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이 저속 성장 육계(한협 3호)의 성장, 육질, 혈청 Corticosterone에 미치는 영향
이준엽(Jun Yeob Lee),이정헌(Jeong Heon Lee),이명호(Myung Ho Lee),송영한(Yong Han Song),이종인(Jong In Lee),오상집(Sang Jip Ohh) 한국가금학회 2016 한국가금학회지 Vol.43 No.4
세 수준(6.3, 9.5, 12.6 수/m²)의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19%, 18%)이 저속성장 육계(한협 3호)의 육성성적, 영양소 이용률, 닭고기 저장성, 육색, 계육 성분 및 뼈의 광물질조성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육 밀도는 한협 3호 육성성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체량은 저 밀도인 6.3 수/m²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밀도(12.6 수/m²) 구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고사육 밀도에서는 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사료섭취량으로 인하여 고사육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이 타 사육 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밀도 계군에서의 사료 섭취량 저하와 낮은 사료요구율은 41∼60일 구간보다는 61∼75일 구간에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그 영향으로 전 사육기간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료 단백질 1% 차이는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41∼75일 구간 사료섭취량은 단백질 19% 구에 비하여 오히려 18% 구에서 낮았다. 저장 중 계육의 TBARS 값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계육의 적색도와 명도는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라, 황색도는 사육 밀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가슴육의 단백질 함량과 다리육의 Ca과 P의 함량은 각각 사료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에 영향을 받았다. 사료의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는 뼈의 회분함량 및 회분 중 Ca과 P의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은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나,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저속성장 육계 한협 3호 사육후기 단계에 고사육 밀도(12.6수/m²)로 사육하는 것은 생산성을 하락시킬 뿐 아니라, 혈청corticosterone 함량도 높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협 3호 육계의 후기 사료 단백질을 18% 수준으로 설계하더라도 생산성에 차이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A total of 720 slow-growing Korean meat-type (Hanhyop 3) chicken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cking densities and dietary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bone mineral composition, and serum corticosterone. Three (6.3, 9.5, and 12.6 birds/m²) stocking densities and two dietary protein levels (19% and 18%) were factorially (3×2) arranged for six treatments. Overall body weight gain (BWG) was highest (p<0.001) at the lowest stocking density (6.3 birds/m²). The feed intake (FI) of birds at the highest density (12.6 birds/m2) was lower than that of birds at the other densities, but resulted in better feed/gain (F/G). Among 18% protein groups, the overall FI of birds at 9.5 birds/m2 was higher than that at the lowest density; therefore, birds at 9.5 birds/m2 had poorer F/G than birds at the lowest density during days 61∼75. Difference in F/G among densities was only significant (p<0.05) during days 61∼75 but not significant (p>0.05) during days 41∼60.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BWG and F/G between 19% and 18% dietary protein levels, FI of the 18% protein diet was less (p<0.05) than that of the 19% diet.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meat TBARS values, meat color differed (p<0.05) with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rotein levels. There was no effect (p>0.05) of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rotein levels on bone mineral composition. Serum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stock density but was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protein levels. This study indicated that a density of 12.6 birds/m² is not recommended for slow-growing chickens. Between 19% and 18% dietary protein levels, 18% would be recommended for the Korean Hanhyop 3 chicken in the finishing stage.
대도시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의 특성 -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김재익(Jae-Ik Kim),정현욱(Hyun-Wook Chung) 한국주택학회 2006 주택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대도시의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를 총밀도와 순밀도를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밀도함수를 추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전통적인 Clark유형의 단핵도시모형에 기반한 음지수함수는 총밀도 기준의 밀도함수추정에는 적합하였으나 순밀도 기준의 밀도함수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둘째, 인구의 교외화추세는 단핵도시구조에 기반한 총밀도 함수보다는 순밀도함수가 더 설명력이 높았다. 셋째, 밀도함수의 추정결과는 단독주택 위주의 저밀도 확산개발에 집중하는 미국의 경우와 아파트 위주의 고밀도 개발에 치중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의 차이를 반영하여 주었다. 넷째, 순밀도함수는 인구밀도와 주택밀도 공히 3차식과 4차식이 적합하였다. 그리고 최고밀도는 도심으로부터 9-10Km 떨어진 곳에서 나타났다.<BR>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성장관리정책과 도시기본계획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stimates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functions of a large city in both gross density and net density standard,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By comparing these estimates of the density functions,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BR> First, Clark type of the negative exponential density function is well fit in gross density standard, but poor fit in net density standard. Second,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monocentric city and policentric city is well reflected in the estimates. The trend of population suburbanization is better explained by the net density function than the monocentric-oriented gross density function. Third. the results also well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s low-density dispersed development pattern and Korea"s high-density residential development pattern in suburban areas. Fourth, the shapes of the net density functions of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are best fit in biquadratic and cubic equations, respectively. The highest density of population and housing is found at 9-10Km from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통계적 분석에 의한 정상상태조건을 만족하는 교통량-밀도 관계 도출
김영호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5
교통류 이론에서 fundamental diagram이라고 불리는 교통량-밀도 관계는 stationary 상태에서의 교통량과 밀도사이의 평형관계 (equilibrium relation)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량-밀도 관계의 전제조건인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교통량-밀도 평면에 도시하였다. 개별차량의 흐름이 자유교통류상태와 혼잡교통류상태에서 상이하며 지점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특성의 시계열특성을 보인다는 점에 근거하여 두가지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stationary 조건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stationary 조건을 실제로 관측된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자유교통류상태의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교통류-밀도 관계의 왼쪽가지에 위치하고, 혼잡교통류상태의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는 교통류-밀도관계의 오른쪽 가지에 위치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에 따라 교통류-밀도관계의 전범위에 걸쳐 stationary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구별하여 교통류-밀도평면에 도시한 결과 교통류의 거의 전영역에 걸쳐 재현가능한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flow-density relations represent equilibrium relations between flow and density in the stationary state. Using individual vehicle data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o filter traffic data in the stationary state and showed flow-density relations produced by the traffic data in the stationary state.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idea that free flow and congested flow show totally different traffic behaviors and time series of the traffic data observed at detection stations. The traffic data collected from the stationary state in the free flow using this filtering method consist in the left branch of the flow-density relation and the traffic data collected from the stationary state in the congested flow consist in the right branch of the flow-density relation. The traffic data in the stationary state show reproducible flow-density relation in the almost whole range of the traffic flow.
토지이용 밀도에 대한 가로망 특성 효과 연구: 2010년 서울시에 대한 공간구문론 적용
강창덕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street network on land-use density in Seoul, 2010.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y and obtaining related data, this study isolates how street network changes population, household, and employment density over Seoul city. This study confirms that higher control and connectivity increase population density while greater global integration, mean depth, and total depth decrease the density in population density models. In household density models, household density has positive association with control while the density does negative connection with global integration, mean depth, and total depth. Employment density increases with higher control,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in the models. Further, multiple regression models with Likelihood Ratio Test reveal that road and street networks as well as location variable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xplaining the spatial variation of population, household, and employment density. 본 논문은 2010년 인구밀도, 가구밀도, 고용밀도에 가로망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가로망 특성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구밀도 모형에서 가로망 특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반경 100m 내 통제도와 연결도가 높을수록 인구밀도가 높아졌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가 높을수록 인구밀도는 낮았다. 반경 300m 내 통제도,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는 더 강한 효과를 냈으나 연결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가구밀도 모형에서 최근접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구밀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반경 100m 내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는 가구밀도를 높이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는 그 밀도를 낮추었다. 반경 300m 내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 등이 커질수록 일관되게 가구밀도는 낮아졌다. 끝으로 고용밀도 모형에서 최근접 노드의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 국부 통합도, 연결도가 높을수록 고용밀도는 높아졌다. 가로망 특성을 반경 100m 내 평균값으로 계산한 결과, 전체 통합도가 높을수록 고용밀도만 높아졌다. 가로망 특성을 반경 300m 내 평균값으로 계산한 결과를 보면, 통제도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없는 대신 전체 통합도와 더불어 연결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그 결과 두 변수가 커질수록 고용밀도는 높았다.
서로 다른 밀도의 유체 내 바이오 물질이 받는 중력과 부력 차를 이용한 연속적 세포 분리기
오애경(Ae Gyoung Oh),이동우(Dong Woo Lee),조영호(Young-Ho Cho)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6 No.4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밀도의 유체 내 바이오 물질이 받는 중력과 부력 차를 이용한 연속적 세포 분리기를 제안하였다. 종래의 크기별 세포분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세포를 분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세포 분리기는 미소유로 상하부에 밀도가 다른 다층 유체층 내에서 세포가 받는 중력과 부력 차이로 크기는 다르지만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밀도가 다른 유체층(PBS, 밀도=1.0g/㎖, Ficoll, 밀도=1.1g/㎖) 내에서 전혈로부터 백혈구(직경=6-10㎛, 밀도=1.06~1.1g/㎖), 적혈구(직경=4-6㎛, 밀도=1.09~1.2g/㎖)를 밀도에 따라 분리한 효율이 각각 90.9±9.1%와 86.4±1.99%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세포 분리기는 크기 편차가 있는 동일 밀도의 세포를 크기에 둔감하고 밀도에만 민감한 분리가 가능하다. We present a continuous cell separator that achieves density-dependent and size-independent cell separation based on the net force of gravity and buoyancy forces on the cells in dissimilar density fluids. Previous cell separators are, based on the size or dielectrophoretic property of the cells and, are suitable for size-dependent and densityindependent cell separation. However, these properties can make it difficult to collect the same types of cells with the same density but with size variations. The present separator, however, is capable of collecting the same types of cells based on the cell density in the fluid. Regardless of cell size, the proposed chip isolates low density cells, (white blood cells, or WBCs) at the upper outlet while obtaining high-density cells (red blood cells, or RBCs) from the lower outlet based on density. Efficiency levels for separation of WBCs and RBCs were 90.9±9.1% and 86.4±1.99%, respectively. The present separator therefore has the potential for use in the pretreatment of whole blood.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Kyung-Hee Kim),이정희(Jung-Hee Lee),여진동(Jin-Dong Yeo)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특별한 식이 요법이나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규칙적인 신체활 동을 하지 않은 폐경 전 성인여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건강 및 운동실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료나 완치가 어려운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하고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30대 평균 연령은 35.44세, 신장은 30대 평균 158.89 ㎝이고, 40대 평균 연령은 41.89세, 40 대 평균 신장은 160.78 ㎝를 차지했다. 신체 조성에서 근육 량, BMI, 체지방률의 평균은 30대에서 높았고, 골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의 평균은 40대에서 높았다.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 밀도는 30대가 40대보다 높았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골격근량, 제지방량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 량은 증가 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 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사후분석 결과에서 신체조성의 변화는 복합운동 후 근육량, 체중, 체지방량, BMI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퇴골밀도는 대퇴삼각과 대퇴전체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during combined exercise in premenopausal women who did not take regular diet or regular physical activity within 6 months,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menopausal women s health and exercise, it also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prevention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I want to.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in their 30s was 35.44 years and their height was 158.89 ㎝ in their 30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in their 40s was 41.89 and their average height was 160.78 ㎝ in their 40s. Body composition, BMI, and body fat percentage were higher in the 30s, and bone mineral content, lean body mass, skeletal muscle mass,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higher in their forties. Lumbar spine BMD and femur density were higher in their 30s than their 40s. Body composition, skeletal muscle mass, and fat mass increased in the 30s body composition by age - related complex exercise in premenopausal women,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Body mass, body fat, body fat percentage, and BMI decreased in the 40s. The lumbar spine, the lumbar spine, the lumbar spine, and the femur were increased in the lumbar spine, the lumbar spine, the femur, and the femur. In the post-analysis results, changes in body compos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decrease in muscle mass,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BMI after combined exercise. In the change of bone density, lumbar spine BMD was measured as lumbar spine 1, lumbar spine 2, lumbar spine 3, And the femur density w
공항 아스팔트포장에서의 Non-nuclear 밀도측정기 적용 연구
정우영,이제일,홍종우,곽평진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운영중인 공항에서의 아스팔트 포장 유지보수 공사는 운항종료 후부터 익일 운항 전까지 한정된 야간시간내에 대부분 이루어진다. 그리고 포장 다짐도 측정은 시공 후 코어채취를 통한 익일 실내시험으로 확인하므로 현장에서 시공직후 다짐도 확인을 통한 품질관리는 어려운 실정이다. 아스팔트포장의 시공 다짐도 확인을 위한 밀도측정 방법은 크게 코어밀도 시험, Nuclear 시험방법, Non-nuclear 시험방법이 있으며, 아스팔트의 전기적 반응을 이용하여 임피던스 분광학(impedance spectroscopy)원리에 기반한 밀도측정 방식인 Non-nuclear 밀도측정 방식이 측정 및 보관의 편리함 뿐만 아니라 방사능 재료 관리면에 있어서 여러 장점이 있어 아스팔트 포장의 현장 밀도 측정기로 널리 연구개발 되어왔다(Stacy G Williams, 2008).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포장 시공 후 미국 TRANSTECH SYSTEM社의 Non-nuclear 밀도측정기(모델 : PQI 380)를 이용하여 현장밀도를 측정하고, 동일 위치에서 코어 채취를 통해 겉보기 밀도를 측정하여 두 값을 비교함으로써 Non-nuclear 밀도측정기의 시공품질관리 활용 적절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AA AC 150/5370-10G의 아스팔트 표층(P401) 및 아스팔트 기층(P403) 재료에 대해 총 27개의 Non-nuclear 밀도 값과 코어밀도 값을 비교하였으며, 코어는 동일위치 부근에서 3개씩 총 9곳에서 채취되었다. 코어 밀도와 Non-nuclear 밀도의 비교분석 결과 <그림1>과 같이 신뢰성 있는 상관관계(R²=0.33)는 보이지 못하였으나, <그림2>와 같이 증가, 감소의 경향은 유사하게 보이며, 동일 위치에서 시험된 3개씩의 값들의 Offset값은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련문헌 검토를 통해 Non-nuclear 밀도의 보정방법을 적용하였다. PQI 380 제작사는 5곳에서의 코어밀도와 Non-nuclear 밀도값의 Offset 평균치를 보정 후 사용을 권고하고 있으며, ASTM D 7113에서는 3∼10개의 코어 밀도값과 비교하며 각 위치별로 최소 4개의 Non-nuclear 밀도값을 측정한 후 코어밀도와 비교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또한 Slop, Offset 보정 및 Slop와 Offset 혼합 방법도 권고되고 있다(Troxler, 2000). 위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보정하였으나, 27개 시료 전체에 대한 코어밀도 값과의 상관관계는 여전히 부족한(R²=0.26∼0.33)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on-nuclear 밀도측정 방식은 온도, 습도에 민감하여(Sebasta et al, 2003; Kvasnak et al, 2007) QA/QC 사용으로는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제시된 선행연구(Stacy G. Williams, 2008)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나, 동일지역에서의 Offset 값은 유사 크기를 보이므로, 기온 및 시험 위치 등 변화시마다 Offset 보정을 통한 시공품질관리 보조 수단으로의 활용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지속적인 Non-nuclear 밀도값의 보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Noise on Density Differences of Tissue in Computed Tomography
Yang Won Seok(양원석),Son Jung Min(손정민),Kwon Su Chon(천권수)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3
Currently, the highest cancer death rate in Korea is lung cancer, which is a typical cancer that is difficult to detect early. Low-dose chest CT is being used for early detection, which has a greater lung cancer diagnosis rate of about three times than regular chest x-ray images. However, low-dose chest CT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s image resolution but also has a weak signal and is sensitive to noise. Also, air filled lungs are low-density organs and the presence of noise can significantly affect early diagnosis of cancer. This study used Visual C++ to set a circle inside a large circle with a density of 2.0, with a density of 1.0, which is the density of water, in which five small circle of mathematics have different densities. Gaussian noise was generated by 1%, 2%, 3%, and 4%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noise on the mean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and the relative noise ratio(SNR). In areas where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large and small circles was greatest in the event of 1 % noise, the SNR in the area with the greatest variation in noise was 4.669, and in areas with the lowest density difference, the SNR was 1.183. In addition, the SNR values can be seen to be high if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densities. Quality was also clearly visible when the density difference was large, and if the noise level was increased, the SNR was reduc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noise. Low-density organs or organs in areas of similar density to cancers, will have significant noise effects, and the effects of density differences on the probability of noise will affect diagnosis. 현재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 중 가장 높은 암은 폐암이며 조기발견이 어려운 대표적인 암이다. 조기 발견을 위하여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 흉부 X선 사진에 비해 약 3배 정도 폐암 진단율이 높다. 그러나 저선량 흉부 CT는 영상 해상도가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신호가 약해 잡음에 민감한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로 채워져 있는 폐는 밀도가 낮은 장기로 잡음의 유무가 암의 조기 진단에 영향을 크게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Visual C++을 이용하여 2.0밀도를 가진 큰 원 내부에 물의 밀도인 1.0을 값을 갖는 원을 설정하고 그 안에 각각 밀도가 다른 작은 5개의 원을 수학적 팬텀화하고 가우시안 노이즈를 1%, 2%, 3%, 4% 각각 발생시켜 밀도차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 신호대잡음비(SNR)로 확인 하였다. 1% 노이즈 발생 시 큰 원과 작은 원의 밀도차가 가장 큰 영역의 SNR은 4.669로 노이즈의 영향이 작게 나타났으며 밀도차가 가장 낮은 영역의 SNR은 1.183으로 노이즈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음의 밀도차에서도 같은 결과 값을 얻었으며 양의 밀도와 음의 밀도 모두 큰 원과 작은 원의 밀도차이가 높은 경우에 SNR 값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화질 또한 밀도차가 크게 나타났을 때 확연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이즈레벨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SNR이 감소하여 잡음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밀도차가 적은 장기 또는 암과의 밀도가 비슷한 영역의 장기는 노이즈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며 노이즈의 발생 확률에 따른 밀도차이의 영향이 진단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LPBF 공정으로 제작된 SS 420 시편의 밀도 최적화
황인석 ( In-seok Hwang ),유예주 ( Ye-ju Yu ),박도연 ( Do-yeon Park ),신창섭 ( Chang-seop Shi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Laser powder bed fusion(LPBF)는 복잡한 형태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고 정밀도가 우수하여 additive manufacturing(AM) 중에 산업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는 공정이다. 하지만 LPBF 공정에서 밀도와 잔류 응력 등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LPBF 공정의 상대 밀도는 99%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 상대 밀도는 적절한 에너지 밀도로 제작했을 때 측정되는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stainless steel 420 분말로 시편을 제작할 때, 에너지 밀도에 따라 상대 밀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할 것이다. 에너지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레이저 파워, 스캔 속도, 층 두께, 해치 간격이 있다. 층 두께는 40μm, 해치 간격은 70μm로 고정하고 레이저 파워와 스캔 속도를 변수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레이저 파워 4가지, 스캔 속도 4가지 조건씩 하여 총 16가지 조건으로 에너지 밀도를 설정하였다. 제작한 시편은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해 밀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시편의 상대 밀도를 기반으로 에너지 밀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완전 밀도로 제작하는 최적 변수를 찾을 수 있었고, LPBF 공정에서 SS 420 분말을 사용해 만든 제품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측정될 것으로 예상한다. 추후에 농기계 부품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유현준,손인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량화 방법을 통해 Newbury Street 의 이벤트 밀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벤트 밀도는 100m 마다의 입구의 수이다. 그리고 그 단위는 e/c이다. Newbury street에 있는 건물은 매립지에 건설되었다. 대지의 상태 때문에 건물들은 홍수를 방지하기 위한 지면으로부터 높여졌다. 주택지에서 상업지역으로 변화한 1970년대 후반에 거리들이 주거지역에서 상업지구로 변화할 때 지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상점들의 반지하를 만들기 위해 선큰가든이 만들어 졌다. 이 조건은 인도에 보행자가 한 지점으로부터 반 지하층과 1/2층 두 가지 접근 방법을 가질 수 있는 거리 환경을 가능케 한다. Newbury street's의 평균 이벤트 밀도16.8e/c 이고 최고 점수는 26.7 e/c 이다. 이것은 가능한 최대 이벤트 밀도 이상이다. 독특한 건축 구조는 이런 이벤트 밀도의 높은 점수로 가능케 한다. 이 두 가지 접근 상태 때문에, Newbury street 독특한 이벤트 밀도 환경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ent density of Newbury Street in a quantifiable method. "Event Density" is the number of entrances per one hundred meter distance. And its unit is e/c. The building in Newbury street were constructed on the reclaimed land. Because of the site condition, the buildings are elevated from the ground level to prevent a flood. Later in 1970's when the street was transformed from residential to commercial street, sunken garden has been made to transform the half basement into commercial store having ground level access. This condition enables the street environment that pedestrians on the sidewalk can have two accessible ways to semi-basement and 1 1/2half floor from one point. The event density is the numeric score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a pedestrian friendly street. Newbury street's average event density is 16.8e/c and highest score is 26.7e/c, which is above the possible maximum event density. The unique architectural structure enables this abnormally high score of event density. Because of this double access condition, Newbury street has the highest and unique event density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