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적 미의식의 다양성과 유형별 분류에 대한 연구

        이주영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지금까지 한국미에 대한 연구는 각 예술장르에서 뿐만 아니라 정신사적인 조명, 문헌학적 탐구, 종교 문화의 영향 등 여러 면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미의식이 도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연구 성과를 수렴하고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했던 미의식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한국적 미의식의 고유성을 보다 큰 시각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첫째, 정신사적 측면에서 한국적 미의식의 토대를 고찰해 보았다. 대립된 것의 통합을 지향하는 한국인들의 미적 지향성은, 모순되는 특성이 결합되어 있는 미의식으로 종종 표출된다. 가장 원숙한 기교와 소박하고 치졸한 상태가 상통하는 고졸미, 한의 내부에서 움직이며 한의 표피를 뚫고 나오는 신명 등은 대립된 것이 통일되어 더 높은 미적 차원을 이루는 좋은 예이다. 둘째, 미적 이념에 따른 유형으로써, 자연주의, 인간의 심성미, 민중의 삶에 뿌리 내린 예술의 중요성을 고찰했다. "자연주의"는 예술 속에 인간적인 것을 넘어서서 더 큰 것을 끌어들이려는 미적 이념으로 해석된다. 한국적 미의식에는 대상적 측면에서 보이는 감각적인 형식미보다는 대상을 파악하는 주체의 정신적인 미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인들은 인간미의 이상에서 무엇보다도 내면적인 심성의 미를 중요시했으며 특히 민중의 삶에 뿌리내리고 있는 소박하고 솔직한 인간미에 높은 가치를 두었다. 셋째, 한국적 미의식을 표현하는 고유한 범주로는 "멋", "일탈", "신명", "풍류", "해학", "한", "흥", "무심", "고졸" 등의 개념들이 있다. 한국 예술은 삶의 희로애락을 승화시켜 표현하면서 다양한 미의식의 유형을 나타냈다. 밝고 즐거운 정서는 "흥"과 "신명"으로, 슬픈 정서는 "한"으로 표현했다. 한국적 미의식에는 즐거움이나 희열, 슬픔과 한, 노여움 등, 이 모든 것을 세상사의 일부이자 자연과 우주의 이치로서 포용하고자 하는 관조적 정신이 깃들어 있다. 밝은 정서를 바탕으로 한 삶에 대한 관조적 태도는 희극미에 속한 "해학"에서 나타난다. 삶의 현상 속에서 본질을 예리하게 간파하면서도 웃음을 통해 타자적인 것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잃지 않는 해학에서 공동체의 정신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모든 정서를 발로시키며 또 더 높은 차원으로 아울러서 승화시키는 미의식으로써 풍류가 제시된다. 풍류심이 한과 해학을 포괄한다는 견해 역시 비극미와 희극미라는 대립되는 미의식을 더 큰 우주적 미의식으로 통일시키고자 하는 관점으로 파악된다. 모든 극한되는 정서가 상호이행하며 승화될 때에는 얽매여 있던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감정의 순화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풍류는 "탈속"이나 "무심"의 상태까지도 포괄한다. 한국인들은 주어진 삶의 조건을 받아들이면서도 슬픔이나 한을 삭여서 즐거움으로 전환시키려는 강한 생명력을 예술을 통해 표현해왔다. 서로 대립되는 미의식의 상호교호 속에서, 희로애락을 삶이라는 총체성 속에서 해소·승화시키고 대립된 것을 공동체 속에서 통합시키려는 정신은 한국적 미의식의 고유성을 이룬다. Recent Studies on Korean beauty were carried not only in every genres of art, but also in many spiritual aspects of problem like philological inquires, and influence of religious culture, resulting in various aesthetic consciousness.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these research findings, categoriz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commonly emphasized by researchers, and finally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Thereby we tried to grasp the uniqueness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a broad viewpoint. Firstly, we try to look into the basis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the point of spiritual view. The aesthetic directionality toward the intergration between oppositions in Korean people is often expressed as an aesthetic consciousness being combined with contradictory attributes. Taking examples for it, they could be expressed 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which the most masterful skill and rustic and artless state coexist, and deep sorrow and cheerful enthusiastic mind alternate with, enhancing aesthetic level higher than ever. Secondly, we looked into the important meanings of art rooted in the people's everyday life, what we call types of aesthetic ideas, Naturalism, beauty of human mind. "Naturalism" is interpreted as an aesthetic idea to drag much greater thing into the art beyond the humane. Th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is strongly tend to take into more considerations the spiritual beauty of subject than the sensuous formal beauty of object. Particularly the Korean people place high values in simple and honest human beauty rooted deeply in the peoples life. Thirdly, there are specific categories that represent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are "Meot"(taste), "deviation", "Shinmung", "Poong Ryoo", "Humor", "Han", "Heung", "absence of the wordly desires", "archaic artlessness". These categories show that cheerful and pleasant emotions are expressed as "Heung"(excitement) and Shinmyung, sad emotion is expressed "Han"(sorrow) in Korean art.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exposes a certain contemplative spirit embracing all emotions as a part of ways of the world and reason of nature and universe. The contemplative attitude to life based on cheerful emotion is revealed in Humor. Humor is marked by seeing through essence of life, not losing sympathy and understanding of the others, and is sublimated in the community spirit. Further more Humor tend to raise an aesthetic consciousness called Poong Ryoo that sublimates all the emotions into the higher dimension. Poong Ryoo is supposedly included in "Han" and "Humor" in connection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s universal unifying contrasting emotions, like the tragic and the comic. Katharsis arises emotionally out of repressed feelings, when the conflicting emotions are interchanged and sublimated. Therefore Poong Ryoo is to include even unworldlineness, absence of the wordly desires. Accepting conditions of their life, Koreans had strongly expressed driving force in life that is capable of turning "Han"(sorrow) into Shinmyung (excitement) in art. This force represents Korean people's aspiration which integrates the conflicts in the community, interchanging contrasting emotions each other and sublimating all sort of human emotions in totality of life.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불가(佛家) 선시(禪詩)의 미의식(美意識)

        김미선 ( Mi Seon Kim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본 논고에서는 「佛家 禪詩의 美意識」을 고찰하였다. 이에 불가 선시에 드러난 전반적이 미의식의 특징을 조명하기 위하여 불가 선시의 배경을 한국 佛家 禪僧의 法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선시를 이룬 禪詩僧과 그들의 선시 속에 드러난 미의식의 특징을 검토하여 본고에서 그 특징 중 반관의 미의식을 연구 범위로 하였다. 팔만대장경의 심오한 불교사상과 1천 7백의 格外의 도리 公案 전체가 불립문자의 宗旨에서 문자를 떠나지 못한 결과물로 남겨진 것이다. 선종에서 不立文字라고 하였지만 求道 悟道의 방법과 정신을 제자에게 전하기 위해서는 언어문자라는 도구를 사용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다. 眞空妙有의 선의 세계에서 어떠한 언어나 문자도 용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체의 형식적인 틀도 거부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의 선의 세계와 언어 美學의 상관성은 不離文字의 관계성을 거부 할 수가 없었음을 고찰 할 수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선시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시 속에 드러난 禪僧들의 美意識을 이해하는 일이 선행 되어져야 부분에 문제를 제기하고 불가 선승의 照顧脚下의 기초 수행 관법을 통한 선시와 禪의 오도의 경지를 시를 통해 말한 미의식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우선 우리나라 불가 선수행 사상이 선시에 투영된 내용을 ``照顧脚下``의 불가 관법 수행에서 실마리를 찾아냈다. ``不立文字 · 敎外別傳 · 直指人心 · 見性成佛``의 경계를 표출하였던 禪의 입장에서 ``平常心是道``의 자연스러운 조고각하 반관의 수행관을 觀物觀我 觀我觀物의 미의식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① 觀物의 美意識에서 선시 속에서 선가의 外的 사실을 객관적인 언어로 표현함에 ``照顧脚下`` 즉 ``反觀``을 바탕으로 한 미의식을 볼 수 있었다. 불립문자가 문자에 집착하지 말라는 不着文字의 뜻이지, 不用文字는 아니라는 관점을 통하여 문자로 말미암은 장애를 일으키지 않고 그 妙理를 전달한 선시이다. ``虛心觀物``의 수행을 통하여 ``平常心是道``를 禪語로 전하는 속에 조고각하 관물의 미의식이 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② 觀我의 美意識에서 觀我反觀은 자신을 통해 진여의 깨달음을 찾는 止觀의 과정을 선시를 통해 설한 내용임을 고찰하였다. 禪定에 드는 일은 본래 한물건도 없는 것을 바로 아는 것이다. 여기에는 바로 나라고 하는 것도 없는 것이니 觀我觀法을 통하여 無我의 道를 증득한 禪語의 悟道詩에서 관아의 미의식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照顧脚下``의 선수행을 통해 남긴 禪語에서 불가의 禪詩에 드러난 美意識으로 반관의 미의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In this thesis, I will intend to discus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Buddhist Dhyana(Zen) Poetry」 In this institute, 「Korean Chinese Literature Aesthetic Approach (Ⅱ)」 under the planning theme about that. The author received the presentation title i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Buddhist Dhyana(Zen) Poetry」. From before interested in Buddhism Chinese poetry to the concreted narrowed planning theme, Buddhist Chines poetry those are to guess the interested in Buddhist Poetry. Not yet the undeveloped area is Buddhist poetry contents covers the many parts of our Chinese literature scope, So in the study of Chinese literature, the interested in Chinese literature has to accomplish with continuously. In this study, this undeveloped area, the Buddhist Chinese poetry aesthetic consciousness concept development is a careful part. During the interested in the study of Dhyana(Zen) Poetry contents which is searched the base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 am narrowed the scope of this study 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Buddhist Dhyana(Zen) Poetry」. The scope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Buddhist Chinese poetry`` is based this study and I intend to delay after supplement.. At first I searched formation background which can be based of contents of Buddhist Dhyana(Zen) poetry and dealt with research scope centering the beauty of thought in the bright thinking under leg which is one of the Buddhism ascetic exercises view way about a variety of aesthetic consciousness world which was revealed in it. In this view poi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hyana(Zen) poetry, it has to understand that Dhyana(Zen) monk`s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is appeared in the Dhyana(Zen) poetry. That is preceding task.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ppearing Dhyana(Zen) poetry literature needs to understand the Buddhist`s Zen Buddhism of course, and it would be the last to overlook this fact which is worry about loss of original form when Buddhism thought too much emphasizes in Buddhist literature. Therefore, author deeply brings to interest in Dhyana(Zen) poetry which pursuits language aesthetics of non-separation letters in the course from the state of non-stand letters which is the Buddhist`s attainment of Nirvana. To approach this Buddhist Dhyana(Zen) poetry world, at first ascetic exercises practitioner`s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is appeared in Dhyana(Zen) poetry. I study that, and intend to by way of the basis Dhyana(Zen) poetry which can be watched many Dhyana(Zen) monks` face intently.

      • KCI등재

        동파(東坡)와 추사(秋史)의 미의식(美意識) 연구(硏究)

        변영문 ( Young Moon Byu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4 No.-

        본고는 한국과 중국의 예술분야에서 탁월한 예술가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는 추사와 동파의 미의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는 형이상학화한 유학(성리학·송학·신유학·주자학이라고도 부름)의 교조화가 시작된 시기의 東坡蘇軾(1037~1101)과 성리학의 공리공담의 폐해를 반성하고 대안적 철학으로서 실학이 무르익은 시기의 秋史金正喜(1786~1856)의 예술사상을 대비시켜 고찰하여 이 둘의 미의식의 동이점을 도출하였다. 秋史와 東坡를 거론하는 이유는 두 사람은 활동했던 지역과 시대는 다르지만儒ㆍ佛ㆍ道사상이 融會되어 詩ㆍ書ㆍ畵가 一律로 귀결되는 學藝一致현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한 시대의 저명한 예술가의 작품에는 그 시대의 철학이념이 깃들어있기 때문에 추사와 동파의 학문과 예술의 성취를 통해서 우리는 韓中文化交流史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東坡의 미의식과 秋史의 미의식을 각각 尙意와 尙古로 규정하였다. 또 東坡의 미의식을 神韻과 抒情의 美意識, 無意ㆍ無住의 美意識, 淸新과 淡泊의 美意識으로 분류하여 논증하였고, 추사의 미의식은 性中天의 美意識, 實事求是的美意識, 中和論的 美意識으로 분류하여 논하였다. 東坡와 秋史는 共히 儒者門人으로서 유가적 중화론적 미의식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東坡는 근대적 개념의 미의식으로 전환된 반면 秋史는 전근대적인 성리학과 실학적미의식에 머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의식이 예술에도 그대로 드러나는지는 단정할 수 없다. 이는 새로운 연구과제로 해결될 일이다. This article is excellent in the arts of Korea and China can be called one of the artists Chusa and one will freeze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This stylized metaphysical study (Confucianism, Neo-Confucian, jujahak Songhak, also called) is the time of the freeze began dogma news painter (1037-1101) and Confucianism reflect on the dangers of axioms gongdam philosophy as a practical science is ripe for an alternative time Chusa Hee (1786-1856) compared to the study of art history and aesthetics of the same advantages of the two derived. Chusa and freeze for a couple reasons cited were the activities of local and times vary yunghoe oil and fire and is also thought to result in a flat city and the painter and curator standing match is because the same phenomenon. Through this work of prominent artists of the era include the philosophy of that era because Chusa imbued with the ideals of freezing through the achievement of science and the arts is a Korea-China Cultural gyoryusa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one aspect of it is expected. Chusa freezing and aesthetic appeal to the sense of beauty was defined on each. In addition to freezing sinun aesthetic sense of beauty and lyricism, and the non-aesthetic Muju, psychiatric classifica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lain sense of beauty was the star Restless Chusa aesthetisense of beauty, poetic aesthetic sphere due diligence, Chinese semantic classification of the non-aesthetic were. Citron is both frost and Chusa Holistic Chinese literary aesthetics as ever to keep the oil while the concept of the modern aesthetic of thetransition freezing, while Confucianism Chusa of the pre-modern aesthetic and staying in the room that the chemical was found. However, this is still exposed conscious art which can not be concluded. This is one of the new research will be addressed.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성호가(星湖家) 문학(文學)의 미의식(美意識) -매산(梅山),섬계(剡溪),성호(星湖)를 중심(中心)으로-

        윤재환 ( Jae Hwa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美意識이란 개인적 차원의 의식 세계 속에 존재하는 하나의 사유 양식으로 개인적 가치 판단의 결과이다. 따라서 미의식의 형성이나 표출은 본질적으로 보편성보다 개별성을 중심으로 하게 된다. 그러나 미의식을 전적으로 개인적인 가치 판단의 결과물로만 규정할 수도 없다. 이 글은 성호 이익의 가계 내에서 창작된 문학 작품 속의 미의식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사유 양식이자 가치 판단인 미의식의 범주를 家系, 혹은 家門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것과 家系 내의 학문적 혹은 문학적 전통과 유리된 독립적인 미의식의 성립이 가능한가 하는 두 가지 전제에 대한 답이 우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를 통해 성호가 문학의 미의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 글은 성호의 부친 매산 이하진과 둘째 형 섬계 이잠, 그리고 성호 이익 세 사람 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한다. 매산과 섬계, 성호는 한 가계 안에서 비슷한 시기를 살아갔던 인물들이다. 유사한 정치적 상황 속에 놓여 있었고, 동일한 학문 전통을 학습의 기반으로 삼아 개인적 성취를 이루었다. 하지만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이들 세 사람의 개인적인 삶의 역정이 가지는 구체적 양상은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세 사람의 의식세계는 같으면서 다르고, 또 다르면서 같다고 할 수 있다. 美意識이란 미적 의식과정이나 미적 가치체험에서, 이들 세 사람은 다 같이 효용성을 중시하는 도덕미를 근본 미의식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이들 세 사람의 개인적인 삶의 역정이 지니는 간극이 효용성의 개념과 현실적 적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불러와 각기 다른 양상의 작품을 창작하게 했고, 또 작품의 미감을 구분지은 것이라 생각된다. 이 동질성과 변별성,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다 더 많은 작품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아야 좀 더 선명한 답을 내릴 수 있겠지만, 동일한 가계 내에서 비슷한 삶의 상황들을 거쳤다는 점에서 이들의 시는 본질적인 공통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기본적인 공통점은 개인적인 학습 과정과 개별적인 삶의 역정 속에서 나름의 변화를 일으킬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매산과 섬계, 성호의 시는 친연성과 거리감을 동시에 지니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논의를 확대해 본다면 조선 후기 당대의 문학 작품들이 지니는 성격상의 유사성과 개별적 특수성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설명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Aesthetic perception is a way of thinking existing in individual level perceptional world and the result of individual value judgement. Therefore, formation or expression of aesthetic perception centers particularity rather than universality. However, it is impossible to define aesthetic perception as a result from completely individual value judgemen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esthetic perception in literatures created in Seongho`s family. For the purpose, it should be initially answered if the expansion of the boundary of aesthetic perception as an individual level way of thinking toward that as a family level one is possible and if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aesthetic perception separated from a family`s academic or literature tradition is possible.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aesthetic perception in literature of Seongho`s family through poetry limits the object of the study only into Maesan Yi Hajin who was Seongho`s father, Seongye Yi Jam who was Seongho`s second brother, and Seongho Yi Yik. Maesan, Seomgye, and Seongho are charaters having lived in similar period in a same family. They were in similar political circumstances, and based on a same academic tradition. Nonetheless, searching more deeply, three individuals` lives look differently. Thus, the perceptional worlds of the three can be said to be same but different, and be different but same. Within the category of aesthetic perception or the experience of aesthetic value, the aesthetic perception were the same as the moral beauty emphasizing practical value.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y, the gaps among those three individuals` lives caused the perceptional differences about the concept of practical value and about practical application, have them create literatures of different appearances, and distinguished the aesthetic feelings of their literatures. Answering to such similarity, distinction, and its meaning requires more comparative analyses about more literature pieces; yet poems of the three must have fundamental similarity because the three went through similar situations in their lives in a same family. Nevertheless, it need to be recognized that this fundamental similarity must be changed throughout their individual studies and lives. Indeed, it is very normal that poems of Maesan, Seomgye, and Seongho have affinity and disparity at the same time. Expanding this discussion, it is thought that the possibilities to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particularities which literatures of late Joseon period have in their characters can be found.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금려(金려) 문학의 미의식

        박준원 ( Joon Won Park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김려는 타고난 작가이다. 그것도 전업 작가에 가깝다. 실제로 그는 따로 道學에 관한 견해를 밝히거나, 다른 학자들과 논쟁을 벌인 기록을 남긴 적이 거의 없다. 평생을 오직 올곧게 창작과 작품 수집에 전념했을 뿐이다. 관념적 성리학자가 아닌 치열한 작가로서의 삶이 김려 문학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짓게 했고, 이것은 다음 장에서 다루는 김려 문학의 미의식 세계 전반에도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난다. 그는 직관과 情의 문학론에 기반한 예민한 감수성에 의한 창작을 수행했다. 김려 문학의 미적 범주는 野趣的 미의식의 투영, 滑稽美와 艶情的 미의식의 구현, 悲壯美의 표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김려 문학의 미의식의 모든 범주들은 기본적으로 휴머니즘에서 출발한다. 김려의 대다수 작품들의 창작 의식의 저변에는 휴머니즘이 내포되어 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앞서서 살펴본 김려 문학의 미적 범주들이 모두 그러하다. 주제적인 면에서 볼 때, 김려 문학의 진수는 소외된 인간군상에 대한 휴머니즘적 접근이다. 그의 작품에는 소외된 여성 계급, 변방의 하층민, 심지어 천민인 백정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심지어 그는 만민 평등 의식을 고취하기도 한다. 김려 문학의 미의식이 이러한 휴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가치가 있다. 작가의 주제 의식이나 창작 의도에 대한 고려가 없는 미학 자체만을 위한 미의식 탐구는, 자칫 내면이 부재한 외피만의 연구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김려의 시작품에 전반에 나타난 표현기법은 대체로 사실적인 묘사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구체적이고 리얼하게 묘사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이고, 그의 문예미학이 이루어낸 커다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김려가 이렇게 사실적인 기법을 활용할 수 있었던 요인 중에 하나는 바로 주석을 적절하게 활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주석과 함께 김려의 작품을 읽을 때, 그의 작품 세계를 더욱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려 문학의 미의식 전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다루었다. 이제 이러한 검토를 시작으로, 앞으로 김려 그룹 전반과 개별 작가에 대한 미학적 검증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Kim Ryo was a talented writer. He was almost a full-time writer. Practically, he had never expressed his thoughts on moral philosophy or argued with other scholars regarding that matter. This upright man just had concentrated on writing and collecting pieces for his whole life. His life as a fierce writer, rather than an ideal neo-Confucian scholar decided the types and content of his literature. This will be explained at the next chapter that deals with the aesthetic sense in his literature. He has created literature work based on his intuition, literary theory of ``jeong(情),`` and keen sensitivity. The scope of Kim`s literature consist of reflecting the rusticity in aesthetic consciousness, realizing aesthetic sense of satire and eroticism, and expressing tragic beauty. His aesthetic sense in all his literature begins with humanism. In other words, his creation consciousness in most of the pieces contains humanism. The scope of the aesthetic in his literature mentioned earlier is the same. When it comes to a subject, the key of Kim`s literature is the way of human approaching to the isolated group of people. his attention and affection for the isolated woman, lower class people, and butchers who were the lowest level is continuously found in his literature. Futhermore, he claimed that all the people are equal. Because his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literature is based on humanism, his work is more valuable. To research of aesthetic sense only for an aesthetic study without writer`s own themes or creation intentions is risky as it can become a superficial research without inner contents. The overall expression technique in his poems is a realistic description. It is a result of his strong will to describe his work more detailed and realistically. It is also a huge achievement of his literature aesthetic study. One of the reasons that Kim Ryo could use the realistic description is because he properly used annotations. When we read his poems with annotations, we can figure out his career and concept of the work better and more concretely. In this article, the overall concept of Kim`s aesthetic sense in the literature was covered. Based on this, I hope that kim and his group would be aesthetically verified in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마애불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이성도(Yi, Sung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각 시대의 마애불 속에 표현된 조형성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의식을 도출하는 과제이다. 마애불에 나타난 미학이나 미의식은 불교조각이 갖는 불교미학인 원융(圖融)과 장엄(莊嚴) 그리고 한국미술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자연주의 미학을 가진다.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 마애불의 조형성과 그 속에 내재된 조형의식과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시대와 지역마다 다른 모습이 듯 드러난 조형성과 미의식은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였다. 이는 연연히 이어지는 전통미술문화 속에 많은 공통성과 또 다른 차별성올 갖는다. 마애불에는 불교미학의 한 축인 장엄의 비중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원융은 모든 중생의 귀의처인 부처를 이상화하는 것에 핵심이 있다면, 이는 시대마다 이상적인 인물유형으로 부처를 형상화하였다. 마애불 조성 그 내면에 관류하는 조형정신이나 미의식의 공통성은 종교적 이상의 원만한 상호(相好) 를 가진 불상 조성과 전통적인 미술문화에서 추구되어진 미의식인 자연주의 미학이 공존한다. 백제마애불에서는 맑은 미소 속에 지극히 인간적인 얼굴, 신라마애불에서는 고졸한 미소 속에 소박한 얼굴 통일신라마애불에서는 이상적인 신체 추구 속에 권위주의적인 얼굴, 고려시대 마애불에서는 절대자 모습으로 신이한 힘을 가진 신상 같은 얼굴 그리고 조선마애불에서는 나약한 선비의 인간적인 얼굴을 본다. 한국미술의 자연주의 성격인 무작위성, 비균제성, 해학성, 세부 표현에 무관심, 자연을 닮은 형상성, 자연환경과의 조화 동의 미학이 마애불에도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또 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별성을 갖기도 한다. 각 시대마다 조형적 특성이 다르지만 자연주의 미학과 절제되고 함축적인 표현 속에 균제와 조화를 가진 인간적인 모습의 부처를 추구하였다. 이는 마애불에서만 보는 미의식이나 조형의식이 아니라 한국미술의 보편적 미의식과 조형의식에 수렴하고 있다. 이는 불교적 이상인 원융을 추구하면서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 미학의 모습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rtistic expressions embedded in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created each era in order to determin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culptures. The aesthetic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contained in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are based on both Buddhist aesthetics, emphasizing reasonable harmony and magnificence, and the naturalistic aesthetics which commonly appear in Korean art. This paper explores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rock-cut Buddhist sculptures cre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the Unified Silla Kingdom, and Chosen Dynasty. Then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the sculptures. It discern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sculptures created in the different times and locations.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 throughout all traditional Korean art and culture. Relative importance of magnificence, which is one of the axes of Buddhist aesthetics, is not notable on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The sense of reasonable harmony mainly idealizes the Buddhist, so the shapes of the Buddhist sculptures trace the idealized shapes of humans imitated in each time period. The converging point of the artistic spiri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penetrat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sculptures is the coexistence of the harmonized reciprocity reOecting the religious ideal and naturalistic aesthetics all traditional Korean art and culture pursue.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Baekie Kingdom is reminiscent of a typical human face wearing a pure smile. whereas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Silla Kingdom reflects a very artless face dominated by a plain smile.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Unified Silla Kingdom shows a face with authority as part of an ideal body shape.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Goryeo Dynasty era reveals the mysterious face of God. the absolute being.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Chosen Dynasty represents an image of a feeble scholar.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include naturalistic aesthetics such as randomness. asymmetry. humor. disinterest in detail expression. shapes resembling nature. harmony with nature. etc. However. the time and locations in which each are created are factors that produce evident differences among the sculpture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s. naturalistic aesthetics and humanistic shapes in balance and harmony seem to be universal in Buddha sculptures. This implies that it is not only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but also all Korean art that shows this artistic spirit and consciousness as well as naturalistic aesthetics targeting infinite interpenetration as ideal in Buddhism.

      • KCI등재

        근대 문학독본류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 연구

        유용태(Yu, Yongtae)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3 No.-

        이 논문은 문학독본류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연구한 것이다. 문학독본류는 근대의 문학지식과 미의식을 전수한다. 『시문독본』의 미의식이 객관적 대상을 주관화하는 미적 가치를 통해 근대전환기 문학인식을 목적으로 한다면 『문예독본』의 미의식은 주체의 미적 태도에 따른 표현에 의하여 발현하는 미적 가치에 주목하여 주관-객관화의 체험으로 미적 판단까지 일부분 포함하고 있다. 문학독본류의 미의식은 문학인식에서 판단으로 나아가는 확장을 보여준다. 문학독본류는 개인의 발전가능성에 비중을 둔 지적 능력의 향상과 감정적 언어를 통한 공감으로 일종의 신념체계로써 민족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다. 또한 독본의 교육적 역할과 문학제도의 승인 · 결합을 통과해야만 하는 과정에서 협력 · 순응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게 된다. 문학독본류는 교육을 일차적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술적 교육의 역할을 병행한다. 문학독본류의 예술적 교육은 독자에게 문학인식을 바탕으로 미의식을 규정하고 미적 판단능력까지 육성하는 것이다. 문학독본류의 예술적 교육은 근대 문학지식의 함양과 미적 판단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판단의 동인에 민족을 배치하면서 민족 이데올로기를 내면화시키고 있다. 독본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고 성격과 당대적 역할을 규명하는 방법은 일제강점기 민간에서 발간된 다른 독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제강점기 독본들은 그 구성에 있어 문학작품의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각 독본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규명할 수 있다면 근대문학의 정전화에서 일제강점기 독본류의 역할과 의미를 분명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about the aesthetic sense in a category of the literature reading book and an ideology. literature reading books have been passed down the modern aesthetic sense. The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sense of the poetry reading book is based on awareness of an objective target through subjective processes. Furthermore, the aesthetic sense in a category of literature reading book contains aesthetic judgments that are described based on aesthetic attitudes. The aesthetic sense of literature reading books does not stop at the awareness stage. it develops the area from “awareness” to “judgement.” The aesthetic sense involv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reading books contains few major factors. First, it helps develop intellectual capacity that is limited by personal potential and also helps build stronger sympathy though emotional language. Those represent national ideology as types of belief structures. Second, it represents the domination and collaboration ideology that appears during the process of approval and combination in the literature system. Third, it plays a role in the area of arts education. Therefore, the aesthetic sense involv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reading books helps readers to explore the rul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rtistic judgement based on recognition of literature. The artistic education factor in literature reading books helps cultivate modern literature knowledge, develop artistic judgment skills, and pass down national ideologies to the next generations. Furthermore, identifying and researching artistic values from other types of literature books can be undertaken as a future task.

      • KCI등재

        형용 언어에 내재된 여성 얼굴 미의식에 관한 연구

        문솔(Moon, Sol),조택연(Cho, Taig Yo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인간은 자신의 유전자를 전달해주기 위한 적절한 배우자를 찾기 위해 건강한 배우자로서의 가치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을 위한 시각적 기호는 배우자를 선택하기 위한 미의식으로 진화하게 된다. 시각지능에 기반을 둔 인간의 미의식은 미적 해석과 표현에서 중요하게 반영된다. 언어는 인간의 중요한 표현 도구로서 시각지능이 어떻게 언어화 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은 인간에게 내재된 언어와 미적 의식과의 개연성을 통하여 디자인의 또 다른 방법론으로써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얼굴에 담긴 시각적 가치를 언어로 묘사하는 형용언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간에게 내재된 여성 얼굴에 대한 민감한 미의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알고리즘 기반 디자인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형용 언어 스케일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은 우선,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생존가치의 표상으로서 얼굴에 대한 호감의 존재를 확인하고, 언어지능과 시각지능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여성 얼굴에서 읽혀지는 표상이 어떻게 해부학적, 생리학적으로 드러나는지 알아본다. 이론 고찰 후, 인간의 해부학적, 생리적 변화가 어떻게 인간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지를 분류하기 위하여 설문 실험 조사로 여성의 얼굴을 형용하는 단어를 추출하고, 여성얼굴 미의식의 호감의 정도를 성적매력도와 생애주기로 분석한다. 그 결과로 여성의 얼굴에서 매력을 느끼게 되는 형용 언어 96개를 추출하였으며 이는, 얼굴 미의식에 대한 시각지능과 언어지능이 상호 연관됨을 의미한다. 도출된 단어에 내재된 시각적 미의식은 첫째, 종(種)을 유지하기 좋은 배우자로서 여성의 얼굴을 형용하기 위한 언어로 표현된다. 둘째, 얼굴 기호에 대한 생애 주기별 구분은, 행동 발달적인 분류보다 성 선택적으로 분류로 구별함이 더 적합하다. 셋째, 여성의 생식 가치가 높은 기간에 성적 매력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여성 얼굴의 형용언어는 나이별로는 비례적 증가의 선형으로, 성적매력도는 종형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뇌의 브로카 영역, 베르니케 영역, 시각피질영역은 해부학적으로도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언어지능과 시각지능이 상호연관 되어 작용함을 알려준다. 본 연구는 형용언어에 내재된 미의식과 시각기호에 대한 연구로, 향후 언어적 맥락을 통한 예술과 미의식에 대한 이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Human judge the value as healthy spouse to find appropriate spouse to deliver their genes. Visual Symbol for the judgement evolves into aesthetic consciousness to choose good spouse. Aesthetic consciousness based on visual intelligence is reflected importantly in aesthetic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In algorithm-based design, Finding out whether visual intelligence is verbalized is important because language is the important expression mean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language that linguistically describing the visual values of the women’s face. We aimed to construct a range of language for facial expression to be used in algorithm-based design as an important tool and determine concretely the inherent sensitive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is study. First of the research method, we identify the existence of the preference to the women’s faces as a symbol of viability tho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And then we find out how the visual factor shown on women’s face is interpreted anatomically and physiologically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intelligence and visual intelligence. After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extract the words expressing the face of female by questionnaire test in order to classify how human recognize the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We analyze the degree of aesthetic preference of women’s faces in the aspect of sexual attraction and life cycle. According to the result, extracted 96 words express attractiveness on woman’s face as a surviving resource i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is implies relationship between visual intelligence on fac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linguistic intelligence. Visual aesthetic consciousness internalized in extracted words is, first, presented by a describable language that describes woman’s face as a surviving value to find a spouse who can bear a species. Second, life cycle classification related to face preference is more apt for sexual selection classification than behavioral development. Third, women are more sexually attractive when their reproduction value is high. Age was in incrementally linear curve, whereas sexual attractiveness was in bell curve. Lastly, Broca’s area, Wernicke’s area and visual cortex area are neighboring each other anatomically within the brain, thus, linguistic intelligence and visual intelligence are interrelated. This study examine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visual preference internalized in a describable language and expects to be utilized as understanding ar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linguistic context.

      • KCI등재

        한국창작춤에 반영된 생명론적 미의식 : 창무회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영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analysis and theoretic contemplation of the currently performed Changjakchum, creative Korean dance genre, to realize the traditionalism in the Korean art, and to grope for a goal toward which the Korean dance heads. Furthermore, this paper clarifies several claims about Changjakchum as a genre, and ambiguous definitions. This thesis also reveals that Chae Hee-wan's ‘Life Theory’ is the most appropriate idea to explain the core aesthetics of Changjakchum.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the discovery of the core aesthetics and prospective tasks, practically analyzing four dance pieces choreographed by Changmuhoe (ChangMu Dance Company). In Chapter 2, Chae Hui-wan's ‘Life Theory’ is thoroughly examined as a central idea of traditional aesthetics in Changjakchum. Chae's theory constitutes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value, dissolves in people's mind and entertainment from the communal rituals, which is was originated from Kim Ji-ha's ‘Life Theory’, Korean traditional Donghak-thought, and Haewol thought. This thesis provides the evidences of how Chae's theory is dissolved into a Korean art form, and examines how this ideology has flown down in the Korean dance in general, especially in Changjakchum. In chapter 3, this paper does a practical study for how the ‘Life Theory’ takes a form in the trends of creative art forms, through the analyses of the repertories of Changmuhoe, which did a leading role in making Korean dance creation with the radical concept change in the 1970s. In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of the social consciousness and the Korean traditional esthetic consciousness which the Korean dance creation has, that i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the ‘Life Theory’, this paper tries to make a foundation for the Korean dance to identify itself as one modern dance genre, with which everybody could agree in any stage in the world, like Japanese Buto or Pina Baushi's Tanz Tteatre. 본 연구는 현재 공연되고 있는 한국창작춤의 실제적 분석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속에 내재된 전통적인 미의식(美意識)의 성격을 발견해 내고, 앞으로의 한국예술에 있어 전통성의 구현과 한국춤이 나아갈 지향에 대한 명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채희완의 `생명사상` 연구가 한국창작춤이 지닌 중심적인 미의식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근접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창무회의 레퍼토리로 공연된 한국창작춤 중에서 두 편을 선정, 분석하여 한국창작춤이 지니고 있는 핵심적인 미의식의 발견과 전망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한국창작춤은 한국예술의 특징인 살아 숨 쉬는 생명사상을 계승하고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생명의 특성인 관계성은 주로 관객과 합일되는 소통의 관계로 유기적 호흡법인 기의 흐름으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우주와 합일되는 <천지인>사상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 둘째, 소통의 관계는 시작이 곧 끝이고 끝이 또 다른 시작이 되는 순환의 구조로, 주로 둥근선, 타원, 태극선 등으로 나타나며 무한의 생명력이 역동, 변화, 생성, 분산등의 확산의 의미인 궁궁(弓弓)의 형상 곧 카오스적 질서로 나타나며 그것은 바로 신명으로 발현하는 것이다. 셋째, 한국적 미의식으로 무용수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는 접화군생의 전통적 미의식과 유기적 호흡의 기(氣)로 화이부동한 새로운 안무경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이 모든 특징들이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소통하며 카오스적 우주질서에 저항하는 치유 `풀이`의 효과로 되살림의 두레적 공동체성, 곧 `일·놀이 춤`이 그 특징이다. 이처럼 한국창작춤이 지닌 전통적 미의식과 현대적 사회의식의 복합체인, 곧 `생명사상`에 관한 논의를 통해 일종의 일본의 현대춤인 부토나 피나 바우쉬의 탄츠 테아터처럼 한국창작춤이 앞으로 세계의 어느 무대에서도 관객들이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한국성을 가진 현대적 춤 장르로 자리 매김 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해 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춤의 미적범주, 맛과 멋

        고경희(Kyung-hee K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자는 먼저 한국학에 있어서 미의 개념 및 미의식을 살펴보면서 한국춤의 미적체험 속에서 맛과 멋으로 표현되는 미적 의미와 가치를 조망하고,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춤의 움직임의 원리를 분석하고, 일반화된 미의식이외에 곡선의 원리에 의한 ‘무한대의 생명론적 미의식’이 맛과 멋의 미의식으로 승화되었다고 보았다. 한국춤의 생명성은 바로 원을 지향하는 곡선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며, 맛과 멋의 미의식을 가장 크게 느끼게 해주는 움직임의 원리이다. 그러나 한국춤의 움직임이 현대로 오면서 서구의 영향에 의해 점차 직선적인 움직임 기법을 자주 사용하면서 곡선적인 움직임이 사라져 가고 맛과 멋에 대한 미적 감성조차 느끼기 힘들어졌다. 따라서 한국춤의 독자적이고 고유한 맛과 멋의 미의식을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춤의 전통적인 움직임의 원리인 곡선춤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며 심(心)과 신(身)이 공유할 수 있도록 무용가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방안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춤의 맛과 멋의 미의식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n how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of Korean dance is realized with the analysis of aesthetic meaning and value found 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Korean dance, and also the aesthetic concept and consciousness of Korean Studies. Firs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endless life theory is from the curved motion, which is one of the basic principle of Korean dance, and is to be sublimated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The life theory of the Korean dance is to be cleary realized by the curved movement aiming the Circle, which is the important principle of movement for feel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But, the Korean dance movement has been affected to follow the Straight motion frequently in recent days rather than the Curved mo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style movement. This makes difficult to find aesthetical sense of Mat and Meot. So, it is very crucial to keep and improve the Curved motion in the Korean dance for protecting and develop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the unique feature of the Korean dance. And the continuos effort and plan of Korean dancer is also needed to make the Mind and the Body coexist each other. Furthermore, the research on this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of the Korean dance should be kept go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