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의 바람직한 민주 시민교육 방향 모색

        박은종(Park Eun J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21 No.-

        우리가 사는 21세기는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이다. 전 세계가 일일생활권이 된 지구촌 사회에서는 세계인 모두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함양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에 사회 구성원들이 민주 시민으로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민주 시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한국 교육의 현실을 바탕으로 민주 시민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새로운 민주 시민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고찰하였다.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인 21세기 민주 시민 교육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은 사회과학과 선택 과목 강화, 법 교육 강화, 지역 사회 참여 및 봉사 활동 활성화, 비판적 사고 및 합리적 판단, 사회 문제 연구, 세계의 상호 의존 및 다문화 교육 강화, 민주적 학교 환경 조성, 정보화 능력 및 정보 윤리 교육 등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21세기 민주 시민 교육은 지구촌 사회를 주도하는 세계 시민 교육으로 더욱 내실 있게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he world is now a global village, a living space of a day in which everyone should be cultivated as citizens of the free world. This study is aimed for finding the direction for the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for them to live in this global world. Therefore, I tried to analyze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the education for the citizens through the reality of the Korean education and also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the people. After all, the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the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way that can help the people to be poised for the decent and sound attitude, and to improve their various abilities. The modern society demands the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ducation discussed above, and to try their best to achieve the goal for the better future. Especially, 21st century’s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widely publicized to open another chapter for the cosmopolitan education all over the world which will lead our global society.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 탐구 : 내러티브 접근

        전호재(Ho-Jae Jeon),김수영(Su-Yeong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과정 운영이 미흡한 시점이다. 민주시민교육은 현재 다양한 개념이 공존하고 있으며 접근방법의 혼란 또한 존재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함께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접근 방법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연계성,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밝혔다. 그리고 내러티브를 인식론, 방법, 경험의 생성 도구의 측면에서 민주시민교육과 연계되는 사례를 초점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내러티브 접근을 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그리고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w wa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approach.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various concepts and confusion of approach. It explores new alternativ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curriculum articulation,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analyzing various concepts and approache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w alternatives were revealed through the linkage of curriculum and narrative approach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ddition, narratives were approached in terms of recognition, method, and tool of creation of experi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narrative approach can be used as a new inquiry method for effective settl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narratives in a new approach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 KCI등재

        기후 위기 시대에 기독교 교육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적용방안

        옥장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4

        연구 목적 : 기후 위기가 지구 생태계와 생명체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지구 위기의 원인은 인간의 탐욕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탐욕을 일으키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꾸어 나갈 수 있는 교육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민주시민교육을 기독교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첫째, 기독교 민주시민교육의 본질을 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기독교 민주시민교육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모형을 기독교 민주시민교육의 목표,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민주시민교육의 방법,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적용방안을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환경교육, 교회의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한 윤리교육, 하나님의 인성을 형성하는 교육, 마을 교육 공동체를 실현하는 교육, 그리스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 다문화인들을 배려하는 교육, 디지털 미디어 문화의 폐해를 방지하는 리터러시 교육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민주시민교육을 기독교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은 첫째,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환경교육을 통해서 인간의 탐욕을 줄이고,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회의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한 윤리교육를 통해서 교회의 도덕적 공감능력과 공공성을 위한 교회의 역할을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하나님의 인성을 형성하는 교육을 통해서, 인격과 신앙이 조화롭고 균형을 이루는 성숙한 신앙의 인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마을 교육 공동체를 실현하는 교육을 통해서 학교, 마을, 교회가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여 그 마을의 구성원들에게 교육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그리스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 나라의 평화를 이루는 기독교 민주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다문화인들을 배려하는 교육을 통해서 다문화인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 그리고 혐오를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극복하고 공존하는 삶을 모색하도록 돕는 신앙 교육을 해야 한다. 일곱째, 디지털 미디어 문화의 폐해를 방지하는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서 미디어의 읽고 쓰는 개인적 능력을 궁극적으로 사회적으로 실천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들의 실천적 인식 탐색

        한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3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ractical perceptions tha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Teachers Academy have about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scen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and narrativ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ns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re are three practical perceptions of teachers reveal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Academy. First, teachers gradually shifted from what they thought was democratic civic education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 teachers shared the view that they realize themselves as 'teacher citizens' and grow into 'student citizens' instead of limiting students to be educated. Third, teachers perceiv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ffairs is necessary to grow up as critical citizens. Through the above three, teachers welcomed each other as equal citizens, broadening their demands for democratic citizenship. Methodically they shared the experimental orientation of the students by reflecting their situation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three practical perceptions shown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the following two are presented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First, teachers who will participate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need an attitude that practically embraces the daily life and life context of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s citizenship can be expressed on a daily basis. Second, teachers need an emotional attitude to ensure equal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cene of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with students. This inclusive attitude and emotional attitude can be seen as one aspect of the teacher's competence that teachers should show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itizenship in each educational activity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교사 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가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갖게 된 실천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연수참여 장면과 내러티브 자료를 민주시민성이라는 렌즈에 따라 분석하였다.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에 드러난 교사들의 실천적 인식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교사들은 본인이 생각하는 민주시민교육에서 점차 다중이 인식하는 민주시민교육으로 전환해 나갔다. 둘째, 교사들은 자신을 ‘교사시민’으로서 자각하면서 학생을 교육받을 대상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학생시민’으로 성장시켜 나간다는 관점에 공감했다. 셋째, 교사들은 비판적인 시민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위 세 가지를 통해 교사들은 서로를 동등한 시민으로서 환대하면서 민주시민성에의 요구를 넓혀갔다. 방법적으로 학생의 처지를 민주시민교육활동에 반영하여 변용해가는 실험적 지향을 공유하였다. 이상 참여교사들이 보여준 세 가지 실천적 인식을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역량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민주시민교육활동에 참여할 교사들은 학생의 시민성이 일상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학생의 일상과 삶의 맥락을 실천적으로 포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는 학생과 함께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장면에서 서로 동등하면서도 민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려는 정서적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포용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는 민주시민교육의 교육활동 마다 학생의 시민성 함양을 촉진시키기 위해 교사가 보여주어야 할 교사 역량의 한 측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법적 근거

        강재규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Citizen’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fers to an awakened individual as a subject of action in each area,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such a citizen is a member of a national community. And citizen means the subject who recognizes freedom and rights as a subject of democracy and takes an interest in and participates in common problems, and democracy cannot operate or be maintained without citizens who are democrats. Only a human being with the capacity to operate democracy can become a citizen. In addition, democratic citizens not only know what their rights are, but also must learn what their duties and virtues are, and can become democratic citizens only when they have such capabilities, rights, duties, and virtues, citizenship.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simply ‘education to nurture democratic citizens’, but ‘education to nurture good citizens with a sense of ownership and attitude toward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as clear holders and practical exercisers of sovereignt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not be an education that trains passive voters who only vote on election day, but an education that trains sovereign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on affairs of the community as owners of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However, the differ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camps stand out in terms of orientation, civic image, content and scope, and implementation method. However, there is a broad social consensus beyond ideological differences that systematic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very necessary for the stabl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The problem is that the gap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mp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is very larg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mps ov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eatens the sustainabi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we need a ne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gree and embrace the left and the right. The ne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creating a community in which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understand each other, communicate, and compromise based on the pluralism and relativity of ideologies. The conflict between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ov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resolved by introducing the Beutelsbacher Konsens in Germany. In addition, the ori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the constitution, the highest law and basic law of the country. Just as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identity of our community as a ‘democratic republic’ and seek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Constitution in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being’, our democracy aims at the dignity and value of the people, who are sovereign. The dignity and worth of the people are intended to be embodied by the principles of democracy. Since our Constitution requires that each citizen cultivate a sovereign character in a democratic order, the basic goa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into citizens as such a sovereign personality. In response to national and social discussion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National Assembly has continued its efforts to enact related legislation, but no relevant legislation has been enacted so far. Even though the national general law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not been enacted, many local governments respond by enac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rdinance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local government ordinance, but it is urgent to enact a law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democratic... 민주시민교육에서 말하는 ‘시민’은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행위 주체자로서의 각성된 개인을 말하고, 이러한 시민은 국가적 공동체를 이루는 구성원이다. 그리고 시민은 사회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자유와 권리의 의미를 정확히 인식하고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를 일컫는다. 그리고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자인 시민 없이는 작동될 수 없고 유지될 수도 없다. 민주주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사람이어야만 비로소 시민이 될 수 있다. 또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의무나 책무, 나아가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덕목을 지닌 시민, 즉 시민성을 갖춘 사람이 바로 민주적 시민이다. 민주시민교육은 단순하게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 아니라, ‘주권의 명확한 소지자이자 실질적인 행사자로서 자신이 소속된 공동체에 대한 주인 의식과 태도를 지닌 좋은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선거일에 투표만 하는 수동적인 유권자를 양성하는 교육이 아니라, 자신과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공동체의 주인으로서 공동체 공동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권자를 양성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그런데 민주시민교육을 둘러싸고 진보와 보수 진영 간 갈등은 그들이 지향하는 시민상,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범위, 그리고 실행 방법 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정상적인 궤도에 진입하려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진보와 보수 진영 사이에 이견은 없다. 문제는 민주시민교육정책을 둘러싼 보수와 진보 진영 간 의견의 차이가 상당하다는 점이다.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보수ㆍ진보 양 진영 간의 갈등은 민주시민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한다. 따라서 보수와 진보가 합의하고 좌우를 아우르는 새로운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하다. 새로운 민주시민교육은 이데올로기의 다원성과 상대성을 바탕으로 진보와 보수 세력이 서로 이해하고 대화하고 타협하는 공동체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을 둘러싼 진보와 보수의 갈등은 독일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도입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주시민교육의 지향점은 국가의 최고법이자 기본법인 헌법에 준거를 두어야 한다. 우리 공동체의 정체성을 헌법은 ‘민주공화국’으로 규정하고, 헌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에 있으며, 우리의 민주주의 역시 주권자인 국민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원리이며, 또 국민의 존엄과 가치는 헌법의 기본원리의 하나인 민주주의 원리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우리 헌법은 국민 개개인이 민주적 기본질서 속에서 주권자로서의 인격을 함양하도록 요청하므로, 결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목표는 시민과 학생들을 그와 같은 주권자로서의 인격을 갖춘 올바른 시민으로 양성하는 것이다.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에 관한 국가 및 사회적 논의에 부응해 국회에서도 관련 입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지만, 아직 관련 법률은 제정되지 않았다.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국가의 일반법이 제정되지 않았음에도 다수의 지방자치단체는 민주시민교육조례를제정하여 민주시민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물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써 민주시민교육의 시행은 가능하지만, 보다 체계적ㆍ정합적이며, 법률에 의한 민주시 ...

      • 민주적 사회의 실현과 “부정의의 감각(sense of injustice)” : 한일 비교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있어서의 젠더 교육의 가능성

        사토 유키에(Yukie Sato)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2 동아시아와 시민 Vol.1 No.-

        본 논문은 근년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이며, ‘민주시민교육’으로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를 한일 비교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한일에서 필요한 교육에 관해서는 젠더 측면에 주목하여 검토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 과제를 해명한다. 첫째로, ‘민주시민교육’의 특징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민주시민교육’과 ‘시민교육’을 비교하여, ‘시민교육’이 국민국가를 전제로 ‘주권자’로서의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인 한편, ‘민주시민교육’은 글로벌한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라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한국에서는 이 두 가지 교육을 모두 ‘민주시민교육’이라 부르는 경향이 있음을 밝힌다. 둘째로, ‘민주시민교육’으로 지향해야 할 ‘민주주의’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숙의민주주의가 가지는 장점과 한계를 검토하여, 모든 소수자가 “부정의의 감각”을 표출할 수 있는 사회를 민주적 사회라고 정의한다. 셋째로, “부정의의 감각”이 표출 가능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일에서 활발해진 #MeToo운동을 “부정의의 감각”이 표출된 사례로 분석함으로써, 민주적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세대를 막론한 젠더 교육의 실시가 중요함을 지적한다. 이상과 같은 본 논문은 ‘민주시민’의 양성을 위해 젠더 교육이 중요하고 현실적인 교육임을 제시하는 동시에, 한일에서 ‘시민’의 정의를 ‘주권자’에서 ‘동아시아 시민’으로 확장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ind of education required for the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C) and the potential of gender education for EDC by comparing case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oward this end, it intend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ich characteristics of EDC distinguish it from citizenship/civic education? Second, what form of democracy should EDC endeavor to achieve? Third, what type of education is required to make society more democratic? In response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clarifications. First, citizenship/civic education aims to nurture citizens as sovereigns, whereas EDC endeavors to nurture them as global citizens; in South Korea, these two concepts are frequently referred using the same term. Second, the democratic society that EDC should works toward achieving is one wherein the “sense of injustice” of minorities is widely expressed. Third, to realize such a democratic society, education that can reduce existing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s required, and gender education must be the core of such an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a significant clue for expanding the definition of citizens in South Korea and Japan from being components of a nation-state to East Asian citizens.

      •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초등교사의 이야기

        홍미화,곽혜송,김옥진,배성호,차보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6 사회과수업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교육의 실행 주체인 교사에 주목하여 초등 민주시민교육의 실제를 살피고 그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 관련 자료 를 수집?분석하여 민주시민교육의 개념, 교사의 경험, 학생의 경험, 교사의 갈등 요인, 실천 장애 요인 등 민주시민교육의 실천과 관련된 의미 있는 주제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 를 얻었다. 첫째, 교사들은 민주시민교육의 개념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이는 고 정적이지 않으며 지속적인 실천의 과정에서 변화하였다. 둘째, 교사들의 개인적?실천적 경 험은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긍정적, 부정적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들은 민주시 민교육이 학생의 경험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믿으면서도 실제 수업과 학습 활동에서는 그 과 정에 고민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 내?외적 요인으로 인하여 자신이 추구하는 민주시민 교육에 대하여 방해를 받고 갈등하였다. 초등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은 초등교사와 학생이 공 유하는 학교 환경 및 수업의 맥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은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상황과 갈등을 고려할 때 그 의미가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민주시민교육의 실천 또한 이를 면밀히 반영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제시될 때 가능할 것이 다.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민주시민교육 활성화 필요성과 과제

        신미식(Shin, Mee Shik)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2

        한국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되면서 노인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이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민주시민교육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촛불시민혁명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 국회에서 민주시민교육지원법은 통과되지 않고 있다. 대신 여러 지자체에서 민주시민교육조례를 제정하고 있으나, 아직 그 어디에서도 구체적으로 노인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 한국에서도 노인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의 실상은 어떠한지를 짚어보고, 한국보다 노인민주시민교육이 활성화된 유럽에서는 어떠한 배경에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이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유럽 노인민주시민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토대로 한국에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방향과 이에 따른 과제를 탐색한다. As Korea has been rapidly aged, older adults are asked to play more vital roles in the society as important social members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has increased. Howeve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general is not well implemented in Korea and in specific,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has not been promoted yet. On the contrary, in European countries, active ageing and active citizenship for older adults have been adopted as the national policies and put into practice eagerly. As a result, various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them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more effectively. Like European countries, Korea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ocial roles of older adults as active citizens and provides them with appropriat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very aspect of the society. In the study, the author trie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and to benchmark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the European countries and draw some suggestions from their experiences. Further, based on them, the author attempt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and the tasks laid to lead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at direction in Korea.

      • KCI등재

        충북 학교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청-학교-지역사회 연계 모델 연구

        박정연,옥일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to build a model suitable for the Chungbuk region by seeking ways to connect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schools, community and civil socie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the Chungbuk’s official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ersonal activist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diagnosing the status of linkages between the schools and community, research findings suggest tasks to be prepared in the community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Chungbuk, and continue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ages between Chungbuk’s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s and community. For the continuous promo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civil-government-schools, that is, Chungbuk Provincial Office,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unit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establish practical governance. So we proposed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This center promotes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and complements each other's functions in relation to the work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preading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ommunity, and promoting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본 연구는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충북교육청 및 학교와 지역사회, 시민사회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충북 지역에 맞는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과 교육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경험과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자원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현황 진단을 통해 충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지역사회에서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충북교육청,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인 추진 체계’를 제시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 추진을 위해 민ᆞ관ᆞ학인 충북 도청, 충북교육청, 단위학교, 지역사회, 시민사회단체들이 실질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과 중간지원기구로 민주시민교육지원센터를 제안하였다. 이 기구는 민주시민교육 업무와 관련하여 각기관들의 협력을 촉진하고, 서로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고,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여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형성하는 구심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이소연 ( Lee¸ So Yeon ),박은아 ( Park¸ Eun A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의 민주적 환경, 수업에서의 학생 참여,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학생의 민주적 태도 실천 수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내용의 중요성과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방법 유용함에 대해서도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급 자치나 학교 의사결정 과정에 학생 참여가 제도적으로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학생 주도성이 높은 수업 참여 방식일수록 학생의 참여 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 중 교내 의사결정이나 지역 사화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것과 관련한 항목에서는 부정적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민주적 태도 실천 수준을 묻는 질문에서 학교 현안의 해결 과정에 적극 참여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낮았다. 또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내용으로 경제생활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성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학생 주도성이 높은 수업 방법일수록 유용성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의견이 자유롭게 개진될수 있는 제도의 정착 방안, 학교 안팎의 다양한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마련, 학생 주도성이 높은 수업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 방안과 교사의 준비도를 높일수 있는 방안 등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학생 주도성이 높은 수업 참여 방식일수록 학생 참여 정도가 낮아지는 원인이 무엇인지, 학생 주도성이 높은 방법일수록 민주시민교육에의 유용성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응답 비율이 높아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등에 대한심층 분석도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contents and methods related to the teach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democratic environment of the school,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chool activities, and the level of democratic attitude practice of students” were very posit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agreed on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 autonomy or school decision-making processes is not guaranteed systematicall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student participation decreased as the class participation method with higher student initiative were used. Among the school activities, negative response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items related to activating the participation of in-school decision-making or local social affairs.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the importance of items related to economic life as the cont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was relatively low, and the higher the student-led class method, the higher the rate of negative responses from teachers to the useful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 plan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students' opinions can be expressed freely, a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to obtain various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a plan to improve teachers' awareness of high student-led teaching methods can be developed. There is a ne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level of preparation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additi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asons for the lower student participation level and the lower preference for the importance of items related to economic life will need to be analyzed in-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