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직후 북조선에서 지방자치기관의 조직

        전현수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0 No.-

        Around the end of the war, provincial governors who had served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in North Korea sought to forestall social turmoil by creating an association for maintaining public order with right-wing nationalists. Instead, nationalists banded together to form an organization aiming to foster autonomy in the newly independent nation. Bourgeois nationalists took charge of the majority of these local self-government bodies, variably called “preparation committees fo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and “local-government committees.” The leadership of the Soviet occupying forces in North Korea restructured the local self-government bodies into people’s government committees by combining the bodies with Communist organizations in the corresponding areas on a one-to-one ratio. The Soviet authorities then transferred administrative power to the people’s government committees under an occupation policy manifestly intended to strengthen the left. The Soviet army desired to replace anti-Soviet nationalists in the local self-government bodies with communists by ousting the former. To that end, the Soviet army endeavored to unify the organizing principles of local self-government bodies and reconstitute each class of self-government bodies through elections. As a result, each class of self-government bodies transformed into people’s committees dominated by the left wing and excluding anti-Soviet nationalists opposed to the Soviet trusteeship. 종전에 즈음해서 북조선의 총독부 도지사들은 우파 민족주의자들을 포섭하여 치안유지회를 조직해서 사회적 혼란을 막고자 했다. 그러나 민족주의자들은 자주적인 독립국가의 건설을 준비하는 조직을 결성했다. 건국준비위원회나 자치위원회로 불린 지방자치기관들은 대부분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이 주도했다. 북조선에 진주한 소련군의 지도부는 지방자치기관들을 해당 지역의 공산당 조직과 1:1로 통합하여 인민정치위원회로 개편해서 여기에 행정권을 이양했다. 소련군의 점령정책은 명백히 좌익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소련군은 지방자치기관들에서 반소적인 민족주의자들을 축출하고 공산주의자들로 대체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북조선 지방자치기관의 조직원칙을 통일하고 선거를 통해 각급 자치기관을 재구성하고자 했다. 이후 각급 자치기관은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반소적인 민족주의자들이 배제된 좌파 우위의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다.

      • KCI등재

        사디즘적 연애와 〈과도기〉의 욕망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본고의 목표는 〈과도기〉 속 세 청년의 욕망과 연애를 다른 20년대 연애서사의 공식과 비교함으로써 채만식이 보여주는 사디즘적 연애의 의미를 재고하는 것이다. 들뢰즈에 따르면 사디즘은 기존의 제도나 질서를 재생산하는 상징적인 어머니에 대한 폭력을 통해 무정부적인 상징적 아버지를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현실을 지배하는 제도나 도덕 너머의 선을 제시함으로써 아이러니를 가져온다. 〈과도기〉에서 봉우의 서사는 지배에 길들여진 마조히스트 구식 아내의 도덕성이 아니라 지배에 저항할 수 있는 신여성의 매혹이 피식민 지식 청년의 욕망 대상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1920년대 출판된 연애 서사에서 연애대상으로 등장하는 신여성들은 성욕이나 물욕을 고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지식인 남성들의 고결함을 강화하며 부정되는 데 비해, 〈과도기〉에서는 오히려 신여성의 고결함, 금욕주의를 문제 삼아 부정하고 있어 주목된다. 피식민 지식 청년들은 유혹자인 신여성과 마주했을 때 계몽적 민족주의자로서의 가면을 연출하는 반면, 신여성에게는 민족성의 가면이나 연행을 허용하지 않는다. 신여성을 섹슈얼리티의 정복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다. 피식민 지식청년들의 연애열이 그들의 계몽열이나 정복욕과 동일한 것이기에 연애와 제국의 결합은 한층 공고해진다. 형식의 연애 서사는 연애가 지배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형식은 일본 여성 문자의 집안으로 양자 가기를 거부함으로써 민족주의자의 가면을 쓰지만 야만의 낙원에서 토인들을 지배하겠다는 공상을 펼침으로써 제국의 욕망에 동화된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피식민 청년들에게 연애는 모방해야 할 환상과 동시에 거부해야 할 지배의 논리를 내포한 것이기에 모순적이다. 이러한 모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정수는 결혼도 연애도 배척하며 순간적인 관능만을 향락한다. 채만식은 무정부주의적 욕망, 사디즘적 연애에 충실한 정수를 통해 현실의 제도나 법 너머, 도덕 너머의 욕망을 ‘절대자유’로 형상화한다. 결국 〈과도기〉를 통해 채만식이 형상화하는 피식민 지식청년은 다른 20년대 연애 서사들 속 남성 주인공들처럼 고귀하지 않으며 결벽성을 연출하지도 않는다. 찰나적 관능의 세계를 긍정하는 그의 논리는 폭력적이지만 동시에 전통의 도덕과 제국의 논리 너머에서 움직이고 있기에 일정한 의미와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sadistic love in Chae, Man-sik's 〈a transitional period〉 through comparing the protagonists' desire and love in this work to the formulas in other love narratives in 1920s. As to Deleuze, Sadism is the trial to restoration of symbolic anarchist father through whipping symbolic mother who reproducing the existing system and order. And sadism accompanies irony with showing the good beyond the present system, order, moral. In 〈a transitional period〉, the narrative on Bong-woo shows that the colonial intelligent young man desires not his outdated wife tamed with domination, masochist's morality but the new woman's charm resisting domination. While the new women is blamed for their desire to sex and fortune, and emphasizes the new mans' loftiness on the contrary in most love narratives published in 1920s, the new woman in 〈a transitional period〉 is blamed for her loftiness and asceticism. While a colonial intelligent young man makes performance which regard themselves as a nationalist, he dose not permit this performance to a new woman. He regards the new woman as a sexual object which he should conquer. Because the colonial intelligent young mans' desire for love is the same thing their desire for enlightenment or for conquest, the union of love and empire becomes more stable. The narrative on Hyeong-sik's love extremely shows that love is united with domination. Hyeong-sik wears the mask as a nationalist with rejecting to get adopted into Moon-ja's family, but he is assimilated with the imperialist's desire because he has the fantasy dominating the native in a savage land. Like this, the colonial intelligent young mans' love is contradictory because it has both the fantasy should follow and the domination should reject. For getting out of this contradiction, Jeong-su rejects the marriage and the love, and pursues only momentary sensual enjoyment. Chae, Man-sik figures out the free desire beyond present system and moral through Jeong-su who is devoted for the sadistic love, anarchistic desire. Finally, the colonial intelligent young mans who Chae, Man-sik described in 〈a transitional period〉 are nither noble nor fastidious. So they are opposed to the heros in love stories published at 1920s. His formula which formative to temporary carnal desire is violent, but it has a meaning because it gets over the formulas of traditional moral and imperial domination.

      • KCI등재

        19세기 독일체조 민족주의의 변화에 관한 논의: 두 명의 민족주의자를 중심으로

        정동수 ( Dong-soo Jeong ),김방출 ( Bang-chool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4

        [목적] 본 연구는 19세기 독일체조의 민족주의 변화의 과정과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방법]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법으로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 이미 축적되어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방법과 관련하여, 국내 연구자료는 RISS에서 ‘독일체조’, ‘투르넨’, ‘독일 민족주의’로 검색하여 연구 주제와 관련있는 11편을 활용하였다. 해외 연구자료는 구글스칼라에서 ‘German gymnastics’, ‘Turnen’을 검색하여 나오는 연구 중 본 연구와 관련있는 7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결과] 첫째, 독일의 민족주의는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적 민족주의로 분화하였다가, 독일의 통일 이후 국가주의적 민족주의로 귀결되었다. 둘째, 얀은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자로서, 스피스는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자로서, 독일체조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전파하고자 하였다. 셋째, 독일체조는 얀의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에서 스피스의 국가주의적 민족주의로 변화하였는데, 이는 독일체조의 외부적 배경과 내재된 한계에 의해 필연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결론]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독일체조의 민족주의적 성격이 변화하는 과정과 원인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아직 주목받지 못하였지만 알아볼 가치가 있는 역사적 사례들이 다양하게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and cause of change in nationalism in German gymnastics in the 19th century. METHODS The study used a literature study method and analyzed data from previous studies. Eleven articl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chosen for domestic research data by searching RISS for "German gymnastics," "Turnen," and "German nationalism." Overseas research data involved seven articles related to this study and were found by searching for "German gymnastics" and "Turnen" in Google Scholar. RESULTS First, German nationalism was originally divided into liberal nationalism and nationalistic nationalism, resulting in nationalistic nationalism after German reunification. Second, Jahn as a liberal nationalist and Spiess as a nationalist attempted to spread their ideas through German gymnastics. Finally, German gymnastics change from Jahn's liberal nationalism to Spiess' nationalistic nationalism was inevitable due to German gymnastics' external background and inherent limitations. CONCLUSIONS This study illustrated the process and cause of the change in the nationalistic characteristics of German gymnastics in the 19th century. Various historical cases that have not yet received attention but are worthy of investigation must be studied.

      • KCI등재

        민족주의 세력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개조 움직임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5

        In August 22, 1945, around the period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CPKI), there were two movements with the nationalists centering on the movement to renovate the CPKI. Those movements occurred inside and outside the CPKI. The meaning of ‘inside’ is the nationalists with An Jae-Hong, a vice-chairman of the CPKI, as the central figure, and ‘outside’ refers to the nationalists of the Choson National Party. Since the socialistsㆍcommunists took control of the hegemony within the CPKI at that time, there was a sense of crisis between them. In this situation led to the agreement that many nationalists should participate in the CPKI. As An Jae-Hong had a principle of the cooperation with socialistsㆍcommunists under the initiative of nationalist, expanding the nationalists in the CPKI was the urgent problem that has to be resolved. At th same time, the Choson National Party had a plan to take the mainstream by participating in the CPKI. However, the movement by both sides to reorganize the CPKI’s central was frustrated. While Lyuh Woon-Hyung, a chairman of the CPKI, prevented the nationalists from reorganizing the CPKI, also the communists inside CPKI strongly hold them back. Around this time, as soon as it became certain that US forces were pearling in South Korea, the Choson National Party circles gave up their participation in the CPKI. Therefore, the movement to reorganize CPKI ended without attainment. This frustration made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in CPKI expanded or enlarged, resulting in the conversion from the CPKI into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무조건항복을 선언하는 긴박한 순간에, 여운형ㆍ안재홍은 신속하게 朝鮮建國準備委員會(앞으로 建準으로 줄임)를 출발시켰지만,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그들이 목표하는 全민족통일전선체를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일제가 패퇴하는 비상한 시국에 대응하기 위해, 8월 15일 당일 급박하게 출범한 建準이 전국에 걸쳐서 全민족운동 세력을 망라한 중앙조직을 곧바로 결성하기는 애초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렇더라도 建準이 민족통일전선체로서 외형상의 완결성을 갖추지 못한 채 출발한 데에는, 무엇보다도 송진우 계열의 태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운형ㆍ안재홍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송진우 측에 재차 협동을 제안하였으나 다시 거부당하였다. 민족주의 세력 가운데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던 송진우 계열이 建準 자체를 부정함으로써, 전민족통일전선체를 지향하는 建準의 목표는 굴절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建準이 재건파 조선공산당에게 주도권을 내주고 朝鮮人民共和國로 해소되는 主因이었다. 1945년 8월 22일 建準의 제2차 중앙조직이 형성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建準의 안팎에서 민족주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建準을 改造하려는 움직임이 두 차례 일어났다. 여기서 ‘안’은 建準의 부위원장 안재홍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자들을, ‘밖’은 朝鮮民族黨을 구성하여 韓國民主黨에 합류하는 李仁ㆍ金炳魯ㆍ白寬洙 등의 민족주의자들을 가리킨다. 양자는 建準 안에서 사회ㆍ공산주의 세력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주하는 현실에 위기감을 느꼈으므로, 민족주의 세력이 建準에 대거 참여해야 한다는 데에서 의견이 일치하였다. 민족주의 주도권 아래 사회ㆍ공산주의자와 협동한다는 원칙을 견지하는 안재홍에게, 민족주의 세력을 建準 안에 대거 확충함은 당면과제였다. 조선민족당계 인사들도 해방정국의 시국 수습 과정에서 소외ㆍ이탈되었음에 위기의식이 고조된 터였으므로 建準에 참여하여 해방정국의 주류로 부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자가 결합하여 建準의 중앙조직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좌절되고 말았다. 재건파 조선공산당을 위시하여 장안파 조선공산당은 建準을 개조하려는 시도를 완강하게 저지하였고, 또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는 사실이 확실해진 시점에서 조선민족당계가 建準에 참여하기를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建準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역으로 建準 안에서 재건파 조선공산당 계열의 응집력과 주도력을 확대시킴으로써 建準이 人共으로 해소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 KCI등재

        러시아혁명 전후 시기 계봉우(桂奉瑀)의 항일민족운동, 1919~1922 : 기독교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반병률 ( Ban Byung-yoo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5

        계봉우(桂奉瑀, 1880~1959)가 1916년 11월 일제당국에 의해 북간도 하마탕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어 거주제한을 받고 있다가 국내를 탈출한 것은 1919년 3ㆍ1운동 이후의 일이다. 3월 1일 당시 계봉우는 남대문 일대에서 3ㆍ1만세시위운동을 직접 목격하였다. 계봉우는 3ㆍ1운동 조직자의 한 사람으로 제2차 만세시위운동의 지휘책임자였던 보성전문학교생 강기덕에게 독립선언서 초안을 작성하여 넘겨주기도 하였다. 1919년 8월경 원산에서 후일 신임 사이토 총독 저격사건의 주역이 되는 강우규의 동지 최자남의 도움으로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는 데 성공하였다. 가족을 만나기 위해 북간도에 간 계봉우는 북간도 국민회의 위촉을 받아 3ㆍ1운동 이후 조직된 북간도 각 단체들의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성과를 보지 못하였다. 그 후 국민회의 파견으로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 파견되었다. 철혈광복단 단장으로 선임된 계봉우는 임시정부와 국민의회의 통합을 반대하는 일부 철광단 단원들의 소수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상해로 가서 상해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계봉우는 상해에서 의정원 의원으로 활약하면서 『독립신문』에 러시아와 북간도의 이주사와 민족운동에 관한 글들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집필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김립의 권유에 따라 고토쿠 슈스이(幸德秋水)의 『사회주의 신수(社會主義 神髓)』를 읽고 한인사회당에 가입하였다. 계봉우가 한인사회당에 입당한 동기는 민족의 완전한 독립과 진정한 자유 그리고 영원하고 안전한 생존권 확보를 위해서는 사회주의혁명밖에 없다고 판단한 때문이었다. 1910년대 독실한 기독교 민족주의자였던 계봉우가 3ㆍ1운동이후 해외로 망명하여 사회주의를 정치적 이념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한인사회당 입당 후 계봉우는 당 기관지인 『자유종』의 주필로 활약하였다. 1920년 9월초 한인사회당이 한인공산당으로 확대ㆍ개편되면서 당에 의해서 계봉우는 김립과 함께 러시아로 파견되었다. 계봉우는 1920년 12월 2일 치타에서 박애, 장도정, 김진, 박창은과 함께5두제로 된 한인부(러시아공산당 중앙위원회 원동부 산하) 위원에 선임되었다. 이후 계봉우는 3인으로 구성되는 한인부 간부회 위원에 선출됨과 동시에 선전선동출판부장에 선임되어 1921년 2월부터 기관지 『노동신문』을 발행하였다. 그러나 국제공산당(코민테른) 동양비서부장 슈미야츠키를 배경으로 하는 이르쿠츠크파의 탄압을 받게 되어, 계봉우는 박애, 장도정, 김진 등 한인부 간부들과 함께 1921년 5월 9일 원동공화국 총사령부에 체포되어 이르쿠츠크로 압송되었다. 이후 5월 22일 이르쿠츠크파 이성, 김철훈, 채성룡으로 구성된 재판부가 내린 판결에서 박애는 8년 징역, 계봉우, 장도정, 김진은 5년 징역을 선고받았다. 이후 이들은 소비에트러시아 제5군단과 동시베리아군대혁명법원에서 열린 제2심에서 감형을 받아 박애 5년 징역, 계봉우, 장도정, 김진은 3년 징역을 선고받았다. 계봉우 등이 석방된 것은 1921년 12월인데 이는 이동휘 등 상해파 고려공산당 대표단이 1921년 가을 모스크바에서 전개한 외교활동 덕분이었다. 계봉우는 1922년 10월에 개최된 고려공산당 통합대회에 북간도 연길현 대표로서 참석하여 상해파의 간부로서 활동하였다. 이 대회에서 계봉우는 새로이 선출된 ‘통합고려공산당’의 중앙간부 10명의 하나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대회는 제3국제공산당(코민테른)이 통합대회로서 승인하지 않았다. 시베리아내전이 종결된 1922년 말 이후 계봉우는 러시아연해주에 머물면서 국내와 만주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던 공산주의운동에서 한발 물러나 있었다. 그리하여 1937년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강제 이주 되기까지 계봉우는 교육, 집필 그리고 반종교ㆍ무신자운동을 통한 한인사회의 사회주의적 건설과정에 참여하였다. 계봉우의 활발한 집필활동은 그가 원동에서 『선봉』 그리고 카자흐스탄에서 『레닌의 긔치』에 게재된 그의 기고문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머리말에서 언급하였듯이, 1936년 1월 28일에 계봉우가 작성한 「리력서」에서 주목되는 것은 ‘교육사업’이나 ‘저작사업’의 경우 1935년까지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민족혁명사업’의 경우에는 1920년 삼월에 베르흐네우진스크로 들어간 사실까지만 기록하였다. 그 이후 시기에 계봉우의 활동이 교육과 문화저술 활동에 치중한 것도 사실이나 1920년 말 이후1922년 말까지 그가 보여주었던 활발한 혁명활동에 비하면 의외라 할 것이다. 1921년~22년의 기간에 그리고 그 이후 얼마 동안 치열했던 동족상잔의 파쟁에 대한 회한과 환멸에서 비롯된 바 적지 않을 것이다. 그가1920년대 전반과 중반 공산주의운동에 관한 일본첩보기록에서도 그의 이름이 적지 않게 나오는 것으로 보면 그가 조선공산주의 운동에 완전히 손을 뗀 것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활동의 무게중심이 교육, 언어, 민속, 종교 등의 여러 분야에서 소비에트러시아 한인사회를 사회주의적으로 개조하는 활동으로 옮겨진 것만은 확실하다. 계봉우가 「리력서」를 남긴 1936년 1월 28일의 시점에 주목해 보자. 이때를 전후로 한 시기에 상해파의 핵심인물이었던 김아파나시(1936년 1월24일 피체), 김미하일, 이문현(李文鉉, 1935년 11월 18일 피체), 최태열(崔泰烈, 1935년 11월 4일 피체), 홍파(이민환, 1936년 1월 21일 피체), 박일리야(1936년 1월 21일 피체), 이인섭(李仁燮, 1936년 3월 20일 피체) 등이 체포되고 있었던 상황에서 계봉우는 자신에게 스탈린대탄압의 그림자가 자신에게 닥쳐올 것이라고 예상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행히 그는 스탈란대탄압의 광풍으로부터 살아남았다. It was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Gye Bong-U had escaped to Vladivostok, Russia. He was at the time under a three-year house arrest by the Japanese in his hometown, Yeongheung, in Hamgyeong Province. He had been arrested at the end of November 1916 by the Japanese in Wangqing Prefecture, Jilin Province, Manchuria, and was deported to Korea. Gye Bong-U participated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Seoul and drafted Korea’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Gang Gi-deok, a student of the Boseong College, and the organizer of the second demonstration, had asked Gye Bong-U to prepare it. Gye was eventually successful in escaping to Vladivostok with the help of Choe Ja-nam. Choe Ja-nam would later participate in Gang U-gyu's plot to assassinate government-general Saito Makoto, who had arrived in Seoul station in September 1919. Gye traveled to North Chientao to meet his family in November 1919. There,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s in North Chientao(Gungminhoe) requested that he persuade key members of various anti-Japanese organizations to unify all Koreans in North Chientao. However, Gye Bong-U was unsuccessful and was instead dispatched by the Gungminhoe to Shanghai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Iron-Blood Union (Cheolhyeol Gwangboktan) appointed Gye Bong-U as the head of the Union. Some of the members of the Union opposed him from join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Rejecting the opposition, Gye Bong-U decided to go to Shanghai and work as the member of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Gye Bong-U contributed several series of articles to the Dongnip Sinmun (The Independence). In those articles, Gye Bong-U introduced the history of Korean communities in Russia and North Chientao and biographies of Kim Aleksandra, one of the earliest Korean Bolsheviks. By the introduction of Gim Rip, a key member of the Koreans Socialist Party (Hanin Sahoedang) and the chief-secreta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abinet, Gye Bong-U read the book titled ‘The Essence of Socialism’ written by Kotoku Shusui, a famous Japanese anarchist. Upon reading the book, Gye Bong-U concluded that a socialist revolution was the only way to fully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real freedom, and the safe right of existence. Gye Bong-U, who used to be a sincere Christian nationalist, came to adopt socialism. He began serving as the editor-in-chief of the party organ, the Bell of Liberty. The Korean Socialist Party congress held in early September, 1920 changed its name into Korean Communist Party(Hanin Gongsandang) and resolved to dispatch Gim Rip, Gye Bong-U and Yi Han-yeong to Russia. Gye Bong-U, together with Gim Rip went to Chita through Beijing, Ulan Bataar and Verkhne-Udinsk. In December, Gye Bong-U was appointed as one of the five members of the Korean Bureau (Haninbu), which had the objective of organizing a nationwide Korean Communist Party. The Korean Bureau was closely affiliated to the Far Eastern Bureau (Wondongbu) of the Russian Bolshevik Party. Other members of the Bureau included Bak Ae, Jang Do-jeong, Gim Jin, and Bak Chang-eun. Gye Bong-U was also responsible for propaganda, instigation, and publication of the weekly bureau journal, the Nodong Sinmun (Labor Gazette). On May 9, 1921, Gye Bong-U, along with other members of the Haninbu, was arrested by the General Staff of the Far Eastern Republic and was transferred to Irkutsk. All the suppressive actions against Gye Bong-U and his colleagues were designed and initiated by Shumiatskii, the head of the Far East Secretariat of the Comintern and the Irkutsk factio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Bak Ae was sentenced to five years of imprisonment while Gye Bong-U, Jan Do-jeong and Gim Jin received three year sentences. It was in December, 1921 that Gye Bong-U was released, along with three of his associates due to the diplomacy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Shanghai faction) delegation headed by Yi Dong-hwi. In October, 1922, Gye Bong-U participated in the Party Congress, which was held in Verkhne-Udinsk with the purpose of founding the unified Korean Communist Party. Though Gye Bong-U was elected to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Comintern never recognized the Party Congress. Since the end of the Siberian Civil War, Gye Bong-U kept his distance from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Instead, he was active in education, writing and anti-religious movement until the forced deportation of Koreans to Central Asia in 1937.

      • KCI등재

        폴란드-우크라이나의 과거사 문제 연구:보위인 학살 사건을 중심으로

        김용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1

        이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단체가 보위인 지역에 살던 폴란드인들을 대량 학살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 사건은 폴란드-우크라이나 사이에서 풀리지 않고 있는 대표적인 과거사 문제이다. 1939-1946년 사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단체인 OUN과 UPA 그리고 이들과 공조하던 우크라이나 농민 부대가 보위인과 소폴란드 지역에서 모두 12만 명의 폴란드인을 살해했다. 희생자들 중에는 갓난아이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대가 포함됐으며, 수천 개에 달하는 폴란드 농촌과 수십만에 이르는 가정도 함께 파괴됐다. 보위인과 소폴란드 지역에서 OUN-UPA가 자행한 학살은 그 잔인함과 규모로 인해 폴란드에서 인종 학살로 규정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이 내세운 이데올로기, 진행 과정, 범위와 규모 등은 모두 보위인 학살이 폴란드 민족을 말살시킨다는 목적 하에 사전에 조직된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사회주의 체제 붕괴이후 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는 우호와 악화를 거듭했다. 특히 보위인 학살 사건을 둘러싼양국의 주장은 첨예하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양국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과거사 문제에 대해 서로 한발씩 물러서서 해답을 모색하자고 나서고 있는 작금의 상황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존자들이 살아있는 한, 보위인 학살에 대해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양 민족이 모두 만족할만한 해결책을 구하는 것은 요원하다고 보인다. The Massacres of Poles in Volhynia were part of an ethnic cleansing operation in Volhynia(now in western Ukraine) and Eastern Galicia, that took place beginning in 1939 and lasted until the end of 1946. The actions, orchestrated and conducted in most part by the Ukrainian Insurgent Army(UPA) together with other Ukrainian groups and local Ukrainian peasants, resulted in over 1,200,000 Polish civilians being brutally murdered in Volhynia Voivodeship with another voivodeships affected, specially in Eastern Galicia. The peak of the massacres took place in July and August 1943, when a UPA commander ordered the extermination of the entire Polish population between 16 and 60 years of age. The slaughter was directly linked with the policies of the Bandera faction of the Organization of Ukrainian Nationalists(OUN), whose goal, specified at the Second Conference of the OUN-B, was to purge all non-Ukrainians from the future Ukrainian state. The number of casualties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continues to be the subject of scholarly as well as political deliberation. The question of official acknowledgment of the ethnic cleansing remains a matter of a discussion between Polish and Ukrainian historians and political leaders. Efforts are ongoing to bring about reconciliation between Poles and Ukrainians regarding these tragic events.

      • KCI등재

        우크라이나의 2차 세계대전 경험 - 지역별 상이성과 분열의 씨앗 -

        송준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4 슬라브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가 1991년 독립국가를 수립한 이후 단일 국가 및 국민정체성 수립과정에서 겪었던국론 분열, 내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던 2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연구를 위해 우크라이나 각 지역의 2차 세계대전 이전의 역사적 경험을 비교 분석하여 그러한 경험이 어떻게서부지역에서 극단적인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태동하게 만들고 2차 세계대전 중에 민족주의자들이 나치독일과 협력하고 ‘타자’로 간주된 소수민족에 대한 학살을 자행했는지 고찰했다. 반면 동부지역은 일찍이 러시아화가 진행되었고 20세기 초반에는 소련 산업화 정책의 수혜 지역으로 부상하면서 친러시아 정서가 강하게자리 잡았으며 그 결과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발현할 여건은 미미했다. 이러한 지역 경험과 정체성의 차이는포스트소비에트 우크라이나에 전승되어 궁극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지역 분열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gional experience of Ukraine during World War II, which became one of the main causes of internal strife and national divisi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nation-state with a unified national identity during the post-Soviet years. Classifying Ukraine into four regions―western, central, southern, and eastern,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each region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It shows that a long history of foreign rule in the western region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extreme nationalist forces that once collaborated with Nazi-German occupied forces and fought against both the Nazis and the Soviet troops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Ukraine while committing genocide of Jews and Poles, considered as “Others.” In contrast, strong pro-Russian sentiment emerged in the eastern and southern regions, which were heavily russified from the eighteenth century and benefited from prewar Soviet industrialization policies. These regional differences in historical experiences and identities were inherited in post-Soviet Ukraine and ultimately served as key causes of regional division.

      • 게르쩬과 폴란드 문제

        전지용(Jeon, Ji Yo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게르쩬에게 있어서 서유럽은 이미 치명적인 질병에 걸려있는 세계이었다. 그는 서유럽의 문화에서 보이는 문제들이 기독교의 영향 때문에 제기되었고 그것은 슬라브적 정신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서유럽 세계에서 나타나는 모든 악이 기독교의 이원론 때문에 야기되었다고 그는 보았다. 게르쩬은 기독교가 끼친 흔적을 폴란드인 미쯔비쯔에게서 발견했고 그것을 메시아니즘이라고 개탄했다. 게르쩬은 그러한 문제들이 ‘자유인’을 계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는 절대적인 도덕성이 모든 것의 기준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게르쩬은 기사계급의 문화와 소매상인의 문화를 엄격하게 구분했다.뚜르게네프와의 논쟁 때에도, 게르쩬은 부르죠아지는 그들 자신의 문화를 갖고 있지 못하고 고상한 문화에 기분 나쁜 습기를 뿌리는 계급이라고 매도했었다. 그러므로 부르죠아지의 문화는 반드시 거부되어야했다. 나아가, 게르쩬은 서구 세계의 지배계급이 제국주의적 야심 때문에 타락하여 분해되고 있다고 보았고, 따라서 서구 세계는 오래 지탱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폴란드 문제에 대한 게르쩬의 인식에는, 그러므로, 이중적인 측면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는 폴란드의 역사 때문에 야기된 서유럽적인 측면에는 질색했다. 게르쩬에게 그것은 치유되어야 할 측면이었다. 그러나 그는, 폴란드의 분할이 절대주의 시대의 유산이었기에, 폴란드의 역사에 동정을 표했다. 따라서 게르쩬은 폴란드인들과 함께 폴란드의 독립을 위한 선전 활동을 했다. 이것이 러시아의 많은 민족주의자들로부 터 그에 대한 거친 공격을 일으켰다. 러시아 내의 많은 민족주의자들이 거칠게 자신을 공격하고 있었음에도, 그는 폴란드의 독립을 위한 선전활동을 계속하면서 폴란드인들과의 유대를 지속했다. 분명, 그것이 정의이기 때문이었지만 동시에 게르쩬이 러시아 혁명을 위한 동맹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했을 것이다. 폴란드에 파견되는 러시아의 진압군 장교들을 설득하고자 게르쩬은 ‘이웃의 목에 밧줄을 졸라매면서 자신의 조국에서 자유의 시대를 시작시킬 수 없다.’고 그들에게 말했다. 게르쩬은 폴란드인들 스스로의 동의하에 그들이 슬라브적 세계에 동참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가 말하는 ‘슬라브 연방’은 미래의 사회주의적 러시아가 주요한 역할을 맡게 될 사회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슬라브 연방은 당시의 서유럽 세계가 안고 있던 각종 문제들을 극복한 유토피아적 사회를 의미한다. 봉기 당시의 <폴란드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들과 게르쩬 사이의 담화나 편지가 그들 사이에서 이 부분이 어느 정도 양해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는 폴란드인들이 스스로 슬라브적 세계에 동참함으로써 역사의 새로운 흐름에 따를 것이라고 믿었다. Western Europe, for Herzen, is the world of the fatal disease. He thoughts that the problems of the western culture arose from the effect of Catholicism, and it was alien to the Slavonic genius. Particularly, he thoughts that all evil of the western world was caused by the dualism of Catholicism. He can see the effect of Catholicism in A. Mickiewicz and Herzen deplored as the messianism of Poles. Herzen believed that thos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for 'the man of liberty'. So, he said that absolute morality must share the fate of everything. Herzen divided into the culture of the knight and the culture of the shopkeeper. He distasted the culture of shopkeeper. While disputing between Herzen and Turgenev, Herzen said that bourgeois had not his own culture and they were the class who cast damp over a noble culture. In addition to it, Herzen was convinced that the western world can't sustain any longer because the ruling class of the West was corrupted and dissolved by imperial ambition. So, Herzen's view for the problem of Poland cannot help being had two faces. Herzen can't endure the western aspects of Poland that was caused by her history. For him, surely, it was the object to be dealt. But he has compassion for her history, because her partition was the heritage of the age of Absolutism. So, Herzen pleaded with Poles for her independence of Poland. This excited the hard attack to him from many nationalists Although he was attacked from many nationalists in Russia, he kept on with his pleading. It seems so because it was not only a rightful cause but also it need to ally with someone for russian revolution. At the uprising of Poland, Herzen would persuaded the offices of Russian detachment to join with him. It is as next; "Drawing a belt he neck of neighbors, one can't make start the liberty age of his nation." Herzen dreamed of Poles' join into Slavonic World with Poles' consent. Surely, it means Slavonic federation which the future socialist Russia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urther, these Slavonic federation means the utopian society which has overcome every problem in the contemporary Western Europe. He believed that Poles can go together with the stream of the new history through the join into Slavonic World.

      • KCI등재

        1920년대 민족주의 운동과 기독교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기독교사회윤리의 관점에서

        김명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3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in the 1920s. When Korea became a Japanese colony in 1910,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is divided into two groups: Sillyeogyangseonglon(실력양성론) and Mujangtujaenglon(무장투쟁론)During the 1920’s, the former was to develop into ‘the right-wing of bourgeois nationalist movement’ that claims to Products encouraging movement, Educational movement by founding school in various levels, and Self-government movement. The latter was developed as ‘the left-wing of bourgeois nationalist movement’ that proclaims to Political struggles and absolute independence based on the People. During the 1920’s, the right-wing of nationalist experienced the division of the forces through the culture governing polic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course of this division, the right-wing of nationalist movement wanted to explore each of the theory of the state construction through mutual solidarity and interconnectedness. In this process, Christian nationalists have adopted the principle of democracy based on political justice and humanitarianism after the 3.1 movement as the basic principle of national movement, as they adopted Protestant capitalist economic ethics, socially pursued social transformation ethics based on Social remodeling and social gospel. 이 글은 1920년대 민족운동과 그에 기독교민족주의자들의 윤리를 다룬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국내의 민족운동세력은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는 세력들과 ‘애국계몽운동’을 계속하면서 무장투쟁노선으로 전환하는 입장을 지닌 세력으로 분화되었다. 1920년대 들어와서 전자의 입장은 물산장려운동, 각종 학교설립운동, 자치운동 등을 주장하는 개량주의적 운동인 ‘민족주의 우파’로 발전하게되었고, 후자의 입장은 대중에 기초한 정치투쟁과 절대독립을 우선적으로 주장하는 비타협적인 ‘민족주의 좌파’로 발전하게 되었다. 1920년대 국내외의 우파 독립운동세력과 민족주의 운동세력은 일제의 문화통치를 통하여 세력의 분화를 경험하였다. 이 분화의 과정에서 우파 민족주의 운동세력은 상호연관성과 연대를 통하여 각각의 국가건설론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3.1 운동 이후 정치적으로 정의와 인도에 입각한 민주주의 정치원리를 민족운동의기본원리로 삼아 경제적으로는 개신교자본주의 경제윤리와 사회개조와 사회복음에 입각한 사회변혁윤리를 추구하였다.

      • KCI등재

        창립기 신간회의 성격 재검토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2

        When Singanhoe was initiated January 19th in 1927, 『The Chosun Ilbo』ㆍ『DongA Ilbo』ㆍ『The Chungoi Ilbo』 and so on made an emphasis on the promotion that Singanhoe was a pure nationalist party. These newspapers cited the goal of Singanhoe from a representative who took a responsibility to report that Singanhoe would like to form the leftwing front in the middle of nationalism to exclude the rightwing idea. The ‘pure’ in pure nationalism was not just a pre-noun to add a meaning but an important notion to show the essential property of nationalism. The more the pure nationalism put stress on the nationalism, the better it was separated from socialism and communism. In addition, the word pureis contradictory to the ‘impure’ so that pure nationalism disapproved nationalism that was not pure. Of course, it could not be the same usage in these days but this time the pure had a little bit of meaning like leftwing. Like autonomy movement between pure and leftwing that became corrupt to negotiationism, these two words were the language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political powers that were impure. Because the leftwing meant pure, here pure nationalism and leftwing nationalism had the synonymity. The rightwing idea that was exclusive and impure from which Singanhoe rejected was opportunism which was the same to the negotiationism as the third principle of Singanhoe pointed out. The leftwing-national(ism) front was not the cooperative front from the nationalists and socialists. Also we know that it was the organizer that no nationalists were included just forming its name as leftwing in the middle of nationalism. Leftwing front in nationalism resisted Japanese pressure based on the idea of nationalism which was the camp as an intransigent nationalist that intended to have perfect independence. They established the Japanese as enemy to break and accepted the social idea and denounced negotiationism like the autonomy movement. When 『The Chosun Ilbo』 prescribed Singanhoe as unified one national party in May, 1927, it was true that Singanhoe claimed to be pure nationalism consistently. 1927년 1월 19일 신간회가 발기하자, 『조선일보』ㆍ『동아일보』ㆍ『중외일보』 등 국내 신문은 신간회가 ‘순(純)민족주의 단체’로서 발기하였음을 강조하였다. 이들 신문은 신간회의 책임자의 말을 인용하여, 신간회의 목표가 “우경적 사상을 배척하고 민족주의 중 좌익전선을 형성”하는 데 있다고 보도하였다. 純민족주의에서 ‘순’은 한 가지 뜻을 첨가하는 관형사가 아니라, 민족주의의 본질속성(essential property)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었다. 순민족주의는 민족주의를 더욱 강조하였으므로, 이질(異質)의 사회주의ㆍ공산주의와 분리되었다. 나아가 ‘純’은 ‘불순’(不純)과 대립하므로, 순민족주의는 不純한 민족주의를 배격하였다. 요즈음과 전혀 다른 용례였지만, 이때 純은 左翼과도 같은 의미를 지녔다. 純과 左翼은 자치운동처럼 타협주의로 타락해버린, 不純한 성향의 정치세력과 스스로를 구별하려는 강조어였다. 左翼이 純과 같은 의미를 지녔으므로, 순민족주의와 좌익민족주의는 동의어였다. 신간회가 배척한, 타락하고 不純한 ‘우경적 사상’은, 신간회 강령의 세 번째가 지적한 기회주의=타협주의였다. 민족주의 좌익전선은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협동전선이 아니었다. 또한 민족주의자를 모두 포괄하지도 않으며, 민족주의 가운데 좌익으로 구성되는 조직체였다. 민족주의 좌익전선은 민족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일제에 저항하고 완전독립을 지향하는 비타협 민족주의 진영을 가리켰다. 이들은 일제를 타도할 적(敵)으로 설정하였고, 사회주의 이념을 일정하게 수용하였고, 자치운동과 같은 타협주의를 배격하였다. 민족주의좌익전선ㆍ민족좌익전선으로서 신간회가 발기할 무렵에는, 조선민흥회가 1926년 7월 발기하여 창립대회를 준비하던 중이었는데, 당시 사회의식이 조선민흥회를 ‘민족적 단일전선’으로 성격규정하였으므로 신간회 주도자들은 신간회의 목적의식을 이와 달리 천명할 필요가 있었다. 1927년 5월 들어 『조선일보』가 신간회를 민족단일당으로 규정하기까지, 신간회는 일관되게 순민족주의를 표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