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한 서정시의 계보와 그 정치성

        오문석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9

        In this article, I tried to trace the literary history of ugly poetry, but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to examine the aesthetic mea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pursues the domain of pure autonomy, where scientific truth and moral value judgment do not intervene; however, the ugliness tends to always accompany morality. The ugliness, combined with evil, makes pure aesthetic judgment impossible; therefore, to ensure the purity of aesthetic experience, it was necessary to neutralize the element of the ugliness. In fac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pur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 representation of ugly reality because it is always accompanied by moral judgment about ugly reality. The aesthetic autonomy is possible, but the autonomy of pure ugliness is difficult to establish. Next, it is the case that self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ugliness; this is an attempt to discover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perience of exclusion and alienation. This is the work that wants to be an ugly subject in order to cope with ugly reality. They think that intentionally excluding ugliness from art plays a role of concealing the ugliness of reality. They do not attempt to reproduce the ugly reality, but rather to make the work itself an ugly being in reality. In other words, this is not a rational representation of ugliness, but a mimesis of ugliness; they are critical of the glorification of ugliness. Rather, they try to prove that there is a ugliness in reality. Finally, the problem of avant-garde attacking aesthetic autonomy was examined. They are critical of escaping to the aesthetic illusion to forget the ugly reality. The introduction of ugliness is an attempt to open a hole in the closed perfection of aesthetic autonomy, through which the passage to reality is opened. This is not a simpl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reality; rather, it introduces some of reality directly into the work,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idea of aesthetic production and the subject of the production. The authors are more likely to choose and decide than the authors as producers; the problem of choice and decision is not just the authors’ problem but the reader’s. Readers who have been comfortable with closed completedness will experience anxiety and discomfort in front of open works, so it is entirely up to the reader to derive pleasure from discomfort.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xperience of the ugliness into an aesthetic experience, the reader becomes the subject of choice and determination. 이 글에서는 추한 서정시의 문학사적 흔적을 추적하되,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미학적 의미를 살피고자 했다. 먼저 ‘추(ugliness)의 자율성’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미적 경험은 과학적 진리와 도덕적 가치 판단이 개입하지 않는 순수 자율성의 영역을 추구한다. 그러나 추(ugliness)는 항상 도덕을 동반하려는 경향이 있다. 추는 악과 결합하여 순수한 미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미적 경험의 순수성을 확보하려면 추의 요소를 무력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실제로 추한 현실에 대한 미적 재현에서는 순수한 미적 판단이 성립하기 어렵다. 추한 현실에 대해서는 언제나 도덕적 판단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미적 자율성은 가능하지만, 순수한 추의 자율성은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기 자신을 추(ugliness)의 위치에 두는 경우이다. 이것은 배제와 소외의 경험에서 미적 경험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추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서 추한 주체가 되고자 하는 작품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예술에서 추(ugliness)를 배제하는 것은 그 자체가 현실의 추악함을 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추한 현실에 대한 미적 재현을 시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작품 자체를 현실 속의 추한 존재로 만들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추(ugliness)에 대한 합리적 재현이 아니라 추에 대한 미메시스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추한 현실이 미화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오히려 현실에서 추(ugliness)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려 한다. 마지막으로 미적 가상의 자율성을 공격하는 전위적 추(ugliness)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추악한 현실을 망각하고자 미적 가상(aesthetic illusion)의 세계로 도피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들이 추(ugliness)를 도입하는 것은 미적 자율성의 폐쇄적 완결성에 구멍을 내는 시도이다. 이 구멍을 통해서 현실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하고자 한다. 이는 현실에 대한 단순한 미적 재현이 아니다. 오히려 현실 일부를 직접 작품에 도입하여, 미적 가공 행위와 그 가공의 주체에 대한 통념에 도전한다. 제작자로서의 작가보다는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를 제안한다. 선택과 결정의 문제는 작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독자의 몫이기도 하다. 그동안 폐쇄적 완결성의 작품에 안주하던 독자들은 열린 작품 앞에서 불안과 불쾌감을 경험할 것이다. 그러므로 불쾌감에서 쾌감을 도출하는 것은 전적으로 독자의 몫이다. 추의 경험을 미적 경험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독자도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가 된다. 추의 경험은 새로운 미적 경험을 선도하는 전위성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18세기 미적 교양의 두 가지 구상: 쉴러와 슐레겔

        최문규 ( Moon Gyoo Choi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4 유럽사회문화 Vol.0 No.13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말 쉴러와 슐레겔이 서로 다른 의미로 구상했던 미적 교양(asthetische Bildung)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적 교양은 넓은 의미에서 신구 논쟁 선상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좁은 의미로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독일 지성인의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 한 가지 중요한 의미는, 미적 교양에는 다름 아닌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시각이 녹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술의 자율성에 관한 미학적 논쟁에서 쉴러와 슐레겔의 시각이 자주 거론되는 것을 통해서도 재확인될 수 있다. 쉴러의 경우, 삶과 현실로부터 분리된 예술의 자율성이 거론됨에도 불구하고 그 자율성은 “진실로 아름다운 것”, “인류의 이념”, “이성의 과제” 등과 같은 담론과 연결되고 있다. 그 결과 예술의 자율성은 궁극적으로 이성과 아름다움의 담론 내에서 지양되고 만다. 언뜻 보기에 삶과 예술이 분리되는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이성에 대한 은유적 관계 속에서 예술의 자율성이 은밀히 지양됨으로써 결국 양자는 하나가 된다. 반면에 슐레겔은 미적 교양을 바탕으로 고대적 포에지와 현대적 포에지를 구분하고. 특히 후자의 새로운 특징으로 “흥미로운 포에지”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고대적 포에지와 현대적 포에지를 다루는 슐레겔의 시각은 철저히 예술적인 현상의 고유성을 짚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때론 정치적인 현상까지도 미학화하는 과감한 수사학도 사용하고 있다. 슐레겔의 시각은 삶과 예술을 서로 구분하지 않는 포괄적인 것처럼 보이는 가운데 실제로는 철저히 예술의 자율성 논리 내지는 예술의 절대성 논리 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낭만주의적 포에지를 삶과 포에지의 경계를 해체하는 보편적인 점진적 포에지라고 규정하는 가운데사실은 예술의 자율성을 옹호했던 논리 전개와 그 궤를 같이 한다. 이와 같은 미적 교양과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쉴러와 슐레겔의 상반된 시각을 강조하는 시도는 매우 시급한데, 그것은 주로 “계몽”의 관점에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간의 차이를 지양하려는 관점이 최근 연구에서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Am Ende des 18. Jahrhunderts entstanden zwei Konzepte "asthetischer Bildung" von Schiller und Schlegel, die mit der Autonomie der Kunst einhergehen, wobei es sich jedoch darum handelt, die Problematik Zusammenhangs von Leben und Kunst, Politik und Asthetik zu erleuchten. Schiller hielt die Politisierung der Kunst im Auge, indem er die Aquivalenz von Schonheit und Menschheit, Kunst und Vernunft uberspielt. Hingegen wollte Schlegel die Selbstreferentialitat der Kunst verstarken, indem er sogar mit der Synonymitat von Schonheit und Menschheit, Kunst und Vernunft spielt.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에서 ‘계몽’과 ‘감정’의 관계성, 그리고 미적표지(美的標識)ㅡ1920년 전후 신진 문학가의 문학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장동석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60

        The autonomy of literature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how the literature responds to the thesis of ‘litterateur for literature (art for art)’ Specifically, it is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enlightenment’ that ‘litterateur for life’ is intended. The emerging artists who appeared around 1920 aimed to write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literature itself. These literature displace the worry of ‘I’ as a public entity, which was the talk of former literature, to the worry of ‘I’ as a private being. Their literature shares an enlightening will and literature of the past. The sentiment of emerging literature was a literary way of expressing the agony of the private being, ‘I’. ‘Emotions’ was the result of aesthetic reconstruction of 'Enlightenment' into a literary chapter. The emotion of new literary writers has a new relationship with enlightenment. If the literary literature of the past had ‘emotion’ as an intrinsic element of literature, and consequently put it in a position subordinated to ‘moral (community ethics)’, the literature of the new artists reorganizes this master-servant relationship. In other words, put ‘emotion’ in ‘the position of the master’ and reconstruct the issue of ‘morality’ in an aesthetic category. At this time, ‘emotion’ and ‘enlightenment’ form a tension between antagonists. ‘Emotions’ run counter to the excess of enlightenment beyond literary character. The excess of enlightenment completely occupies the object with reason that criticizes and confers upon it. Therefore, there is no room for interpretation expressed in the object above logic. ‘Emotion’ is antagonistic to this state of reason overhang. At this time, ‘I’ consist of more than myself with ‘self’. ‘More than myself’ comes from ‘self’ ‘More than myself’ is ‘mystery infeasible’ that are based on reason and open indeterminately beyond the level of reason. It is a surplus that remains undetermined. ‘Emotions’, such as the agony, symptomatically capture this ‘surplus’ In addition, an aesthetic sign of ‘infinite’ remains on the object captured by emotion. ‘Infinite’ is the product of aesthetic will. The aesthetic will of the New Litterateur is a distance from the enlightened will of former litterateur. At the same time, it is based on enlightening will. Their literature shares an enlightening will and literature of the past. At the same time, they aesthetically divide and reconstruct ‘enlightenment’ from the literature of the past as a self-conscious literary expert. This mutual tens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emotion, and the infinite(surplus) as an aesthetic marker, is a source for a new look at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various attributes that are later spread to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And while Korean modern literature is interrelated with non-literatures, it is a valid entrance to how the aesthetic autonomy of literature is secured. 한국현대문학에서 문학의 자율성은 ‘문학을 위한 문학(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명제에 문학자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생을 위한 문학’이 문학하기의 목적으로 삼았던 ‘계몽’에 ‘감정’이 어떠한 관계성을 이루냐 문제로 집약된다. 1920년 전후로 등장한 신진 문학가들은 문학 자체를 목적으로 삼는 문학하기를 지향한다. 이들 문학은 전대(前代) 문학의 화두였던 공적인 존재로서의 ‘나’의 고민을 사적 존재로서의 ‘나’의 고민으로 전치한다. 신진 문학의 ‘감정’은 사적 존재 ‘나’의 고민을 외현하는 문학적 방식이었다. 그리고 ‘감정’은 ‘계몽’을 문학 장으로 견인해 미적으로 재구성한 결과물이었다. 신진 문학가들의 ‘감정’은 ‘계몽’과의 새로운 관계성을 가진다. 전대의 문학이 ‘정(情)’을 문학의 고유 요소로 삼으면서도 결과적으로는 그것을 ‘도덕(공동체적 윤리)’의 종(從)의 자리에 두는 것이었다면, 신진작가들의 문학은 이러한 주종 관계를 재편성한다. 즉 ‘감정’을 ‘주(主)의 자리에 두고 이를 중심으로 ‘도덕’의 문제를 미적 차원에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감정’은 ‘계몽’과 길항의 상호 긴장관계를 이룬다. ‘감정’은 문학(성)을 초과하는 계몽의 과잉에 길항한다. 즉 대상(타자)를 비판∙훈화하는 계몽의 이성이 대상을 완전히 점유하는, 그러므로 논리 이상에서 발현하는 해석의 여지를 대상에 남겨 두지 않는 이성 과잉의 상태에 ‘감정’은 길항한다. 이때 ‘나’는 ‘자기’와 함께 ‘자기이상(自己以上)’으로 구성된다. ‘자기이상’은 ‘자기’ 말미암아 비롯된다. ‘자기이상’은 ‘자기’의 이성을 바탕으로 해, 이성의 수준 이상으로 개방되어 불확정적으로 발현하는 ‘신비불가’이다. 즉 해석이 결정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무한(無限)’의 잉여 부분이다. 오뇌와 같은 감정은 이러한 잉여를 징후적으로 포착한다. 그리고 감정으로 포착한 대상에는 ‘무한’라는 미적 표지가 남는다. ‘무한’은 미적의지의 소산이다. 신진문학가들의 미적의지는 전대 문학가들의 계몽적 의지와 일정의 거리를 가지면서 동시에 계몽적 의지를 말미암아 비롯된다. 그들의 문학은 전대의 문학과 계몽의 의지를 공유하면서도 문학 전문가의 자의식으로 ‘계몽’을 전대 문학으로부터 미적으로 분할하고 재구성한다. 이 같은 계몽과 감정 간의 길항의 상호 긴장관계, 그리고 이를 통해 마련되는 미적 표지로서의 ‘무한(잉여)’은 이후 한국현대문학사에 파생 확산되는 다양한 속성들의 사적 맥락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연원이다. 그리고 한국현대문학이 문학 아닌 것과 상호관계를 가지는 와중에서, 문학의 미적 자율성을 어떻게 확보하는지를 알려주는 하나의 유효한 입구이다.

      • KCI등재

        패션과 미적 자율성에 대한 페미니즘 시각에서의 고찰

        연희원(Hee-Weon Yeon)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이 글은 조선시대 쓰개치마와 이를 벗고 찍은 1900년경 이화학당 학생들의 사진을 중심으로 변화된 패션의 움직임에 대한 미학적, 철학적 고찰을 통해 미적 자율성에 대한 신화를 비판하면서, 여성의 신체와 외양에 대한 저항과 자율적 주제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패션에 대해 다시금 이해할 필요가 있다. 패션에 대한 철학적 적의는 남성/여성, 이성/감정에서 오는 위계질서 속에서 패션을 여성과 동일시하면서 온 경멸로서, 이는 사실상 남성 역시 사소한 차이들을 통해 패션을 입고 있음을 간과한 것이다. 또한 이는 옷을 입는다는 것이 몸을 공적으로 만들며,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표출하는 일임을 간과한 것이다. 페미니즘 미학은 미적 자율성이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무관심성 자체가 특권화된 입장의 관심이며, 따라서 모든 미적 범주들이 관심적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미니즘 미학의 패션분석은 젠더분석과 함께 사회경제적 함의들을 함께 고찰하고자 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미학원리에 근거해 쓰개치마를 보면, 사회신분을 상징하거나 신체보호를 위한 실용적 기능을 갖고 있는 남성들의 갓(관모)과 달리, 쓰개치마는 실용적인 기능보다는 여성을 사적 영역에로만 머무르게 하는 이데올로기일 뿐 아니라 여성의 자신의 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성적 유혹의 대상으로서) 여성의 자연적 몸을 은폐시키려하는 남성중심주의의 발로이다. 따라서 쓰개치마의 미학이 고움이나 우아가 아니라 종속과 구속의 미리면, 1900년 경 쓰개치마를 벗은 패션은 이러한 남성중심적 인습과 구속으로부터의 해방이자 여성 자신이 선택한 자신의 정제성구성인 것이다. The goal of this essay is bring to light the male-centralism with respect to ssgaechima, compared with the fashion in the photograph of students of Ewha women's school in the year 1900. Fashion is inherently associated with change, and the instability of fashionable choice may seem to some a proof of the emptiness. There is, to all appearances, a philosophic hostility to fashion. This hostility has it's roots in the Cartesian opposition of mind and matter, male/female, reason/ emotion, culture/nature, public/private, invention/reproduction, and in the still more ancient antagonism of body and soul. If there are feminist concerns about fashion, they should be rad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philosophy. So Feminism implies the abandonment of the doctrine that a disinterested state of contemplative attention characterizes aesthetic appreciation and appropriate apprehension of art. According to this feminist aesthetics, ssgaechima(korean chador) was not a clothes for the protect women's body from nature but a dress of ideology which made women remain in domestic, private area as a sexual object, while men's hat(got, official hat)was for the protect men's body from nature and for the symbol of social, public state. Therefore the aesthetics of ssgaechima is not elegance or the beauty of Goum but a beauty of subordination. And the fashion of putting off the ssgaechima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the symbol of women's emancipation from the male-centered social custom, which means the creation of her own identity.

      • KCI등재

        이어령 비평의 탈정치성과 청년문화론

        박대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4 No.-

        Lee Eo-Ryong is the critic who had criticized politics of literary growing after the April Revolution. He emphasized the esthetic autonomy of literature. This point of view of his criticism has been consistent in the activity in the 50’s, the 60’s and the early 70’s. As he attach great importance to refinement and culture, his critic is censorious of politics of literature. Lee Eo-Ryong sought to recover refinement and culture of literature, which was lacked distinctly shortly after the April Revolution, and he emphasized esthetic autonomy and creative imagination for this purpose, guarding against the rupture of refinement and culture caused by the April Revolution. This suggests that his intellect rooted not in political sensibility but in the cultural sensibility. The emphasis on the aesthetic autonomy of literature is inherited in his youth-culturology. The youth as forces of the April Revolution are political and takes politics. Since the military dictatorship, the youth aren’t political youth but begin to be domesticated to cultural youth. Lee Eo-Ryong asserts emphatically cultural youth with intellect and refinement, which corresponds to the policy direction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the day. The critic of Lee Eo-Ryong, which aspired the western intellect and refinement, domesticated the 60’s youth influenced politically by the April Revolution into de-histrical and de-political youth. It is his youth-culturology that resulted from esthetic autonomy of literature youth which covered youth. 이어령은 4월혁명 이후에 비등해진 문학의 정치성을 비판해 온 비평가이다. 그는 문학의 미적 자율성과 창조적 상상력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비평관점은 50년대와 60년대, 그리고 70년대 초반까지 집중된 그의 비평 활동에 있어서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그의 비평이 문학의 정치성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던 까닭은 교양과 문화를 중시하는 지적 체계의 특성에 있다. 이어령은 4월혁명이 초래한 문화적‧교양적 파열 상태를 경계하면서 4월혁명 직후 뚜렷하게 결여된 교양과 문화를 문학을 통해서 회복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문학의 미적 자율성과 창조적 상상력을 강조한다. 이는 그의 지성이 정치적 감수성이 아니라 문화적 감수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 데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문학에 대한 미적 자율성의 강조는 청년문화론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4월혁명세력으로서의 청년은 정치성을 지닌다. 군사독재 이후의 청년은 정치적 청년이 아닌 문화적 청년으로 순치되고 만다. 이어령은 ‘청춘문화론’을 통해 지성과 교양을 지닌 문화적 청년을 역설하는데, 이는 당대의 군사독재의 정책방향과도 일치한다. 서구적 지성과 교양을 지향한 이어령의 비평은 4월혁명의 정치적 세례를 받은 60년대 청년을 역사와 현실을 탈각시킨 청년으로 순치시킨다. 문학의 미적 자율성을 덧입힌 결과로서 출현한 것이 바로 그의 청년(청춘)문화론이다.

      • KCI등재

        이장희 시의 감각 연구

        임곤택(Lim, Kon-taek)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이 논문은 이장희의 시를 통해 1920년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감각’의 양상을 탐구하고, 이른바 ‘미적 자율성’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감각 활동이 이루어지는 최초의 매개인 ‘매질(감각 기관과 대상 사이에 존재하는)’을 통해 근대적 감각이 지닌 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감각 주체(혹은 기관)와 대상의 만남이라는 사태는 일반적으로 물질적 매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최치원의 ?秋夜雨中?과 이장희의 ?비오는 날?을 비교 분석하여, ‘창호지’를 바른 창과 ‘유리’를 붙인 창의 차이에서 오는, 청각 중심과 시각 중심의 감각적 경험이 초래한 상상력 전개와 정서적 진행을 추적하고, 근대적 감각의 성립이 ‘물질’의 변화(근대화)와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의 성격에 따라 감각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폈다. 이장희는 크게 보아 두 가지 대상을 시의 소재로 선택한다. 새로운 도시의풍경과 생활공간 속의 事象이 그것인데, 각각의 대상에 따라 전혀 다른 묘사양상이 나타난다. 전자의 경우 ‘신작로’나 ‘전차’같이 근대 이후 새로 도래했거나 정치ㆍ사회적 의미를 지닌 사물에 대해서는 불분명함을 나타내는 시어로 침울하게 묘사한다. 반면 익숙한 대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밝은 이미지를 얻게 된다. 생활공간 속의 사상은 오래전부터 경험해 온 것들로, 그것들이 주는 익숙함과 편안함이 대상을 선명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묘사하게 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대상에 따라 감각(적 재현)의 양상이 달라지는 사태는 결국 이장희가 이른바 ‘미적 자율성’을 부분적으로 획득했다는 근거로 삼을 수 있을 듯하다. 정치ㆍ사회적 맥락과 연관된 사물과 그렇지 않은 사물에 대한 감각의 相異는, 이장희의 감각이 그 맥락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것이 아니었음을 증명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장희는 한국 현대시의 감각이 ‘미적 자율성’의 획득으로 향하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1920년대 한국 현대시는 근대의 ‘미적 자율성’ 획득을 위한 중요한 체험의 시기였다는 점을 이장희를 통해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survey whether and how Lee Jang-Hee and Korean poetry of 1920s achieve the ‘aesthetic autonomy’, through the aspect of their ‘senation’. Firstl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ensation according to medium which lied between the sense organ and the objects, with analyzing Choi Chi-Won’s ?秋夜雨中? and Lee’s ?비오는 날? and concluded the modern sense was related with the material of sensation. It’s the difference from the material of the window. the sensation is varied on the objects. Lee selected two kind of objects. the one was that of modern city, and the other was that in living space. With the former Lee described the objects unclearly and gloomly. But in case of the objects in living space he described concretely and brightly. It’s because the sensational system of Lee was activ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bjects, especially the politicalㆍsocial meaning of that objects. Lee could be estimated that he achieved the ‘aesthetic autonomy’ partially. And we conclude the korean poets in 1920s was a mediate step to ‘aesthetic autonomy’.

      • KCI등재

        김현 비평에 나타난 ‘문학주의적 특성’ 연구 -미적 자율성, 낭만성, 자유주의적 지향을 중심으로-

        오태호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placed on to specifically analyze 'romantic liberalism' appeared in the criticism of Kim Hyun. Literaturism of Kim Hyun says the literary ideology-oriented individuals and freedom, desire and dream a language as a medium. The literature is a genre of futility what aims to 'romantic dreams’ over the real world with torture and pain. So it seeks emancipatory / personal freedom from oppression in the world and reveals the liberal tendency toward a world without oppression. Then he rejects the ‘graphical realism' that inhibits the artistic shaping. He believed because the literature reveals a painful inner away from dogma of unity, and it'll push to the extreme aesthetic autonomy. The criticism of Kim Hyun is always currency. His criticism is dense logic and correct analysis, because it implies a variety of excellent intuition and analysis. Thus, his criticism is evident in the figure of the 'analytical deconstructionism' and 'literaturism' 본고는 김현 비평에 나타난 ‘문학주의적 특성’을 ‘미적 자율성, 낭만성, 자유주의적 지향’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김현의 ‘문학주의’란 언어를 매개로 현실을 가공하여 개인과 자유, 욕망과 꿈을 지향하는 문학적 이데올로기를 말한다. 그는 등단 이래로 문학이, 고문하고 고통 받는 현실을 넘어 ‘낭만적 꿈’을 지향하는 무용성의 장르임을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비평은 억압 있는 세계로부터 해방적/개인적 자유를 추구하며 억압 없는 세계를 지향하는 자유주의적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그때 그가 거부한 것은 예술적 형상화를 저해하는 ‘도식적 리얼리즘’이다. 획일주의와 단일성의 도그마로부터 벗어나 고통스러운 내면을 개성적 언어로 토로하는 문학이 미적 자율성을 드러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김현 비평은 미적 자율성과 낭만성, 자유주의적 지향을 드러내면서 ‘언어의 예술성’을 강조하는 ‘문학주의’로 수렴되는 특성을 내포한다. 치밀한 논리와 정치한 분석, 탁월한 직관과 해석의 다양성이 ‘분석적 해체주의’이자 ‘문학주의’의 표상으로 그의 비평 내부에 오롯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눌인(訥人) 김환태 비평 연구

        이도연 ( Do Yeo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칸트의 판단력비판 은 예술의 고유한 독자성과 자율성의 영역을 승인함으로써 ``미적 자율성``이라는 근대미학의 논리적 근거를 정초(定礎)하였다. 한국문학비평사에서 김환태 비평의 자리와 의의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다. 즉카프문학의 공리주의적 비평관에서 탈피하여 문학과 예술의 독자성을 김환태는 주장했던 것이다. 카프의 편내용주의는 심각한 것이어서 카프문학운동에 ``창작 무관사(創作無關史)``라는 오명을 안겨주기도 했다. 따라서 김환태의 비평은 이에 대한 대항 담론, 일종의 안티테제로서 제출되었던 것이고 그 역사적 의미 또한 인정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인상주의 비평이 지니고 있었던 한계 역시 정당하게 지적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그는 예술의 미적 자율성을 ``절대적 현존``으로까지 비약·격상시키고 있어서 식민지배기 한국의 문학 · 예술이 지닐 수밖에 없는 ``필연적으로 정치적인 성격``을 도외시하고 말았다. 그의 인상비평이 뚜렷한 방법론이 없으며, 추상적 인성론이나 도덕론을 통해 문학의 효용성과 기능을 주장하게 된 것도 사실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문학의 자율성은 상대적 자율성으로서, 토대와의 관계 속에서``과잉결정·중층결정(overdetermination)``되는 것이지 토대나 하부구조에 무관하게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김환태에게 있어서, ``미적 자율성``이라는 이념은 문학적 신념으로 존재하는 것이었다. 20세기 전반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개별성 속에서, 그것은 ``사실 명제``로 수렴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이런 맥락에서 김환태 비평이 한국문학비평사에서 근대미학의 진정한 출발을 알렸던 것만큼 그 한계 또한 뚜렷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가 1940년대 이후 친일보국문학이 문단을 휩쓸자, 절필을 선언하고, 고독하게 병마와 싸우다 34세의 나이에 영면했다는 점 또한 우리문학사가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다. Kant`s 『critique of judgment』 laid the cornerstone of a building of its own ``aesthetic autonomy`` in the modern aesthetics by approving the autonomy of the art in their own area. The place and significance of Kim, Hwan-tae`s criticism in the Korean literary hitory can be grasped in this context. He would have a claim the independence of the literature and the arts. KAPF`s content-oriented literature was serious. Therefore, criticism of Kim, Hwan Tae would have been made as a kind of antithesis and also be recognized that it was of historical significance. But the limits of his impressionistic criticism may properly be also duly noted. His aesthetic autonomy of art has been upgraded to ``absolute presence``, and ``inevitably political nature`` was disregard in the colonial period, There is no distinct methodology in the his impressive criticism and a fact can be understood that abstract personality of theory and the utility and functionality of the literature were declared in this context.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 relative autonomy was ``over-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foundation. His ``aesthetic autonomy`` philosophy was to exist as a literary cree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n a colonial historical identity was not to converge as ``true ``propositions`` in nature. Joining in this context, His criticism of modern aesthetics was a true forerunner and the limit was also apparent. We will also keep in mind that he lonely struggle with illness at the age of 34 and it was laid to rest in the kor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미적 근대성의 해방적 가치와 새로운 타자성의 의미 - 서정주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김용희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한국 전통 서정성이 담고 있는 '미적 자율성'이라는 딜레마 속에서 심미적 서정이 오히려 해방적 전복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서정주 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서정주의『질마재 신화』는 한국 전통 서정이 갖는 미학적 자율성의 해방적 의미와 동양주의의 '타자성'이 갖는 새로운 의미를 드러내는 분명하고 뚜렷한 지점이 될 수 있다.『귀촉도』,『서정주시선』, 신라초』에서 보여주던 '신라주의'의 주관통합의 세계가『질마재 신화』에 와서 민간전승적 집단기억 속에서 모순과 대립의 역설적 통합을 시도한다. 이는 근대적 미의식의 방법론적 전개라 할 수 있다.『질마재 신화』에서 나타나는 미적 근대성의 해방적 가치는 세 가지 국면에서 살필 수 있다. 이야기 체의 흥과 음성주의, 그로테스크한 미학적 변칙들, 그리고 탈근대적 의미에서의 마술적 사실주의를 미학적 실체로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질들은 한국 문학사에서 시적 전통과 매우 구분되는 독특한 지점이다. 1930년대 고전에 대한 숭배와 상고취미를 환기해보자. 1930년대 정지용, 1950년대 조지훈, 등한국 전통서정은 철저하게 유가적 전통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서정주의 전통시는 민간의 중요한 의식적 토대로서 역사적으로 기층불교와 도교적 문화에 깊숙하게 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서정주의시는 상층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유교와 달리 반권위적이고 다원적인 문화가치를 추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야기 체의 '흥'과 음성주의가 갖는 민주주의적 집단성, 그리고 현실에서 소외되고 결점된 것들에서 신성성을 찾아가는 작업은 근대에서의 '타자성'의 복원을 시도하는 방법론적 전개라 할 수 있다. 서정주의〈질마재 신화〉는 그런 점에서 근대적 제도성을 벗어나는 탈근대적 해방감과 동시에 미적 근대성의 전복적 의미 전개를 보여준다. 이로 인해 서정주 시는 한국전통 서정이 갖는 주객관 통합의 시학, 혹은 '동잎성 시학'이 갖는 배타적 현실인식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었다.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the fact that aesthetic lyricism can actually embody liberating and subversive values within the dilemma of 'aesthetic independence' within Korea's traditional lyricism through the poetry of Suh Jungjoo. Suh Jungjoo's "Jilmaje Mythology" may be a clear and definite point that reveals the liberating meaning of aesthetic independence in Korea's traditional lyrics and a new meaning of 'otherness' in Orientalism. The world of subjective integration of 'Shilla-ism' revealed in "Gwichokdo", "Suh Jungjoo's Poems", and "Shillacho" is attempting a paradoxical integration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within collective folkloric memory in "Jilmaje Mythology". This may be considered a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The liberating value of aesthetic modernity found in "Jilmaje Mythology" may be examined in three aspects. It reveals the excitement and phonetics of storytelling, grotesque aesthetic anomalies, and the true aesthetic identity of magical realism in the ex-modernistic sense. Such are the features that distinguish it from the poetic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Let's think back to the adoration of the classics in the 1930s and hobbies of antiquity. As in the case of Jung Jiyong of the 1930s and Cho Jihoon of the 1950s, Korea's traditional lyrics are thoroughly based on Confucianist traditions. On the other hand, historically, Suh Jungjoo's traditional poetry has been deeply involved in foundational Buddhism and Taoist culture as key ceremonial bases of civilians. For such reasons, Suh Jungjoo's poetry was able to pursue diverse and anti-authoritarian cultural values unlike Confucianism, which was an dominating ideology of the upper class. The democratic collectiveness inherent in storytelling 'excitement' and phonetics, and the search for sacredness in those that are excluded and lacking in reality may be considered a methodological development attempting to restore 'otherness' in modernity. From that point of view, Sub Jungjoo's〈The Myth of Jilmaje〉shows the ex-modernistic liberation from modern institutions while a subversiv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aesthetic modernity is shown. For this reason, Suh Jungjoo's poetry is able to move beyond the limits of exclusive reality awareness inherent in the poetry of subjective/objective integration or 'poetry of sameness'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lyrics.

      • KCI등재

        이태준 문학과 예술 자율성

        송인화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accomplishment and the limit of lee tae joon’s literature through the structure and logics of the art in his novel. Lee’s novel was against to the philistinism of modern capitalism. His art was one of the main reaction to that, so the art had the meaning includ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at. But before researches approached that just as a formal skill, so they could not explain of lee’ art well. In lee Tae Joon’s novel, the concept of art includes a contradictory idea for collective nations. Because he understand the unfairness of modern philistinism as the same realities of the colonial, he regarded art as a true practice for peoples who supper from the japanese colonist. Therefore his concept of art combines with nationalism ‘in the beginning’. That regulates the quality and achievement of his art. After the mid 30’s, lee tae joon was in pursuit of art in earnest but the inner world that included enlightenment impetus regulated critical tension of art. His novel was in pursuit of the images and spatial structure which against the cogni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however that could not go ahead to the level of ideology. Late in the 30’s, Lee’s novel certainly showed the impetus for enlightenment. But that did not maintain critical insight, so his novel went wrongness. 본고는 이태준 소설이 추구하는 예술의 구조와 논리를 시기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예술 자율성을 통해 상허 문학이 성취한 의의와 한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상허 소설은 이윤추구의 목적성이라는 경제논리에 따라 진행되는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30년대 식민지 현실의 주요한 모순으로 인지하였고 ‘예술’은 그러한 근대의 속물성에 대한 문학적 대응의 방식으로서 상허 소설의 인식과 실천을 포괄하는 의미가 있다. 상허의 예술 개념에는 집단적 이념으로서의 ‘민족’이 모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식민지 근대의 속물성을 그것의 강압적인 주체인 일제와 연결시키는 상허는 근대의 부정성에 침윤된 생활현실을 벗어나 경제논리에 훼손되지 않은 예술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민족적인 현실에서 찾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예술 개념은 처음부터 민족주의라고 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계몽적 윤리감과 결합됨으로써 상허 소설이 보여주는 예술 자율성의 질과 성과는 이로부터 제한을 받게 된다. 30년대 중반 이후 상허는 미적인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상인식을 통한 예술을 추구하지만 예술가의 내면에 존립하는 계몽주의자의 이질적인 충동이 예술의 근대비판적 장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미지와 공간적인 구성은 형식을 통해 근대의 동일시적인 사유와 효용적 지배연관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지만 여전히 근대에 대한 부정성을 이념적인 차원으로까지 고양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30년 후반 그가 예술의 비판적 가능성을 포기하고 행동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데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예술의 자율성이 전제로 하는 생활과의 분리를 거부하고 현실 속에서의 행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인데, 그러나 현실과의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고 현실의 유입과 행동적 실천 자체가 목적으로 추구됨으로써 현실참여를 강요했던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흡수되는 동참의 위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근대주의의 맹목성이 폭력적으로 관철되는 시기 상허는 예술의 자율성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지배현실을 추수하는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