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수행과 관련한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문화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김지은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조직에서 업무 수행의 결과는 개인의 성향과 그가 일하는 조직의 특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이를 기초로 학교조직에서 교사의 성향과 학교조직문화의 일치성이 교사의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교사들이 인식하는 자신이 속한 학교문화와 자신의 문화성향 및 직무수행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들은 현재 학교조직문화가 보존적 문화의 속성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교사 자신들은 개인주의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직무수행수준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이고 높게 평가하고 있다. 교사개인의 성향에 따라 학교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수행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원변량분석 해 본 결과, 개인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합리적 문화와 보존적 문화가 강한 곳에서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경우에는 집단주의 성향이 낮은 경우에 비해 학교조직문화수준의 정도에 따른 직무수행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화적 문화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보존적 문화에서도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단편적으로 학교조직문화에 따른 직무수행의 정도에 대한 상관과 회귀분석에서는 보존적 문화는 어떠한 직무수행과도 유의한 상관과 유의값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개인의 문화성향과의 상호작용에 따라서는 보존적 문화 내에서도 직무수행에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위험 운전상황에서 운전자의 문화성향에 따른 귀인양식의 차이: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이재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3

        This study examined how drivers of different cultural orientations(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attribute the cause(dispositional vs. situational) of four simulated driving situations which were varied in types(cutting-in and sudden-stop by the other driver) and differential emphasis on other the other driver’s driving attitude or situational factor.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drivers generally showed higher attribution scores on the dispositional factor than the situational factor, except for the ‘sudden-stop: situation emphasis’ scenario condition. Second, when drivers’ cultur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styles were considered together, it was found that, except for the ‘cutting-in: disposition emphasis’ scenario condition. the drivers of collectivism tended to attribute more to situational factor than the drivers of individualism, In contrast, the drivers of individualism showed higher attribution scores on dispositional factor than situational factor in all driving scenario conditions. Implication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된 위험 운전상황에서 운전자의 문화성향(개인주의 문화성향과 집단주의 문화성향)에 따른 귀인양식(상대운전자의 운전태도를 포함한 성향귀인 또는 도로여건 등을 포함한 상황귀인)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의 문화성향은 Singelis 등(1995)의 문화성향 척도를 사용하여 분류하였고, 위험 운전상황은 상대운전자에 의한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와 급정거 상황으로 나누어 제시하되, 각각의 위험 운전상황은 상대운전자의 의도가 분명히 드러나는 조건과 도로여건 등과 같은 상황변인이 강조되는 방식으로 시나리오 조건을 다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급정거: 상황강조’ 시나리오 조건을 제외한 모든 시나리오 조건에서 실험참가자들의 귀인점수는 상황귀인 점수보다는 성향귀인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실험참가자들의 문화성향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문화성향의 유형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즉, ‘끼어들기: 성향강조’ 시나리오 조건을 제외한 모든 시나리오 조건들에서 개인주의 문화성향 집단의 경우에는 시나리오 유형과 상관없이 상대운전자의 성향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했던 반면,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집단의 경우 상황요인에 대한 귀인점수가 높아져 성향귀인 점수와 상황귀인 점수 사이에서의 차이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의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국의 다문화성향과 다문화주의

        김성수,박치완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08 EU연구 Vol.- No.23

        The catchphrase of the American multiculturality (defined by the author as ‘multicultural tendency’ is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which implies that America is full of opportunities for immigrants from any ethnic and cultural background. The British multiculturality, on the other hand, can be best understood if we consider three aspects ― the formation of the country (especially, the fact that it is the combination of four separate kingdoms), its imperial history, and the flood of immigra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Institutional Racism Imperial Britain employed policies which value cultural and ethnic diversities rather than dismiss them as inferior to her own. These policies were a strategic choice to develop her own culture even more to be one of the best in the world. As a result, these attitudes and policies enabled the optimal balance of the British superiority, assimilationsim, and multiculturalism. Since Britain has lost most of her colonies, she has experienced advantages as well as disadvantages of her multiculturality, which was the inevitable consequence of her imperial history. The British society as a whole enjoys rich heritage of cultural and ethnic diversities. However, the individuals within the society, especially the descendants of the immigrants, still suffer from racism and xenophobia. The British government is aware of the need to maintain and continually update its multicultural policies. For example, it has immigration laws which positively embrace the ‘differences’. Britain also has government bodies such as Commission for Racial Equality, whose job is to implement these multicultural policies. Through these, the British government tries to keep its balance between the British identity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recent incidents such as the 7 July London bomb attacks by Islamic fundamentalists present some tough challenges to these efforts. This paper aims to show the realities of the multicultural United Kingdom through differentiating multiculturality from multiculturalism. 영국의 다문화성향은 ‘이민자들의 자유와 기회의 땅 미국’이란 캐치프레이즈로 통합될 수 있는 미국식 다문화성향과는 다르게 영국성립, 제국주의, 이민자 유입이라는 세가지 면의 복합성향이라 볼 수 있다. 특히 대영제국 정부가 문화말살정책 대신, 각 민족들의 문화를 인정하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취하면서 대영제국의 문화를 최상위 문화로 자리매김 시키려는 고도의 문화정책적 전략ㆍ전술을 취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영제국에는 영국 우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섞일 수 있었다. 대영제국 해체 후, 영국 내 이민자들에 의해 형성된 다문화성향은 장점과 단점이 극명하게 대비되고 있다. 여러 인종들이 영국 사회 내에서 자신들의 문화를 충분히 내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가 하면, 영국의 제도적 인종주의나 이민족 혐오증에서 비롯된 분명한 단점들도 있다. 바로 이런 면들이 영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 정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이유다. 이민정책에서 기인된 각종 법률과 인종평등위원회의 활동이 ‘차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영국 다문화주의의 경향이다. 하지만 7.7 런던 테러 등 최근 사태들은 기존 다문화주의 경향을 ‘영국적 정체성과 문화다원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으로 바꾸어 놓았다. 본고는 이런 영국의 다문화사회 변화 실태를 다문화성향과 다문화주의 개념 구별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내려 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 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 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능력이 높았다. 둘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및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2단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세 하 위변인(일반기능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모두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 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이 유아교사의 다문화 특성을 설명하는 주 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at relationship.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First, does the cultur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sks if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cultur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econd,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s sub-variable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struction teaching efficacy, and human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lso the research suggests that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can be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나타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성향 연구

        최성익(Sung Ick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문화는 오랜 시간과 전통을 통해 생성되며, 고정적이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타고 난것이 아닌 가정, 사회, 국가 등의 집단생활과 교육으로부터 그 문화를 체득하게 된다. 하물며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 기술, 예술 등은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대 기술의 속도는 인간에게 풍요로운 삶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사용성에 혼란을 주기도 하며 전 세계에 같은 날 같은 시간에 출시되는 제품, 소프트웨어 등은 인류가 각기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적어도 현지화 전략을 위해서라도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성향의 특징을 파악해야 한다. 이에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성향을 연구하기 위해 김진우의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개론」에서 문화적 맥락에 따른 에드워드 홀과 기어트 홉스테드의 문화적 성향 분류를 통해 휴대전화, 냉장고, MP3, TV,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대한 미국, 독일, 러시아, 인도, 한국의 문화적 성향을 분석하였다. 문화적 맥락은 시간적, 지역적, 기타 환경적 문화맥락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문화성향의 분석을 통해 서양은 단일지향적 문화, 미래지향적 문화, 좁은 권력거리, 개인주의. 여성주의, 높은 불확실성 회피성향, 명시적 성향, 종속적 성향의 문화로 조사되었고, 동양은 다중지향적 문화, 과거지향적 문화, 넓은 권력거리, 집단주의, 남성주의, 낮은 불확실성 회피성향, 묵시적 성향, 지배적 성향의 문화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토대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성향을 물리적, 인지적, 감성적 인터페이스에 대표적인 사례를 적용하여 연구한 결과 앞서 도출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성향의 차이가 동일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Culture is generated by tradition for a long time and is not fixed. Human acquire their culture from the group life and education in their family, society, country, and so on. It is not need to mention it is same applied to tools, technology and art that humans use. However, the speed of modern technology provides abundant life and a mess to usability at the same times to human. Products and software released on the same day at the same time worldwide seems to forget the human race has a different culture. Thus, for localization strategy of each region hav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inclination at least. Analyzed the cultural inclination difference of America, German, Russia, India, and South Korea for mobile phone, refrigerator, MP3 player, TV and car navigation through classification of cultural inclination of Edword Hall and Geert Hofsede according to the cultural context in 「Introduction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to study the cultural inclination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cultural context has been classified as time-based, regional and other environmental. Through the analysis, I investigated the West culture have the cultural inclination that are single-oriented, future-oriented, a narrow power distance-oriented, individualism-oriented, feminism-oriented, high uncertainty avoidance-oriented, explicit orientation, low dominant-oriented. And also investigated the East culture have the cultural inclination that are multi-oriented, past-oriented, a wide power distance- oriented, collectivism-oriented, androcentric-oriented, low uncertainty avoidance-oriented, implied orientation, high dominant-oriented. Based on those, the results that applied the cultural inclination of the East and the West derived from the earlier study to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interface design using prime example are demonstrated the same as the cultural inclination.

      • KCI등재

        기독교인의 문화성향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신앙성숙도의 차이 연구

        황병배,안병덕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본 연구는 교회공동체내에서 문화성향에 따라 나타나는 교인들의 신앙성숙도와 자아탄력성을 명확히 파악하여, 현 교회공동체에 나타나는 공동체 문화성향의 현상과 한국사회에 팽배한 개인주의 문화의 영향을 이해하고 목회자들이 교회 공동체를 올바르게 이끌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총 167명이었고, 참여자를 집단/개인 그리고 수직/수평 문화성향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 후, 결과를 토대로 ‘혼합문화주의’, ‘수평적 집단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그리고 ‘수평적 개인주의’로 분류했다.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개인주의 성향은 남성(4.65점)이 여성(4.39점)보다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t=2.086, p<.05), 신앙성숙도 전체에서는 여성(4.03점)이 남성(3.8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t=2.399, p<.05). 둘째,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 신앙성숙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F=12.548, p<.001). 셋째,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 신앙성숙도 전체에서는 대졸이상의 집단이 4.01점으로 고졸이하의 학력집단 3.78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t=-2.350, p<.05). 넷째, 경제력에 따른 문화성향의 차이에서 집단주의는 전반적으로 상, 중의 집단이 높고 하 집단이 가장 낮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도 하 집단이 4.94점으로 가장 낮고 다음 중, 상 집단이 5.30점, 5.2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F=3.118, p<.05). 다음 신앙성숙도에서는 신앙성숙도 전체에서 상 집단이 4.18점으로 가장 높고, 중 집단 3.97점, 하 집단 3.83점 순으로 나타났다(F=3.297, p<.05). 다섯째, 신앙성숙도는 하위 모든 영역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집단이 가장 높고, 수직적 개인주의 문화성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아탄력성에서는 수직적 개인주의 성향은 3.04점으로 다른 유형 보다 가장 낮았다. 본 연구의 함의로는 교인들의 문화성향은 신앙성숙도에 영향을 주고, 교회 공동체 전체의 가치관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기독교 가치관과 문화성향을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회 공동체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신앙성숙도가 높아질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현대 기독교인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신앙성숙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the Christian’s cultural disposition, spiritual maturity, and resilience in the province of D, mainly due to the Christian for the curriculum plan of the christians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67 Christian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scale, the resilience check list and the spiritual maturity test. To evaluat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we classified Christians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vertical individualism/horizontal individual/horizontal collectivism/mixed cultural disposition using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vertical/horizontal dimensions. I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piritual Maturity and resilience by Christian's sex, age, economic, educational background and church experience year according to cultural disposition.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 that males had higher individualism than the females and the level of high economic and the older had the higher collectivism than individualism and the higher Spiritual maturity than the level of the younger and the lower economic people.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collectivism and Spiritual maturity and between vertical individualism and resilience. Horizontal collectivism was highly related with spiritual maturity. Vertical individualism had lower resilience and spiritual maturity than others. We hope to use this study to improve the curriculum plan of the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 KCI등재

        예비교사의 문화성향 실태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양정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cultural disposition and multicultura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e cultural disposition and multicultura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is a potential ability. The data collected from 137 preservice techers. It was analyzed cultural dispostion, potential ability(social distance to foreigner, qualification of Korean) to SPSS 11.0. According to the research, preservice teachers had collective tendency,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efficacy and cultural disposition. They importantly thought about qualification of Korean that was conscious of Korean themselves. Particularly, the data showed tendencies of preference of western white people and low preference of chinese. The images on Japanese were positive, whereas those on South East Asians, black people and Chinese were negative. 학교교육에서 다문화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명한 이래로 다문화 가정의 학생이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다문화 관점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 교사들은 자신의 문화성향과 다문화에 대한 인식에 의존하여 다문화 상황의 교실을 운영한다. 교사의 잠재적 문화성향과 인식은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중요한 결정사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화성향에 대한 분석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성향과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연계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문화성향 실태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예비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중 동일한 교양과목 선택군에 속해있는 13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성향, 다문화 효능감, 한국인의 조건, 외국인에 대한 거리감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의 문화성향은 수평적 집단주의적 성향이 높으며, 집단주의 성향이 다문화 효능감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한국인의 정의에 대해서 자기 스스로 정체성에 대해 자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는 문화성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외국인에 대한 거리감은 인종(국가)에 따라 선입견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교직에 나갈 예비교사들의 문화성향과 선입견을 고려하여 그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이나 선입견을 줄일 수 있는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 군집에 따른 자아존중감, 교직선택동기의 차이

        이혜원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교직선택동기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계적 군집분석, K-means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의 유형은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특성을 반영하여 ‘집단중심 문화성향군집’, ‘낮은 집단중심 문화성향군집’, ‘혼합적 문화성향군집’, ‘수평적 개인중심 문화성향군집’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문화성향 군집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결과 ‘수평적 개인중심 문화성향군집’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은 집단중심 문화성향군집’ 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유형에 따른 교직선택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직선택동기 중 능동적 동기와 수동적 동기는 문화성향 군집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결과 ‘집단중심 문화성향군집’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은 집단중심 문화성향군집’ 보다 능동적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선택동기가 문화적 가치와 어떻게 서로 관련하는지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문화성향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여 다양한 이해의 틀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teaching profession by analyzing cultural tend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cluster analys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15 pre-service teachers, followed b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ultural tendency cluster typ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type were named as 'group-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low group-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mix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and 'horizontal individual-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ccording to the type of cultural disposition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the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cultural disposition And the result of posteriori tests showed self-esteem of 'horizontal individual-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ow group-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ultural disposi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ltural disposition. As a result of the posteriori tests, 'group-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showed a higher level of active motivation than 'low group-oriented cultural disposition cluster' at a significant level.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cultural valu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providing a framework for new understanding by attempting different approaches to cultural disposition.

      • KCI등재

        대학생의 문화소비 유무에 따른 문화소비성향과 한국무용 관람의도의 관계

        이윤정,서희정 한국여성체육학회 2018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문화소비성향과 한국무용관람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설문대상은 대학생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16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13부를 제외하고 303부의 설문지를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문화소비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0명(52.8%), 경험이 없는 학생은 131명(43.2%) 그리고 미응답자는 12명(4%)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소비성향 하위변수 중 주도적문화추구성향과 과시적주변의식성향은 문화소비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무용관람의도는 문화소비 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소비성향의 하위변수 중 주도적문화추구성향과 합리적경험구매성향은 한국무용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첫째, 문화소비영역을 비교적 좁은 범위 내에서 계층적으로 접근하여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이분법적인 문화소비구조를 토대로 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 이루어진 문화소비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주로 문화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인수와 문화소비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a college student’s propensity for cultural consumption and Korean dance viewing intention. A total of 350 questionnaire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16 copies were collected. Out of the copies collected, 303 copies were used as samples while excluding 13 copies.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he numbers of students having an/no experience in cultural consumption activity were found to be 160(52.8%) and 131(43.2%),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non-respondents was found to be 12(4%). Among students with experiences in cultural consumption activities, 245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participated in cultural consumption activities, 56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participate, and 2 students did not resp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ding cultural pursuit propensity and propensity for conspicuous awareness of surroundings among the sub-variables of cultural propensity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ultural consumption, bu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ewing intention consequent on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ultural consumption. Second, the leading cultural pursuit propensity and reasonable purchasing experience propens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cultural propens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dance viewing intention.

      • KCI등재

        상담 대학원생들의 실수염려 완벽주의와 문화성향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의 차이

        하정희,장한소리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comprehending the level of an individual’s cultural sensitivity. It would be meaningful to explore how ‘concern over mistakes’ of perfectionism combined with ‘individualism/collectivism’ affects cultural sensitivity. A total of 209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o find out how subscales of the cultural sensitivity can differ from the cluster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concern over mistake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s with high collectivism and low concern over mistake, and those with a high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low concern over mistakes, are more confident in interaction with cultural sensitivity than those with high verticalism and high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Second, regarding interaction attentiveness, a group with high levels of individualism with moderate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showed higher cultural sensitivity than those with high levels of vertical collectivism and high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Lastly, groups showing high horizontal individualism with low and moderate concern over mistakes had higher levels of cultural sensitivity than those with a predominance of verticalism and high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한 개인의 다문화 감수성의 수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문화 감수성을 발달시키는데 방해하는 하나의 성격 요인으로 여겨졌던 ‘실수염려 완벽주의’가 ‘개인주의/집단주의’의 문화성향과 조합하였을 때 다문화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색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209명의 상담전공(학교상담, 성인상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들이 실수염려 완벽주의와 개인주의/집단주의 유형에 따라 형성된 군집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인 ‘상호작용 자신도’에 있어서 집단주의 성향이 우세하며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과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고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이 수직주의가 높고 실수염려 완벽주의가 높은 집단보다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자신도가 더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인 ‘상호작용 주의도’에 있어서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평균적인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을 갖고 있는 집단이 집단주의가 우세하며 실수염려 완벽주의성향이 낮은 집단 및 수직주의가 우세하며 실수염려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은 집단에 비해 다문화 감수성에 있어서 상호작용 주의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인 ‘상호작용 참여도’에 있어서는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낮은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을 갖고 있는 집단과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며 평균적인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인 집단이 수직주의가 우세하고 높은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집단보다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참여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