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ADHD와 우울한 성인의 인지통제 결함: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 요구도에 따른 AX-CPT 수행 비교

        김인용,박태원,김호영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in adult ADHD from the perspective of 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which posits that cognitive control operates via two distinct dimensions, i.e.,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X-CPT, including nogo trials, was utilized to tap cognitive control processes in a sample of 27 adults with ADHD, 17 adults with depression, and 29 healthy adults. The performance of adults with ADHD w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with depression as well as healthy adul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adult ADHD. AX-CPT is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onsisting of four types of cue-probe pairs (AX, AY, BX, BY) and requires participants to respond to a probe based on a preceding cue. AX pairs are target pairs matched with a target response, and other pairs are non-target pairs matched with a non-target response. The pro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the proportion of AX trials(AX-40 vs. AX-70) and the re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nogo trials(base vs. nogo). The order of the two AX-proportion conditions were counterbalanced, and the base condition and the nogo condition were implemented in order within each AX-proportion condition. The adult ADHD group showed lower accuracy than the depression group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the performance of BX trials that require proactive inhibitory control. Both the ADHD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performed low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nogo trials that require reactive inhibitory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ults with ADHD have a deficit in overall cognitive control, including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nd the reactive control deficit of adult ADHD may be associated with comorbid depression as well as ADHD itself. 본 연구에서는 순행성 통제(proactive control)와 반응성 통제(reactive control)로 구분되는 기제를 통해 인지통제가 작동한다는 인지통제의 이중기제(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이론의 관점에서 성인 ADHD의 인지통제 결함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ADHD 27명, 정상 대조군 성인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성인 ADHD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이 인지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HD가 아닌 우울한 성인 17명도 참여하였다. 인지통제 과제로 사용된 AX-CPT는 4가지 유형의 단서-탐색자극 쌍(AX, AY, BX, BY)으로 구성되며, AX에는 표적 반응을 나머지 자극 쌍에는 비표적 반응을 하게 하는 연속수행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적 반응에 대응하는 단서-탐색자극 쌍인 AX의 비율(AX-40 vs. AX-70)로 순행성 통제의 요구도를, 탐색자극 대신에 반응을 억제해야 하는 nogo 자극이 제시되는 nogo 시행을 이용(기저 vs. nogo 조건)하여 반응성 통제의 요구도를 조작하였다. AX-비율 조건은 역균형화하였으며, AX-비율 조건 내에서 기저 조건, nogo 조건 순으로 실시되었다. 성인 ADHD 집단은 단서를 이용하여 반응을 사전에 준비하는 순행성 통제과정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데 비해, 우울 집단은 강력히 편향된 반응을 순행적으로 억제해야 조건(AX-70의 BX)에서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반응성 통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nogo 시행에서는 ADHD 집단과 우울 집단 모두 정상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ADHD가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통제의 결함을 가짐을 시사하며, 반응성 통제 결함은 이차적 우울의 영향도 혼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기질 및 상호작용이 어머니와 만 2세 자녀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고지민 ( Ji Min Ko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In this writing, I am analyzing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observe how one reacts to the other`s needs in their interaction, and to study the responsiveness between them and how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oddler` temperature affect their responsiveness is to b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I keep in min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2. How the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 temperature affect a mother` responsiveness? 3. How the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 temperature affect a toddler` respon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mothers and their two-year-old toddlers in middle class families in seoul.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the criterion of mother`s and child`s responsiveness developed by Gates(2007) and the variables on the component of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and the toddler` temperature were analyzed by. The study generally show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in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oddler, they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Secondly, as far as the mother` and the toddler` temperature, mother` perceived power commutatively affect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That is, mother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perceived power adequately mediate between two parties and highly responsive to their parties. and mother`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 negative affectivity positively and negatively affect a mother and toddler` responsiveness in the interaction. That is,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ho have more negative go a interactive way with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oddler. 본 연구는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 및 상호작용이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걸음마기(만 2세) 자녀 36명과 그들의 어머니 36명으로 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Gates(2007)의 부모 반응성 범주에 기초한 어머니의 반응성과 자녀의 반응성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행과제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에서의 반응성은 어머니와 자녀 측면에서 모두 분석되었으며,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은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 반응성과 자녀 반응성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반응성과 자녀의 반응성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자녀에 관련된 변인들은 상호작용이나 관계에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머니-자녀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 중에서 어머니의 조절능력, 자녀의 부적정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와 조절능력이 낮은 자녀,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와 부적정서가 높은 자녀인 경우 반응성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과 기초학습 능력의 관계

        배율미,조광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ability and the effect of their effortful control and emotional reactivity on the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8 children enrolled in 5 preschools located in S and B cities. A teacher report-Korean version of very short CBQ, CBCL, and Test of Basic Learning Ability were used for measuring th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skill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Regression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basic learning abilit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abilit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effortful control and emotional reactivity were the predictor variables for explaining relative effect on the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과 유아의 기초학습 능력의 상관관계가 어떠한 지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이 유아의 기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 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강원도 지역에 소재한 5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유아 108명이었다.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교사보고식 초간편형 유아 기질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적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보고식 유아행동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취학 직전 기초학습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2월 21일부터 2017년 2월 15일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 전체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고 정서적 반응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높고 정서적 반응성이 낮을수록 기초학습능력 전체가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기초학습능력에 대해 정적 예측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반응성은 기초학습능력에 대해 부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정서적 반응성이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휴먼 브랜디드 콘텐츠: 1인 미디어를 이용한 아이돌 그룹의 팬덤형성

        이혜은 ( Hyeeun Lee ),이세진 ( Se-jin L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유튜브의 확산으로 1인 미디어의 활약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인이 진행자로 나섰던 초기의 1인 미디어는 이제 스타나 아이돌 그룹 등 유명인으로도 확대되어, 팬들과의 소통 창구가 되고 있다. 휴먼 브랜드는 영화배우, 모델, 가수, 방송인, 스포츠 스타 등 각 분야에서 인기와 지지를 받는 모든 유명인들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는 스타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아이돌 스타와 팬덤이 1인 미디어를 통해 소통했을 때 팬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성(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반응성)과 콘텐츠 특성(정보성, 오락성)이 콘텐츠 수용자들의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참여행동이 콘텐츠 수용자들의 휴먼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상호작용성 중에서 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참여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반응성은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콘텐츠 특성 중 정보성과 오락성은 콘텐츠 수용자의 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여행동은 콘텐츠 수용자의 휴먼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아이돌 스타나 연예인들의 1인 미디어 방송을 휴먼 브랜드의 가치를 창조하고 유지하는 도구로 보고, 이를 ‘휴먼 브랜디드 콘텐츠’라고 개념화했다. 스타들의 1인 미디어를 브랜디드 콘텐츠의 시각에서 살펴본 것이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With the spread of YouTube, the use of one-person media are remarkably increasing. The early one-person media, where the general public came out as a host, are now expanding to celebrities such as stars and idol groups, beco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fans. Human brands include celebrities who are popular and supported in each field, including actors, models, singers, broadcasters and sports star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celebrities affect the fandom when communicating through one-person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interactivity (active control, two-way communication, responsivenes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content audien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behavior on human brand attachment and human brand loyalty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erms of interactivity, active control and two-way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behavior, but responsiveness did not affect participation behavior.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content audiences. Third, particip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human brand attachment and human brand loyalty. This study viewed one-person media by celebrities as a tool to create the value of a human brand, and named it “human branded cont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ee celebrities’ use of one-person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ed contents.

      • 4-교육정책,부모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 및 상호작용의 효과가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고지민 ( Ji Min Ko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In this writing, I am analyzing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observe how one reacts to the other`s needs in their interaction,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the responsiveness between them and how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oddler`s temperature affect their responsiveness is to b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I keep in min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2. What i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toddler`s responsiveness? 1-1. How the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s temperature affect a mother`s responsiveness? 1-2. How the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s temperature affect a toddler`s respon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mothers and their two-year-old toddlers in middle class families in seoul.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the criterion of mother`s and child`s responsiveness developed by Gates(2007) and the variables on the component of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and the toddler`s temperature were analyzed by. The study generally show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in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their toddler; modulating their thought and aim, they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Secondly, as far as the effect of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and the toddler`s temperature,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were more cooperative, more sensitive, more acceptive regardless of the toddler`s negative affective, more responsive to toddl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less responsive to toddl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On the other hand, while mothers who have lower effortful control are less responsive to the toddlers who have lower negative affectivity, they are more responsive to the toddlers who have higher negative affectivity. and mot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perceived power regulated toddler`s behavior adequately in mediating between two parties and highl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regardless of their sons or daughters negative affectivity. And that, as far as the effect of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on toddler`s responsiveness, toddlers who have more negative affectivity were more responsive to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less responsiveness to moth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ere more cooperative, more sensitive, involved with mothers, and more affective to mot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more the perceived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