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의 전개양상

        최대균 한국청동기학회 2014 한국청동기학보 Vol.15 No.-

        본고는 호서지역 미사리유형 관련 주거지와 유물의 속성을 함께 검토하여 구체적인 편년을 설정하고, 다른 지역에서 확인되는 미사리유형과 비교 검토 및 호서지역의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의 관계를 검토하여,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의 전개양상에서 대하여 살펴보았다. 호서지역의 미사리유형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되는데, 먼저 1단계는 판석부위석식노지가 단독으로설치된 평면 정방형의 소형 주거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돌대문토기와 절상돌대문토기,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A형만이 출토된다. 2단계는 판석부위석식노지와 무시설식노지가 공반되어 설치된 평면 장방형의 대형 주거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돌대문토기는 가장 이른시기에 해당하는 A형이 소멸되고, 새로운 형태인 B형과 C형이 출토된다.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가장 이른 형태인 A형과 새로운 형태인 B형이 공반되어 출토된다. 3단계는 판석부위석식노지가 설치된주거지는 소멸되고, 위석식노지가 설치된 평면 방형의 중형·대형의 주거지가 등장한다. 또한 무시설석노지가 설치된 평면 장방형의 소형·중형 주거지가 이전 단계에 비하여 빈도수가 증가한다. 돌대문토기는 C형과 퇴화형인 D형이 공반되어 출토되며, 절상돌대문토기는 B형이 출토되고 있다.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모든 형식이 출토된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위석식노지와 무시설식노가 설치된 평면 장방형의 대형 주거지와 무시설식노지가 설치된 평면 정방형·방형의 소형 주거지가 다수 확인된다. 돌대문토기는 소멸하며, 절상돌대문토기는 C형만이 출토된다.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모든 형식이 출토되고 있다.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은 청동기시대 조기~전기 전반에 걸쳐 존속한 것으로 판단되며, 1·2단계가조기, 3·4단계가 전기전반에 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호서지역의 미사리유형은 청동기시대의 가장이른 시기에 등장하였지만, 이후 가락동유형이 호서지역에 남하하여 일정기간 병존하며, 미사리유형이 점차 소멸되고, 가락동유형으로 흡수되어 결국 가락동유형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전개양상을 보이는 것은 호서지역의 가락동유형이 다른 지역의 가락동유형에 비해 제일성을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attributes of The Misari type dwelling and relics in theHoseo area, to establish a specific chronology. And the study also made the comparative reviewwith Misary type in other areas and reviewed the relation between The Misari type and theGarakdong type in order to examine the development features of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area. The Misari type of the Hoseo area can be divided into 4stages. Stage1 is mainly small dwellingwith rectangular shape on the plain where Panseokbuwiseoksiknoji was independently installed.Doldaemun pottery, Jeolsangdoldaemun pottery and Misarigyeijungguyeon pottery, Type Awhich was the earliest period was excavated only. In stage2, Panseokbuwiseoksiknoji andMusiseolsiknoji were co-installed in a large plain rectangular dwelling site. As for Doldaemunpottery, Type A, the earliest period was extinct, and new Types B and C were excavated. As forMisarigyeijungguyeon pottery, Type A, the earliest one, and TypeB, the new style were excavatedtogether. In stage3, the dwelling site where Panseokbuwiseoksiknoji was installed were extinct,and middle and large dwelling site on plain square plain where Wiseoksiknoji was installedappeared. And, the small and medium dwelling sites in plain and rectangular shape whereMusiseolseoknoji was installed increased in numbers. As for Doldaemun pottery, Type C, andType D, a kind of deterioration were excavated together. As for Jeolsangdoldaemun pottery,Type B was excavated. As for Misarigyeijungguyeon pottery, all types were excavated. Finally,in stage 4, there were many large plain and rectangular dwelling sites where Wiseoksiknoji andMusiseolnoji were installed and also many plain square and rectangular small dwelling sites.Doldaemun pottery was extinct, and Type C was found only for Jeolsangdoldaemun pottery. Alltypes were found for Misarigyeijungguyeon pottery. It is conjectured that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area survived in the initial and early stage ofthe Bronze Period and that stages 1 and 2 might be the initial period and stages 3 and 4 mightbe the early period.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area appeared in the earliest period of the Bronze Period. Later,the Garakdong type was transmitted and both types coex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n,the Misary type decreased gradually and was absorbed by the Garakdong type. Eventually, it wasturned to the Garakdong type. The reason of such trend was because the Garakdong type in theHoseo area had the most primitive form compared with the Garakdong types in other areas.

      • KCI등재

        남한지역 미사리유형 석기 양상 연구

        박선호 한국청동기학회 2015 한국청동기학보 Vol.17 No.-

        미사리유형은 판석부위석식노지에 돌대문토기를 공반하는 청동기시대 문화유형으로 2000년대 초반 조 기의 설정과 관련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학계에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미사리 유형 연구는 주거형태, 돌대문토기가 주를 이루었는데 본고에서는 공반하는 석기를 주 연구대상을 삼았다. 먼저 남한지역 전체 미사리유형 유적을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지금까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석기연구에 유의미한 속성을 기준으로 형식을 구분한 뒤 단계별 주요 형식을 살펴보았다. 1단계는 편평밑 과 만입도가 크지 않은 둥근밑의 형태를 가지는 무경촉, 장방형의 유공양인석도가 다수를 차지한다. 2단 계는 유병식석검, 유경촉, 무공양인석도가 확인되는데, 석도는 전 단계에 장방형이 주를 이루던 것에 비해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이 단계부터 특징적으로 편평양인석부가 나타나며 부리형석기도 관찰된다. 3단 계는 만입도가 크고 세장한 무경촉이 확인되며 유경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석도는 무공양인석 도가 소멸하며 유공편인석도가 다수를 차지한다. 편평양인석부는 전단계보다 개체수는 감소하지만 형태 적으로 종단면상 신부와 인부가 이루는 각이 뚜렷해진다. 다음으로 미사리유형 유적이 하안 충적대지에서 소규모로 확인되는바 각 지역의 수계를 기준으로 지역 성을 살펴보았다. 한강본류는 편평밑과 만입도가 크지 않은 둥근밑이 다수를 차지하며, 양인석도만이 확 인된다. 북한강과 남한강은 무공양인석도가 한강본류보다 다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무공양인석 도가 영서지역의 지역적 특색이 강한 유물임을 보여준다. 금강유역은 이단경촉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 해 높은 편인데, 이는 미사리유형이 일찍부터 가락동유형과 병존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낙동강유역은 부리형석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부리형석기는 남한강유역에서도 소수 확인되고 있어 이 지역을 통한 전파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미사리유형의 석기는 무경촉과 양인석도가 주를 이루며 이후 편평양인석부가 추가되어 시 ․ 공간적 변화를 통해 전파와 확산과정을 거치면서 각 지역의 재지문화와 병존․흡수된 것으로 판단된다. Misari type is a culture type associated with Doldaemun pottery on stone floor-stone-lined hearth in the Bronze Age, which began to come to the fore in academia with an investigation on the ruins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early period in the early 2000s. Till now, most studies of the Misari type have been conducted, concerning the types of residence and Doldaemun pottery, and this study took stoneware as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This study first divided the entire Misari type ruins in South Korea into five regions and classified them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 properties through which studies of stoneware could obtain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ill now. In Stage 1, arrowheads without tang and rectangular biface stone blades with hole, having flat bases and round bases with a low degree of indentation form a large majority. In Stage 2, hilted stone daggers, arrowheads with tang and biface stone blades without hole are observed, so it is judged that polishing of the arrowheads with tang are not even, so stoneware processing technology was not developed yet, and various shapes of stone blades are observed, which were mostly rectangular shaped, in the previous stage. Characteristically, from this stage, flat biface handaxes appear and beak-shaped stoneware is observed, and it is assumed that the Shandong Peninsula may be its origin. In Stage 3, deeply pushed-in and slender arrowheads without tang are observed, and the ratio of arrowheads with tang increases and the division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body part becomes clear. As for stone blades, biface stone blades without hole disappear, and polished stone blades with hole form a considerable majority. The number of flat biface handaxes decreases from the previous stage, but they become more distinct morphologically. Next, Misari type ruins are observed in the River alluvial fans in a small scale, and they were sub-divided based on their basic water system. Flat bases and round bases with a low degree of indentation occupy most of the Han River basin, and only biface stone blades are observed. In Bukhan River and Namhan River, stone blades without a hole show somewhat higher ratio of that in the Han River basin, and it is judged that a biface stone blade without a hole is relic with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Yeongseo region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In the Geumgang River basin, the division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body part of a tang with double wings becomes clear, so it is likely that Misari type has long coexisted with Garak-dong type. The Nakdong River basin has a high proportion of beak-shaped stoneware, and a few is observed in the Namhan River basin, too, so it is judged that it went through a process of propagation via these two areas. Like this, the Misari type stoneware mostly consisted of arrowheads without tang and biface stone blades, and later, flat biface handaxes was added.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es of transmission and spread with spatio-temporal changes, it came to coexist and be integrated into the local culture of each region.

      • KCI등재

        渼沙里類型의 出現과 消滅

        박성희 영남고고학회 2014 嶺南考古學 Vol.- No.70

        미사리유형은 기원지에서부터 취락입지, 주거구조, 유물상이 비슷한 문화를 가진 가락동유형과 한반도 남부에 정착하는과정에서 밀접히 관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른 시기부터 영향관계에서 일부 흡수되기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공렬토기문화가 한반도에 넓게 확산하게 됨에 따라 재흡수 통합 속에 놓이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미사리유형의취락민은 일차적으로 이중구연토기문화에 이차적으로 공렬토기문화에 노출됨으로 인해 복합적인 토기의 공반사례가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역삼동유형은 미사리·가락동유형과 함께 한반도 남부에 정착하였으며, 한강유역의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전기 전엽에 분포하다가 성장하면서 전기 중엽 이후 확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재지하던 미사리·가락동유형을 주체적으로 흡수하면서 조동리·흔암리유형과 같은 다양한 고고학적 물질문화가 발생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공렬토기문화권에 완전히 융화됨에 따라 전통적 속성이 사라지고 단독문화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렬문만이 시문된 역삼동식토기는 이른 시기부터 제작사용되어 가장 오랜기간 장기지속한 것으로, 이중구연단사선문 공렬토기는 전기 중후엽에 유행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e origin of Misari Assemblage is in Northern Regions of Korea. The one of them, Garakdong style(furnacewith stone rampart, the double-rimed pottery with short diagonal patterns) is similar in the settlementlocation of river side or low level hill, the architecture, artifacts to Misari Assemblage(furnace with stone floorand rampart, the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the protrusion) but Yeoksamdong style(furnace without facilities,the rim-perforated pottery) is different to it. So Garakdong style affected the formation of Misari Assemblage inSouthern Regions of Korea. Maybe two cultures have closely relationship. However when Yeoksamdong Assemblagespread throughout southern regions of Korea, it unfriendly made an impact upon Misari Assemblageand absorbed it. As a result, it appears that Misari Assemblage has various pottery types. Yeoksamdong CulutralAssemblage settled down Han River Valley in Gyeonggi Area with Misari·Grakdong Assemblages in the EarlyBronze Age. After growing culture, it spread all over the other areas in teh mid Early BronzeA ge. It unified Misaari·Garakdong Assemblages in some areas. As a result, the diversified assemblages like Jodongri or Heunamritype appeared at that time. It widely located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except the southern Hoseo Area thatmain culture is the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n the Early Bronze Age. Misari·Jodongri·Heunamri typedisappeared in the late Early Bronze Age that became integrated into two cultures.

      • KCI등재

        湖南地域 靑銅器時代 前期文化의 特徵

        金奎正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9 No.-

        호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아직까지 조사예가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고 있고, 유구의 밀집도는 떨어지지만 호남전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미사리유형을 비롯하여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 흔암리유형 등이 모두 확인된다. 이들 각 유형은 분포양상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미사리유형은 현재 순창 원촌과 담양 태목리에서 확인되었으며 미사리유형의 한 요소인 미사리식토기는 익산 영등동, 섬다리에서도 확인된다. 가락동유형은 대체로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대체로 동부내륙과 동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호남지역에서 조사된 전기유적은 주거지와 출토유물을 통해 모두 3기로 분류하였다. Ⅰ기는 각목돌대문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미사리유형과 이중구연단사선문을 특징으로 하는 가락동유형으로 미사리유형은 동부내륙의 순창 원촌유적에서 확인되며, 가락동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부내륙지역에서 확인된다. Ⅱ기는 가락동유형이 북서부지역은 물론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고 새롭게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가락동식토기는 이중구연의 요소가 퇴화되지만 아직까지 이중구연의 요소는 남아 있다. Ⅲ기는 (세)장방형 주거지의 비율이 현격하게 줄어들고 방형으로의 평면이 정형화된다. 전기의 특징적인 노지는 설치되지만 Ⅲ기 후반의 가장 늦은 단계에는 일부 지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원형 송국리형주거지가 등장하고 그 영향으로 방형주거지에 설치된 노지가 사라지고 원형 송국리형주거지의 특징인 타원형구덩이가 설치되는 등 주거지의 변화가 확인되고 토기의 문양은 대부분 사라지고 무문화된다. 그러나 동부내륙지역과 동남해안지역과 같이 일부지역에서는 역삼동식토기의 특징인 공열문 요소가 늦은 시기까지도 지속된다. The number of material showing the relics of the former Bronze Age in Honam (Jeollaprovinces) area has been increasing lately and their evidences, though small in number, havebeen identified across the whole area. Clear differences have been confirmed in thedistribution ways of the former Bronze Age culture in this area between Misari-type,Garakdong-type, Heunamri-type and Yeoksamdong-type assemblages. Relics of Misari-typeassemblage were surveyed in Wonchon, Sunchang, eastern inland of the provinces, and inTaemokri on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Misari-style pottery which is characteristic ofMisari-type assemblage was once unearthed in Yeongdeungdong, Iksan and from the remainsof Seomdari. Garakdong-type assemblage has been found in wide areas ranging from thenorthwestern and midwestern parts of the country to the central inland region. Garakdong-style pottery, characteristically of Garakdong-type assemblage with clear form of double rim atthe mouth, was found to have been changed to the one with the vestige of double rim leftonly vaguely. Although Yeoksamdong-type and Heunamri-type assemblages were identifiedin Jangdong, Jeonju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region and among shell mounds in BieungIsland along the west coast of the country, lots of them are spread mostly in the east inlandregion and along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the central inlandregion.Judging from the remained settlements and unearthed relics, all the remains of the formerBronze Age surveyed in Honam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3 phases. The phase I referred tothe period when Misari-type assemblage, characteristic of Gakmokdoldaemun pottery, as wellas Garakdong-type assemblage, characteristic of double-rimmed pottery, appeared for the firsttime in Honam area. Among them, Misari-type assemblage was confirmed at the relics ofWonchon, Sunchang and Garakdong-type assemblage was ascertained in the northwesternpart of the country and at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phase Ⅱwas the period whenGarakdong-type assemblage started spreading not only toward the northwestern region buteven toward other surrounding areas and Yeoksamdong-type and Heunamri--typeassemblages made appearance newly. Garakdong-style pottery had double rims degeneratedbut still reminiscent. In the phase III, the proportion of rectangular (narrow) settlementsreduced drastically and square-shaped ones became typified. The remains of firing places,characteristic of the former Bronze Age, remained to be seen but pattern in potterydisappeared gradually and even tended to be patternless. During the latest part of the phase Ⅲ, new type of circular Songgukri-type assemblage made entry exercising influence upon thesquare-type settlements, forcing out firing places and introducing oval-type pits, characteristicof circular Songgukri-type settlements. Most of patterns existed no more in pottery andpatternless stamp paddled deep bowl pottery became prevalent. In some of areas like easterninland and southeastern coastal area, Yeoksamdong-type pottery lasted upto the later periodof the phase.

      • KCI등재

        북한강유역 미사리유형 취락의 입지환경 변화 연구

        박영구,허의행 한국청동기학회 2022 한국청동기학보 Vol.31 No.-

        본고에서는 춘천분지를 중심으로 북한강과 소양강 일원의 미사리유형 취락의 단계별 변천양상과이들의 입지 변화 원인을 검토하였다. 북한강유역에서 돌대문토기는 3단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약3,100 BP를 기점으로 등장과 발전, 쇠퇴의 시간적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입지에서도 확인된다. 북한강 유역 미사리유형 취락의 1단계에는 천전리 일원과 중도동 남서쪽에 미사리유형 주거가 처음으로 조성되는데,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 등이 분산되어 분포하는 등 소규모취락의 형태로 나타난다. 2단계에는 1단계에 축조된 세대공동체의 공동주거형인 중(대)형의 장방형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의 축조 숫자가 증가한다. 중도유적에서는 B1구역과 D1구역에 먼저 주거군이 형성되고, 점차적으로 동쪽(E1) 구역과 북쪽(D2ㆍ3구역)으로 확장되며, 기타 취락 등지에서도주거군의 밀집도가 넓게 분포하는 등, 여러 지역으로의 대규모 취락 형태로 조성된다. 3단계에 들어서면 취락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중도지역에서는 남서쪽 일부지역으로 주거가 축조되고, 인접한 금산리ㆍ현암리나 근화동 지역으로 취락의 축조가 옮겨가는 현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돌대문토기 단계의 변화는 입지와 같이 하는데, 이의 구체적 원인은 기후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즉 청동기시대 들어서 지역적 기후 변화가 진행되면서 춘천분지의 지형경관도 바뀌게 되었고, 이는 취락의 입지 변화와 같이 나타나게 되었다. 춘천분지라는 평탄한 대지에 축조된 미사리유형취락은 처음 등장한 1단계에는 하천의 접근에 용이한 지역, 특히 북한강과 소양강의 평형천 부근에 인접하여 주로 입지한다. 이후 기온 상승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가로 인해 하천의 접근에 용이한 다양한지형으로 입지의 변화를 보이고, 3단계에 들어서면서 하강하는 기온으로 인해 미사리유형 취락은 북한강과 소양강의 평형천 근처 지형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지만, 북한강 중상류지역의 좀 더 안정된 지형에 집중한다. 3단계 미사리유형 취락의 입지는 1단계의 지형입지로 경관과 유사해지면서 취락 또한 원장소를 점유하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북한강 유역으로 역삼동유형 취락이 등장하게 되면서 우두동과천전리 일원의 단구지형과 중도동의 하중도 지형은 더이상 접근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후 춘천 분지지역은 청동기시대 전기와 중기의 취락지로 새롭게 입지적 개편이 진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前期의 上限과 下限

        李亨源 한국청동기학회 2007 한국청동기학보 Vol.1 No.-

        이 논문은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의 상한과 하한을 검토한 편년연구이다. 먼저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은 조기(미사리유형)-전기(미사리유형,가락동유형,역삼동·흔암리유형)-후기(송국리유형,역삼동유형,북한강유형,검단리유형)의 3단계로 나누었다. 전기단계는 조기에 이어지는 미사리식토기의 존속, 여기에 가락동식·흔암리식·역삼동식토기가 사용된 시기이며, 마제석검과 청동기가 제작되었다. 이와 함께 취락구성에 있어서 장방형 또는 세장방형의 대형주거가 중심을 이루며, 정형화된 분묘와 환호취락의 등장 역시 전기청동기문화의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특히 비파형동검을 모방한 혈구이 단병식마제석검이 성행한 점에서 비파형동검문화기로 볼 수 있으며, 마제석검만 존재한 선동검기와 비파형동검기로 세분된다. 전기 청동기문화의 상한은 미사리식·가락동식·역삼동식토기 등이 지역성을 보이는 기원전 12~13세기로, 하한은 역삼동식토기가 주체를 점하는 시기로서 기원전 9~10세기로 추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절대연대는 동아시아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기년명자료와 공반유물의 검토를 통한 비교연대 연구를 병행하면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mainly concerns on time span, especially the upper and lower limit of EarlyBronze Age in South Korea. The early part of Bronz 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periods: Initial (Misari-type assem-blage), Early (Misari-type assemblage, Garakdong-type assemblage, Yuksamdong-Hunamri-typeassemblage), and Middle (Songgukri-type assemblage, Yuksamdong-type assemblage. NorthHan River-type assemblage, Gumdanri-type assemblage)The Early Bronze Age can be characterized continuation of Misari-type assemblages prevalentin the former stages, and emergence of Garakdong-, Yuksamdong- and Hunamri-type assem-blages. The assemblages commonly include polished stone dagger and bronze implements, and(long) rectangular dwellings. In addition, the advent of standardized tombs and enclosed settle-ments can be named as of the Early Bronze Age.Especially, through the prevalence of two stairs shaft type polished stone dagger copying theLiaoning-type bronze dagger, this period might be called the Liaoning bronze dagger period ,and it is broken down into the pre-bronze dagger period and the Liaoning bronze dagger period.The upper limit of Early Bronze Age in South Korea, on the one hand, can be dated to thir-teenth or twelfth century BC, while the lower limit could be dated is the period, on the otherhand, tenth or ninth century BC.Nevertheless, the absolute dates mentioned above could be modified in comparison toChinese dates.

      •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전개

        박성희(Park, Sung hee)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East Sea) of Nakdong River, It has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in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assemblage of Geomdanri, Songgukri in the lately Bronze age, The assemblage of Yeoksamdong is the main culture from Yeong-nam region, Because the assemblage of Misari and Garakdong so far discovered and their sertelmenr' s scale is small. In view of the result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Yeoksarndong’ s senelemenrs. The assemblage of Geomdanri is o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east pan of Nakdong River, On the other hand tile assemblage of Songgukr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n, the northern-cast part of Nakdong River, But the Geomdanri has relation with the Songgukri beacause of being detected a few the Songgukri in tile southem-east pan of Nakdong River,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aspect of the seeternnets from Chung-cheong region, The Yeoksamdong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cnelmems from Yeong-nam region in me early and lately Bronze age.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남강유역 남강 황강유역)와 동부로 나뉘며, 낙동강 중 상류역인 동북부(동북내륙지역 대구지역 낙동강 상류지역)와 동남부(동남해안지역 낙동강 하류지역)로 세분되어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는 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이, 후기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해 나갔다. 검토결과 전기는 역삼동유형이 전지역에 분포하여 중심문화를 이루고,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역삼동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기는 검단리유형이 낙동강 동남부지역에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이외 낙동강서부와 동북부에는 송국리유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후기의 중심문화는 송국리유형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동남부지역 일부에서도 송국리식 주거지가 소수 확인되고 있어 송국라유형의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전개양상은 충청지역의 것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렬문토기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확인된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권역

        Park Sung hee(朴性姬)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1

        청동기시대 취락은 일차적인 지형 환경 여건과 생업경제 등으로 거주지를 우선 선정하여 점유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른 시기 강을 따라 한반도 남부까지 확산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강-금강-낙동강 일원의 경기ㆍ강원 영서ㆍ호서 차령산지 남부ㆍ영남 지역 일원에 일찍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유형의 점유는 지역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며, 이후 이곳을 중심으로 문화가 점차 성장하면서 각 주거군의 핵심지는 자연스럽게 배타적 지역권이 설정되고 중심부와 주변부로 이루어진 경계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 가락동유형은 호서 차령산지 남부에 밀집 분포하면서 문화권역을 이루고, 동쪽에 위치한 태백산ㆍ청량산ㆍ일월산 등과 함께 경기ㆍ강원지역과 영남지역 사이를 나누는 경계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호서 서해안 일원과 호남지역은 전기 취락이 점유되기는 하였지만, 그 출현빈도가 낮아 다소 공백지대와 같은 양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각 유형의 중심부에서 벗어나 분포하는 소규모 주거군은 다른 문화권의 성장 확산에 쉽게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흡수 통합되는 모습을 띤다. 흡수과정은 강압적 또는 자발적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복합문 토기의 등장과 다양한 유물ㆍ유구복합체가 이의 결과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전기의 문화권역은 후대 물질문화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후기 송국리유형은 기존 취락의 주변부인 호서 서해안 일원과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성행한다. 그러면서 공간의 경계는 해체되고 새로운 중심ㆍ주변부의 지역권이 형성되어진다. 경기ㆍ강원지역은 역삼동유형이 장기지속하고, 호서ㆍ호남 지역과 영남 북부 남서부는 송국리유형 문화권 내에 포함되며, 영남 남동부는 역삼동유형에서 계승된 지역성이 강한 검단리유형이 문화권역을 이룬다. This paper is recognized five cultural assemblages(the MisariㆍGarakdongㆍYeoksamdogㆍGumdanriㆍSonggukri Cultural Assemblages) and interpreted as a cycle of settlement going through 'emergence-growth-development-decline-disappearance'. The former early period(3300~3100 B.P./14~13th Centuries B.C.), Misari Cultural Assemblage emerged in GyeonggiㆍKangwon YeongSeoㆍHoseo Southern Charyeong Mountain RangeㆍYeongnam. Maybe It spread rapidly along the river over southern areas. But It didn't diffuse far southern regions of Honam. The former middle period(3100~2900 B.P./12~11th Centuries B.C.), the Cultural Assemblages began to emerge in the global Southern Korea. The latter early period(2700~2600 B.P./8th Centuries B.C.) Songgukri Cultural Assemblage grew and expanded into Hoseo Northern Charyeong Mountain Range and Yeongnam. During this period there are three local areas, Yeoksamdong Cultural Assemblage in GyeonggiㆍKangwon area, Songgukri Cultural Assemblage in HoseoㆍHonamㆍNorthern YeongnamㆍSouthwestern Yeongnam, Gumdanri Cultural Assemblage in Southeastern Yeongnam. The latter late period(2400~2200 B.P./5~4th Centuries B.C.)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grew more and then was excavated in SonggukriㆍGumdanri type settlement. As above, the Cultural Assemblages of the Bronze Age densely distributed to form certain range of area. The social space and boundary continued to change every period.

      • KCI등재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검토

        孔敏奎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8 No.-

        금강 중류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일반적으로 가락동유형으로 대표되어왔다. 이 지역에서 가락동유형은 둔산식 주거지와 가락동식토기를 표지로 한다. 둔산식 주거지는 과거 둔산식-용암Ⅰ식-용암Ⅱ식으로 분류하였으나 최근의 조사 자료를 재검토하여 세분된 분류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가락동식 토기와 기타 공반된 토기의 문양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락동식토기 고유의 문양요소는 출현과 소멸의 과정이 진행되는데, 주거지의 변화상과 연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최근 이 지역에서 기존의 가락동유형과는 다른 양상의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유적이 조사되었다. 대평리유적은 충적지에서 취락이 조사되었는데 미사리유형의 취락으로 판단된다. 대율리유적은 환호취락으로서 그 성격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 일부 유적에서도 가락동유형과 다른 성격의 주거지가 조사되어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이제 다양한 양상으로 접어들고 있다 가락동유형의 취락은 지형적으로 구릉의 평탄면에 입지하며. 하천과의 관계속에서 볼 때 주로 2차 하천의 주변에 위치한다. 취락의 형태는 취락지리학의 성과를 참조하여 (단독·분산)점상취락-면상취락으로 구분한 후 각 유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금강 중류역의 가락동유형 취락은 세대공동체 중심의 소취락을 기본구조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역별 변천상을 통해 중대형 취락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산되고 시간에 따라 취락의 분포상도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형태는 점상취락에서 면상취락으로 변화된다.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around Geum river mid-stream is usually represented as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n this area,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s recognized withdwelling site of Dunsan style and Garakdong style pottery. Dwelling site of Dunsan style used toclassify with Dunsan-Yongam I-Yongam II but recently research material is reviewed and it waspossible to suggest much segmentalized classification. Through analysis on Garakdong style pot-tery and other patterns of pottery, inherent patterns of Garakdong style pottery repeated theprocess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nd it is judged as connected with the changed ofdwelling site.Next, nowadays in this area, the early Bronze age settlement remains was founded, which wasdifferent from existing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Daepyeongli archaeological sites wasfounded on the an alluvion, which was considered as Misari cultural assemblage. Daeyulliarchaeological sites is moated settlements and the argument on the character of it is still going on.In some other remains, the dwelling site which is different from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was spotted, so Geum river mid-stream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shows various aspects.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s located on flat ground on the hill and related with stream,usually it is founded near the second stream. The type of settlement is classified and reviewed asDot type settlements-Plane type settlements referred to the results of settlements geography(sin-gle, dispersion). According to this, Gem river mid-stream Garakdong cultural settlements consistsof small settlements as basic structure focused on generation communities. Especially known asregional changes, it was spreaded with middle and large settlements as the center and the num-ber of settlements was getting higher and the shape was changed from dot type to plane type.

      • KCI등재

        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Song Man young(宋滿榮)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79 No.-

        欣岩里式土器의 발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인식이 있다. 하나는 계보가 다른 두 토기 양식이 특정 지역에서 융합하여 흔암리식 토기가 발생하고 이후에 남한 전역으로 확산되었다는 견해와 다른 하나는 남한 여러 지역에서 흔암리식 토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이다. 괮型이 주민집단을 반영하는 고고학적 분석 단위라고 할 때, 전자의 관점에서는 남한 전역 단위의 欣岩里괮型설정이 가능하지만, 후자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글은 후자의 관점에서 작성되었는데, 지역적으로 다른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 배경을 구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를 통해 흔암리식 토기가 출토된 유물ㆍ유구복합체의 형성과 시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남한 청동기시대 발생기의 지역권은 크게 가락동유형이 분포한 남한 서부 지역과 영남 내륙, 그리고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지역과 남강유역 등으로 구분된다. 이 지역에서의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은 공렬토기라는 외래적 요소의 출현에 따른 것인데, 흔암리식 토기의 전국적인 분포에도 불구하고 가락동유형 분포권 가운데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에서만 흔암리유형으로 인정할 만한 유물ㆍ유구복합체가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흔암리유형의 표지가 되었던 흔암리유적은 실제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의 유물ㆍ유구복합체를 반영하지 않기에 대안으로 백석동유형을 제안하였다.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 지역에서는 미사리→조동리→천전리유형으로의 계기적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이 지역의 흔암리식 토기는 조동리유형 단계에 미사리계 이중구연토기와 공렬토기가 결합하여 발생하였다. 백석동유형과 조동리유형의 공간적 분포는 임진강 상류 지역에서 한강 본류, 그리고 남한강을 연결하는 선에서 접점을 이루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소위 흔암리유형의 표준 유적이었던 흔암리유적의 성격은 조동리유형에 보다 가까울 것으로 이해하였다. There are two different perceptions of formation of Heunam-ri type earthenware: One is that two pottery styles with different lineage were mixed in a particular area and transformed into Heunam-ri type earthenware and spread all over south Korea later on; the other one is that Heunam-ri style occurred simultaneously from several parts of south Korea. If assemblage is one of archaeological units of analysis reflects inhabitants, it is possible to set Heunam-ri assemblage throughout the south Korea from the former but latter does not accept. This article written from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ng background of occurrence of Heunarm-ri type pottery with geographically different background. In addition by doing so formation and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eunam-ri assemblage. Area in south Korea around the start of Bronze Age is divided into two: south Korea's west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and south Korea's east region with Misa-ri assemblage. In these regions the forma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was due to the emergence of foreign element of rimperforated pottery. In spite of nationwide distribu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Heunam-ri assemblage relics and remains complex were only discovered in south Gyeonggi and Asan Bay regions within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Change from Misa-ri to Jodong-ri and then Cheonjeon-ri assemblages was observed in the west side of Daegwal-ryeong with Misa-ri asemblage. In these regions Heunam-ri type pottery was formed in the phase of Jodong-ri assemblage by combining double rimed pottery of Misa-ri origin and rim-perforated pottery. Distribution of Heumam-ri and Jodong-ri assemblages forms contact points on the line to connect the upper Imjin rive,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nd the Namhan river. In this respect my understanding is that characteristics of Heunam-ri site, a standard site of Heunam-ri assemblage, is closer to Jodong-ri assemblage than to Heunam-ri assemb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