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도시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의 특성 -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김재익(Jae-Ik Kim),정현욱(Hyun-Wook Chung) 한국주택학회 2006 주택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대도시의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를 총밀도와 순밀도를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밀도함수를 추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전통적인 Clark유형의 단핵도시모형에 기반한 음지수함수는 총밀도 기준의 밀도함수추정에는 적합하였으나 순밀도 기준의 밀도함수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둘째, 인구의 교외화추세는 단핵도시구조에 기반한 총밀도 함수보다는 순밀도함수가 더 설명력이 높았다. 셋째, 밀도함수의 추정결과는 단독주택 위주의 저밀도 확산개발에 집중하는 미국의 경우와 아파트 위주의 고밀도 개발에 치중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의 차이를 반영하여 주었다. 넷째, 순밀도함수는 인구밀도와 주택밀도 공히 3차식과 4차식이 적합하였다. 그리고 최고밀도는 도심으로부터 9-10Km 떨어진 곳에서 나타났다.<BR>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성장관리정책과 도시기본계획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stimates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functions of a large city in both gross density and net density standard,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By comparing these estimates of the density functions,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BR>  First, Clark type of the negative exponential density function is well fit in gross density standard, but poor fit in net density standard. Second,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monocentric city and policentric city is well reflected in the estimates. The trend of population suburbanization is better explained by the net density function than the monocentric-oriented gross density function. Third. the results also well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s low-density dispersed development pattern and Korea"s high-density residential development pattern in suburban areas. Fourth, the shapes of the net density functions of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are best fit in biquadratic and cubic equations, respectively. The highest density of population and housing is found at 9-10Km from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 KCI등재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이 저속 성장 육계(한협 3호)의 성장, 육질, 혈청 Corticosterone에 미치는 영향

        이준엽(Jun Yeob Lee),이정헌(Jeong Heon Lee),이명호(Myung Ho Lee),송영한(Yong Han Song),이종인(Jong In Lee),오상집(Sang Jip Ohh) 한국가금학회 2016 韓國家禽學會誌 Vol.43 No.4

        세 수준(6.3, 9.5, 12.6 수/m²)의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19%, 18%)이 저속성장 육계(한협 3호)의 육성성적, 영양소 이용률, 닭고기 저장성, 육색, 계육 성분 및 뼈의 광물질조성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육 밀도는 한협 3호 육성성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체량은 저 밀도인 6.3 수/m²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밀도(12.6 수/m²) 구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고사육 밀도에서는 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사료섭취량으로 인하여 고사육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이 타 사육 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밀도 계군에서의 사료 섭취량 저하와 낮은 사료요구율은 41∼60일 구간보다는 61∼75일 구간에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그 영향으로 전 사육기간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료 단백질 1% 차이는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41∼75일 구간 사료섭취량은 단백질 19% 구에 비하여 오히려 18% 구에서 낮았다. 저장 중 계육의 TBARS 값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계육의 적색도와 명도는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라, 황색도는 사육 밀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가슴육의 단백질 함량과 다리육의 Ca과 P의 함량은 각각 사료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에 영향을 받았다. 사료의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는 뼈의 회분함량 및 회분 중 Ca과 P의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은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나,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저속성장 육계 한협 3호 사육후기 단계에 고사육 밀도(12.6수/m²)로 사육하는 것은 생산성을 하락시킬 뿐 아니라, 혈청corticosterone 함량도 높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협 3호 육계의 후기 사료 단백질을 18% 수준으로 설계하더라도 생산성에 차이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A total of 720 slow-growing Korean meat-type (Hanhyop 3) chicken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cking densities and dietary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bone mineral composition, and serum corticosterone. Three (6.3, 9.5, and 12.6 birds/m²) stocking densities and two dietary protein levels (19% and 18%) were factorially (3×2) arranged for six treatments. Overall body weight gain (BWG) was highest (p<0.001) at the lowest stocking density (6.3 birds/m²). The feed intake (FI) of birds at the highest density (12.6 birds/m2) was lower than that of birds at the other densities, but resulted in better feed/gain (F/G). Among 18% protein groups, the overall FI of birds at 9.5 birds/m2 was higher than that at the lowest density; therefore, birds at 9.5 birds/m2 had poorer F/G than birds at the lowest density during days 61∼75. Difference in F/G among densities was only significant (p<0.05) during days 61∼75 but not significant (p>0.05) during days 41∼60.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BWG and F/G between 19% and 18% dietary protein levels, FI of the 18% protein diet was less (p<0.05) than that of the 19% diet.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meat TBARS values, meat color differed (p<0.05) with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rotein levels. There was no effect (p>0.05) of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rotein levels on bone mineral composition. Serum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stock density but was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protein levels. This study indicated that a density of 12.6 birds/m² is not recommended for slow-growing chickens. Between 19% and 18% dietary protein levels, 18% would be recommended for the Korean Hanhyop 3 chicken in the finishing stage.

      • KCI등재

        논문 : 남한지역 검층밀도 자료의 특성 분석

        김영화 ( Yeong Hwa Kim ),김기환 ( Ki Hwan Kim ),김종만 ( Jong Man Kim ),황세호 ( Se Ho Hwang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2

        남한 지역에서 수행된 검층밀도 자료를 수집하고 코어밀도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코어밀도와 검층밀도 자료의 비교로부터 검층밀도가 비이상적으로 낮은 현상이 얻어졌으며 이는 소선원 검층밀도 자료에서의 비이상적으로 낮은 밀도와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표준선원과 소선원 자료간의 큰 밀도 차이를 비롯하여 표준선원 검층밀도와 코어밀도간의 상관성 비교에서 나타난 분포곡선의 형태, 평균값, 표준편차 등 모든 결과들이 소선원 밀도자료의 품질에 이상이 있음을 보였다. 소선원 밀도자료에서의 품질 이상은 검층밀도 결정에서 소선원 밀도검층기가 지니는 선원 특성과 연결되었으며 결론적으로 지금까지의 소선원 밀도자료는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조건이 충족되지 못한 상태에서 얻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끝으로 코어자료와 표준선원 자료를 사용하여 남한지역 주요 지층의 밀도 분포 특성이 결정되었다. Log density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with the core density data throughout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he comparison reveals that the log densities obtained from gamma-gamma log are much lower than the core densities obtained from laboratory density measurement of core samples. The anomalously low log densities can be attributed to the small-source density log data.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differences between densities derived from the two methods, indicating that a data quality problem arises when using small-source log data. The problem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small-source data have not been obtained under ideal conditions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gamma response and formation density. The frequenc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density in the southern K

      • KCI등재

        주류판매업소 밀도가 지역별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성우림 ( Woo Rim Sung ),천성수 ( Sungsoo Chun ),윤미은 ( Mieun Yun ),이혜림 ( Haerim Lee ) 대한보건협회 2015 대한보건연구 Vol.41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각 구별 주류판매업소의 밀도가 강간, 폭력 등 범죄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연구방법 : 분석을 위해 정부의 관련기관에서 공식적으로 보고한 1차 자료로 2013년도의 실태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구별음식점 및 주점자료는 국가통계포탈에서, 범죄관련자료는 대검찰청 범죄백서에서, 인구관련 정보는 서울통계에서, 재정자립도는 행정자치부의 재정고에서 각각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밀도와 비율의 단위를 1,000으로 적용하였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주류판매업소밀도가 서울시의 평균보다 더 높은 밀도를 기록하고 있는 구들에서 범죄율, 강간율 및 폭행률이 대체적으로 높으며, 주류판매업소밀도가 낮은 구에서 범죄율, 강간율 및 폭행률이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주류취급음식점의 밀도와 유흥주점의 밀도 모두 범죄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주류취급음식점밀도와 평균연령 및 재정자립도를 투입한 모델이 범죄율의 84.8%, 강간율의 80.1%, 그리고 폭행률의 86.5%를 설명한다. 주류판매업소의 밀도는 강간율과 폭행률 모두에 큰영향을 미친다. 결론 : 주류판매업소 밀도, 주류취급음식점 밀도, 그리고 주점 밀도가 높을수록 범죄율, 강간율, 폭행률 모두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결론은 우리나라의 음식점에서의 주류판매면허를 포함한 주류접근성을 조정할 수 있는 알코올정책이 필요성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cohol on-premises densities and the corresponding local criminal rates including sexual assault rate and violent assault rate in Seoul. Methods: The number of markets in a given area was drawn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the criminal rates were drawn from the White Paper on Crime published by Korean Prosecution Service. These information along with the population, average age, and financial independence rate of each Seoul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gathered to compare the numbers by mere numbers of on-premises and criminals then by density and rate. One thousand were applied for calculation of rates and densities as a unit. Then using SPSS 21.0, the multiple regression and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boroughs that report the higher densities of alcohol on-premises than average density of Seoul city have been shown the higher criminal rate, sexual assault rate and assault rate generally than the boroughs that report the lower densities than average density of Seoul city. On the contrast the boroughs that report the low densities of alcohol on-premises were shown the low criminal rate as well as assault and sexual assault rate across the board. The criminal rate were effected by the restaurant density as well as the bar density. The regression model (model 2) on the restaurant density explains 84.8% of the criminal rate, 80.1% of sexual assault rate, and 86.5% of assault rate. The alcohol on-premises have effect on assault rate and sexual assault rate. Conclusion: The alcohol on-premises density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iminal rate. These results mean as the alcohol on-premises density increases, the criminal rate especially violent assault and sexual assault rate increases.

      • KCI등재

        영상정합을 이용한 교통밀도 수집방법과 수집 데이터 비교분석

        박범진,노창균 한국ITS학회 2018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7 No.5

        교통밀도는 교통수요와 가장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거시적인 지표 중에서 가장 중요하 다고 알려져 있으며(Traffic Engineering, 2004), 특정시각 주어진 거리 안의 존재하는 차량의 대 수로 정의한다. 하지만, 밀도는 기상과 도로조건 및 비용 상의 문제로 인하여 현장에서 직접 수집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속도와 교통량보다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 아 수집방법에 관한 다양한 시도뿐만 아니라 측정된 값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정합 (synthesis)하는 기술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밀도수집시스템으로 수집한 밀도를 정의에 기반 한 참값으로 선정하고, 이 값을 전통적인 측정방법들로 산출한 밀도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관 계식(fundamental equation)을 이용한 산출방법으로 산출한 밀도 값이 참값과 비교하여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1.8-2.5로 가장 참값에 가깝다. 또한 향후 밀도를 직접 수집할 때 유의하여할 수집 간격 등의 간과하기 쉬운 이슈사항을 순간밀도와 평균밀도를 산출하여 알 아보았다. 실험 사이트의 실제 교통상황은 LOS B임에도 불구하고, 초 당 순간밀도는 최대 (16veh/km)에서 최소 2(veh/km)의 값이 다양하게 관측되어 교통상황의 판단이 어려웠다. 하지 만 30초 간격으로 15분 평균밀도는 8.3-7.9(veh/km)로 정확하게 LOS B를 판단하였다. Traffic Density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three primary macroscopic traffic stream parameters, because it is most directly related to traffic demand(Traffic Engineering, 2004). It is defined as the number of existing vehicles within a given distance at a certain time. However, due to weather, road conditions, and cost issues, collecting density directly on the field is difficult. This makes studies of density less actively than those of traffic volume or velocity. For these reasons, there is insufficient attempts on divers collecting methods or researches on the accuracy of measured values. In this paper, we used the ‘Density Measuring System’ based on the synthesise technology of several camera images as a method to measure density. The collected density value by the ‘Density Mesuring System’ is selected as the true value based on the density define, and this value was compared with the density calculated by the traditional measurement method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density value using the fundamental equation method is the closest to the true value as RMSE shows 1.8 to 2.5. In addition, we investigated some issues that can be overlooked easily such as the collecting interval to be considered on collecting density directly by calculating the moment density and the average density. Despite the actual traffic situation of the experiment site is LOS B,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real traffic situation because the moment density values per second are observed max 16.0 (veh/km) to min 2.0 (veh/km). However, the average density measured for 15 minutes at 30-second intervals was 8.3-7.9 (veh/km) and it indicates precisely LOS B.

      • KCI등재

        밀도측정을 위한 구간영상 최적 수집주기 결정 연구 (서울 외곽순환도로 사패산 터널구간을 대상으로)

        박범진,노창균,김지수 한국ITS학회 201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3 No.4

        거시적인 3대 교통변수(교통량, 속도, 밀도)와 고속도로 서비스 수준의 효과척도(밀도, 교통량 대 용량비) 모두 해당되는 변수는 밀도이다. 특히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함에 있어 가장 정확하고 우수한 효과척도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측정방법의 어려움으로 인해 타 변수에 비해 밀도를 활용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기존 밀도추정방법의 경우 측정시각에 따라 동일한 교통류의 밀도값이 변화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사패산 터널 내부의 CCTV 영상을 정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한 후, 제작된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여 실제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 km 사진 24개(혹은 24초)를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면 당시 교통상황을 잘 반영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밀도 수집 주기를 준수하여 수집한 구간영상으로 밀도를 측정할 경우 측정시각에 관계없이 평균적인 밀도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현실 교통류를 대변하는 현실적인 밀도를 취득할 수 있다. Density is applied both three major macroscopic traffic variables (traffic volume, speed, and density) and two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 for level of service (LOS) on highway (density and V/C). Especially, it is known for the most accurate MOE on evaluating the LOS of highway. Despite such importance, there is a lack of study on density relatively than other variables for its difficulty of measurement. Existing density estimation method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density values of same traffic flow vary with collecting time.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ctual density measuring method with panoramic image, after each CCTV images in the Sapaesan Tunnel on Seoul Ring Expressway are matched into one panoramic image. Analysis through the Central Limit Theorem shows that density of 24 1 km-images, which means 24 second, applies traffic situation well. That is to say that reasonable density value regardless of collecting time, and practical density which represents actual traffic flow can be taken in case of measuring density by suggested collecting cycle.

      • KCI등재

        소구경 시추공에서의 밀도검층 수치모델링 연구

        구본진,남명진,황세호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12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5 No.4

        물리검층 중에서 매질의 밀도 측정을 통해 공극률을 계산할 수 있는 밀도검층에 대한 수치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는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MCNP (Monte Carlo N-Particle) 알고리듬에 기초하여 밀도검층을 수치모형화하고 다양한 시추공 환경이 밀도검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밀도검층 자료해석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CNP 알고리듬을 이용한 밀도검층 시물레이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단순한 모형에서의 검출기 반응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수치 실험을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용 밀도검층기 (Robertson Geologging사)에 기초하여 밀도검층기를 수치모델링하였다. 다양한 밀도의 매질에서 시추공 지름을 바꿔가면서 밀도검층 시물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Robertson Geologging사의 밀도검층기를 위한 교정곡선을 제시하였다. 이 교정곡선에 기초하여 매질의 밀도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고 다양한 시추공환경 변화가 밀도검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공내수 유무에 따른 밀도검층 반응의 변화 및 시추공 케이싱의 종류에 따른 밀도검층 반응의 변화를 수치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밀도검층 시 시추공환경 변화가 검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을 돕고, 향후 국내시추공환경의 밀도검층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위한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make simulation of density log using a Monte Carlo N-Particle (MCNP) algorithm to make an analysis on density logging under different borehole environments, since density logging is affected by various borehole conditions like borehole size, density of borehole fluid, thickness and type of casing, and so on. MCNP algorithm has been widely used for simulation of problems of nuclear particle transportation. In the simulation, we consid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a tool (Robertson Geologging Co. Ltd) tha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has used. In order to measure accurate bulk density of a formation, it is essential to make a calibration and correction chart for the tool under considerations.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this study makes calibration plot of the density tool in material with several known bulk densities and with boreholes of several different diameters. In order to make correction charts for the density logging, we simulate and analyze measurements of density logging under different borehole conditions by considering borehole size, density of borehole fluid, and presence of casing.

      • KCI등재

        서로 다른 밀도의 유체 내 바이오 물질이 받는 중력과 부력 차를 이용한 연속적 세포 분리기

        오애경(Ae Gyoung Oh),이동우(Dong Woo Lee),조영호(Young-Ho Cho)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6 No.4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밀도의 유체 내 바이오 물질이 받는 중력과 부력 차를 이용한 연속적 세포 분리기를 제안하였다. 종래의 크기별 세포분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세포를 분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세포 분리기는 미소유로 상하부에 밀도가 다른 다층 유체층 내에서 세포가 받는 중력과 부력 차이로 크기는 다르지만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밀도가 다른 유체층(PBS, 밀도=1.0g/㎖, Ficoll, 밀도=1.1g/㎖) 내에서 전혈로부터 백혈구(직경=6-10㎛, 밀도=1.06~1.1g/㎖), 적혈구(직경=4-6㎛, 밀도=1.09~1.2g/㎖)를 밀도에 따라 분리한 효율이 각각 90.9±9.1%와 86.4±1.99%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세포 분리기는 크기 편차가 있는 동일 밀도의 세포를 크기에 둔감하고 밀도에만 민감한 분리가 가능하다. We present a continuous cell separator that achieves density-dependent and size-independent cell separation based on the net force of gravity and buoyancy forces on the cells in dissimilar density fluids. Previous cell separators are, based on the size or dielectrophoretic property of the cells and, are suitable for size-dependent and densityindependent cell separation. However, these properties can make it difficult to collect the same types of cells with the same density but with size variations. The present separator, however, is capable of collecting the same types of cells based on the cell density in the fluid. Regardless of cell size, the proposed chip isolates low density cells, (white blood cells, or WBCs) at the upper outlet while obtaining high-density cells (red blood cells, or RBCs) from the lower outlet based on density. Efficiency levels for separation of WBCs and RBCs were 90.9±9.1% and 86.4±1.99%, respectively. The present separator therefore has the potential for use in the pretreatment of whole blood.

      • KCI등재

        토지이용 밀도에 대한 가로망 특성 효과 연구: 2010년 서울시에 대한 공간구문론 적용

        강창덕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street network on land-use density in Seoul, 2010.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y and obtaining related data, this study isolates how street network changes population, household, and employment density over Seoul city. This study confirms that higher control and connectivity increase population density while greater global integration, mean depth, and total depth decrease the density in population density models. In household density models, household density has positive association with control while the density does negative connection with global integration, mean depth, and total depth. Employment density increases with higher control,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in the models. Further, multiple regression models with Likelihood Ratio Test reveal that road and street networks as well as location variable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xplaining the spatial variation of population, household, and employment density. 본 논문은 2010년 인구밀도, 가구밀도, 고용밀도에 가로망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가로망 특성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구밀도 모형에서 가로망 특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반경 100m 내 통제도와 연결도가 높을수록 인구밀도가 높아졌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가 높을수록 인구밀도는 낮았다. 반경 300m 내 통제도,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는 더 강한 효과를 냈으나 연결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가구밀도 모형에서 최근접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구밀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반경 100m 내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는 가구밀도를 높이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는 그 밀도를 낮추었다. 반경 300m 내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 등이 커질수록 일관되게 가구밀도는 낮아졌다. 끝으로 고용밀도 모형에서 최근접 노드의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 국부 통합도, 연결도가 높을수록 고용밀도는 높아졌다. 가로망 특성을 반경 100m 내 평균값으로 계산한 결과, 전체 통합도가 높을수록 고용밀도만 높아졌다. 가로망 특성을 반경 300m 내 평균값으로 계산한 결과를 보면, 통제도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없는 대신 전체 통합도와 더불어 연결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그 결과 두 변수가 커질수록 고용밀도는 높았다.

      • KCI등재

        통계적 분석에 의한 정상상태조건을 만족하는 교통량-밀도 관계 도출

        김영호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5

        교통류 이론에서 fundamental diagram이라고 불리는 교통량-밀도 관계는 stationary 상태에서의 교통량과 밀도사이의 평형관계 (equilibrium relation)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량-밀도 관계의 전제조건인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교통량-밀도 평면에 도시하였다. 개별차량의 흐름이 자유교통류상태와 혼잡교통류상태에서 상이하며 지점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특성의 시계열특성을 보인다는 점에 근거하여 두가지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stationary 조건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stationary 조건을 실제로 관측된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자유교통류상태의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교통류-밀도 관계의 왼쪽가지에 위치하고, 혼잡교통류상태의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는 교통류-밀도관계의 오른쪽 가지에 위치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에 따라 교통류-밀도관계의 전범위에 걸쳐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구별하여 교통류-밀도평면에 도시한 결과 교통류의 거의 전영역에 걸쳐 재현가능한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flow-density relations represent equilibrium relations between flow and density in the stationary state. Using individual vehicle data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o filter traffic data in the stationary state and showed flow-density relations produced by the traffic data in the stationary state.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idea that free flow and congested flow show totally different traffic behaviors and time series of the traffic data observed at detection stations. The traffic data collected from the stationary state in the free flow using this filtering method consist in the left branch of the flow-density relation and the traffic data collected from the stationary state in the congested flow consist in the right branch of the flow-density relation. The traffic data in the stationary state show reproducible flow-density relation in the almost whole range of the traffic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