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스니시티와 민족의 거리

        이양숙(Lee, Yang-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본고에서는 김만선 소설 속 주인공들이 갖는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시기에 따라 차츰 변화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일제말기에 등단하여 작품활동을 할 수 없었던 김만선이 만주로 이주할 때의 의식은 ‘망명자’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러나 만주에서 오족협화를 이루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대자적인 민족의식을 드러낼 수 없었다. 김만선 소설 속 주인공은 이와 같은 의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중국적?, ?압록강?, ?한글강습회? 등에는 에스니시티로서의 공동체의식을 갖고 있던 주인공이 해방된 민족의 일원이자, 해방조국의 국민이 될 것이라는 기대로 민족의식을 회복하는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귀국자?에 이르면 재만지식인의 기대가 막연한 것이었음이 밝혀진다. 주인공 혁은 조선에 귀환한 후 자신이 조선 민족의 외부에 있다는 자각에 이르는데, 이 자각은 만주에서의 삶과 조선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하는 삶이 동일하다는 난민의식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이들 작품에는 귀환자들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내적 갈등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다. 당시 에스니시티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던 재만조선인이 민족국가의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특정의 정치적 입장을 선택하는 일이 통과의례처럼 주어졌다. 김만선은 귀국 직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점차 ‘인민’의 노선에 충실한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러나 이들 작품에서는 그의 장점인 충실한 체험의 형상화에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그가 작품으로 형상화할 만큼 이념을 체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만선 소설에서 난민의식이 인민의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매우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이것은 그가 활동했던 시기에 문인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해야 했던 현실이기도 했으나 짧은 시간 동안 에스니시티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대자적 민족의식으로 또 다시 인민의식으로 바꾼다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 이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철저하게 재구성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김만선 소설은 민족국가건설 시기 ‘민족/국가’의 매혹과 억압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Kim, Mansun became a writer by a prize-winning entry of a spring literary contest sponsored by Chosun-ilbo in 1940. He wanted to write varied and freely,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 Japan"s militarism and censorship. As a result he went to Manjuria. Working as a journalist in Mansun-ilbo at Manjuria, he wrote several novels but they were not published due to the pre-censorship. The early days in Manjuria he thought he was an exile, but he could not develop national consciousness because he must exist in Manjuria under the banner of five.race harmony. 〈Double identity〉, 〈Amnokgang〉, 〈A course of Hangeul〉the sense of community as a ethnicity was quite well exposed. But in 〈Returnees〉 a vague expectation which Koreans in Manjuria had been kept gradually disappeared. The main character Hyuk realized that he was lying on the outside of the Koreans, and that awareness was connec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refugees in Manjuria. Koreans from Manjuria had to choose a certain faction in order to go into the interior of the n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It was essential for the returnees to participate in a faction just like a rite of passage. Only after political determination he could decide a residential district. Kim, Mansun participated in <Chosunmunhakgadongmang> in 1945, and then he wrote several novels reflecting the ideals of the ‘people’. But in these novels he could not make his presence felt because he did not create characters concretely. In his novel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consciousness of refugees to the consciousness for the people was achieved suddenly. In this sense his novels showed the fascination and the suppression of the nation-state.

      • KCI등재

        沈連洙 시의식 연구

        김낙현(Kim, Nak-hyeon),권성호(Gwon, Seong-ho)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8

        본고의 목적은 沈連洙 시 의식의 형성배경과 그 세계를 밝히고자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그의 傳記的 삶과 환경적 요인의 역할관계를 추정하여 그의 시 의식의 動因을 밝혔다. 한국문학사에서 오랫동안 이름조차 거론되지 않았던 심연수는 2000년에 중국 용정에서 그의 유고작이 발굴되고 소개되어 알려지게 되었다. ‘민족시인’, ‘항일시인’으로 일컬어지는 심연수는 1940년대 일제 암흑기에 치열하게 문학 활동을 전개했던 시인으로서 그의 짧은 생에 비해 다량의 시 작품을 창작하였다. 심연수의 시 의식은 流浪과 流移民 의식, 민족의식에 따른 민족 동질성 표출, 항일의식과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으로 대별된다. 유랑과 유이민 의식은 소작농으로 가난했던 가족이 생존을 위해 조국을 떠나야만했던 그의 가족사적인 체험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런 점에서 심연수의 시는 ‘유이민의 시’혹은 ‘디아스포라(diaspora)의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유랑과 유이민 의식은 자연스럽게 조국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이어지며 그것은 다시 민족의식에 따른 민족 동질성 표출로 연결된다. 민족의식과 항일의식의 형성배경에는 심연수의 삼촌 심우택과 그의 스승 김수산의 영향 그리고 만주지역과 동흥중학교의 특수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일본유학 이후 심연수의 시는 巨視的인 안목에서 당시 세계사적인 흐름을 인식하고, 항일의식과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노래한다. 〈소년아 봄은 오려니〉와 〈地球의 노래〉 는 항일의식과 미래에 대한 낙잔적 전망을 노래했다는 점에서 의의와 가치가 있다. 특히 이 시기에 일정한 교감과 교류를 통해 관계가 형성된 항일독립운동가 여운형의 영향이 지대했으리라 추정된다. 유랑과 유이민 의식, 민족의식에 따른 민족 동질성 표출, 항일의식과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의 시 의식은 沈連洙의 전 문학적 생애를 통틀어서 지속적으로 표출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민족의식과 항일의식은 심연수 시의 핵으로서 그의 시의 가치와 의의를 빛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its world in poetic consciousness. For this objective, it estimated dynamics between his biographical life and environmental factor and then clarified a motive in his poetic consciousness. Sim Yeon-su, who had not been mentioned even a name for a long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me to be known by which his posthumous works were excavated and introduced in Lungching of China in 2000. As Sim Yeon-su, who is called as a national poet and anti-Japanese poet, is a poet who had developed literary activity fierce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rk Age in the 1940s, he created volume of poetic works compared to his short life, Sim Yeon-su’s poetic consciousness is classified roughly into the nomadic and wandering consciousness, the expression of national homogeneity according to national consciousness,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the optimistic prospect for future. The nomadic and wandering consciousness was formed by experiencing his family history that his family, which had been poor as tenant farming, had needed to leave homeland for survival. In this sense, Sim Yeon-su’s poetry can be said to be ‘wandering poem’ or ‘Diasporic literature.’ The nomadic and wandering consciousness naturally leads to longing for hometown in motherland, It is again connected to the expression of national homogeneity according to national consciousness. The background of form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anti-Japanese consciousness was functioned complexly the influence of Sim U-taek, who is Sim Yeon-su’s uncle, and of Kim Su-san. who is his teacher, and the particularity in manchu area and Dongheung Middle School. Following a study in Japan, Sim Yeon-su’s poetry sings the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the optimistic prospect for future with recognizing a flow of world history at that time from the macroscopic insight. 〈Boy, Spring Will Come〉 and 〈Song of the Earth〉 have significance and value in a sense of having sung the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the optimistic prospect for future. Especially, the influence of Yeo Un-hyeong. who is anti-Japanese Independence Activist of having been formed relationship through the certain communion and exchange in this period, is estimated to have been likely great. The poetic consciousness in the nomadic and wandering consciousness, in the expression of national homogeneity according to national consciousness, in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in the optimistic prospect for future is what was expressed continuously throughout Sim Yeon-su’s whole literary lifetime. Even among those things,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anti-Japanese consciousness correspond to a key in Sim Yeon-su’s poetry. thereby allowing value and significance in his poetry to be shined.

      • KCI등재

        중국 고교생의 한류인식에 관한 연구

        육담성 ( Tansheng Lu ),정용교 ( Yongkyo Ch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중국 고교생들의 한류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검토하여 학생들이 자민족문화와 외래문화의 상호작용 하에서 올바른 인지를 확립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중국 上海시에 소재하는 5개 고등학교의 각 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총 364부 중 부적절한 자료를 제외한 313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분석모형에서 민족문화정체성을 독립변수로, 다문화의식을 매개변수로, 한류인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Sobel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고교생들의 학년, 해외경험유무 그리고 민족문화정체성 등은 다문화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성별, 학년, 성적, 해외경험유무, 민족문화정체성 및 다문화의식 등은 한류인식(드라마, 영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성별, 해외경험유무, 민족문화정체성 및 다문화의식 등은 한류인식(음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중국 고교생들의 해외경험유무 및 다문화의식 등은 한류인식(인터넷 게임, 한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반면 민족문화정체성이 한류인식(인터넷 게임, 한국음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되었다. 다섯째, 중국 고교생들의 민족문화정체성과 한류인식(드라마)의 관계에서 다문화의식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민족문화정체성과 한류인식(영화, 음악)의 관계에서 다문화의식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민족문화정체성과 한류인식(인터넷 게임, 한국음식)의 관계에서 다문화의식의 매개효과를 찾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ultural Identity, State Prid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Korean-wave Cogni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For this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400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Shanghai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2.0 which appli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grades, living-abroad experience and national cultur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ulticultural consciousness. Secondly, the gender, grades, academic achievement, living-abroad experience,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consciousness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Korean-wave cognition(drama, movie). Thirdly, the gender, living-abroad experience,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consciousness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Korean-wave cognition(k-pop). Fourthly, the living-abroad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consciousness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Korean-wave cognition(internet game, Korean food). Lastly, multicultural consciousn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Korean-wave cognition(drama, movie and k-pop).

      • KCI등재후보

        구한말 기독교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의식(1885-1910)

        백종구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본 논문은 구한말 선교사들이 세운 기독교학교에서 사용한 교과서를 분석하여 동 학교 교육의 배일적 성격을 증명하는 데 있다. 이 글은 서론에 이어 2장에서 구한말 기독교학교의 설립, 교과과정, 교과서의 제작 과정을 서술하고, 다음 3장에서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민족과 민족의식의 개념을 정의한다. 마지막 4장은 민족의식이 배양되는 방식, 그리고 동 의식이 현실에서 구체화되는 방식을 추적하여 민족의식의 내용을 재구성한다. 구한말 기독교학교의 교과서에서 국민이란 조상 대대로 점유하고 살아온 땅에 거주하면서 사회와 국가를 만들고 그 구성원이 되어 운영하는 사람들이다. 민족의식은 애국심과 같은 의미로 국가를 애호하고 국가를 위해 헌신(愛慕扶翼)하는 정신이다. 이 정신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국토와 이 국토 위에 전개되는 역사로부터 생겨난다. 한국인은 단군조선 이래 오랫동안 국토를 점유하고 이곳에서 역사를 전개한 민족이다. 민족의식은 한국인이 처한 외적 상황에 따라 강하게 또는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한말 약육강식의 법칙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한국인은 국권을 보전하기 위해 강한 민족의식이 필요했다. 구한말 기독교학교는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에게 다음 사항을 가르쳤다. 첫째, 한국인이 세운 첫 국가는 단군조선이며, 한국인은 단군조선의 문물을 이어받고 유구한 역사를 가진 독립국가의 국민이다. 둘째, 한국인이 사는 지역은 자연 여건이 좋아 물산이 풍부하며, 한국인은 좋은 풍속을 지키고 탁월한 인물을 많이 배출한 국민이다. 셋째, 과거에 한국인은 선진 문물을 이웃 나라에 전수하였고 또 뛰어난 기예(技藝) 능력을 가졌었다. 넷째, 한국인은 나라를 침략한 적과 항쟁하여 국권을 보전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수치 가운데 가장 큰 수치는 국권을 잃는 것이며 이 수치를 씻는 길은 자강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구한말 기독교학교가 교과서를 통해 배양하고자한 민족의식은 국가에 대해 애모부익(愛慕扶翼)하는 정신이며 그 구체적 내용은 한국인의 역사적 정체성에 대한 자각,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자부심, 문명화에 대한 사명감, 외적에 항쟁하는 정신,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자강하려는 마음이다. 이렇게 배양된 민족의식의 실천으로 학생들은 각 자의 체(體), 덕(德), 지(智)를 강하게 하고, 학생들 각 자의 자강(自强)으로 국가의 자강(自强)이 이루어진다. In the last decades of Chosen Korea, it has been argued, the Christian schools inspir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to the Korean stude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s presented in the textbooks used at the class of these Christian schools at the time and to justify the above-stated argument. For this the present study first tries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two terms, the nation an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n to explore both the way that the national consciousness is nurtured at the class and the way this onsciousness is applied in the Korean society the students are situated in. It finally tries to reconstruct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To speak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ation is a group of persons who have resided in a specific reg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onstructing and managing a society and a state. The national consciousness is the mind loving, longing, protecting, and serving their own country(aemonbuik, 愛慕扶翼). This mind in turn comes out both from the soil handed down to the nation for generations and from the history having developed on this soil. Koreans are a nation having preserved a soil and a history for long time since Dan-gun Chosen. The national consciousness has revived weakly or strongly depending upon the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ople. A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is in acute need for Koreans at the time in order to preserve their county's national sovereignty in the world dominated by the law of 'the stronger prey upon the weaker'(yagyukgangsik, 弱肉强食). The national consciousness nurtured and inspired by the Christian schools through the textbooks is the mind loving, longing, protecting, and serving their own country.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are the awareness of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people, the confidence in Korea and Korean people, the sense of mission for social progress, the spirit to fight against foreign enemies, the will to get strong for recovering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so nurtured consciousness motivates the students to preserve one's health, to behave rightly, and to study hard, and thereby to strengthen the body, the virtue, and the wisdom, which would lead to develop their country to be strong.

      • KCI등재

        해방 이후(1945-1948) 염상섭 소설의 중도적 정치성 연구

        박성태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This paper sees the core of the moderate politics of Yeom Sang-seop’s novel, published from 1945 to 1948 after liberation as ‘formation of mature national consciousness’. This article specifically stated the cont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he intended to form. He tried to suggest alternativ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novels in the liberation space, which was confused by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rapid inflation. He symbolized the cultiv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s the improvement of life through labor. It was personal and economical. In addition, he expressed the peaceful nationality of the Korean people, distinguished from the spirit of the Japanese samurai. He meant national consciousness as an orientation to integration beyond the Cold War and ideological conflict. But in the absence of socialists, moderate national consciousness did not go beyond the wall of division. 본고는 해방 이후 염상섭 소설의 중도적 정치성의 핵심을 ‘성숙한 민족의식의 형성’으로 보고, 그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민족의식의 의미화 양상을 중심으로 그가 형성하고자 했던 민족의식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해방기 염상섭 문학의 중도적 지향성을 연구할 때 빠지기 쉬운 두 가지 함정인 비정치성과 편당성을 넘어서는 곳에서 설정되었다. 염상섭은 이념적 양극화와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혼란스러웠던 해방공간에서 소설을 통해 대안적 민족의식을 제시하고자 했다. 「첫걸음」에서 염상섭은 민족의식의 함양을 노동을 통한 생활의 향상으로 의미화했는데, 그것은 개인적이고 경제적인 것이었다. 염상섭은 효풍 과 「바쁜 아버지」 등에서 매점매석을 일삼는 모리배들을 민족의식을 상실한 경제적 인간으로 형상화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회피하는 무책임한 인물들 또한 비판적으로 그려냈다. 자본의 논리로 민족문화와 자주정신을 훼손시키지 않되, 경제적 인간으로 살아가야 하는 근대적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성실하게 노동하며 자신의 생활을 경신해 나가는 것이야말로 염상섭이 생각하는 성숙한 민족의식을 지닌 조선인의 삶의 태도였다. 이념의 양극화로 인해 폭력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해방공간에서 염상섭은 평화의 민족의식을 지향했다. 「엉덩이에 남은 발자국」에서 염상섭은 일제 순사에 대한 복수의 중지를 형상화함으로써 일제의 무사도 정신과 변별되는 조선민족의 평화적 민족성을 표현했다. 하지만 염상섭의 소설적 대응은 냉전체제 및 좌우파의 헤게모니 투쟁과 간극이 있었다. 「이합」과 「재회」 연작에서 염상섭은 이별과 화해의 서사를 통해 이념을 뛰어넘는 민족을 강조했다. 하지만 사회주의자의 이념적 성격이 소거되었기에 그 화해는 비역사적이었다. 효풍 에서는 민족의식을 냉전체제와 이념갈등을 넘어서는 통합에의 지향성으로 의미화했다. 하지만 사회주의자가 부재하는 곳에서 나타나는 중도적 민족의식이 역설적으로 방증한 것은 분단의 현실이었다.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六堂崔南善의 『三國遺事』 인식과 「三國遺事解題」

        고영섭 ( Young Seop K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5 No.-

        이 논문은 육당 최남선(六堂崔南善, 1890~1957)의 『삼국유사』 인식과 그의 「삼국유사해제」에 대해 검토한 글이다. 최남선은 어린 시절부터 고전과 서양문물을 접하였다. 그는 일본 유학 이전부터 단군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있었고, 일본 유학 이후에는 『삼국유사』를 재발견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과 문화이식은 일련의 「단군론」기술과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서술로 이어졌다. 최남선의 「해제」는 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을 뒷받침하는 주요한 논설이며,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 ``전범``이자 ``전형``이 되었다. 그는 『삼국유사』의 재발견을 통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여 불함문화권을 확충하려 하였다. 최남선이 단군을 우리 역사의 구심으로 삼은 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가 단군을 불함문화권의 원심으로 확산시킨 것은 단군의 초점을 흐리게 한 근거이기도 하였다. 최남선은 우리의 많은 고전 중에서 특히 『삼국유사』에 집중하였다. 그것은 이 텍스트가 머금고있는 민족의식과 문화의식 및 단군의 기록과 신화의 원천 때문이었다. 그는 이들 민족의식과 문화의식을 대립의식으로 제고시켰고, 단군의 기록과 각국의 신화를 일제에 맞서는 정치적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최남선의 고대사에 관한 일련의 집필은 일제의 문화정치에 맞서는 전략이었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전술이었다. 하지만 그 역시 그 전략과 전술에 휘둘린 감이 없지 않았다. 결국 그는 근대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 구도가 제국주의의 길항구도 속으로 편입되자 친일로 기울어졌고 스스로 친일행위를 정당화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최남선의 역사 복원과 문화 민족의 열망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표출되었다. 그리고 여러 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의 입론을 통해 확장되었다. 그는 대립의식을 통해 문화민족을 자각하려 하였고 역사의식을 통해 신화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이 수립될 수 있었던 것은 『삼국유사』와 단군과 가야의 발견에 의해서였다. 이 발견을 계기로 그가 쓴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는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한 ``모범``이 되었다. 그 이후 『삼국유사』 번역자들은 저마다 육당의 「해제」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번역자들은 육당의 「해제」보다 더 길게 쓰거나 또는 더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 혹은 그 「해제」에 전거를 대면서 그에게 위임하려는 태도까지 생겨났다. 결국 번역자들은 『삼국유사』의 전모를 한 눈으로 또렷하게 엿볼 수 있도록 「해제」를 작성해야만 했다. 그러다 보니 ``해제`` 간에 상호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최남선은 『삼국유사』에 대해 "조선 상대를 혼자 담당하는 문헌"이며 "조선의 생활과 문화의 근원(源頭)와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것은 오직 이 책이 있을 따름이다"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의 유전인자를 고스란히 간직한 보물 창고이다. 여기에는 민족 동질성의 인자인 언어 문자와 역사 문화로부터 철학 사상 및 예술 과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최남선은 『삼국유사』가 민족공동체와 역사공동체의 근간이자 민족과 역사의 회복으로 나아가는 이정표이자 길잡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삼국유사』의 핵심과 특장을 「해제」속에 잘 정리하여 한민족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인식틀을 확보해 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Yukdang Choi Nam-Sun``s recognition over 『Samgukyusa』 and 「Samgukyusa Interpretation」. He experienced the classic and western culture from the childhood. He had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Dangun prior to the study aborad in Japan. After returning from Japan, he rediscovered 『Samgukyusa』 and restored Dangun and history.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was led to the description of 「Dangun Theory」and long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Interpretation」 of Choi Nam-Sun was a main editorial to support his 「Dangun Theory」 and 『Buddhist Culture Theory』, After that, it became the ``standard`` and ``tradition`` of ``interpretation`` of 『Samgukyusa』. He tried to enlarge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by restoring Dangun and history through the rediscovery of 『Samgukyusa』. Choi Nam-Sun``s selection of Dangun as the center of Korean history was very meaningful. On the contrary, his intention to enlarge Dangun as the center of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was the basis to blur the focus on Dangun. Among many classics, he especially focused on 『Samgukyusa』. It was due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origin of mythology contained in the text. He reconsider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used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mythology of each country as the political strategy to fight against Japan. Choi Nam-Sun``s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ancient history was the strategy against the cultural policy of Japan and the one to improve th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he was shaken by the strategy and tactic. After all, as the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modern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s biased to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imperialism, he became the pro-Japan collaborator and adhered to the position to justify the pro-Japan activity. Choi Nam-Sun``s aspiration for history recovery and cultural people was expressed through 『Samgukyusa』 and it was enlarged through various arguments of 「Dangun Theory」and 『Bulham Cultural Theory』. He tried to enlighten the cultural people through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tried to go beyond the mythology th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could be found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Samgukyusa』, Dangun and Gaya. Because of the discovery, the long 「Interpretation」about his 『Samgukyusa』 became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After that, the translator of 『Samgukyusa』 should pay attention to Yukdang``s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Translator had the obsession thought to write long or better 「Interpretation」than Yukdang``s one and the attitude to assign it to Yukdang by citing the authority of 「Interpretation」. After all, the translator should prepare 「Interpretation」in the way that he shows the whole story of 『Samgukyusa』 at a glance. It was connected to the mutual effects among ``interpretations``. In 『Samgukyusa』, Choi Nam-Sun said, "Only the book is responsible for the area before Joseon Dynasty and shows the origin and old form of Joseon``s life and culture." As he said, 『Samgukyusa』 was the treasure warehouse containing the gene of Korean people. Here, the factor of people``s homogeneity ranging from linguistic character to history, culture, philosophy, art and science is contained. Like that, Choi Nam-Sun recognized 『Samgukyusa』 as the milestone and guide to go to the recovery of people and history as well as the origin of national community and historical community. He arranged the key and characteristics of 『 Samgukyusa』 in 「Interpretation」wel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secure the recognition frame.

      • 崔致遠 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東人意識과 同文意識을 중심으로-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4 No.-

        신라 말의 석학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 857∼?)은 당대를 대표하는 최고 지성인의 한 사람이었으며,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또 12세 때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中國通)이기도 했다. 종래 최치원을 사대모화주의자(事大慕華主義者)라고 본 것은 그의 철저한 동인의식(東人意識)을 간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명세계를 지향하는 동문의식(同文意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최치원 사상에서 중요한 기반을 이루는 민족주체(民族主體) 의식과 문명지향(文明志向) 의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최치원 철학사상의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보편성과 주체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연구틀로서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그의 주체적 정신이 특수성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문명세계의 지향은 곧 보편성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최치원의 주체의식을 ‘동인의식’으로, 문명지향 의식은 ‘동문의식’으로 명명한 바 있다. 민족적 특수성을 의미하는 ‘인(人)’, 문화적 보편성을 의미하는 ‘문(文)’, 그리고 각각 그것을 수식하는 ‘동(東)’과 ‘동(同)’이 서로 좋은 대조를 이룬다. 최치원의 철학사상은 현실적으로 ‘동인의식’과 ‘동문의식’의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전자는 민족적 차원에서, 후자는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둘 다 최치원의 독창적인 사상이라 할 수는 없고, 당시의 시대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치원에게 있어 민족주체의식과 문명지향의식은 일체양면(一體兩面)으로 피어나는 것이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이 아니었다. 분열과 갈등과 대립으로 난마(亂麻)처럼 뒤얽힌 당시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통합과 민심을 한 데 모으는 원동력으로서의 민족주체의식을 부각시키는 것이었고, 아울러 우리의 문화적 긍지와 문화 창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시켜 국제적인 수준과 대등한 데까지 끌어올리려는 융평사상(隆平思想)의 한 발로로서의 문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최치원의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신속화․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이 시대에, 동서문명의 보편성 추구와 세계화 지향을 시대적 과제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국제화와 주체의식의 관계를 다시 한 번 깊이 되새기게 하였다. 넓게 열린 마음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을 가장 ‘민족적’이고 ‘원형적’으로 잘 살려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라고 할 때,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느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바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재일동포 한국어 희곡에 나타난 주체문예 이론의 수용 양상과 '민족' 이데올로기 : 서상각 희곡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Drama of Sanggark Seo

        백로라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재일동포 한국어 희곡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서상각 희곡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북한 문예이론의 구체적인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작가를 포함한 재일동포들이 집단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민족과 조국이라는 개념 속에 어떠한 이데올로기적 의미와 현실적 의미가 침투되어 있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재일동포 한국어 희곡은 북한의 문예이론 중에서도 주체이론에 기초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창작방법론으로 선택하고 있는데, 그것은 구체적으로 '민족적 형식'과 '사회주의적 내용'을 텍스트에 구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의 희곡에서 그것이 성황당식 연극형식에 공산주의적 혁명의식을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면, 재일동포 희곡에서 그것은 한국어로 된 대화극 형식에 당위로서 주어진 주제와 현실로서 인식되는 주제를 동시에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형식에서 한국어 표현을 통해 민족의식을 환기 혹은 고취시키고, 북한의 정치적 이념을 표면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민족과 민족의식에 대한 자각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정치 이데올로기에 함몰되지 않고 '민족'에 대한 동포 나름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일동포 한국어 희곡은 북한의 희곡과 결정적으로 변별된다. 재일동포 한국어 희곡에서 발견되는 민족과 민족의식은 국민국가 수립을 위한 관념적 이데올로기의 실체가 아니라, 민족적 차별과 소외라든가 강요된 민족 동화의 상황 속에서 스스로의 정체성과 실존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욕구의 소산물이다. 그것은 또한 조국의 분단과 일본의 단일민족 이데올로기의 틈바구니에서 경계인, 이방인, 유랑민으로서 살아온 동포들이 서로 단합하고 결속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견지해 온 정신적 구심점이기도 하다. 혈연, 언어, 문화, 역사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구성된 재일동포들의 '민족' 개념과 '민족의식'은 오랜 세월 동안 견지되고 출적되어 개인의 의식 속에 내면화되면서 그들의 삶을 움직이는 정신적 뿌리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two kinds of issues which are arisen from the Korean language drama by Korea-residents in Japan through works of Sanggark Seo that represent the most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dramas: adopted aspects of "Juche" theory in the dramas and national ideology of Korea-residents in Japan.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general and typical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dramas by Korea-residents in Japan, the latter involves their specific notion which has never been changed since the playwrights started to write works. In this sense, exploration of two issues ultimately purposes to understand the typical form and content of the dramas and to unveil significance of ideology which has been internalized in consciousness of the playwrights and general Korean-residents, historically and individually as well. This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analysing drama texts of Seo that have been presented from 1960 to 1990. Firstly, the Korean dramas apply the 'national form' and 'socialistic content' as a writing methodology, which are derived from North Korea's "Juche" theory, to their drama texts. Although the Korean dramas adopted the literary theory of North Korea as a crucial writing methodology, they interestingly displayed different aspects from North Korea plays in detail. Rather than a style of "Seongwhangdang" theater and revolutionary idea of communism, they choose a form of a kind of dialogic play in which Korean language can be fore-grounded and incorporate the conflicting ideas that involve both a political position related to North Korea and resident reality in Japan. Through such specific form and content, secondly, the Korean drama intends to evokes national spirit for Korean-resident audiences or readers in Japan. To put it concretely, it seems that the dialogic form brings some powerful effects to audiences in the process of a performance which is acted by Korean-spoken language: to teach naturally a mother language, to inspire the necessity of its education, and to imbue them with na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which includes a unstable position, a unsolved nationality problem, deprived civil right, and memory of the oppressed embodies a given notion that came from the form. As a result, a na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seem to be a crucial notion for Korean-residents and playwrights in Japan in that the notion functions a sort of spiritual root and centripetal force for them. The collective feeling and idea are generated from awareness of same nation that shares ties of blood, a language, and national culture or history. Besides, the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are internalized in the mind of individuals enables them to keep their identity and existence in the previous colonizer, Japan in which ethnical discrimination and isolation still exist. As for Korean-residents in Japan, in this sense, it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powerful ideology that is required and given in their reality.

      • KCI등재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에 나타난 한민족공동체의식

        안병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7 No.-

        This study used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 In this paper, Chinese-Korean School school song appears on Herditary identification, cultural identification, Linguistic identification, through the historical sense of community for the Korean people were investigated. Herditary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imself would want to say that the same ethnic race. the Korean people have been called the “white-clad race.” Cultur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also shar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Linguistic identification means that the Korean people are one ethnic race speaking one language. Historic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ave a shared history with the Korean people.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를 대상으로 조선족이 민족정체성 유지를 위해 민족의 동질성, 즉 모국과의 동일시를 추구하여 한민족공동체의식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에 집중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 조선족은 학교 교가를 통해 비록 민족은 한반도와 분리되어 있지만 조선족도 같은 한민족의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같은 역사, 같은 민족, 같은 문화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이러한 중국 조선족의 모국과의 동일시 현상은 한민족공동체의식을 형성하게 하였고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종족적 동일시, 문화적 동일시, 언어적 동일시, 역사적 동일시 등을 통해 한민족공동체의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一般論文 : 최치원(崔致遠)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동인의식(東人意識)과 동문의식(同文意識)을 중심으로-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4 No.-

        신라 말의 석학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은 당대를 대표하는 최고 지성인의 한 사람이었으며,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또 12세 때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中國通)이기도 했다. 종래 최치원을 사대모화주의자(事大慕華主義者)라고 본 것은 그의 철저한 동인의식(東人意識)을 간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명세계를 지향하는 동문의식(同文意識)에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최치원 사상에서 중요한 기반을 이루는 민족주체(民族主體) 의식과 문명지향(文明志向) 의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최치원 철학사상의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보편성과 주체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연구틀로서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그의 주체적 정신이 특수성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문명세계의 지향은 곧보편성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최치원의 주체의식을 ‘동인의식’으로, 문명지향 의식은 ‘동문의식’으로 명명한 바 있다. 민족적 특수성을 의미하는 ‘인(人)’, 문화적 보편성을 의미하는 ‘문(文)’, 그리고 각각 그것을 수식하는 ‘동(東)’과 ‘동(同)’이서로 좋은 대조를 이룬다. 최치원의 철학사상은 현실적으로 ‘동인의식’과 ‘동문의식’의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전자는 민족적 차원에서, 후자는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둘 다 최치원의 독창적인 사상이라 할 수는 없고, 당시의 시대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치원에게 있어 민족주체의식과 문명지향의식은 일체양면(一體兩面)으로 피어나는 것이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이 아니었다. 분열과 갈등과 대립으로 난마(亂麻)처럼 뒤얽힌 당시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통합과 민심을 한 데 모으는 원동력으로서의 민족주체의식을 부각시키는 것이었고, 아울러 우리의 문화적 긍지와 문화 창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시켜 국제적인 수준과 대등한 데까지 끌어올리려는 융평사상(隆平思想)의 한 발로로서의 문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최치원의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신속화·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이 시대에, 동서문명의 보편성 추구와 세계화 지향을 시대적 과제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국제화와 주체의식의 관계를 다시 한번 깊이 되새기게 하였다. 넓게 열린 마음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을 가장 ``민족적’이고 ``원형적’으로 잘 살려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라고 할 때,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느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바 크다고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