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임금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재환,이진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s of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s factors affect wages received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mployment, including the unemployed people. Method: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ata of 4th Waves(2019) and selected 359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tic spectrum disorder). In order to estimate determinant factors of the level of wage through employment, tobit model was used. Results: First, the effect of basic security inco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wag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mployment. Second, among the factors of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physical capacity, ability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interpersonal skill, level of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 and employment-related conne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wage level through employment. Among them, interpersonal skill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wage level through employment. Impl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not only the employed but also the unemployed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and analyzed, suggesting what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get higher wages after employment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do not get a job.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에 어떠한 일상생활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미취업 발달장애인까지 분석대상에 포함시켜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 조사 자료 중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로 응답한 359명의 발달 장애인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을 추정하기 위해 토빗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능력 요인 중에서 신체적인 능력, 대중교통수단 이용능력, 대인관계 능력, 일상생활 도움 필요 정도, 취업 관련 인맥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대인관계 능력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이 연구는 취업자뿐만 아니라 미취업 발달장애인까지 연구대상에 포함시켜 실증 분석함으로써 미취업 발달장애인이 향후 적정임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일자리에 취업하려면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를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전명숙(Myeong-Sook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영향력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1차연도(2016)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여부는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그밖에 경제적 요인, 사회관계 요인, 신체적 요인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취업 장애인은 취업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과 더불어 인구학적 요인의 성별과 연령, 신체적 요인의 장애 등급과 장애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장애인 간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demographic and dis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that employed and unemployed disabled people, and determin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ose factors between the two disabled group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tilized 1st-year(2016)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Korean Panel Study 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ment is a critical factor that influences the disabled’s quality of life. Besides, there are some financial, socio-relational and physical factors on which that quality is heavily dependent. Second, employed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is even more influenced by financial factors, socio-relational factors and health state than demographic factors. Third, unemployed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me demographic factors like gender and age and some physical factors like disability grade and disability period as well as by factors found influencing employed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Thus, the two disabled group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which factors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the disabled’s better quality of life.

      • KCI등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 및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별 특성 분석

        지은,이미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Purposes: This study explore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competency and social support among young adults(20-40 years) with disabilities based on latent class analysis(LCA). Method: The data(506 participants) analyzed was extracted from 2019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released by Korean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Latent class analysis(LCA) was conducted to examin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Result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three latent classes: (a) work competency unachieved-general support needed class, (b) work competency achieved class, (c) work competency unachieved-focused support needed class. Implicat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designs and applications of career and social support service among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과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 및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2019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 506명의 자료를 토대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 및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별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 및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별 잠재계층은 총 3개로 확인되었다. 잠재계층 1 ‘구직역량 미충족 - 전반지원 필요집단’, 잠재계층 2 ‘구직역량 충족집단’, 잠재계층 3 ‘구직역량 미충족 - 집중지원 필요집단’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고용 및 사회적 지지기반 지원서비스의 설계 및 적용에 대한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석원,정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와 고용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factors related to unemployment rates of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to work of economically inactive disable population using the seven sets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factors such as gender, age, health, and the existence of spouse, house and children were proved to be dominant from a demographic point of view. And the factors that were dominant in affecting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of the disabled were age and health. Second, mentally disabled population showed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people with internal-organ disability and population with minor disability showed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population with more serious disability. For the population of economically inactive, the willing to work was higher for people with dysesthesia than people with disability of internal organs. People with minor disability also showed more willingness to work than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y. Third, population that showed higher level of computer competency, human relationship/organization adaptation skill and lower levels of help needed in daily life with a license or certification of some sort showed to have greater employment rates and willingness to work. Population with a middle school diploma was proved to have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those with only elementary diploma or none at all. However, willingness to work was indifferent to educational factor. Fourth, employment services showed positive effects in both employment and willingness to work by the disabled population, whereas disability living aids showed negative effects. Transfer income provided by the government showed negative effects in employment rates and positive effects in willingness to work. 대상으로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장애인고용패널 1차부터 7차까지의 데이터를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인구학적 요인의 경우,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가구주 여부, 양육담당여부, 주관적건강상태가 미취업 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의지에는 연령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요인의 경우, 내부장애인에 비해 정신장애인의 경우가 취업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나타났고 경증장애인의 경우는 중증장애인에 비하여 취업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장애인 비경제활동인구에서는 내부장애인에 비하여 감각장애인의 경우가 취업의지 확률이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증장애인의 경우는 중증장애인에 비하여 취업의지 확률이 더높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인적자본 요인의 경우, 컴퓨터활용능력, 대인관계/조직적응능력, 일상생활도움필요정도, 자격증 보유가 취업과 취업의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졸․미취학에 비하여 중졸의 경우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의지의 경우는 학력 요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지지 요인의 경우, 고용서비스는 취업과 취업의지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기초생활수급여부는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소득은 취업에 부정적영향, 취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미취업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에 관한 인식 유형 연구

        이홍직(Hong Jik Lee),최원희(Won Hee Choi),권소일(So Il Kwo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8 No.-

        This study tried to explore and classify type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decent work amongst the non-employed handicapped in Korea by using the Q-methodology. 29-items of Q-sample were adop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ith the handicapped in Korea. Also, 32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were attending a college or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were invited as the P-sam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C QUANL program. The correlation and matrix was subjected to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of 29-item Q samples and 24 P samples, type of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handicapped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1) working conditions and reward, 2) protected labor market, 3) self-actualizing work seeking, 4) self-confident and competitive work, respectfully. Based on the findings, it delivered suggestions for better practices and policies to prepare decent work for the handicapped in Korea. 본 연구는 미취업 장애인이 인식하는 좋은 일자리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즉,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동 또는 취업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장애인 실태조사 등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해 추출한 Q 진술문 중 내용상의 중복을 피해 삭제 또는 통합 정리하여 최종 29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장애인 대학생 및 직업재활중인 장애인 32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프로그램 통해 분석하였으며, Q요인분석은 주요인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미취업 장애인이 인식하는 좋은 일자리에 대해서 1) 조건과 보상 지향형, 2) 보호된 노동시장 지향형, 3) 자아실현 추구형 그리고 4) 현실안주형 등 이상 4가지 인식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본 연구는 유형별 특성 및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장애인을 위한 좋은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미취업 장애인의 고용서비스에 대한 인식, 장애수용, 사회참여 인식,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신준섭,신유선,양영신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업 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및 환경적 요인들 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년도(2019년) 조 사에 응답한 미취업 장애인 1,9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 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변수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미취업 장애인의 고용서비스에 대 한 인식, 장애수용, 사회참여 인식, 자기효능감은 취업 장애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장애수용, 사회참여 인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 사 회참여 인식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장애수용, 사회참여의 부분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미취업 장애인의 개 인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통합적 고려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disabled persons regarding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f-efficacy of unemploy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sing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Disability Employment Panel Survey in the fourth year (2019), the analysis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wareness among unemploy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employment services, disability acceptance,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employment disabled persons..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ervices impacted disability acceptance,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Additionally, disability acceptance and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The study confirmed partial and du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ervices and self-efficacy, specifically through disability acceptance and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These resul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 KCI등재

        장애인의 취업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 및 동태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조희준,정우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와 고용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by using the removal of selection bias and panel data analysis. It is the data from the 5th to the 7th Panel Stud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group of concern is the one of those people who were successful in employment although they were unemployed at the fifth survey. Also to minimize selection bias and to compare accurately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we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So we could construct the comparison group similar to the main group. After matching, by difference in difference analysis and generalized estimationg equations, we measured the effect of employ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results, the employed group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d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e unemployed group. In particular, the positive effects of employment was more significant o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compared with the mild disabilities. As a result whe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the job, the life satisfaction can be seen more elevated.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active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lead to the labor market for unemployed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게 있어 취업이라는 사건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보다 정밀하게 검증하는 데 있다. 사용한 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2012년)부터 7차년도(2014년)까지의 데이터이며, 분석대상은 5차년도 현재 미취업자 중 그 이후 한번이라도 취업을 한 집단이며,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고 취업의 효과를 정확하게 비교하고자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동태적인 분석방법인 이중차이분석과일반화추정방정식을 이용해 관심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해 취업의 일상생활 만족도 증대 효과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미취업자가 취업을 한 경우에 취업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일상생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의 긍정적 영향은 경증장애인에 비해 중증장애인에게 더 크게 작용하여, 미취업 중증장애인이 일자리를 갖게 되면일상생활 만족도가 경증장애인보다 더 크게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취업 장애인의 적극적 노동시장 유인을 위한 정책적·실천적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의 경제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남연희(Nam Yeunhee),김영삼(Kim Youngsa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1 비판사회정책 Vol.- No.33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로서 「1차-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에 참여한 청각장애인패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애관련 특성, 취업 및 미취업과의 관계,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취업을 예측하는 요인 탐색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1차-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년-2009년)」 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각장애인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경제활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면, 성별, 장애등급, ADL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고용서비스 경험, 직업훈련/교육 경험, 자격증 보유, 건강상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 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행의 청각장애인 고용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Our study is designed for establishing a policy that assists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m. It is focused on their relational variables and estimating the employment of those handicapped. Its analysis is based on data and the first~ the second disables employment panel search(2008~2009). The methodologies such SPSS 17.0 version, percentile, cross-tab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re used for this research. In th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employment, there are gender, handicap level, and ADL as influencing factors. Whereas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of hiring service and vocational training, possession of certificate, health condition, subjective social & economic position, and satisfaction of daily life are not influencing on the employment. It signifies the need of improvement of our current policy on hiring service of deft.

      • KCI등재

        지적장애 취업자와 미취업자 특성 관련 변인분석

        조경은 ( Kyung Eun Jo ),강도명 ( Do Myung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로서 제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적장애인패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애관련 특성, 지적장애인의 배경 변인과 취업 및 미취업과의 관계, 그리고 지적장애인의 취업 및 미취업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제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9년)」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적장애인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 버전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경제활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성별, 장애등급, 일상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력, 고용서비스 경험, 직업훈련/교육 경험, 자격증 보유, 건강상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be a base for establishing policy to support employmen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feature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disability-related features of pane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2nd Research on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il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mployment&unemployment, and the predictive factors for employment& unemploymen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is analyzed using raw data of ``the Second Panel Research o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2009)`` by EDI(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KEAD(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are initiated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s to economic activiti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for effect on employment, gender, degree of disability, and satisfaction for daily living have significant effect as a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ies. And education,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vocational training/education experience, with/without licenses, health condition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have no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허세미(se-mi Heo),이예나(ye-na Lee)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미취업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장애정도(중증, 경증)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다중집단비교를 진행하였다. 분석자료는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6차 자료를 사용하였고, 비경제활동인구 중 본 연구의 주요 변수에 응답한 패널 1,579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은 이들의 대인관계와 장애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받았다. 둘째,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경증장애인에 비해 중증장애인에서 더 큰 것으로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장애수용,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프로그램,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nd willingness to work for the unemployed disabled peopl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employed disabled people on self-estee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re verified. A multi-group comparis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severe and mild). For the data analysis, the 2nd wave 6th data of the employment, a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was used. Among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1,579 panelists who responded to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unemployed disabled people was directly affected by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indirectly affected by self-efficacy. Second,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self-efficacy was greater i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an in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ograms and policies on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were proposed to improve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