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물정보학과 융합교육의 방향

        김지현,홍병선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2 지식융합연구 Vol.5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신융합 기술 분야에서의 동향과 아울러 과학공학 기반 교육문화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려는데 있다. 이에 최근 학문의 화두인 신융합 기술 분야에서의 융복합에 초점을 맞추어 신기술 분야에서의 융합이 갖는 의미와 해석과 함께 융합교육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의에서는 융합이 갖는 수렴적 의미를 기반으로 융합기술(convergence technology)에서 NBIC에 주목하였다. 특히, 정보기술과 바이오기술의 융합인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은 생물학, 정보 학, 통계학, 화학, 약학 등의 광범위한 학문으로 이어진 융합기술을 함축한다는 점에서 첨단 융합분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는 정보기술에 대한 과정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하지만 융합기술은 곧 융합교육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융합교육의 방향 역시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 실질적 적용에 대해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재 국내 대학 교육과정에서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않고서는 미래지향적 가치가 확보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융합교육을 위한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이고도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 마련 및 교육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 바이오그리드 컴퓨팅과 생명과학 연구에의 활용

        김태호,김의용,염재범,고원규,곽희철,주현,Kim, Tae-Ho,Kim, Eui-Yong,Youm, Jae-Boum,Kho, Weon-Gyu,Gwak, Heui-Chul,Joo, Hyun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7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Vol.2 No.2

        생물정보학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학문으로서 IT의 고속성장과 맞물려 점차 그 활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의학, 생명과학 연구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그 종류도 다양하고 크기가 매우 큰 것이 일반적인데, 이의 처리를 위해서는 고속 네트워크가 바탕이 된 그리드-컴퓨팅(Grid-Computing) 기술 접목이 필연적이다. 고속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슈퍼컴퓨터를 대체해 컴퓨터 풀 내에 분산된 시스템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그리드-컴퓨팅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최근 생물정보학 분야에서도 이처럼 발전된 고성능 분산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와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드-컴퓨팅 기술은 크게 데이터 가공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과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전자에 해당하는 생물정보 연구용 프로그램들은 mpiBLAST, ClustalW-MPI와 같은 MSA서열정렬 프로그램들을 꼽을 수 있으며, BioSimGrid, Taverna와 같은 프로젝트는 그리드-데이터베이스 (Grid-Database)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본 고에서는 미지의 생명현상을 탐구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그리드-컴퓨팅 환경과 의생명과학 연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 그리고 그리드-데이터베이스 기술 등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