상에 관여하고 있다. <금>의 명인들이 고전문헌에 남긴 체취는 우리 선비들의 <거문고사상>으로 재탄생하였다. 명금, 금의 명인, 명곡 등의 표면 또는 이면(裏面)으로부터 취한 음악적·문학적 사상과 그 외의 미의식을 내재한 어휘나 문구들은 우리의 고전문헌에 유입되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투영되어졌다. <거문고>를 예악과 수양의 도구로 생각했던 ...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

      •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정하운 ( Ha Un Ju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ayageum considering their living periods. Also, geum in the story about Sameumgap recoreded in Samgukyusa is sur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considering the times of introductions of geomungo and gayageum. Because musical ideas of geum, seul and geomungo were mixedly used in such literatures, accurate names of geum, seul and geomungo became confused. Also, because geomungo was used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western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as geomungo, and eve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before introductions of geomungo and gayageum are all interpreted as geomungo.

      • KCI등재

        『삼국사기』 열전에 보이는 4~5세기 신라인의 활약상

        강종훈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1 新羅文化 Vol.38 No.-

        Samguksagi has the bibliography part called 'yeoljeon' in its last ten chapters. There are 4 persons mentioned in yeoljeon that lived in Silla during the 4th~5th century. They are Seok Uro, Park Jesang, Mulgyeja and Baek-keol. Seok and Park were the members of the ruling class and both were killed by the Japanese in the process of troubles between Silla and the ancient Japan. Mulgyeja and Baek-keol were praised by the later generations in that they raised above the ordinary ways of the world neglecting the wealth and the f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