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이주형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 was established in Korea during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with the return of several scholars after studying abroad in the U.S. and Europe. Beginning in this period, modern methods of art history—such as visually analyzing objects or monuments as works of art, identifying their themes and functions,and exploring their artistic or historical significances—appeared in their writings in a sophisticated form and were taught at university programs, which produced numerous younger scholars. Thus,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has been fully modernized in less than three decades, reaching a level in some areas comparable with more advanced academic traditions outside Korea. Around the time when this new phase unfolded in Korean academia,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Europe and the U.S. was about to undergo revolutionary changes in both outlook and methodology, which was heralded by a movement called New Art History or the social history of art initiated by such radical scholars as T. J. Clark in England, although to reduce various voices heard in these new developments to the New Art History alone would be a gross misjudgement. Disenchanted by conventional undertakings of art history, scholars began to question the discipline's longstanding premises deeply affected by its prevailing positivistic attitude as well as its manifest adherence to high art and Eurocentrism and to reflect on ways to seek new methodological paths or to revive grand visions of its founding fathers of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s century. Unfortunately, these new developments in Europe and the U.S. made little impact on Korean academia, which had different agenda of first establishing art historical scholarship as a modern discipline. Most scholars specializing in Korea or other parts of Asia devoted themselves in constructing knowledge in connoisseurship, chronology, and iconography in a positivistic spirit without having any leisure to pay attention to critically pondering on the premises of their work or alternative methodological paths. On the basis of great achievement made during last three decades,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is obviously at the point to reflect on the nature of its accomplishment and seek ways to innovate itself for a new horizon. This paper addresses these problems. 한국에서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미술사학은 구미에 유학했던 몇몇 연구자들이 1970년대 중반부터1980년대 초 사이에 귀국하여 학계에 자리를 잡음으로써 확립되었다. 이들 학자의 글에서 미술사학의 근대적 방법들, 즉 유물이나 모뉴먼트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그 주제와 기능을 밝히며, 그 예술적, 역사적 의미를 해명하는 방법들이 본격적으로 쓰이게 되었고, 아울러 대학에 마련된 교육과정을 통해 수많은 신진학자들이 길러졌다. 그리하여 한국의 미술사학은 불과 30년도 안 되는 기간에 근대적 학문으로 자리잡게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외의 선진 학계에 버금가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이들 학자가 귀국할 무렵구미의 미술사학은 관점이나 방법론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T. J. 클라크(Clark) 등 영국의 급진적인 학자들이 주도한 소위 신미술사학(New Art History) 운동의 예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이러한 새로운 변화 속에 일어났던 여러 흐름을 신미술사학만이 대표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심각한 오해이다. 아무튼 기존 미술사학의 전통적인 학풍과 관행에 실망한 많은 학자들이 미술사학의 오랜 전제들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의문은 실증주의적인 학풍과 고급 예술 중시/유럽중심주의로 요약될 수 있다. 이들은 새로운 방법론적인 선택의 가능성들을 모색하고 아울러 19세기 말과20세기 초의 미술사학의 근대적 창시자들의 거시적인 비전에도 다시 주목했다. 불행히도 구미에서 일어난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한국 학계에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한국의 미술사학계는 미술사학을 근대적 학문으로 확립해야 하는, 구미와는 다른 어젠더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과 그 밖의 아시아 지역의 미술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실증적 작업을 통해 감식과 편년, 도상 정립 등의 지식 구축에 몰두해야 했고,그 과정에서 그러한 작업의 전제나 의의에 대해 성찰할 여유를 갖지 못했던 것이다. 지난 30년간 축적된 놀랄 만한 성취를 바탕으로 이제 한국의 미술사학은 그 성취의 의미를 성찰하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자기혁신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성찰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