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지구인』과 미니시리즈 <지구인>의 매체전환 양상 연구

        이혜정(Hye-jeong Lee)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이 글은 최인호의 소설 『지구인』과 미니시리즈 <지구인>의 매체전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이후 최인호의 소설은 영화가 아닌 드라마로 전환이 되며, 이는 영상매체의 헤게모니가 영화에서 드라마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드라마로의 매체전환에는 매체의 특성 외에 당시 방송제도와 컬러방송의 보편화, 미니시리즈 형식과 시청자의 요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구인>은 원작 자체의 작품성과 영상화의 적합성 외에 당시 드라마에 요청된 사회성 짙은 작품이라는 것 또한 매체전환의 요소로 작용하여 제작된 것이다. 당시 미니시리즈를 위한 극본이 없었기에 소설의 드라마화가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시사성과 사회성이 짙었다. 『지구인』은 흥미성과 문학성을 갖춘 동시에 당시 드라마에 요구된 사회성 짙은 작품이었으며, 따라서 일상성보다 주제의식을 강조하는 미니시리즈라는 형식에 적합하였다. 이는 당시 드라마가 흥미성만 추구하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사회성 짙은 작품이 요구된 사회분위기와도 연관이 있었다. <지구인>의 제작진은 이러한 필요와 요청에 대해 의식하고 있었으며, 당시 드라마에 요구되었던 사회계도의 기능 또한 수행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지구인>은 범죄자를 모델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범죄자의 영웅화나 범죄행위의 합리화에 대한 우려 또한 존재했다. 이러한 우려는 1회에서 대담의 삽입이라는 기이한 구성을 취하게 했다. 이 대담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옳은 길을 선택해야 한다는 교훈적인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지구인>은 원작의 서사를 따르면서도 각색이 이루어지는데, 영상매체라는 특성상 이루어진 각색 외에 드라마에 요구되었던 윤리성과 교훈적 의도를 위해서 인물의 형상화나 인물들의 관계의 변용, 내레이션의 개입 등의 변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edia conversion of Choi In-ho’s novel Earthman and Miniseries Earthman. KBS announces that it will produce a mini-series of Choi In-ho’s three bestsellers of Winter Traveler, Earthman and Whale Hunt as the Choi In-ho series. This shows that Choi In-ho’s influence, who has been working on novels and movies since the 1970s, continued in the 1990s, while showing that the media is being converted to dramas, not movies. Therefore, considering the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and changes in the drama set, we tried to study the media conversion to dramas rather than movies. In the late 1980s, the drama format changed to a mini-series, not a daily soap opera or a one-act drama. In addition, social dramas, not interesting or melodrama, were requested, and the theme consciousness was emphasized by dramatizing works of fiction. Earthman was an interesting work along with the original work, but it is feared that the rationalization of criminal acts or abnormal heroism will be promoted. Accordingly, conversation is inserted into the Earthman, while adaptations such as characterization, transformation of character relationships, and intervention of narration are mad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external factors o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lso play a role in the conversion of the novel into a drama.

      • KCI등재

        디지털 방송 추진기 텔레비전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특성

        고선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Television is the most popular medium of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and the research on the strategies and practices of 'storytelling(story + telling)' is an important task to illuminate the dominant member of the recognized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world and man. In this respect, I explored the changing patterns of television drama storytelling in the digital broadcasting implementation process. The subject of analysis is Television series drama that is the most aggressively accommodate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 Television series broadcast from 2000 to 2014 was a total of 466 works. I was classified them as a genres and sub-genre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television series drama broadcast insince 2010 (2010-2014) has the four characteristics than in the television series drama broadcast in 2000's (2000-2009). The four characteristics are reduction of melodrama, increase in fantasy form drma, increase of revenge, revenge stoy drama, and increase of profession-genre drama. Then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elevision series drama broadcast insince 2010 (2010-2014). I found a new phenomenon in the drama storytelling before and after the digital broadcasting era. The new phenomenon are the trend of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person private secretary, the emergence of non-linear multi-plot drama, the collapse of boundaries between good and evil, the emergence of a complex fusion genre or genres Drama. They are similar to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game content!Through these studies, I concluded that the digitalization of television broadcasting is not stopping to change the technical dimension, but it is been changed and deployed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our lives and culture. 텔레비전 방송은 우리 사회의 가장 대중적인 소통의 매개체이며, ‘스토리텔링 story + telling’ 즉 ’이야기하기‘의 전략과 관습에 대한 연구는 세상과 인간에 대한 당대 구성원의 지배적 인식 구조를 밝히는 중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방송 추진기의 텔레비전 드라마 스토리텔링의 변화 양상을 추적했다. 드라마의 여러 양식 가운데서도 사회문화적 변화를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미니시리즈를 분석 대상으로, 디지털 시대의 변화하는 드라마 스토리텔링 특성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2000-2014년의 지상파 미니시리즈 총 466편의 장르와 하위장르 분포를 종합해 본 결과, 2010년 이후(2010-2014년) 방송된 미니시리즈에서는 2천 년대(2000-2009년)에 방송된 미니시리즈에서 비해, 멜로드라마의 감소, 판타지 양식의 증가, 복수극의 증가, 전문직⋅장르드라마의 증가 등 4 가지의 변화된 양상을 포착했다. 또한 2010년 이후 미니시리즈들에 대한 내용 분석 결과,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된 시점을 전후하여, 인물 정체성의 비서사적 구축, 비선형 다중 플롯 드라마의 출현, 선악경계의 붕괴, 복합장르 혹은 장르융합 드라마의 출현 등 게임의 경우와 유사한 스토리텔링 전략이 최근 드라마들의 스토리텔링에서도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는 결국 기술적 차원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인식 구조와 소통의 방식, 즉 우리 삶과 문화의 변화와 보다 긴밀히 관련되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TV 미니시리즈 갈등구조 - 2012~2017년을 중심으로 -

        노동렬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방영된 성공한 미니시리즈 30편의 갈등구조를 분석하였다. 갈등의 설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빈부의 문제보다는 직업에서 발생하는 신분의 문제를 갈등요인으로 설정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갈등을 유발하는 내면적 요인으로는 감정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성격, 가치관, 감정 항목이 다양하게 고른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의 성공한 드라마들은 직업과 신분에서 발생하는 내면적 갈등을 주로 다루면서도 갈등의 원인이 되는 소재는 다양화하였다. 갈등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권력 관계 갈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갈등을 유발하는 상황적 요인에서 사랑과 폭력, 그리고 기타 항목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기타 항목에는 권력 암투와 남용, 누명, 오해, 위장 취업, 불법 시술, 피노키오 증후군, 입양, 외모 급변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재와 장르의 다양화를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갈등의 해결 방법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부정적 해결 방법의 빈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멜로 드라마에서의 긍정적 결말과는 달리, 스릴러나 사회범죄 수사물 등의 장르 드라마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 관계가 해결되는 결말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르 드라마가 활성화되면 부정적인 갈등 해결 방법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시기 성공한 미니시리즈에서는 정의 구현과 권선징악을 강조하는 주제의식, 장르 특성과 연관되어 긍정적 갈등 해결 방식과 부정적 갈등 해결 방식이 모두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 성공한 드라마의 갈등구조를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시기의 연구와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한 미니시리즈의 갈등 설정 요인은 사랑 중심에서 사회적 목표 달성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갈등을 주제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사랑 중심 가족 내 권력 갈등에서 사회적 권력 관계를 다루는 갈등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 방식의 긍정적 해결 방법에서 정의 구현을 위한 부정적 해결 방법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conflicts which have been adopted by the 30 most successful mini-series aired between 2012 and 2017.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ontrary to general expectations, what has been adopted the most frequently as the primary cause of the conflict was related to professions or social status, rather than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t could be said that the focus has been shifted from a love affair between individuals to success and power sought after in the social context. Reflecting the shift of focus from love, as has been the case with conventional soap operas, to social issues that have largely been the case with genre dramas, the way of resolving the conflicts has become negative more often. While the deus ex machina has dominantly been used as the mechanism to resolve the conflict in Korean dramas before, the emergence of genre dramas has led to the higher use of negative ways of ending it.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successful drama in this period with the study of the period from 2000 to 2011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set conflict in the successful miniseries are changing from love-centered to social goal achievement-centered. Secon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conflict by subject is changing from a power conflict within a love-centered family to a conflict structure dealing with social power relationships.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the negative resolution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is being activated in the positive resolution method of the Deus Ex Machina method as a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 KCI등재

        박경수 미니시리즈 삼부작 연구-극적 세계의 친연성을 중심으로-

        박노현 ( Park Noh-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극작가 박경수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년마다 발표한 세 편의 미니시리즈는 통상 삼부작으로 불린다. <추적자>와 <황금의 제국>과 <펀치>가 그것인데, 세 개의 텍스트는 각각 정계/재계/법조계와 같은 권력의 공간을 주요한 극적 세계로 삼는다. 이 때문에 언론은 세 편을 흔히 ‘권력 삼부작’이라 부른다. 하지만 이러한 통칭의 정합성은 비단 동일 작가의 유사한 화소라는 데에서만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세 편의 미니시리즈가 ① 정치-자본-법이 긴밀하게 유착된 권력의 기형적 네트워크로 인해, ② 가족의 분열과 해체를 초래하고, ③ 개인의 소박한 욕망마저 억압되면서, ④ 정의의 훼절이 또 다른 부정을 동시다발적으로 잉태하는, ⑤ 한국사회의 쓰라린 치부에 대한 폭로와 고발을, ⑥ 양가적 괴물의 형상화로 연이어 덧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극적 세계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부작은 공히 복수의 플롯을 취한다. 그것은 ① 가족의 상실 → ② 위법한 맹목 → ③ 상호적 파멸이라는 수순을 따른다. <추적자>로부터 <황금의 제국>을 거쳐 <펀치>에 이르는 일련의 상실과 파멸은 현대사회에서 권력에 의해 개인의 삶이 어떻게 파괴되는가를 여실히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삼부작은 ① 다중대립과 시소게임을 통한 갈등의 격화, ② 현대판 서얼을 연상시키는 반동인물의 강조, ③ 권력의 상속과 세습을 육화한 조역의 배치, ④ 정보 전달의 방편으로서 뉴스의 선호, ⑤ 욕망의 상관물로서 ‘문’과 ‘창’을 비롯한 ‘방’에 대한 주목 등을 통해 현대/한국/사회의 편협한 민주주의와 천박한 자본주의 혹은 편협과 천박의 근인인 권력(자)에 대한 비판을 시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삼부작은 일종의 계열체로서 내밀하게 연결된 하나의 통합체, 즉 세 편의 분절된 미니시리즈가 하나로 합쳐져 완성되는 대하드라마에 비견할 수 있다. The three-part mini-series released every year from 2012 to 2014 by dramatist Park Gyeong-su, is usually referred to as the trilogy. They are < The Chaser >, < The Empire of Gold > and < The Punch >, and these three texts take space of power, such as political/financial/legal community respectively as a major dramatic world. For this reason, the journal often referred to the three pieces as the ‘Power Trilogy’. However, the consistency of this title is not only because this trilogy has similar stories by the same author, but because this three part mini-series shares a dramatic world as follows: ① Due to an abnormal power network in which politics-capital-law are tightly adhered to, ② fragmentation and dissolution of the family are caused, ③ even simple personal desire is repressed, ④ forgoing of righteousness simultaneously conceives another corruption, ⑤ the revelations and accusations about the bitter disgrace of Korean society, ⑥ it subsequently overlaps color shaping it as an ambivalent monster. All parts of the trilogy take plot of revenge. It follows the procedure of ① family loss → ② unlawful blindness → ③ mutual destruction. A series of loss and destruction ranging from < The Chaser >, < The Empire of Gold > to < The Punch > clearly shows how personal life gets destroyed by power in modern society. Also, the trilogy tries to criticize the intolerant democracy and vulgar capitalism of modern/Korean/society or power(-holder) which is the cause of intolerance and vulgarity through: ① aggravation of conflicts through a multiple conflict and seesaw game, ② highlighting the antagonist who reminiscent a modern son of a concubine, ③ deployment of supporting actors who is inheritance and succession of power incarnate, ④ favoring the news as a means of conveying information, ⑤ and attention to ‘door’, ‘window’ and ‘room’ as an objective correlative of desire. In this context, the trilogy is a kind of ‘syntagme’ which is a confidentially connected ‘paradigme’. In other words, it is a 59-part epic drama combined and completed in three segments.

      • KCI등재

        2000년대 초반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고찰

        윤석진(Suk-jin, Yu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2 No.-

        TV드라마의 공간은 물질적이고 불균등적이며 정치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실 공간에 대한 시청자의 의식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강하다. 본고에서는 HDTV 등과 같은 새로운 영상시스템의 개발로 TV드라마의 표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던 2000년대 초반의 미니시리즈 드라마 3편을 대상으로 TV드라마의 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진실〉, 〈맛있는 청혼〉, 〈명랑소녀 성공기〉 등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당해 연도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이다. 분석 결과, 3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은 기본적으로 ‘무대’라는 공간을 설정하여 등장인물의 존재감과 변신, 그리고 극적 상황을 흥미롭게 만들면서 등장인물의 상징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신데렐라나 캔디 유형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여성상을 구현한 등장인물들이 ‘지하방, 재래시장, 옥탑방’처럼,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약자를 상징하는 공간에 거주한다는 극적 설정은 각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대 초반 당해 연도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3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대립 구도를 표상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고 그 속에 주요 등장인물을 배치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고찰한 바대로, TV드라마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 표상과 사건 전개에 요한 극적요소이자 주제 의식의 현현(顯現)에 기여하는 상징적인 장치이다. 따라서 TV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분석을 통해 TV드라마의 관습적 공간 구성 방식이 대중의 현실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대부분의 TV드라마가 ‘서울’을 주요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대도시’에 대한 대중의 동경을 심화시키고, 동시에 ‘지방’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등 공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spatial composition of TV dramas is a sort of signifier showing materialistic, inequal and political feature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tial images of TV dramas centering on three TV miniseries in the early 2000s when a fundamental change began to happen in expression methods in TV dramas du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image system such as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The TV miniseries under the study 〈Truth〉, 〈A Delicious Proposal〉, and 〈Success Story of A Bright Girl〉 had gained the highest viewing figures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02. The study showed that the three miniseries basically set up a space ‘Stage’ and unfolded characters’ existence, transformation, and dramatic situation in interesting ways to effectively deliver things they represent. Moreover it is worthy of notice the dramatic setting where the independent women, breaking away from the typical characters like Cinderella and Candy, lived in spaces ‘basement room’, ‘traditional market’, and ‘rooftop house’ representi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group in a capitalistic society. That is, the tree miniseries with the highest viewing figures in the early 2000s worked out a strategy of constructing such spaces to show the conflict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 and arranging mai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paces of TV dramas are a dramatic element necessary for representing characters’ personality and unfolding events as well as a symbolic device contributing to subject matter being manifest.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images of TV dramas, their conventional spatial composition methods are available of finding out the influence on the general public’s reality perception. In particular, it is needed to pay special attention in distort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to spaces as most of TV dramas set up Seoul as a main spatial background so that viewers’ desire for ‘large cities’ may be more deepened while wrong stereotypes to ‘the regions’ may be increased.

      • KCI등재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구성과 소통 방식 고찰

        윤석진(Yun, Suk-jin)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3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구성과 소통 방식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미니시리즈드라마 가운데 당해 연도 시청률 1위를 기록한 10편의 등장인물 구도와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여 세 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등장인물 구도는 ‘약자 대 강자’로 이루어져 있고, 정치?경제?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약자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강자와의 대결구도에서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다는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주인공의 자아중심연결망을 통해 살펴본 등장인물 구도가 정형화되어 있고 갈등 유발 요인이 10편 모두 ‘가족’에서 비롯한다는 점이 일치하고 있었다. 셋째, 담론과 사회적 이슈를 분석한 결과 장르 불문하고 입시부정, 도시 재개발, 도박, 외모지상주의, 사채, 남북분단 등 한국 사회의 아킬레스건과도 같은 문제들을 제기하는데 성공하면서 시청자와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의 구성과 소통 방식 연구를 통해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미학적 특질과 산업적 특성의 일단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텔레비전드라마의 다양한 양식 가운데 미니시리즈드라마로 범주를 한정하고, 당해 연도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작품으로만 연구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논의 결과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 또한 분명하다. 이 문제는 차후 과제로 남겨둔다. In order to study th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Korean TV drama in the digital era, social issues presented during the broadcasting of 10 works and their characters ranked No.1 in the viewing rate in each year among TV miniseries aired from 2000 to 2009 were analysed to draw three meaningful results. First, characters are arranged under the composition of "the weak vs the strong", and in line with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weak ultimately win a victory in the battle against the strong. Second, the composition of characters seen through their self-centered network was standardized and elements triggering conflict came from "family", which was common to the 10 work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ng discussions and social issues, it was found regardless of genre that the works had successfully presented issues like achilles tendon of Korean society including college admission scandal, urban redevelopment, gambling, lookism, private loan and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to communicate with viewers. In this regard, through the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TV miniseries in the 2000s, aesthetic and industrial features of Korean TV drama in the digital era came to light. However, as the scope of study was confined to miniseries among diverse styles of TV drama, and the works which marked high viewing rates in the years, it is clearly limited to guarantee the objectiveness of discussed results, which is to be addressed next time.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 디지털 방송 추진기 텔레비전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특성

        고선희 ( Seon Hee K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텔레비전 방송은 우리 사회의 가장 대중적인 소통의 매개체이며, ‘스토리텔링 story + telling’ 즉 ’이야기하기‘의 전략과 관습에 대한 연구는세상과 인간에 대한 당대 구성원의 지배적 인식 구조를 밝히는 중요한작업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방송 추진기의 텔레비전 드라마 스토리텔링의 변화 양상을 추적했다. 드라마의 여러 양식 가운데서도 사회문화적 변화를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미니시리즈를분석 대상으로, 디지털 시대의 변화하는 드라마 스토리텔링 특성과 그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2000-2014년의 지상파 미니시리즈 총 466편의 장르와 하위장르 분포를 종합해 본 결과, 2010년 이후(2010-2014년) 방송된 미니시리즈에서는 2천 년대(2000-2009년)에 방송된 미니시리즈에서 비해, 멜로드라마의 감소, 판타지 양식의 증가, 복수극의 증가, 전문직ㆍ장르드라마의 증가 등4 가지의 변화된 양상을 포착했다. 또한 2010년 이후 미니시리즈들에 대한 내용 분석 결과,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된 시점을 전후하여, 인물정체성의 비서사적 구축, 비선형 다중 플롯 드라마의 출현, 선악경계의붕괴, 복합장르 혹은 장르융합 드라마의 출현 등 게임의 경우와 유사한 스토리텔링 전략이 최근 드라마들의 스토리텔링에서도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는 결국 기술적 차원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인식 구조와 소통의 방식, 즉 우리 삶과 문화의 변화와 보다 긴밀히 관련되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levision is the most popular medium of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and the research on the strategies and practices of ``storytelling(story + telling)`` is an important task to illuminate the dominant member of the recognized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world and man. In this respect, I explored the changing patterns of television drama storytelling in the digital broadcasting implementation process. The subject of analysis is Television series drama that is the most aggressively accommodate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 Television series broadcast from 2000 to 2014 was a total of 466 works. I was classified them as a genres and sub-genre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television series drama broadcast insince 2010 (2010-2014) has the four characteristics than in the television series drama broadcast in 2000``s (2000-2009). The four characteristics are reduction of melodrama, increase in fantasy form drma, increase of revenge, revenge stoy drama, and increase of profession-genre drama. Then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elevision series drama broadcast insince 2010 (2010-2014). I found a new phenomenon in the drama storytelling before and after the digital broadcasting era. The new phenomenon are the trend of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person private secretary, the emergence of non-linear multi-plot drama, the collapse of boundaries between good and evil, the emergence of a complex fusion genre or genres Drama. They are similar to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game content! Through these studies, I concluded that the digitalization of television broadcasting is not stopping to change the technical dimension, but it is been changed and deployed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our lives and culture.

      • KCI등재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창작 주체의 연결망 연구 - 2000년대 미니시리즈를 중심으로-

        윤석진 ( Suk Jin Y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본고는 문화산업적 차원에서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제작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 창작 주체의 공동참여연결망과 동태적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이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당해 연도 시청률 1위에서 7위에 해당하는 70편의 작가와 연출자 그리고 배우의 명단을 선정하여 창작 주체의 공동참여연결망을 분석한 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시청률 1위에 해당하는 10편의 미니시리즈드라마 창작 주체의 동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 가운데 시청률이 높았던 70편의 작업에 참여했던 창작 주체의 공동참여연결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정도 중앙성이 높다는 것은 연결된 선의 수가 다른 사람들 보다 많다는 것으로 이는 참여 작품 수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나시치 권력 지수의 경우 작가와 연출자의 권력이 연결정도 중앙성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이중앙성에서 주조연급 배우들이 전체적으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통해 텔레비전드라마 기획 단계에서 안정적이고 믿을만한 배우 캐스팅을 중시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 창작 주체의 동태적 변화에서 2010년대 이후 텔레비전드라마 제작 환경 변화 추이를 예측할 수 있었다. 첫째, 기획 시스템의 정착으로 스타급 작가나 연출자의 영향력은 점점 더 약화될 것이다. 둘째, 스타급 배우의 출연이 높은 시청률을 담보하지 못하는 현상이 점점 더 두드러지고 상대적으로 기획의 역할이 확대될 것이다. 셋째, 창작 주체가 방송사에서 외주 제작사로 이동하는 것을 넘어서 작품 단위의 프로젝트 투자 기구가 성행할 것이고 대형 연예기획사가 제작에 직접 관여하는 현상도 심해질 것이다. 넷째, 평균 시청률의 저하와 지상파방송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현상도 가속화될 것이다.2000년대 제작·방영되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미니시리즈드라마 70편의 창작 주체 연결망을 분석하여 문화산업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연결망이론을 원용하여 창작 주체 연결망을 분석하고자 하는 본고의 시험적 논의 결과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문화산업적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sed the joint participation network and dynamic change of TV miniseries creative subject in the 2000s in order to concretely find out the production status of Korean TV drama in terms of culture and industry and review its direction in the future. By selecting producers and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70 works ranked No. 1 to 7 in the viewing rate during the period of 2000 to 2009 and analysing the joint network of creative subject, we studied the dynamic change of creative subject to the 10 miniseries ranked No.1 in the viewing rate from 2000 to 2009.As a result of analysing the joint participation network, it was confirmed that casting stable and trustable actors at the stage of planning in a TV drama was important through the facts that a high degree centrality is related to the number of participated works, Bonacich power index is higher than the degree centrality of writer and producer, and leading and supporting actors generally take a high position in the aspect of betweenness centrality.In the dynamic change of creative subject, we could predict the trend in change of TV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since 2010. As a planned system settles down, the influence of star writer and producer is getting weaker, star casting can`t guarantee a high viewing rate, creative subject is changed from broadcasting company to outsourcing production, and a work-based project investment is popular while the decline of average viewing rate and the phenomenon of weakening terrestrial broadcasting influence will be accelerated.There is a physical limit in analysing the creative subject network of 70 miniseries which were produced and broadcasted in the 2000s and marked a high viewing rate, and drawing a meaningful result in the aspect of culture and industry. Nevertheless, the experimental discussion desired to analyse the creative subject network by invoking a social network theory is expected to be a clue in concretely figure out the cultural and industrial status of Korean TV drama.

      • KCI등재

        한국의 넷플릭스 효과: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미니시리즈 형식의 내러톨로지 혁신에 관한 연구 - 오징어 게임과 지옥을 중심으로

        마이클엉거 ( Michael A. Unger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3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6 No.2

        전세계적인 코로나 19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1년, 불과 두 달 만에 넷플릭스는 두 개의 디스토피아적인 한국의 미니시리즈 오징어 게임과 지옥을 발표해 각각 당시 넷플릭스 전체에서 최고의 시청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미국 디지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대한민국 한류의 성공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이 두 미니시리즈는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재앙적 혁신에 대한 신자유적인 대응이 미치는 부패의 효과에 대해서 소득 불평등이라는 한국 사회의 규범적인 이슈와 대중매체와 종교의 영향력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은 두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한정된 횟수의 시리즈 드라마 형식을 통해 어떻게 내러톨로지적인 혁신을 제시하고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은 게임 디자인 플롯 구조를 사용하는 반면 지옥은 두 개의 더 작고 상호 관련된 앤솔로지를 창조하여 중요한 스토리 격차를 구현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구조적 접근법은 국제 미디어 현상에서 볼 때 각각의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그들만의 주제적 관점으로 매력과 성공을 거머줬다고 압축해서 볼 수 있겠다. Within the span of two months in 2021 during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Netflix released two dystopian Korean miniseries Squid Game and Hellbound that each subsequently broke viewing records for Netflix’s most-watched series at that time, signaling the success of the Korean Hallyu in its latest incarnation of permeating American digital streaming platforms. Both miniseries address Korean societal norm issues of income inequality and the malaise of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religion that spoke to viewers across the world about the corrosive effects of neo-liberalism’s response to catastrophic events. This comparative article examines how these two miniseries present their own narratological innovations for the limited series drama format: Squid Game employs a game-design plot structure while Hellbound implements a significant in media res story gap at its midpoint to create two smaller, interrelated anthologies. In doing so, these structural approaches encapsulate the thematic dimensions of their respective miniseries that contributed to their appeal and success as an international media phenomenon.

      • KCI등재

        2000년대 미니시리즈 드라마에 나타난 도시 이미지 고찰

        윤석진 ( Suk Jin Y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4 No.2

        본고에서는 TV드라마의 내용을 구현하는 형식적 요소 가운데 공간적 배경으로서의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를 구명하였다. TV드라마의 공간은 당대인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해는 동시에 사회의 제반 문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돼 변화하는 표상 공간으로 기능한다. 특히 TV드라마의 주요 배경인 도시는 여러 성원들의 이해관계와 사회적 요구는 물론 정책적 편이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어지고 재편된 공간으로 구성된다. 삶의 터전으로서 문명의 발달이 집약된 장소로서의 도시 생활로 인해 인간의 사고와 행동 양식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물질 중심의 사유 방식이 만연한 현실에서 시청자의 현실 인식과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TV드라마의 도시 이미지를 고찰하는 것은 일상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10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에서 극적 현실을 표상하기 위해 설정한 공간적 배경으로서의 도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서울’을 주요 배경으로 설정하면서 ‘제주도’를 비롯한 지방을 도피와 휴식의 장소로 설정하는가 하면, 해외유명 관광지를 전체 서사와 상관없이 볼거리 위주로 이미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극적 환상의 놀이적 기증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TV드라마에 나타난 도시 이미지로 인해 실제 현실 세계의 도시 공간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과 감각에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TV드라마에 표상된 도시가 당대 대중의 현실 공간 인식과 감각에 교란을 일으킬 정도로 환상적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은 시청자의 경제적 계급 상승 욕망이 그만큼 강렬하다는 방증이다. 이 지점에서 시청자의 욕만이 TV드라마의 도시 이미지 왜곡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청자의 욕망을 핑계 삼기 이전에, 등장인물의 상황과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면서 극적 사건이 전개되는 주요 공간으로서의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없이 관습적으로 공간적 배격이 설정되는 경향은 반드시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the image of city shown in TV drama on reality through finding out the dramatic function ``city`` as a spatial background among formal elements representing contents of TV drama. Looking into the image of city in TV drama having an influence on viewers`s awareness and sense in reality where material-oriented thinking methods are prevalent can be considered a Iiberal introspection in daily Iife. In this regard, the study analysed dramatic reality and the image of city shown in ten TV mini-series dramas which had recorded the highest viewer ratings among TV droadcast broadcast in 2000. The result found that most of mini-series dramas set up ``Seoul`` as a main background while Jeju-do and local regions as a place only for escape and rest, and overseas famous tourist attractions to be imagified centering on things to see regardless of the whole synopsis. The image of city shown in mini-series drama in 2000 had exerted a bad influence on the viewer`s awareness process for the real urban space. It means the viewer`s strong desire to be financially prosperous in that the image of city shown in TV dramas had been expressed fantastically enough to make the general public confused by giving a bad influence on their real spatial awareness and sense. It is certain that such a distorted city image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viewer`s desire. However, it is also clear that apart from the strong desire, there is a problem in conventionally setting up ``city``, as a main space where dramatic incidents are unfolded while symbolically showing situations of characters, to be a spatial background without any liberal introsp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