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청소년기 집단 따돌림 경험과반사회적, 경계선 성격의 관계에서공격성과 신경증의 매개효과

        최연수,유성은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neurot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bullying and antisocial,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adulthood. Totally, 696 adul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the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the Bullying Scale, the Diagnostic Test for Personality Disorder, the Korean Version of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K-AQ),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ig Five Inventory (K-BFI). The study’s findings indicated that agg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bullying behavior and antisocial personality, while aggression and neurotic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childhood bullying and antisocial personality. Similarly, aggression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bullying behavior and borderline personality, while both aggression and neuroticis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childhood bullying and borderline personali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antisocial, borderline personality was mediated by emotional aggression, not by physical or verbal aggression. These findings supported our hypothesis that childhood bully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hich were mediated by aggression or neuroticism. Yet, the mediating role of neuroticism was reveal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and borderline personality.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aggression and neuroticism could be beneficial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mong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bullying.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집단 따돌림 가해 및 피해 경험이 공격성과 신경증을 매개로 성인기 반사회적, 경계선 성격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696명을 대상으로 집단 따돌림 가해, 피해 척도, 성격장애 진단검사,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K-AQ), 간편형 한국어 BFI(K-BF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따돌림 가해 경험과 반사회적 성격의 관계는 공격성이 부분 매개하였고 피해 경험과 반사회적 성격의 관계는 공격성과 신경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따돌림 가해 및 피해 경험과 경계선 성격의 관계에서는 공격성이 가해 경험과 경계선 성격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피해 경험과 경계선 성격의 관계에서는 공격성과 신경증이 부분 매개하였다. 더불어 집단 따돌림 피해경험과 반사회적, 경계선 성격의 관계는 정서적 공격성만이 매개하였고, 신체적, 언어적 공격성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따돌림 가해 및 피해 경험이 공격성을 매개로 반사회적, 경계선 성격을 발달시키는 과정을 지지하지만, 신경증의 매개 역할은 피해 경험과 경계선 성격의 관계에만 국한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청소년기에 집단 따돌림을 경험한 사람들이 반사회적, 경계선 성격을 발달시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공격성과 신경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심리적 개입 프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게임이 사용자의 공격성ㆍ사회성ㆍ정서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연구

        이은하 ( Eun-ha Lee ),강진원 ( Jinwon Kang ),김제홍 ( Jeahong Kim ),안주희 ( Joohee Ahn ),강귀영 ( Kathleen Gwi-young Kang ),김준우 ( Joonwoo Kim ),이솔빈 ( Solbin Lee ),조성학 ( Seonghak Jo ),남기춘 ( Kichun Nam )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2008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보고된 국내외 출간ㆍ비출간 연구를 대상으로 오락용 게임이 일반 사용자의 공격성, 사회성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변량 메타분석을 시행했다. 총 22개 관련 연구(효과 크기수 = 54개, 참여자 수 = 8031명)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의 이용이 사용자의 정서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진실험연구 분석 결과에서만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의 이용이 사용자의 공격적 인지와 친사회적 행동에 약한 수준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공격적 행동과 부정적 감정(예를 들면 불안, 우울 등)에 미치는 영향은 진실험, 준실험 및 상관회귀 연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절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 이용의 효과는 아동보다 청장년에게서, 남녀의 비율이 균등하게 통제된 연구보다 남성의 비율이 더 높은 연구에서, 그리고 방법론적 질이 높은 연구보다 방법론적 질이 낮은 연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 이용이 사용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며, 이 또한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그리고 연구의 방법론적 질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 game play on a variety of areas of mental well-being, such as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cognition,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attitude, antisocial behavior, antisocial attitud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We conducted a multivariate meta-analysis on 22 studies (k= 54, N = 8,031)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8 and October 2019.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indicate that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significantly increased aggressive cognition and negative affect only in true experimental studies, but their influences were small. Furthermore, the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did not increase aggressive behavior and negative affect across all the research designs (true experimental, quasi-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Modera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were much larger for younger adults than for children and greater in male-biased studies than in gender-balanced ones. Additionally, studies using better methodologies were less likely to produce negative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on aggression were not as severe as popular opinion holds, and the effects were heavily modulated by the age and gender ratio of the participants,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도소 수감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마음 읽기 능력 차이

        구재선,김혜리,정명숙,김경미,양혜영,조경자,박수진,박상규,한미영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2 No.4

        마음읽기와 반사회적 행동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교도소에 수감 중인 청소년 재소자들의 마음 읽기 능력을 일반 청소년들과 비교했다. 비교 집단은 청소년 재소자와 동일 연령대의 대학생, 그리고 재소자들보다 더 어린 중학생과 초등학생이었다. 이들의 마음 읽기 능력은 생각 이해, 정서 인식, 지향적 해석 능력으로 측정했다. 연구 결과, 청소년 재소자들은 생각 이해와 정서 인식 능력이 동일 연령의 대학생보다 저조했다. 이들의 생각 이해 능력은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이었고, 정서 인식 능력은 중학생 수준이었다. 특히 청소년 재소자들은 선의의 거짓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애매한 행동을 마음상태와 관련하여 파악하는 개념적 역할조망 능력이 낮았으며, 화난 얼굴 표정을 인식하지 못했다. 그러나 청소년 재소자들의 지향적 해석 능력과 정서적 공감 능력은 대학생과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의 마음 상태를 읽고 이해하는 사회인지적 기술의 결함이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ind-reading ability of juvenile offenders in jail. Their mind-reading ability was measured by the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thinking, ability to read the emotional states through facial expressions, and ability to detect intentionality in animated shapes. A total of 35 male juvenile inmates'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male students (40 undergraduate students, 38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3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juvenile offenders have a deficit in understanding of others' thinking and emotions. More specifically, they cannot uncover the hidden meaning of white-lies and recognize others' facial expressions of ang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ir ability to detect intentionality was intact and that the level of their emotional empathy was normal. These results imply that juvenile offenders' anti-social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the impairment in their mind-reading.

      • 조승희 사건에 대한 목회 상담학적 소고: 개인과 환경에 대한 신학적, 심리학적 분석

        하재성 ( Jae Sung Ha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7 복음과 상담 Vol.9 No.-

        2007년 초에 발생한 조승희 사건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학교 총기 사건으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깊은 충격과 상처를 남겼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조승희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며, 무엇이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하였는가? 조승희는 어릴 때부터 매우 내성적인 성격의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는 어릴 때 미국으로 이민한 이민 1.5세대로서 미국에서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버지니아 텍의 비극 뒤에는 조승희의 개인적 성격과 소수계 이민자로서 겪어야 했던 자신과 가정의 매우 특별한 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그에게는 감추어지고 농축된 분노가 있었으며, 그것은 이미 십대 청소년기부터 조금씩 분출되기 시작했다. 그의 정신의학적 진단에는 몇 가지 증상들이 함께 나타난다. 먼저 불안의 일종으로서 사회 공포증 증상이 나타난다. 소인과 환경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이 증상은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는 것으로 우울증이 동반되고 사회적 환경에서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다. 다른 한편 조승희는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남의 아픔을 이해하지 못하고, 차가우며 다른 사람을 통제하는 일에 관심이 갖는 것이 이 장애의 특징이다. 그러나 이런 내적 증상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감정적 소외가 그의 문제를 심화시켰다. 신학적으로 그는 이런 환경의 희생자이면서 동시에 개인의 자유를 남용하여 남을 희생시킨 잘못이 있다. 비록 이 사건이 미국에서 발생했지만, 이 사건은 복음주의 상담에 있어서 개인, 가정, 사회의 치유가 얼마나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Seung-Hui Cho murdered 32 innocent people, leaving 25 wounded, in Virginia Tech massacre. Who was Cho and what made this terrible rampage happen? He demonstrated extreme shyness in childhood, and he seemed to have stored devastating anger in adolescence. His unique personality and a new environment as an immigrant conjointly contributed to the dreadful killings. Cho showed psychological traits of both social phobia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e had history of receiving therapy because of his unusual behaviors and thoughts. Social anxiety aggravated his inability in public speaking, which in turn collected peers` mocking. Humiliation and fear deepened his anxiety, and he was well aware of its causes clearly as other social phobics do. On the other hand, his mischievous behaviors on campus may explain a possible diagnosi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is aggression that was eventually realized in fact was previously organized and carefully planned, which is distinctive from those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addition to his individual troubles, he experienced serious social isolation at school and even in his family. Pastoral theology points to both his individual problems and his social environments. Theological reflections of his case swing in ambivalence between two poles: his life as a victim and his killing of innocent people as a criminal. He had once been abused and now he abused other people`s rights as well as his own freedom of conscience. Therefore, pastoral theologians and counselors must understand the need of individual redemption and social reformation for a Christian healing through this inci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