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SP를 이용한 비 접촉식 도플러 바이오 레이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임베디드 하드웨어의 개발

        김진승(Jin-Seung Kim),장병준(Byung-Jun Jang),김기두(Ki-Doo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7 No.4

        본 논문에서는 비접촉식 도플러 바이오 레이더의 신호처리 시스템을 임베디드 하드웨어를 구현하였다. 실시간 처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DSP에 적합한 고속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하고 그 성능을 PC에서와 비교하였다. 영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quardrature combining을 적용하였으며, 여러 가지 quardrature combining 방법 중에 DSP 실시간 연산에 적합한 알고리즘으로 arctangent combining을 선정하였다. IQ 신호의 원하는 DC 성분을 획득하면서 ADC에 다이나믹 레인지를 넘지 않도록 DC offset compens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Texas Instrument 사의 C6711 DSP와 외장 12bit ADC를 사용하였고 최적화된 elliptic 필터를 설계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수신파형에서 심박수의 검출을 위하여 rate finding 블록에는 자기상관을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ECG와 측정값을 비교함으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 하였고, 이를 통해 상용 가능한 휴대기기로 제작할 수 있도록 측정 거리의 변화에 상관없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vide an embedded type non-contact bio-radar heart and respiration rate monitoring system. We implemented the rate finding algorithm into the embedded system. The high-speed and reliable real-time signal processor is then tested. To avoid null-point data loss problem, we applied quadrature demodulation. Among several other combining techniques, we suggest arctangent demodulation for quadrature channel combining and DSP is used for real-time signal processing. We also suggest DC-offset compensation technique to preserve the wanted DC components of the IQ signals for accurate demodulation while keeping the dynamic range of the ADC lower. Using Texas Instrument C6711 series DSP and external 12Bit ADC, we implemented proper elliptic digital filter and autocorrelation detection algorithm for robust commercial hand held device.

      • KCI등재후보

        교정시설 내 수용자 자살예방 대책 : 공중보건모델을 기반으로

        진성주(Jin, Sung Joo),박병선(Park, Byung Se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0 교정상담학연구 Vol.5 No.1

        이 연구목적은 교정시설 내 수용자 자살의 원인을 생물심리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공중보건모델에 따라 예방대책을 수립해 봄으로써 교정시설 내 수용자 자살예방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교정통계연보와 최근의 교정시설 내 자살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부검 결과를 기초로 이루어진 연구 등 각종 문헌을 중심으로 자살의 원인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정시설 내 수용자 또한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행동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교정시설 내 수용자 자살예방 대책을 공중보건모델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차 예방은 일반 수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전관리예방(prevention)으로 체계적인 조기발견 및 평가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2차 예방은 자살 위험성이 높은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기개입예방(intervention)으로 전문상담 등 위기개입 강화를 위한 사회적 유대 강화를 강조하였다. 3차 예방은 자해 및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후관리예방(postvention)으로 자살사고 대응 응급조치 및 긴급후송 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이 원활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해당 인력의 충분한 지원과 전문화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prisoners suicide in correctional facilities by bio-psychological factors and establish preventiv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health model to help establish policies for the prevention of prisoners suicide in correc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suicide were first examined focusing on various literature, such as a correctional statistical yearbook and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a recent psychological autopsy on suicide prison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prison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like the general public, also undergo suicide thoughts, suicide plans and suicide actions due to various and complicated causes. Accordingly, the measures to prevent suicide of prison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public health model as follows: The primary prevention is pre-management prevention for general prisoners, proposed systematic early detection, and evaluation system construction. The secondary prevention is an intervention for prisoners with high suicide risk, and emphasizes strengthening social ties to strengthen crisis interventions such as professional counseling. The tertiary prevention is post-management prevention for self-harm and suicide attempters, and suggested emergency measures to respond to suicide acc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In order for these proposals to work smoothly, sufficient support and specialization of the relevant personnel should be prioritized above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