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험시공을 통한 MDS 발파공법의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이봉현 ( Bong-hyun Lee ),최성웅 ( Sung-oong Choi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4 화약발파 Vol.42 No.1

        최근 발파에 대한 다양한 신기술과 특허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DS 발파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코자 시험시공을 진행하였으며, 파쇄입도와 300mm 이상의 대괴 발생률을 측정 및 분석하여 기존의 표준 발파공법과 비교하였다. 시험시공은 각 회차별로 동일한 벤치에서 표준발파와 MDS발파를 각 3회씩 시공하였으며, 디지털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하여 파쇄입도(P80)와 대괴 발생률(S30)을 측정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체 바가지를 제작하여 파쇄석 더미에서 대괴를 선별하고 계근 및 환산처리를 통해 실측값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파쇄입도는 MDS발파가 표준발파보다 평균 약 21.0% 감소하였으며, 대괴 발생률에서 100-S30은 평균 10.1%, 실측값은 평균 7.6% 감소하였다. 시공 현장의 암질 차이로 인해 각 회차별로 발파효과는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인 경향으로 볼 때 동등한 조건에서 MDS발파가 표준발파에 비해 파쇄입도 및 대괴 발생률에서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various techniques and patented methods on blasting operation are being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test construction of the MDS blasting method was performed, and the fragmentation size and the occurrence rate of rocks exceeding 300mm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comparing to normal blasting method. Test construction was performed three times each for normal and the MDS at the same bench for each round, and fragmentation size(P80) and occurrence rate of rocks exceeding 300mm(S30) were measured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 sieve bucket was also manufactured on-site to sort oversized rock particles from muck piles, and their weights and equivalents were measured to calculate actual values. As a result, the fragmentation size decreased of 21.0% with the MDS compared to normal, and 100-S30 decreased of 10.1%, with actual values decreasing of 7.6%. Although there were variations in blasting effects for each round due to differences in rock quality at site, overall, the MD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compared to normal blasting method under equivalent conditions.

      • KCI등재

        발파하중 시간이력 산정

        안재광,박두희,신영완,박인준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6 No.1

        During blast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gas is instantaneously emitted, which results in fracture of rock mass. Outside the fractured zone, energy is transmitted in radial direction in the form of elastic waves. In this study, the fracturing process is not modeled. Instead, to simulate the propagation of blast induced vibration, the pressure load derived from empirical equations is applied to the fracture boundary. In the numerical modeling, accurate prediction of the blast load time series, including the detonation pressure, is most important. However, comprehensive study which evalutes the blast load from measured attenuation relationship is limited. In this study, the propagation of vibration due to explosion is simulated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blast time series was back-calculated through comparison withthe measured record. To allow propagation of the vibration in radial direction, the fracture zone was modeled as a circle and pressure was applied normal to the boundary.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last vibration are highly dependent on the frequency of the load and the damping ratio of rock ma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widely used empirical function in Korea is not appropriate for modeling the blast inside the tunnel.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detonatio pressure should be reduced by a significant amount from the empirical equation. When the adjusted load is applied, the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ttenuation relationship derived from the measurements, regardless of the charge 폭발 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고온 및 고압가스는 공벽 주변의 암반을 파쇄하며 이로 인해 파쇄영역 외부에서는 진동형태의 에너지가 방사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발파가 인근 구조물 또는 사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정밀한 발파하중을 적용한 동적 수치해석 모델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발파 해석시 고온 고압 가스로 암반에 균열이 발생하는 과정은 모사하지 않으며 경험식을 통하여 산정된 발파하중을 파쇄영역의 경계면에 재하하여 진동의 전파를 모사하게 된다. 발파하중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발파 해석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의 적절성을 시험발파로부터 도출된 발파진동 추정식과의 비교를 통하여 철저하게 검토한 사례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로 인하여 발생된 진동의 전파를 수치적으로 모사하였으며 시험발파 계측기록과의 비교를 통하여 발파하중 시간이력을 산정하였다. 진동을 방사방향으로 전파시키기 위하여 발파로 인한 파쇄영역을 가상의 원형으로 가정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발파하중을 경계벽에 재하 하였다. 해석 결과, 발파하중의 전파 특성은 하중의 주파수와 지반 감쇠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하는 발파 경험식을 터널의 발파 모사에는 적용하였을 경우 계산되는 진동속도가 현장 계측보다 크게 나타나 하중에 대한 보정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정된 발파하중이 적용된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장약량에 무관하게 해석결과는 시험발파로부터 도출된 추정식과 잘 맞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콘크리트 블록 발파 실험을 통한 인공 슬롯 자유면이 진동전파 및 파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세욱(Se-Wook Oh),민경조(Gyeong-Jo Min),박세웅(Se-Woong Park),박훈(Hoon Park),노유송(You-Song Noh),석철기(Chul-Gi Suk),조상호(Sang-Ho Cho) 한국암반공학회 2018 터널과지하공간 Vol.28 No.6

        발파를 이용한 터널의 굴착 시 수반되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발파 시 발생하는 지반진동으로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와이어쏘 장비를 이용하여 터널 심발공 주변에 인공 자유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파쇄도를 향상시키며 동시에 발파 진동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 발파 실험 및 3D-DFPA 해석 기법을 통해 인공 자유면의 구조조건에 따른 진동저감 및 발파 효과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더불어 인공 자유면 발파에서의 효율적 설계를 위한 경험적 기준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 슬롯 자유면은 홉킨슨 효과에 의한 스폴파괴 유발 및 충격진동의 전파경로 차단 등 발파 진동 저감을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인공 자유면이 존재하는 경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파쇄체적 및 파쇄효율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인공 자유면이 실제 자유면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최소저항선의 감소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실험 결과를 토대로 발파 공경 및 최소저항선에 대한 발파 파쇄체적의 상관관계를 도출 및 경험적 설계 기준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인공 자유면 발파를 수행 시 발파 공경 대 최소저항선의 비가 약 5에서 8사이의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표준발파 조건에서의 파쇄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Ground vibration is one of the remarkable issues in tunnel blasting. In recent studies, to improve the fragmentation with reduction of ground vibration in tunnel blasting, a vibration-controlled blasting method with artificial cutting slot near the center-cut holes has been suggeste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different arrangement of artificial cut-slot on the vibration reduction and fragmentation by performing the full-scaled concrete block blast experiments and the numerical simulations with 3D-DFPA. The results show that the existence of artificial slo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vibration reduction, blast fragment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cutting slot blast.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artificial slot play a free surface role and should decrease the burden between the cut holes. Crater volumes of the blasted concrete blocks were measured by 3-dimensional digital image analysis and compared with the ideal standard crater volume which can be calculated by theoretical standard blast design method. As a result, the ratio of burden and hole diameter which should achieve the standard crater in the cut-hole blasting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국토해양부 표준발파패턴의 셰일암반 적용성에 관한 사례 연구

        김세현 ( Se Hyun Kim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09 화약발파 Vol.27 No.1

        우리나라는 산악지역이 70%이산 분포되어 있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굴착작업 시 발파작업은 필수사항으로 되어있으며, 발파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는 발파진동·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부수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발파작업을 위해 경제성과 안정성, 시공성에 따라 발파패턴이 선정되어진다. 하지만 민원의 해결을 위한 공법의 무절제한 변경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들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토해양부는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표준발파공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국토해양부표준발파공법(2006년)은 암종에 상관없이 일괄적인 발파패턴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셰일암반 등과 같이 낮은 강도의 암반, 절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암반에 적용 한다고 할 때에 이들 암반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괄적인 장약량 등의 발파제원에 따라서 경제적인 손실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셰일 및 응회암반에서 현지암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간격과 저항선의 길이를 조정한 발파제원을 적용하여 시험발파를 수행 하여 어느 정도의 경제성증대 가능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좀더 많은 사례를 통한 정량적 결과를 도출하여 설계 및 시공에 적용한다면 경제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Blasting is necessary for excavation processes since more than 70% of korean land is consist of mountains. The vibration and noise accompanied by blasting processes usually bring about public complaints. Blasting patterns are chosen by economical efficiency, stability and construction conveniency. However, there are many alternatives without control to settle the popular complaint. To prevent those alternatives, standard blasting method for design and construction were suggested by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2006. However, standard blasting pattern of MLTM was designed in a lump irrespective of types of rocks. Economical loss may occur by ignoring the characteristics of rocks for the applications to the rocks with low intensity, such as shale, or containing many joint. We deduced some economical progresses by performing test blasting with adjusted drilling spacing and length of burd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ock. This paper suggests the start of case studies for different applications. Economic improvement can be expected by applying those results deduced from case studies to design and 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석회석 광산에서 기존 일반발파와 이중분상 Air Deck 발파공법의 비교연구

        강대우 ( Dae Woo Kang ),허원호 ( Won Ho Hur ),양국정 ( Kook Jung Yang ),박동철 ( Dong Chul Park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11 화약발파 Vol.29 No.2

        국내외의 광산 및 대규모 현장에서는 노천발파 시, Air Deck 발파공법을 사용하여 발파효율성을 높이려 하고 있으나 이는 공 내부 상태에 따라 장전밀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대괴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석회석 광산의 경우 침식 용해 작용에 의해 공벽이 확공되거나 손상된 경우가 많아 Air Deck 공법 적용 시의도하지 않은 집중장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광산의 대규모 노천발파를 대상으로 사전에 공 내부를 내시경 검사한 후 공 내부에서 장약집중을 야기할 수 있는 구간을 Air Tube를 이용한 데크차지 공법으로 분상장약(Deck Charge)하여 Air Deck 발파공법의 효과가 온전히 나타나도록 유도하였고 이를 일반장약 공법과 비교하였다. 비교대상은 전체적인 발파효과, 파쇄도, 장약량 절감율 및 시공속도(장약에서 발파까지의 총 작업속도)였으며, 그 결과 시공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비교대상에 있어 일반장약에 의한 발파공법 보다 Air Deck를 이용한 이중분상 발파공법이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Air deck charge blast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improve the fragmentation in open cut bench blastings for mining developments. However, during large scale bench blasting operations, there exist some problems such as boulder productions due to explosive charge concentration. Especially, in case of lime stone mining, when air deck method is applied, there has been unintentionally concentrated on charging because the inside holes are often broken by erosion and decomposition. In this study, compared with general blasting, air deck blasting has been focused in lime stone mining. In other to maximize its efficiency, inside hole was examined by endoscope in advance and deck charge using air tube was applied to the section in which concentration might be taken place. Blasting efficiency, fragmentation, charging reduction rate, and total working hours (from charging to blasting) were the main object for comparing, and as a result, air deck was more efficient then the general blasting in all aspects except total working hours.

      • KCI등재후보

        최소저항선이 발파진동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신일재,이정인,백종현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01 화약발파 Vol.19 No.1

        주변 보안물건에 직전각인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발파진동은 암반의 파쇄를 위해 화약의 폭박력을 이용하는 발파작업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발파공해로 이러한 발파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자유면 발파시 최소저항선과 대구경 무장약공을 자유면으로 활용하는 터널 심발발파시 무장약공과 첫 번째 심발발파공의 중심사이 거리가 발파진동에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균질한 모르타르 시험체에 대한 소규모 단일공 시험발파를 수행하였다. 11g의 화약을 장약한 2자유면 단일공 시험발파시 발파진동의 크기는 최소저항선을 표준장약의 경우인 150mm에서 2/3 수준인 100mm로 줄인 경우 삼승근 환산거리 $10~40{\;}m/kg^{1/3}$인 범위에서 약 13~38%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경이 180mm인 무장약공을 자유면으로 활용하는 첫 번째 심발 시험발파공에 22g의 화약을 장약하여 수행한 단일공 시험발파시 무장 약공 중심으로부터 발파공 중심까지의 공간격이 짧아질수록 발파진동이 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암반사면의 절리빈도 특성에 따른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의 적용성 연구

        김신 ( Shin Kim ),이승중 ( Seung Joong Lee ),최성웅 ( Sung O. Choi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10 화약발파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암반사면형성 작업시 최종벽면에 적용된 프리스플리팅(pre-splitting) 발파공법의 발파효과와 관련하여 발파 후 벽면의 암반손상이 장약된 폭약의 폭력 보다는 암반 내에 발달된 불연속면의 발달 형태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보일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불연속면을 대표할 수 있는 절리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발파 후 벽면 암반의 절리군 분포양상을 4가지 Case로 분류하고, 파쇄도 분석 영상처리시스템을 통해 벽면에 나타나는 암반블록의 크기 빈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벽면의 암반손상도를 파악하였다. 절리군이 1개 이하로 발달하는 경우, 분석된 블록의 크기 중 2,000mm 이상 되는 부분이 42%를 차지하여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의 효과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었으며, 2~3개의 절리군이 일방향으로 발달하는 경우와 교차되면서 발달하는 경우, 블록의 크기는 1,000~2,000mm 사이에 각각 43.6% 및 35.8%의 빈도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에 의한 발파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3개 이상의 절리군이 불규칙하게 발달하는 경우에는 블록의 크기가 250~500mm 사이에 35%의 빈도로 분포하고 1,000mm 이상의 크기에 대해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에 의한 발파 효과는 거의 없이 일반적인 발파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PFC2D에 의한 발파수치해석결과, 암반 내부로의 손상영역 발생은 본 발파보다는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향후 사면형성을 위한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사전 지표지질조사를 시행하여 절리를 비롯한 불연속면과 관련된 사항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시공진행에 따라 예상보다 많은 절리군이 나타날 경우에는 프리스플리팅 발파공법의 설계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the blast damaged zone developed on rock slope surfaces can be affected by joint characteristics rather than by explosive power when the pre-splitting is applied to excavate a jointed rock slope. The characteristics of rock joints on a slope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them into 4 cases. Also an image processing system has been used for compar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ock blocks. From this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rock blocks bigger than 2,000 mm occupied 42% in the case of single joint set and it showed the well efficiency of pre-splitting blast. In cases of 2~3 parallel joint sets and 2~3 intersecting joint sets are developed on rock surfaces, the rock blocks in the range of 1,000~2,000 mm occupied 43.6% and 35.8%, respectively, and it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pre-splitting was decreased. When more than 3 joint sets are randomly developed, however, the rock blocks in the range of 250~500 mm occupied 35% and there was no block bigger than 1,000 mm. This denotes that the blasting with pre-splitting was not effective. The numerical analysis using PFC2D showed that the blast damaged zone in a rock mass could be directly influenced by the pre-splitting. It is, therefo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iscontinuity pattern on rock surfaces in advance, when the pre-splitting method is applied to excavate jointed rock slopes and to apply a flexible blating design with a consideration of the joint characteristics.

      • KCI등재

        발파진동실험을 이용한 사력댐의 고유주기 산정

        김남룡,하익수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2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d verif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fundamental period of a rockfill dam using artificially generated vibration from a blasting event. in this study, the artificial blasting vibration tests were carried out at the site adjacent to the existing Seongdeok Dam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artificial vibrations were induced by 4 different types of blasting with the various depths of blasting boreholes and the various explosive charge weight. During the tests, the accelerations time histories were recorded at the crest of the dam. In this acceleration history, only free vibration decay part following the main vibration event was extracted and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domain analysis using Fast Fourier Transform(FFT). From the results of FFT, The results of FFT, the fundamental period of the target dam was evaluated.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different blasting types on the fundamental period of the target dam is negligible and the fundamental period of the garget dam can be consistently obtained by blasting vibration tests.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he period of the target dam calculated by the method using blasting vibration test is similar to that obtained by the method of previous researchers using the rel earthquake records. Therefore, in case that the earthquake record is not available, the fundamental period of a rockfill dam can be reasonably evaluated if blasting vibration test is allowed at the site adjacent to the dam. 본 연구의 목적은 댐 인접발파로 유발된 진동을 이용하여 사력댐의 고유주가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산정결과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운영 중인 성덕댐에 대하여 국내 최초로 실대규모 근접 발파진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장약량과 발파 시추공심도를 4가지 유형으로 달리한 발파진동을 유발시키고, 각 유형별 발파 시에 댐 정상부에서 가속도를 계측하였다. 계측기록 붕 발파로 인한 주 진동이후 자유진동감쇠에 의한 계측기록만을 발췌하였으며, 이데 대한 주파수응답 특성을 분석하여 대상댐의 고유주기를 산정하였다. 발파진동 실험으로 구한 사력댐의 고유주기는 발파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발파진동실험에 의한 대상댐의 고유주기 산정결과를 실지진 계측 기록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그 경향성이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지진계가 설치되지 않아 실지진 계측기록을 이용할 수 없는 사력댐의 경우, 인접발파에 따른 발파진동계측기록에 대한 분석으로도 고유주기를 실효성있게 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발파암 계수의 3차원 공간 분포에 기초한 암석 피쇄도 예측 및 발파 패턴 설계

        류동우(Dong-Woo Ryu),심현진(Hyun-Jin Shim),서종석(Jong-Seok Seo) 한국암반공학회 2005 터널과지하공간 Vol.15 No.4

        대규모 채석을 위한 최적 발파 패턴은 파쇄 입도의 분포에 따라 추산된 최소 발파 비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쇄 입도의 분포를 예측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파쇄 입도 분포의 예측에 사용된 모델은 현장 시험발파로부터 얻은 발파식에 대한 입도 분포와 비교 검토하여 선택하였다. 그 결과 Kuz-Ram 모델을 파쇄 입도 모델로 선정하였으며, 이 모델은 현지 암반의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발파암 계수라는 지배적 인자를 사용한다. 전체 생산 비용 산정을 위해 발파암 계수의 3차원 공간 분포의 추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발파 예정 대상 구역 전체의 발파암 계수에 대한 3차원 공간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순차적 지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였다. 순차적 지시 시뮬레이션은 조건부 시뮬레이션의 한 종류로서, 크리깅 기법에 비해 높은 변동도 모델 재현성과 취득된 조사 자료의 분포 모델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추정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다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발파암 계수의 3차원 분포로부터 대상 구역 전체의 발파암 TYPE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TYPE별 최적 발파 패턴을 설계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반고별 발파암 계수의 분포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 공정단계별 비용을 추산하여 공정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optimum blasting pattern to excavate a quarry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inimum production cost which is generally estimated according to rock fragmentation. Therefore it is a critical problem to predict fragment size distribution of blasted rocks over an entire quarry. By comparing various prediction models, it can be ascertained that the result obtained from Kuz-Ram model relatively coincides with that of field measurements. Kuz-Ram model uses the concept of rock factor to signify conditions of rock mass such as block size, rock jointing, strength and others. For the evaluation of total production cost, it is imperative to estimate 3-D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for the entire quarry. In this study, a sequential indicator simulation technique is adopted for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due to its higher reproducibility of spatial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models than Kriging methods. Further, this can reduce the uncertainty of predictor us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sample data. The entire quarry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rock mass and optimum blasting pattern is proposed for each type based on 3-D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In addition, plane maps of rock factor distribution for each ground levels is provided to estimate production costs for each process and to make a plan for an optimum blasting pattern.

      • KCI등재후보

        고위력 폭약의 화강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규 ( Gyeong-gyu Kim ),신찬휘 ( Chan-hwi Shin ),김한림 ( Han-lim Kim ),양주석 ( Ju-suk Yang ),배상호 ( Sang-ho Bae ),윤경재 ( Kyung-jae Yun ),조상호 ( Sang-ho Cho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3 화약발파 Vol.41 No.4

        암반발파는 광업, 터널공사, 지하 구조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암반발파 기술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암반발파 시 발파공에서 발생하는 발파공의 압력은 파쇄도, 발파진동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폭약의 성능 평가 및 발파 결과 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발파공 압력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지만, 폭약의 종류, 폭약량, 발파조건 등 실험조건으로 인하여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공 압력센서와 관측공 압력센서를 제작하여 단일공 발파 시 발파공과 관측공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발파공 주변 압력 전파특성과 발파진동 전파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Rock blasting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ining, tunneling, and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role of rock blasting technology has became increasingly significant with the growing utilization of underground cavity. Blast hole pressure, generated during rock blasting, is a critical variable directly impacting factors such as crushing and blast vibration. It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for assessing explosive performance and predicting blasting effects. While blast hole pressure has been studied by several researches, comparisons are challenging due to variations in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explosive type, charge, and blasting conditions. In this study, blast hole pressure sensors and observation hole pressure sensors were developed to measure pressure during single-hole blas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hen used to discus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pressure around the blast hole and the corresponding blast vib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