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

        주진희,김원태,윤용한,Ju, Jin-Hee,Kim, Won-Tae,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1

        본 연구는 빗물 활용 옥상녹화에서 식재기반 차이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를 살펴보고, 적합한 토심과 토양배합비를 제시함으로써 옥상조경 식물소재로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토심(15cm, 25cm)과 토양배합비(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를 각각 다르게 실험구를 조성하였으며, 내건성과 관상가치가 뛰어난 한라구절초를 식재한 후 초장, 녹피율, 엽록소 함량, 생체중과 건조중, T/R율 등을 측정하였다. 토심 15cm처리구에서 토양배합비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초장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PPL배합토인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가 사양토인 SL보다 높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경우, SL <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 $P_4P_4L_2$ 순으로 초장이 길었다. 녹피율의 경우 토심 15cm처리구에서는 초장과 같이 토양배합비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는 SL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전체적으로 86~89%의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토심 15cm처리구에서 SL이 가장 높게, $P_5P_3L_2$이 가장 낮았으며, 토심 25cm처리구에서는 $P_4P_4L_2$과 SL에서 가장 높은 값을, $P_7P_1L_2$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의 경우 배합비보다는 토심에 따른 차이가 더 뚜렷하여 토심 25cm처리구가 15cm처리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있어 한라구절초의 생육은 토심 25cm가 토심 15cm보다, PPL배합토, 특히, 피트모스함량이 높은 $P_4P_4L_2$이 사양토보다 더 적합한 생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uitable soil thickness and soil mixture ratio of a green roof system by verifying the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as affected by different green roof systems using rainwater. The experimental planting grounds were made with different soil thicknesses(15cm, 25cm) and soil mixing ratios (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and with excellent drought tolerance. Ornamental value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was planted. The change in plant height, green coverage ratio, chlorophyll content, fresh weight, dry weight, and dry T/R ratio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to October 2009. For 15cm soil thickness, the plant heigh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ffected by the soil mixing ratio. However, it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amended soil mixture,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than in the sandy loam soil, as it was SL overall. For 25cm soil the plant height differences were in order to SL <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 $P_4P_4L_2$. The green coverage ratio was observed not to be different by soil mixing ratio with soil thickness of 15cm, but, the lowest green coverage ratio in the SL. In the 25cm soil thickness, the green coverage ratio was 86-89% with a good coverage rate overall. The change in chlorophyll contents with 15cm soil thicknes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SL treatment and the lowest in the $P_5P_3L_2$ treatment. For 25cm thickness, the highest value was in the $P_4P_4L_2$ and SL, and the lowest in the$P_7P_1L_2$.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larger in soil with 25cm thickness. Therefore, the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as affected by a different green roof system for using rainwater was higher in soil with 25cm thickness than 15cm, and in PPL amended soil than in sandy loam.

      • KCI등재

        폐기물을 첨가한 경량혼합토의 강도특성 분석

        Yoon-Shin Ba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3

        경량혼합토는 건설잔토나 준설토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점토나 실트질 흙을 사토처리 하지 않고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재료이다. 최근에는 페자원(폐타이어가루, 왕겨)을 경량혼합토에 첨가하는 건설재료 재활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혼합토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배합설계변수인 원료토의 중량, 함수비 및 기포재와 첨가할 물의 양, 그리고 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화재로서 시멘트첨가량에 대한 최적의 배합설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축압축시험에 의한 응력-변형 거동과 양생기간 및 성분비에 따른 강도분석, 폐기물 성분비에 대한 실험강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배합비 산출을 위하여 경량혼합토의 목표강도를 결정하고 최적의 배합설계 변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폐기물을 첨가한 경량혼합토의 강도특성 분석

        배윤신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3

        경량혼합토는 건설잔토나 준설토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점토나 실트질 흙을 사토처리 하지 않고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재료이다. 최근에는 페자원(폐타이어가루, 왕겨)을 경량혼합토에 첨가하는 건설재료 재활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혼합토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배합설계변수인 원료토의 중량, 함수비 및 기포재와 첨가할 물의 양, 그리고 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화재로서 시멘트첨가량에 대한 최적의 배합설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축압축시험에 의한 응력-변형 거동과 양생기간 및 성분비에 따른 강도분석, 폐기물 성분비에 대한 실험강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배합비 산출을 위하여 경량혼합토의 목표강도를 결정하고 최적의 배합설계 변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동이 경량기포토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영준(Lee Young-Jun),김성원(Kim Sung Won),박이근(Park Lee Keun),김태형(Kim Tae-Hyu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4

        본 논문에서는 진동이 경량기포토의 양생과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경량기포토가 기존 구조물에 인접해서 시공 시 진동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파일 항타, 발파 및 장비의 공용 등이 있으며, 교통난 해소를 위한 도로 확폭 공사를 하고 있는 경우 기존 도로상의 차량진행으로 인한 진동도 경량기포토의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경량기포토는 수많은 기포가 포함되어있고 양생에 따른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영향은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진동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일반콘크리트에 대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경량기포토에 대한 진동영향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진동이 양생중인 경량기포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변수를 진동속도(vibration velocity), 진동가력시점(time when vibrated), 배합비(mixing ratio) 등으로 나누어 경량기포토의 일축압축강도 등을 시험하였다. 시험의 결과는 경량기포토의 특성에 대한 진동의 영향을 명확히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vibration on c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Air Trapped Soil(ATS). If ATS is used next to a structure existed, the effect of vibration problems may be occurred, because there exist many sources of vibration such as pile driving, blasting and use of construction machinery. For example, if a road is expanded to reduce traffic congestion, it is expected that ATS’s quality may be decreased due to vibration generated by cars moving on the road. Especially, because ATS has many air bubbles and needs a time for curing, the effect of vibration is more serious than we expected. So far, the effect of vibration on concrete has been conducted, but the study of ATS has not been conducted in detail. Therefore,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vibration on ATS during cure proceeds, unconfined compression tests are conducted on the samples prepared with different variables including vibration velocity, time when vibrated and mixing ratio. The results clearly show the effect of vib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TS.

      • KCI등재

        현장발생토를 활용한 토류구조물 뒷채움용 유동화처리토의 최적 배합비 산정과 재료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조대호(Cho Dae Ho),한상재(Han Sang Jae),김종윤(Kim Jong Yun),김수삼(Kim Soo Sam)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7 No.3

        재굴착이 용이하고 고유동성 재료로 알려져 있는 저강도 유동성 채움재(CLSM)는 일반적으로 트렌치를 굴착한후 관하부의 뒤채움재로 주로 시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대규모 지하 구조물의 뒤채움재, 건축 구조물의 뒤채움재, 노면하부 공동의 뒤채움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발생토를 이용한 CLSM의 한 종류인 급결성 유동화처리토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통일분류법의 5가지(SW, SM, SC, ML, CL)시료에 대하여, 각각 유동성과 블리딩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공시체의 물리 거동을 분석하여 영향인자별 강도 발현특성 및 최적의 배합비를 도출하였다.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CLSM) which is well known as specific material having high flowable and easily re-excavated, is commonly used as a backfill in utility trenches and other applications. In this study, experimental progresses such as the flow test, bleeding test and shear strength tes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rapid-setting flowable material which a kind of CLSM for 5 kinds of soil taken from field and separated according to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Based on these tests, the physical behavior of specimen was analyzed so tha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optimum mixing ratio according to effective factors were evaluated.

      • KCI등재

        옥상녹화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박준석,박지혜,주진희,윤용한,Park, Jun-Suk,Park, Je-Hea,Ju, Jin-Hee,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는 옥상녹화 생태면적률 기준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500{\times}500{\times}300mm$의 실험구에 토심 15cm와 25cm로 대별하였으며, 배합비율에 따라 $S_10$, $L_10$, $S_7L_3$, $S_5L_5$,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등 총 8가지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에서 9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상녹화 식재기반에 따른 토양수분함량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강우 시 상승한 반면, $S_10$, $S_7L_3$, $S_5L_5$ 실험구의 경우 수분함량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포함된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관리형 옥상녹화에 보수성이 높은 토양개량제 사용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비기나무의 생육실험 결과,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실험구의 경우 생육이 양호하였다. $S_{10}$은 다른 실험구에 비해 미비한 성장을 보였으며, 이것은 낮은 토양수분함량과 유기물부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본다. $L_{10}$ 실험구는 토양수분함량 및 유기물은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낮은 성장량을 보인 것은 유기질비료의 낮은 토양산도와 과잉 양이온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심 15cm 실험구와 25cm 실험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확연한 차이는 없었으나 토심 25cm 실험구에서 좀 더 원활한 생육을 보였다. 하지만 토심 15cm 실험구의 14일 무관수에서도 순비기나무가 고사하지 않고 생육 가능했던 점과 P6P2L2 이상의 피트모스 배합비에서 왕성한 생육이 이루어진 점을 미루어 볼 때, 저관리에 적합한 토양배합비는 인공토가 포함된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ropriate planting soil for Vitex rotundifolia by planting soil. Different soil depth levels were achieved at 15cm and 25cm in the green roof module system that was created with woody materials for a $500{\times}500{\times}300mm$ area. The soil mixture ratio was $S_{10}$, $L_{10}$, $S_7L_3$, $S_5L_5$,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This study was carried out over five months between April and September, 2006. The amount of soil moisture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planting soil. For the experimental items $S_{10}$, $S_7L_3$ and $S_5L_5$, the amount of soil moisture tends to decrease rapidly. However, for the experimental items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conditions containing perlite and peat moss, the amount of moisture tends to decrease more gradually. As a result, the use of soil-improving amending for the afforestation planting of roofs with a low level of management is need. After experimenting with the ratio of soil mixture for Vitex rotundifolia, the planting soil for experimental item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appeared excellent. For experimental item $S_{10}$,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seemed to be weaker than that of others, because of the low levels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For experimental item $L_{10}$, there appeared to be a low level of growth, even when the levels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ere high. This may have occurred because of the low level of soil pH and the excessive amount of exchangeable cation. At the depth of 25cm,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is vigorous overall. For experimental item at 15cm, Vitex rotundifolia was able to survive for 14 days without any rainfall and Vitex rotundifolia was better in amended soil,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than natural soil, SL.

      • KCI등재

        믹스트럭 내 교반시간이 경량기포혼합토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효(Taehyo Kim),김나영(Nayoung Kim),임종철(Jongchul 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5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6 No.2

        경량기포혼합토는 운반 과정에서 재료의 물성이 변화하므로, 시공 시의 성질이 설계 품질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장시험을 통해 믹스트럭 운반에 의한 재료특성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장시험에 사용된 경량기포 혼합토는 단위중량 9.0 ± 1.0kN/m³, 흐름값 190 ± 20mm로 제작되었다. 재료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운반 전?후 시료의 단위중량과 흐름값을 측정하고,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교반시간은 19~175분으로 다양화하였다. 시험결과 경량기포혼합토는 교반에 의해 단위중량, 흐름값과 일축압축강도는 변화하나 품질관리기준은 만족하였다. 운반 후 단위중량과 흐름값의 평균 변화량은 (+)0.10kN/m³, 4.8mm로 교반시간에 따른 단위중량과 흐름값의 평균변화량은 일정하였다. 28일 일축압축강도는 20~150kN/m₂ 증가하나 변화량과 교반시간과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75분 이내에서의 운반에 의한 물성의 변화는 적으므로 적용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ir-mixed soil change in the procedure of transportation of mix truck, it is necessary to assure whether the properties during construction satisfy those in design. In this study, variations of properties of mixed soil after transportation by mix truck are proved by field test. Lightweight air-mixed soil used field test the unit weight of 9.0 ± 1.0 kN/m3, the flow value of 190 ± 20 mm was produced. To analyze variations of properties of mixed soil the unit weight and flow value of the sample before and after transport was measure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Mixing time was 19~175 minutes diversified. As the test results, it is known that the density, the flow value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air-mixed soil change by transportation, but these values satisfy the specifications of material of air-mixed soil. After transport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unit weight and flow value change in the flow of the (+) 0.10 kN/m3, 4.8 mm respectively, the average change in the unit weight and the flow value due to the mixing time was constan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28-day specimen increases from 20 to 150 kN/m2. But, these values do not have some clear relationship with the transportation time within 175 minutes which is longest test time. Consequently, Within 175 minutes the changes of properties by transportation are too small to show some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