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山東黃海沿岸地區民間信仰硏究

        候杰 중국사학회 2003 中國史硏究 Vol.26 No.-

        산동 황해 연안 지역의 민간 신앙은 상당한 연구 가치가 있는 과제이며 내용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국내외 학자들로부터 충분한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사회 실천성이 자못 강한 산동 황해 연안 지역의 민간 신앙은 매우 복잡한 집합체이며, 그것을 결정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 전통과 사회 인소는 무척 다양하다. 이 논문은 민간 신앙의 형성 및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연 지리환경, 도교 신앙, 유가 문화, 농업 사회와 해양 문명 등을 구체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혔다. 즉 산동 황해 연안의 특수한 자연 지리 환경, 유구한 역사를 가진 전통 문화와 지역의 민중 정서, 사회풍속은 민간 신앙과 모종의 필연적인 관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근세 이래 중국에 전래된 천주교, 기독교 및 다양한 신령을 숭배하며 아울러 늘 비밀리에 활동했던 민간 종교, 그리고 명절 축하 행사, 희곡, 가요, 속담 및 신화, 전설, 역사 고사 등의 민간 문화 역시 마찬가지로 이 지역의 민간 신앙에 대하여 은연중에 감화 작용을 일으켰다. 게다가 산동 황해 연안 지역의 민중 생활은 바다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바다와 海神에 관한 특수한 신앙이 존재한다. 요컨대, 풍부한 민속 활동의 배후에 드러나는 산동 황해 연안 지역 민간 신앙 활동 내용의 풍부함과 복잡함은 일정한 多神性, 혼란성과 함께 뚜렷한 포용성과 사회적 整合性 갖고 있다. 다시 말해 이 지역은 산등황해 연안 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또한 중국의 여타 지역 민간 신앙과의 일치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근대시기 중국동북지역 민간신앙의 ‘복합성’ - 이민의 유입에 따른 민간신앙의 이식과 융합을 중심으로 -

        박경석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4 중앙사론 Vol.0 No.40

        本稿分析了近代以來東北地區民間信仰的地域特色。首先,可以看出清末的移民增多和東北地區民間信仰的發展有著非常密切的關係。和各種‘旣成宗敎’或‘民間宗教結社’一樣,民間信仰大概也是和移民一起從關內流入的。通過在崇拜對象或祠廟,廟會等方面移植、複製關內的民間信仰, 東北地區形成了新的宗教信仰。但是,近代東北地區的民間信仰不是單純的從關內移植和複製而形成的。關內流入的民间信仰和東北固有的信仰體系及自然地理條件相互作用从而出體現了東北地區民間信仰自有的地域性。首先,在關內的民間信仰的流入擴散過程中,東北固有的萨满教也相當活躍。第二,關內的民間信仰和東北地區重迭積澱,根據影響程度的不同體現出明顯的地域差異,反映了東北固有的地域情況。第三,關內的神祗不是依次取代現有的神祗流入的,而是重疊流入的。由于移民的涌入,对信仰的需求多样化,从而出現了濃厚的‘多教一廟及一人多教’的狀況。第四,森林地帶广袤的東北地區由于自身自然地理因素的影响,也出現了重視動物神等自然崇拜的傾向。最後,移居和東北移民帶來的信仰,作為收容方的東北原有的信仰體系,自然地理環境的特點,以及移民在東北所處的社會環境,這些因素相互作用,通過‘復合化’這一過程,其結果具有了自己獨特的‘復合性’。如此,關內的信仰在不同的方向性相互作用下共存,可以看出這種共存是外來和當地融合成的一種形態。這不是傳統的持續或中斷的單線發展過程,而是根據現實需要‘不斷累積的解析’的歷史過程。东北地区形成并经历了充满离散,定居,流离,逃逸,彷徨的文化认同,考虑到这一过程的历史性和现代性。作为“惯行”的民间信仰,经历了近代的再构成过程,本稿将这一过程和充满多种矛盾,飘摇的近代东北社会的变化相结合,进行了综合的考察。伴随着清末以来的大规模移民,关内的传统在空间上转移到东北地区,体现了近代的再构成过程。即,由传统到近代的過程中, 持续和中断的时间性变化在东北得到了在空间上發展.

      • 민간 신앙과 기독교가 체코의 혼례에 미친 영향

        권재일(Kwon, Jae-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기독교가 보급되기 이전의 체코의 혼례는 전적으로 민간 신앙과 민간풍습에 의존해오다가 기독교가 보급되면서 기독교의 영향을 받게 되고, 16세기 중반 교회 혼례의 의무화가 선언된 이후에는 그 영향력이 절정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코의 혼례는 민간 풍습과 관습의 전통을 계속 유지해왔고, 근대 시민 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그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비록 혼례식은 성당이나 교회에서 거행하지만 나머지 의식은 민간 전통과 민간 의식에 따르고 있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결국 체코 혼례에 대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이 시기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역사의 초기에는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컸다고 한다면,중기에는 기독교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후대에 와서는 시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민간 풍습의 영향력이 증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체코의 전통 혼례를 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혼례식을 기준으로 혼례식 이전 의례의 단계에서는 기독교적인 영향력이 차츰 증대되는 추세를 보이다가 교회에서 거행되는 혼례식에서 절정을 이룬 다음, 혼례식 이후 의례부터는 다시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의 영향력이 중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훈과 약혼에서 결혼 전야제에 이르기까지의 혼례식 이전 의례는 거의 전적으로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혼인 예고와 신랑과 신부에 대한 교려 문답과 같은 일부 의례만 교회에서 행해질 뿐이다. 혼례식은 교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적으로 기독교 의식에 따르지만,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는 여기에도 민간 신앙적인 믿음이 침투하고 있다. 그리고 피로연, 신부의 기혼녀 머리 씌우기, 신행, 신부 맞이하기와 다루기 등으로 구성되는 혼례식 이후 의례에서는 다양한 민속과 각종 민간 신앙적이고 주술 신앙적인 비방이나 처방이 가장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다산을 기원하고 재앙을 예방하기 위한 민속적이고 민간 신앙적인 의식이라 할지라도 그 속에는 대부분 기독교적인 요소와 기독교적인 상징체계가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체코의 전통 혼례는 민간 신앙적인 요소와 기독교적인 요소가 혼합되고 복합된 양상임을 알 수 있다. The Czech wedding had been celebrated according to the popular customs and manners before Christianity, while with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the Czech Lands the influenc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on the wedding had been on the increase, particularly after the Decree of the Council of Trent in 1563 that the wedding ceremony must be held in the Church only. Nevertheless, common people continued to celebrate their weddings in their manners, even though the ceremony itself was solemnized in the Church. Proposal of marriage, marriage settlement, engagement, preparation of wedding costumes, wedding cakes, wedding tree, and floral wreaths, most of these events before the wedding ceremony were in accordance of folk customs and manners, which included many kinds of popular believes, superstitious believes, and magic practices. In the fπst part of the traditional Czech wedding only the wedding announcement and catechism, i.e. question-and-answer examination of the bride and bridegroom took place in the Church. Parents' blessing to the bride and bridegroom in the morning before leaving for the Church was a mixture of popular rites and Christian ones. Of course, the very ceremony of the traditional wedding was held in the Church or Cathedral, however popular believes penetrated into even the marriage service in the Church. For example, people believed that the one who steps to the altar first he or she will dominate his or her partner in their household. Also they believed that it is a sign of good luck if the sun shines at the moment when the new couple says “ano(Yes)" before the altar. Almost all celebration programs after the wedding service in the Church like stopping of the bridal procession, wedding reception, cepeni, i.e. putting the cepec, symbol of the married woman, on the head of the bride, orientation and test of bride in her new house, wedding dances and plays, all these were under the influences of the popular manners and customs as well as various magic practices, secret measures, popular believes, and superstitions. For example, the rite of making the bed(stlani loze) for the married couple in the first night was originated from a magic practice to protect the couple against the evil powers as well as to ensure the fertility of the couple. Another example is that the rite of scattering the corns over the couple when they arrive at the home of the bridegroom’s parents had the meaning for the people to wish the couple fertility.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ceremonial acts like the leading of the bride to the bridegroom in the first night and the bride’s farewell to her home the day after the ceremony were more influenced by Christian traditions. Furthermore most of the ceremonial acts based on the popular manners and customs contained Christian elements and Christian symbolism Therefor we can say that the Czech traditional wedding was influenced not only by popular manners and popular believes but also by Christian ones. It was only a matter of degree.

      • 明淸泰山信仰與社會秩序

        代洪亮(Dai Honglia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4 아시아연구 Vol.- No.19

        민간신앙은 사회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중국의 복잡한 신앙체계중 泰山信仰은 그 중에서도 중요한 내용이다. 泰山信仰은 주로 東嶽大帝, 泰山碧霞元君, 泰山石敢當 등의 신앙을 포괄하는데, 민중의 일상 신앙은 문화질서에 대한 그들의 이해와 심령의 귀속을 반영해 준다고 하겠다. 泰山을 신봉하는 신도는 그들 마음속의 지고무상한 신령이 神靈秩序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그들은 泰山神이 그들에게 복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있다. 사회문화 질서가 예제에 부합하는지는 통치자가 관심을 갖는 중요한 문제이다. 어떻게 민간신앙질서를 관방의 통제하에 넣을 것인가? 어떻게 태산신앙 질서를 유효하게 관방의 통제하에 둘 것인가? 지방신은 승격시켜 구역신 혹은 국가신으로 만들어 국가 國家祝典에 기재하고 지방신을 정통적인 질서에 납입시켰다. 그러나 태산신앙에서 東嶽大帝 信仰은 國家祝典에 기재되어 있지만, 碧霞元君 信仰은 祝典에 기입되지 않았다. 민중의 朝拜泰山의 대다수는 泰山碧霞元君을 奉祀하는 것이다. 明武宗 때, 泰山 香脫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민간이 일종의 태산신을 숭배하도록 하는 초보적인 규범화의 시도로 명대 중기 정부가 태산 신앙의 태도를 바꾼 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관방이 향세를 통해 민간의 재부를 약탈하는 외에 세수라는 방식을 통해 태산 신앙을 규범화함과 더불어 태산신앙을 국가 규범화의 범주로 귀속시키는 것이었다. 건륭 즉위 후, 사회문화 질서에 변화가 생기자 민간문화 질서에 대한 통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해졌고 국가 경제상황도 갈수록 좋아졌기 때문에 태산 향세는 폐지되었는데, 이는 정부가 민간문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슨한 정책을 취했음을 반영하고, 강희제시기는 상대적으로 사회 통제가 더욱 약화되었음을 보여준다. 태산 향세는 세액이 많지 않았지만 향객에 대하여 일종의 盤剝으로 泰山香稅는 대부분 省府나 京師로 운송되었다. 泰山 香稅의 存廢는 신앙질서와 사회통제 문제와 관계되어 있고 지방 경제의 발전과는 크게 관련이 없다. 그러나 신도의 朝拜泰山은 소비행위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泰山 地方 經濟 發展에 중요한 추동역할을 하였다. Folk belief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social culture. Among the complex belief system in China, Mount Tai belief is one of the important contents. The Mount Tai belief includes the God(Dongyuedadi), Goddess(Bixiayuanjun) and Tablets of Mount Tai and so on. People's daily belief reflects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order and the spirit. The believers don't care whether the supreme God is in accordance with the divine order, but they are concerned whether the God will bless them or not. It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governors whether the social cultural order is in line with the ritual system. How to get the order of social culture into the control of the authority? How to get the order of the Mount Tai belief effectively into the control of the authority? Via upgrading the local God to the regional or national God, recording them into the sacrificial rites of the state, thus the local God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orthodox order; however, in the Mount Tai belief, Dongyue Emperor belief was recorded into the sacrificial rites of the state, whereas Bixia Empress belief wasn't. When people worship Mount Tai, mostly they enshrine Bixia Empress. Under the rule of the emperor Wuzong(Houzhaozhu 1491-1521), the incense tax was established, which was a preliminary standardization attempts for Mount Tai belief, reflecting the change of the government's attitude to it in the mid-Ming dynasty. The authority plundered the private wealth via the incense tax, and tried to regulate the Mount Tai belief through it as well, and incorporated it into the category of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After the Emperor Qianlong(1711-1799) acceded to the throne, the order of the social culture was changed. The control of the folk cultural order was relatively relaxed, and the nation's economic was increasingly improved, which led to the abolition of the incense tax in Mount Tai, reflecting the government's slack policy to folk culture, and the fading social control in Kangxi period(1654-1722). The incense tax is not high, but is a pilgrim exploits, most of which was transported to the Prefecture or the capital of the country. The abolition of the incense tax is related to the order of beliefs and social control, and has little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rritorial economy. However, the consume behavior raised by the worship of Mount Tai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in Mount Tai. 民間信仰是社會文化的重要構成部分,在中國複雜的信仰體系之中,泰山信仰是其中的重要內容。泰山信仰主要包括東嶽大帝、泰山碧霞元君、泰山石敢當等信仰,民衆的日常俗信反映著他們對於文化秩序的理解與心靈歸宿。泰山信仰的信徒並不關心他們心目中至高無上的神靈是否符合神靈秩序,他們關心的是泰山神能否赐福給他們。社會文化秩序是否符合禮制是統治者關注的重要問題。如何讓民間信仰秩序納入官方控制之下? 如何讓泰山信仰秩序有效納入官方控制? 可以通過把地方神升格爲區域神或者國家神的途徑,載入國家祀典,地方神就被納入正統秩序; 不過泰山信仰之中,東嶽大帝信仰載在國家祀典,而碧霞元君信仰則未入祀典,而民衆朝拜泰山,多是奉祀泰山碧霞元君。明武宗時,泰山香稅設立,這是一種對於民間崇信泰山神初步規範化的嘗試,反映了明代中期政府對於泰山信仰態度的轉變,官方除了通過香稅掠奪民間財富之外,也試圖通過稅收的方式規範泰山信仰,並把泰山信仰納入國家規範化的範疇; 乾隆卽位後,社會文化秩序發生變化,對於民間文化秩序的控制相對放鬆,而國家經濟狀況也日益好轉,因而有了泰山香稅的廢除,反映了政府對於民間文化的相對寬鬆政策,以及相對於康熙時期而言社會控制的減弱。泰山香稅,稅額不高,但是卻是對於香客的一種盤剝,泰山香稅,大都運送省府或京師。泰山香稅存廢,關係到信仰秩序與社會控制問題,而與地方經濟的發展關係不大; 然而衆信徒朝拜泰山引發的消費行爲,卻對泰山地方經濟的發展帶來重要推動作用。

      • KCI등재

        民間信仰에 대한 國家權力의 규제

        김상범(金相範)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6 No.-

        본 논문에서는 한대부터 위진남북조시기까지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서 유교국가의 확립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추진된 민간신앙에 대한 규제정책의 특징과 그 의의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국가권력이 민간의 신앙동태에 관심을 갖고 통제하기 시작한 것은 秦이 천하통일을 이룩하기 전부터 나타나는데, 秦정부는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西門豹나 李氷같은 지방관들을 통해서 기층지역사회의 민간신앙을 철폐하고 祭祀權을 회수하였다. 西漢후기이후 민간신앙의 규제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유교국가의 확립에 따라서 유교식국가제사의 확립과 민간제사에 대한 철폐조치가 함께 진행되었다. 成帝시기에 周의 예제에 의거하여 南北郊 중심의 제사제도를 건립하고 淫祀를 금지하자는 匡衡의 건의가 전폭적으로 수용되면서, 유교식 통치이념을 확산시키고 그 밖의 신앙과 의례는 ‘음사’라는 명목으로 철폐시켜야 한다는 관념이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東漢대에 이르면 음사철폐의 사례가 현저히 증가하는데, 특히 유교이념의 실천을 중시하던 循吏들이 지방의 민간신앙들을 엄격하게 규제하기 시작했고, 유교식 학교제도를 보급하면서 교화정책을 추진하였다.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社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제사공동체가 와해되고 강남 일부지역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지역신앙 즉 淫祠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는데, 이에 따라 여러 왕조들이 전란이 지속되는 가운데에도 민간 사묘신앙 의 동태를 경계했다. 특히 예제개혁을 통해서 유교통치이념을 구현에 치력하던 조위나 북위가 음사철폐에 적극적인 경향을 보인다. 曹魏는 동한말 이래로 빈발하던 종교반란이 국가의 안위를 위해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 민간제사와 무축의 활동을 左道罪로 엄격하게 단속하였다. 北魏時期 음사철폐 관련 정령은 효문제시기에 집중되는데, 이시기는 北魏 禮制의 전개에 커다란 진전이 이루어진다. 효문제는 鮮卑의 傳統적인 祭天儀式를 폐지하고 유교경전에 의거하여 ‘南郊祭天’을 위시한 중원식 국가의례제도를 도입하였다. 조위나 북위정부는 예제의 확립을 통해서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음사철폐를 통해서 민간의 신앙적 분기를 방지함으로써 강력한 유교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음사철폐의 주요한 특징은 지방에서의 음사규제활동이 더욱 활발하게 전개된다는 점이다. 당시의 지방관들은 음사철폐와 더불어 학교건립과 성현제사의 보급등 후속조치들을 병행했는데, 음사규제조치가 점차 지방관들이 유교이데올로기를 확산시키는 주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自戰國時代至秦國統一天下, 諸國爲了加强中央集權體制, 除了一些制度上的改革 之外, 並重視宗敎信仰的整備及意識形態的統一. 國家一方面努力建設國家祭祀系統, 另一方面則盡力廢除一些區域性或非正統性的民間信仰活動, 試圖强化統治者及朝 廷的威嚴. 但至此爲止, 尙未正式出現‘淫祀’或‘淫祠’之辭彙. 普遍使用這個名詞, 可 能是西漢後期以後的事情. 到了成帝年間, 匡衡上奏云: “正南北郊, 罷諸淫祀.” 西漢元、成之際, 在國家祭祀制度的開展上發生了空前的大變革, 匡衡他們先後建議前代 帝王所建的一些宗敎設施皆不合儒家的禮典, 應該予以廢除, 並主張按照周代之制, 長安郊外建立祀天祭地的南北郊. 他們的這些意見全部爲漢成帝所採納, 遂於建始二 年正月在新建成的南郊舉行漢代首次的祀天儀式. 由此可見, 匡衡所謂的淫祀, 係指 不合儒家祀典的各種祭祀. 有關西漢的史料中, 一些相關淫祀的紀錄, 大多集中於中 央層次的詔令或高級官僚的上奏文上. 與此相較, 到了東漢, 撤廢淫祀的實例明顯遽 增, 並詳細描述地方官進行撤廢淫祀的具體原因、經過以及事後的後續措施. 魏晉南北朝時期, 在內戰與外來入侵者成爲混亂的狀態下, 不少王朝, 仍然關心民 間祠廟信仰的發展趨勢及其動態, 有關撤廢淫祀的政令及事例也比前代明顯增加. 整個魏晉南北朝長時段的歷史當中, 對淫祀方面保持最積極的態度者, 則爲曹魏及北魏王朝. 曹魏政府基於東漢末年以來宗敎性叛亂對國家安全造成的嚴重危害, 下詔命令對於國家所不允許的民間祭祀或者是巫師之活動, 即以左道罪來嚴格處罰. 由於黃巾起義的餘威猶在, 恐其再度作亂, 因而予以鎭壓. 除了這些原因之外, 値得注意的是相關撤廢淫祀的詔令中, 幾乎同時提到禮制改革方面的內容. 曹魏立國之時, 雖然天下仍然兵士迭起, 而政府卻積極從事建立禮制的工作, 以利於國家正當性的確立. 撤廢淫祀與禮制改革或禮制推動之間的密切關係亦見於北魏時期, 而引人注目的是這 些政令或事例都集中出現於孝文帝以後. 孝文帝時期是在北魏禮制的開展上頗爲重要的時期, 他主導廢除鮮卑傳統的祭天儀式, 據儒家經典逐漸採取中原式的祭典.禮制改革, 尤其是國家祭祀上的興革, 一直是孝文帝改革運動的核心.至於地方方面, 大多數地方官僚, 基本上可能跟隨社會中已有的或者是正在蓬勃發展的信仰習俗, 似乎沒有明顯的自覺及批判意識, 參與民間的一些信仰活動. 也有與淫祠的神職人員結合, 從中奪取民眾錢財的例子. 但是, 其中仍有爲數不少地方官, 自己管轄的行政區域內, 致力禁絶禮典所不許的淫祠及巫師欺民歛財的行爲. 這些禁絶淫祀的行動中, 引人注意的是與此幾乎同時出現的有關先賢祭祀、學校敎育、風俗改革等的內容. 他們在任期之內, 一方面致力撤廢境內的淫祠, 另一方面則大力推動禮敎的傳播. 禁毁淫祀在魏晉南北朝時期中, 逐漸成爲國家或其官僚推動儒家意思形態的主要手段之一.

      • KCI등재

        역사민속학의 민간신앙 연구관점

        이필영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Historical folklore study in the field of folk religion is not far from the principle of historical science and popular life history and their relevant points of view. Considering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of methods in historical science, a number of noteworthy viewpoints in the field of historical folklore can be illustrated. First, it is appropriate to broadly define the folk religion as the religion handed down from people as well as the religion handed down from all social classes. Second, the study subject of folk religion should not be confined to village religion, home religion, and shamanism.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how folk religion comprises the mutually related interacting functional whole with other aspects of culture. Third,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o utilize all related research materials even outside historical resources when studying historical folk religion or finding historical linkage of current local folk religion with past literatures on folk religion. Fourth, the topics yet to be revealed their value from historical materials cannot be easily neglected. The historical folklore study on folk religion should be based on ‘the attention to all folk religions in history’. Fifth, the topics of Korean folklore especially those contain universality over region or time, needs particular attention in the future. Sixth, the folk relig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religion instead of the subject of study irrespective of any academic approaches to be taken. Without grasping this notion, one could only scratch the superficial surface without touching the essence. 역사민속학은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표방하면서, 그 안에 민중생활사를 주된 연구 내용으로 담아내고자 목표를 둔 학문이다. 역사민속학은 역사학과 민속학이란 2개 학문이 단순히 결합된 용어가 아니다. 역사민속학의 중심 낱말은 민속이다. 그것이 역사속의 민속이든 현장 속의 민속이든, 민속을 역사과학의 차원에서 보려는 학문이 역사민속학이다. 특히 현장 속의 민속은 역사 속의 민속 이상으로 중시되어야 한다. 민간신앙 분야의 역사민속학 연구도 기본적으로 역사과학과 민중생활사라는 대원칙과 그와 관련한 제 관점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역사민속학 방법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민간신앙 분야의 중요한 관점들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신앙은 그 뜻을 ‘백성들(또는 민간) 사이에 전승되어 오는 신앙’인 동시에 ‘모든 사회계층에서도 전해 내려오는 신앙’으로 확대하여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민간신앙의 연구대상을 마을신앙(고을신앙을 포함하여), 가정신앙 그리고 무속에 한정시켜서는 안 된다. 민간신앙이 다른 부면의 문화와 어떻게 ‘상호관련된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해야 한다. 셋째, 민간신앙 연구는 장차 민중사상사의 한 부분을 담당하는데 一助를 하거나, 또한 민중사상사의 측면에서도 민간신앙이 연구되어야 한다. 넷째, 역사상의 민간신앙을 연구하거나 현재의 민간신앙 현지자료를 과거의 민간신앙 문헌자료와 연계하여 그 역사성을 추구할 때에, 역사문헌 외에도 다른 모든 분야의 자료를 최대한 광범위하게 이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역사자료에 의하여 그 역사성이 잘 밝혀지지 않는 주제라 하여 무시되거나 소홀히 할 수는 없다. 민간신앙에 대한 역사민속학 연구는 ‘역사 속의 모든 민간신앙에 대한 관심’에 기초해야 한다. 여섯째, 한국의 민속학 자료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지역과 시간을 초월하여 보편성을 지니는 주제에 대해서도 향후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일곱째, 민간신앙을 어떤 학문의 입장에서 접근하든 그것이 학문의 대상이기 이전에 그것이 신앙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본질을 보지 않거나 보려고도 하지 않으면, 우리는 학문 대상의 외피에서만 맴돌고 그 내면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저지를 수 있다.

      • 헝가리 의례 문화에 나타난 민간 신앙 요소 연구

        이상협(Lee, Sang-Hyup)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본 연구는 실제 현지 조사에 바탕을 둔 헝가리 전문 민속학자들의 구체적인 조사 연구 결과물들을 토대로 하여 이를 종합하고 재분류, 분석 그리고 해석하는 방식을 택하였으며, 의례 문화의 연구 대상으로는 인간의 ‘인생고비(life crises)’에 수반되는 의식으로서 “통과 의례 (rites of passage)" 에 해당되는 의식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또한 ‘분리 의례’, 전이 의례’,‘통과 의례’의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출생 의례, 결혼 의례, 장례 의례를 중심으로 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민간 신앙에 관하여서는 헝가리 관련 학계의 다양한 연구 내용을 조망하여 헝가리 민간 신앙을 요약 개괄하는 내용을 제시하여 의례 문화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헝가리 인들은 언어의 독특함과 함께 민족 이동 과정을 통해 여러 상이한 문화권과 접하여왔으므로 유럽 내에서도 이국적이며 많은 이질적인 요소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헝가리 인들의 고대 신앙 및 민간 신앙 역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민간 신앙과 기독교 특히 기독교 수용 이전과 이후의 상황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았고, 민간 신앙에 기초한 전통적 세계관, 생과 사, 육신과 혼(魂) 그리고 인간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의례 문화 즉 통과 의례는 다수의 헝가리 인들이 행하는 기본적인 의례 의식을 중심으로 개괄하여나갔다. 이에 있어서도 생의 주요 단계와 관련 된 출생의례, 결혼 의례 그리고 장례 의례를 민간 신앙의 관점에서 조망하여 조사하였다. 한 민족의 전통 관습과 의례 문화를 민간 신앙의 관점을 통해 조명한다는 것은 방대한 작업을 요구하는 것일 뿐 아니라, 지역적 편차도 크게 나타날 수 있고, 현대 과학과 기술 문명사회에서는 전통 관습과 의례 그리고 민간 신앙이 점차로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헝가리 인들의 전통 의례 문화와 민간 신앙에 관한 핵심적 맥락과 관계를 조명하는 것으로 목표를 삼고, 학술적으로도 논란이 되고 있거나 세부적인 지역적 편차나 차이 및 다양성 등은 필요한 경우에는 참고문헌을 제시하는 것으로 대신하였다 민간 신앙에 나타난 세계관과 우주 만물에 대한 인식 역시 하나의 통일된 틀과 모습을 갖추고 있다고는 볼 수 없겠으며, 민간 신앙에 기초한 의례 의식 역시 완전하게 재구성하기는 어렵고 다만 그 흔적과 자취를 찾아내어 볼 수는 있었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고대 신앙 및 민간 신앙은 변형되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접하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어 원래의 모습을 완벽하게 추출해낸다는 것은 헝가리의 전문 학자들에게도 거의 불가능한 작업으로 여겨지겠지만, 관련 연구 자료들을 통해 ‘헝가리인의 전통 의례 문화와 민간 신앙’을 고찰해보는 본 연구 시도를 통해서 전래 풍습과 민속 문화를 좀 더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보며, 또 가돌릭, 칼빈교, 루터교 등의 기독교적 시각에서의 의례 문화 연구 결과를 결합하면 보다 더 완벽한 체계를 갖춘 헝가리 인들의 의례 문화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헝가리의 전통 문화와 사고는 아직까지도 우리에게는 생소한 점이 많지만, 이 조사 연구를 통해 나타나고 있듯이 헝가리 인들의 고대 샤머니즘에 바탕을 둔 세계관과 전통 의례 의식의 자취는 전혀 낯설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으며, 헝가리 민중의 의식과 민족 문화에 대한 접근을 보다 더 용이하게 그리고 바론 길로 들어서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bines, reclassifies, analyzes and interprets the concrete results of fieldwork research conducted by the Hungarian folklorists. It addresses birth rites, wedding rites and funeral rite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rites of passage which accompany every life crisis and, at the same time, the most representative rites of separation, transition and incorporation, respectively. The thesis also draws on various academic research resources in Hungary to provide a summary of the Hungarian folk belief, enabling the understanding of its correlation with the Hungarian rituals. In particular, Hungarian culture is considered as exotic and disparate in Europe as Hungary has a unique language and interacted with various diverse cultural groups during the national movement. Likewise, ancient and folk beliefs of Hungary are found to have reflected such disparity. In detail, the thesis reviews the relation between folk beliefs and Christianity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nd addresses the traditional world view and the conceptions of life and death, body and spirit, and human beings. And it examines the basic, major life change ceremonies done by the majority of Hungarians which accompany birth, marriage, and death from the viewpoint of the Hungarian folk beliefs. Looking into the traditional customs and rituals of a people from the standpoint of folk beliefs requires an extensive research but it may result in geographic variation. Furthermore in a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society, such traditional customs, rituals and folk beliefs continue to lose their meanings. Therefore the thesis investigates the context and correlation between the tradi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of Hungary. For controversial findings , geographic variation or diversity, a list of references is presented. The views on the world and the universe found in folk beliefs are not consistent in their form and content and it is difficult to perfectly reproduce the folk belief-based rituals. Even Hungarian scholars are not able to pick out the original features of the traditional and folk beliefs that have continued to change in the swirl of history and during the interaction with diverse religions and cultures. Still,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ir traces and vestiges. This thesis contemplates』 the tradi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of the Hungarian people 『through relevant research sources to help better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stoms and folklore. Combined with the studies on the rituals conducted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s of Catholic, Calvin and Lutheran Church, it will enable more systematic analysis of the Hungarian rituals. Traditional Hungarian culture and the way of thinking is still unfamiliar to us, but, as this study shows, the traces of their traditional rituals and world view based on ancient shamanism are not strange for us at all, providing an easy but the right access to the Hungarian spirit and folklore.

      • KCI등재

        近代中國 鄕村社會의 廟會-河北地方 민간신앙의 한 형태-

        이찬원 숭실사학회 2008 숭실사학 Vol.21 No.-

        중국 전통사회에서 廟會는 도시나 향촌의 사회적 결합기능 또는 주민의 종교 활동을 포함한 일상생활의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시되는 주제이다. 최근에는 민속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역사학 등 각 분야에서 점차 이 주제에 관심을 두고 여러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廟會가 중국에서 개최되기 시작한 시기는 遼․金王朝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明淸 시기를 거치면서 華北의 대부분 지역에 도교 道觀와 불교 사찰이 건립되어 묘회는 민간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우, 道․佛의 정통종교는 민간의 일상생활과 상응하면서 교리의 世俗化가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중국의 정통종교는 유교의 ‘敬天祭祖’와 佛敎․道敎를 거론할 수 있으며 이들이 민간에서 세속화할 경우 향촌사회의 多神信仰과 결합한다. 정통종교가 세속화하면서 그 순수성이 희석되면 민간사회의 민간신앙으로 나타나며, 또한 유교와 불교, 도교 간의 혼합현상 즉, 三敎合一을 통해서 민간종교가 나타나기도 한다.묘회는 민간신앙의 집약적 표현물로서 묘회가 다르면 그 신앙의 내용도 다르게 나타난다. 사원에서 모시는 신령과 그 업적, 직능은 묘회를 통하여 전파되고 알려진다. 묘회에서 사원이 가진 의의는 신령의 선양을 통하여 사람에게 신앙심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전파의 기능은 묘회의 구성물을 통하여 실현된다.묘회는 儀式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운영된다. 묘회가 형성된 이유는 조상이 아직 살아있다는 믿음과 각종 신령이 소멸되지 않는다는 영혼불멸의 관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사람과 신령은 서로 소통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묘회는 소통행위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간주되어 사람과 신령 사이, 사람과 조상 사이 혹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집단적 소통이 이루어진다.묘회의 존재를 결정하는 또 다른 중요요소는 사원이 신화나 전설에 의하여 설명된다는 것이다. 민간에서는 龍王, 토지신, 성황신 등 많은 신령을 위하여 廟宇를 짓고 또 상당한 규모를 갖춘 묘회를 통하여 신령에게 경의를 표한다. 이것은 그들의 지위나 공덕에서 기인하며 또한 지역 내에 전승되는 신화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을 통하여 이들 신령을 존숭하는 이유로도 나타난다. 따라서 사묘가 있는 모든 지역에는 신령과 관계있는 신화․전설이 있으며 더 나아가 神話群을 형성하여 묘회문화의 특색을 나타내기도 한다.사원이 묘회의 하드웨어라면 소프트웨어는 제사행위이다. 제사행위에서 그 심리적 바탕은 매우 중요하며 묘회의 형태를 직접 결정한다. 이 심리적 바탕이 바로 민간신앙이다. 민간신앙은 구체적으로 자연숭배와 영혼숭배를 모두 포괄한다. 숭배내용은 민간신앙이 갖고 있는 특징을 서로 관련지어서 고찰해야 한다. 하나는 각종 숭배행위들 사이의 관계, 다른 하나는 숭배행위와 기타 신앙형태 사이의 관계이다. 민간신앙은 사회생활을 통하여 형성되며 묘회에서 언어로 표현될 뿐만 아니라 동작과 소리로도 표현되어 사람들이 추구하는 특유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민속신앙은 가무와 오락활동의 결합을 통하여 묘회의 문화를 형성한다. Miaohui of traditional society in China is an important topic when we examine a facet of daily life including people's religious activities or social connection of towns & villages. Recent days, this topic was debating in various areas like folklore, social studies, anthropology, and history.The starting point of Miaohui in China was back to Geum dynasty of Yio state. Going through Myong-Chung period, Miaohui began to emerge as a major element to make a village society on occasion of Taoism schools and Buddhist temples were erected in mostly on the Northern China. In this case, orthodox religion of Taoism-Buddhism generally becomes secular in doctrines to adjust with people in daily lives. In orthodox religion of China are worship heaven & ancestor, Buddhism, and Taoism. When they are secularized in people, they are possibly to make a tune with polytheism belief. Also as the orthodox religion become secular and dilute in purity, it turns out as popular belief, sometimes it can be transformed as civil religion in mixture of three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Miaohui is a sort of collective expression of civil religion. So when it is different, the contents of its belief can also be degenerated. Deities of shrine, and its achievement & functions are spread through Miaohui. A significance of shrine in Miaohui is for people to feel a certain faith by means of divine abdication of the throne. Here spread function is realized through Miaohui's ingredients.Miaohui is administrated with the main element, ritual ceremony. The reason why Miaohui was made is based on the faith that their ancestors are still alive and their deities are immortal. So they believe that a person & deity can communicate in the space of Miahui, where multi-relational & mutual communication can take place.Another element of Miaohui is that a shrine can be explained by myth or legend. People used to express a sort of homage at large scale of Miaohui to grave where dragon king, land god, and tutelary dwells in. It derived from their status, pious virtue, and it sometime come out as worshipping local god by means of reasonable interpretation concerning myth. So in every places where is private grave, there is also myth or legend related with some deities. Furthermore it also reflects Miaohui culture making a group of myths.If we define Miaohui as hardware, then ritual ceremony will be software. Psychological base of ritual ceremony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determining Miaohui's type. This psychological base is folklore/folk belief. This folklore specifically includes nature & spirit worship. So the worship contents must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double feature of folklore. A relation of each worship activities is on the one side, a correlation between worship behavior and other faith types is on the other. A folklore was formed through social life, and it is expressed not only with language in Miaohui, but also in motion & sounds making a unique atmosphere of the people. Such folklore is making a Miaohui culture in combination with musical and other entertainments.

      • KCI등재

        특집논문 7 : 개념과 실재: 민간신앙 인식에의 물음

        이용범 ( Yong Bhum Yi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4 No.24

        소전 종교학에서 민간신앙에 대한 논의는 민간신앙에 대한 구체적 서술과 민간신앙 인식의 문제에 대한 고찰로 나뉜다. 소전 종교학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후자이다. 민간신앙 인식에 대한 물음은 소전 종교학의 지속적 관심사의 하나이다. 민간신앙 인식의 문제에 대한 논의는 둘로 나뉜다. 민간신앙을 하나의 종교현상으로 자리매김하는 것과, 민간신앙 인식에서 전제되는 종교개념에 대한 성찰이 그것이다. 두 논의를 관통하는 것은 종교 개념에 대한 고찰이다. 종교 개념에 대한 근본적 문제제기를 통해 민간신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고, 아울러 민간신앙은 물론 한국의 종교문화 전반에 대한 재인식을 위한 범주의 재구성을 시도하도록 이끈다. 이러한 논의는 경험적 실재와 개념적 실재의 구분, 종교문화 등 소전 종교학의 중심 개념에 기초한다. 소전 종교학에서 민간신앙 인식에의 물음이 지속적인 관심사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물음을 지향하는 기본적인 태도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소전 종교학에서 종교학의 정체성은 물음의 되물음이다. 종교학은 기존 종교 개념의 해체를 통한 종교현실의 새로운 인식을 지향해야 하는 것이다. 소전 종교학은 일관되게 기존 개념을 뛰어넘어 종교현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새로운 언어 창출을 꿈꾸어 왔다. 인간 삶의 현실에 기반한 열린 물음을 추구하는 문제의식은 당연히 민간신앙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인식에의 물음을 던지도록 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소전 종교학에서 민간신앙 인식에 대한 물음이 갖는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소전 종교학 전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자의 능력 부족으로 그 부분을 정리하지 못하였다. 이런 점에서 이번 글은 소전 종교학의 민간신앙과 소전 종교학 전반에 대한 탐구의 시작에 지나지 않는다. The discussions of folk-belief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consist of definite descriptions of folk-belief and examinations of the question on the perception of folk-belief. The latter takes the central position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The question on the perception of folk-belief is one of the continuous concerns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The discussions on the perception of folk-belief are composed of two. One is to acknowledge folk-belief as a religion, the oth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religion presupposed in the perception of folk-belief. The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do penetrates both discussions. Through the fundamental questioning about the concept of religion they provide a momentum for a novel perception of folk-belief and lead to a reconstruction of category for a new understanding of folk-belief.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the central concepts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the distinction between conceptual reality and empirical reality, and religious culture. The fact that the question on folk-belief perception is one of the continuous concerns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seems to be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fundamental questioning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InSojeon`s study of religion the essential identity of the study of religion is given by asking again the existing questions. The study of religion is to aim for a novel perception of religious realitie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established concepts about religion. Sojeon`s study of religion continuously dreamed of creating a novel preception and a new language for religious phenomena by superseding existing concepts. Therefore to comprehend and appreciate accurately the meaning of the question on the perception of folk-belief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needs a full understanding about Sojeon`s study of religion in general. But it is beyond my understanding, so it cannot be dealed with properly.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is nothing but a beginning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folk-belief in Sojeon`s study of religion and Sojeon`s study of religion in general.

      • KCI등재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5

        본 연구는 조선후기 민간도교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민간도교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논구 하려는 것이다. 조선 후기 관제신앙이 관우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신앙이라면, 선음즐교(묘련사)와 무상단은 조직을 갖춘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妙蓮社)의 경우 ``善陰즐``은 『書經·周書』의 洪範傳에서 유래한 유학의 천관을 담고 있지만 수행의 방법으로는 보살성호(예-관세음보살)를 주문으로 수행하고, 신앙의 대상은 三聖(관제, 문창, 부우)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삼교합일적 현상을 보여준다. 임란 이후 왕실의 주도로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던 관제신앙은 민간에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조선 후기 關帝는 충과 효의 화신이면서 유 불 도의 삼교 교권을 집장하며, 생사 죄과 명운을 관장하는 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신의 위력과 가피력이 민간에 경전으로 유포되면서 관제신앙은 벽사와 구복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선음즐교 ``묘련사``는 명청대 ``白蓮社``를 모방한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는 염불을 통한 신과의 ``感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교적 엑시터시(ecstasy)의 상태에서의 降筆을 飛鸞으로 표현하였다. 飛鸞이란 扶鸞扶계라고도 하는데, 종교결사에서 경전을 만드는 방법으로,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의 강필을 의미한다. 선음즐교는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으며,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선음즐교의 난서 『濟衆甘露』의 서문을 장식한 여순양이 강림한 곳이 ``無相壇``이다. 무상단은 徐珽, 丁鶴九, 劉雲, 崔星煥이 주축이 된 독립된 교파로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의 三聖帝君을 숭배하면서 鸞書와 善書를 편찬하고 간행 보급하였다. 조선후기 민간도교 경전은 크게는 鸞書와 善書로 구분할 수 있다. 鸞書는 飛鸞時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 강필서이고, 善書는 『태상감응편』과 『공과격』같은 선행의 표준을 보여주고 권면하기 위한 책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유로 지어진 관묘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관제신앙은 구복과 벽사의 대상으로 민간에 널리 확산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에는 묘련사와 무상단이라는 구체적인 민간도교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감응``을 통한 靈性의 고양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 鸞壇道敎였다. 셋째 조선의 민간도교는 청대 민간도교의 유불도 합일과 종교결사의 조직형태 난단도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선의 민간도교 경전은 鸞書와 善書로 구분되는데, 조선에서 직접 만들어진 鸞書는 민간도교의 특징을 밝혀 줄 열쇠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n what form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has existed and discus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aspects forming the foundation of private Taoism. While Guan Yu Belief(關帝信仰)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is a folk belief focusing on Guan Yu, Seoneumjeulgyo(善陰즐敎) and Musangdan(無相壇) are religious groups with organization. In case of Seoneumjeulgyo(善陰즐敎), ``Seoneumjeul`` contains perspective of Tian(天觀) of Confucianism but the ascetic practice method is to practice by reciting the name of the Buddha and the targets of a belief are Gwanje, Munchang, Buwoo. This shows the unified phenomenon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Guan Yu Belief started at the national level led by the royal family of Chos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firmly settled in non-official circles. Guan Yu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is expressed as the incarnation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well as God controlling life, death and fate. As this divine power and empowerment were spreading as scriptures among people, Guan Yu Belief was settled as a target to defeat the evil and invoke a blessing. Seoneumjeulgyo is the religious group that imitated ``Paekryunsa(白蓮社)`` of Ming Qing time of China. Seoneumjeulgyo emphasized ``sympathy`` with God through chanting. And it expressed writing written in the state of religious ecstasy as ``Binan(飛鸞)``. Binan is also called as revelation and means to be revealed from heav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Seoneumjeulgyo pursued the state united with God through a recitation of a spell and made scriptures writt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as its central doctrine. Musangdan published and spread Nanseo(鸞書,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善書) while worshipping Sam Sung Je Kun(三聖帝君). The scriptures of Folk Taoism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Nanseo(鸞書) and Seonso(善書). Nanseo is a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 is a book to the standards of good deeds and encourage a person to do them such as Taishangganyingbian(太上感應篇) and Gonghwagyuk(功過格).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a shrine of Guan Yu built for political reasons played a central role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Second, specific private Taoist groups such as Temple Myoryonsa and Musangdan appeared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These are Nandan Taoism(鸞壇道敎) that pursued the unity of God through ``sympathy`` with God. Third, private Taoism of Choson was influenced by the unity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ith private Taoism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and religious organization form etc. Fourth, the Folk Taoism scriptures of Choson are divided into Nanseo and Seonso and Nanseo directly made in Choson is expected to be the ke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