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문화소통과 다양성관리에 대한 연구동향과 함의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영식 한독사회과학회 2014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4 No.3

        본고는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간문화소통과 다양성관리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간문화소통과 간문화연구, 간문화소통과 간문화교육, 그리고 다양성관리와 다양성연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명제로 정식화하여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간문화현상에 대한 연구와 다양성 및 다양성관리에 대한 연구에서 모두 간학문적 접근방안이 우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간문화소통과 다양성관리의 공통점으로서 간문화능력을 목표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셋째, 다양성관리는 간문화소통의 활성화를 위해 방법적 측면에서 적절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간문화소통과 간문화관리의 연관성에서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간문화관리를 포함하고 있는 다양성관리는 결국 간문화소통의 강화를 위해 중요한 접근방안이다. 다섯째, 우리 사회도 역시 간문화소통․간문화능력․간문화교육․간문화관리․다양성관리의 밀접한 연관성을 고려하면서, 간문화현상과 다양성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research tren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diversity management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aim, this article identifies following them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ntercultural studi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nd diversity management and diversity studies. The bottom line of this stud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 the studies on the phenomena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well as in the studies on the diversity concept and diversity management, one can identify the increasingly dominant role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Second,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studies both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diversity management lies in the formulatio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n important goal concept. Third, diversity management seems to provide an appropriate methodological cue for activa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ourth, as we can identify once m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ntercultural management, diversity management including intercultural management in itself is, after all, an important approach towards strengthen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ifth, our society also needs to perform the studies on the phenomena of interculture and those of diversity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nd interconnectedness amo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management, and diversity management.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

        정다운,손다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3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이란 서로 다른 문화가 대면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 참여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실시하는 의사소통을 말한다. 의사소통에서 서로 다른 문화가 작용할 때 이문화에 대한 이해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할 수 없으면 갈등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문화의 작용으로 인해 갈등이 유발될 때 이를 극복하면서 성공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말하기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말하기 전략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를 ‘발견-지식 활성화-해석-조절’의 단계로 이해하고 말하기 전략은 특히 ‘조절’ 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조절’ 단계에서 학습자는 한국 문화에 맞추어 발화하거나 혹은 대화 상대자와 협상을 시도하는 말하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 사용 능력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도입-분석-설명-토론-적용-마무리’의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Korean speaking strategies to improve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when different cultu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communicat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basic cultural differences influe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an result in miscommunication or conflict in communication. Therefor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needed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is paper posits that speaking strategy education, which can be used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peak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understood as comprising the stages of “Discovery- Knowledge Activation-Interpretation-Adjustment.” Speaking strategies can be applied especially at the “Adjustment” stage, when Korean learners can use speak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Korean culture or by attempting to negotiate with their interlocutors. Based on the students’ ability to use speaking strategies, the teaching model of “Introduction- Analysis-Explanation-Discussion-Application-Finishing”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윤정숙,김정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모와 자녀의 원활한 언어적 수단을 마련하고, 실제적으로 가정에서 개방형 의사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이중언어를 발달시킬 수 있는 양육 방법 및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다양한 언어로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국문화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이 부모와 원활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한국문화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하여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여야 한다. 또한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국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 자녀의 한국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국문화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한국과 모국의 이중문화적 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유지시켜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인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수업 :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8 No.-

        문화간 의사소통이란 낯선 문화와 가치 체계를 이해하고 낯선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알맞은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며, 그들을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다른 문화권을 배경지식으로 하고 있는 사람과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간 의사소통에 관련된 실질적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문화간 의사소통 교육에 필요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틀로 문화간 의사소통적 지식, 문화간 언어적 감수성, 문화간 풍속과 행위를 교육 요소로 정하고, 인식, 이해, 수용, 창작, 표현을 학습자의 반응 틀로, 차이로 인한 오해 사례, 비교 사례, 조화로운 수용 사례와 같은 관계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제시 틀을 분석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자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간 의사소통의 일화를 제시하여 문제 의식을 제공하였으며, 둘째, 세계화됨으로써 언어문화 이해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자료로 제시하였다. 셋째, 중국 언어문화를 소개하고, 광고, 영화에 나타난 외국인의 관점으로 살펴본 언어문화 이해를 기술함으로써 문화간 의사소통 자료를 제시하였다. 문화간 의사소통 자료는 방대한 양을 다루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공동 연구를 통해 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to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systems of value, to communicate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the appropriate manner, and to understand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other words, that means the practical ability to interact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it is necessary to present substantial material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present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the frame work for present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nowledge, intercultural linguistic sensitivity, and intercultural customs and actions were chosen for educational elements. Recognition, comprehension, reception, creation, and expression were offered as the learners` action framework. Examples of misunderstanding due to differences, examples of comparison, and examples of harmonious acceptance were exhibited as the relations framework for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These frameworks should be studied not by analytical manner but by integrated manner. Through this study educational materials were suggested as follows: 1) Awareness of issues was offered by showing episod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2) Data, supporting the idea that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could be varied by globalization, were presented, 3) Material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by introducing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and analyzing the foreigners`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appeared in advertisements and movies. Further joint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make the systems for treating a large amount of material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배고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목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일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는 교실에서는 다양한 문화권의 학습자들과 목표어권의 교사 사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간 의사소통은 다른 문화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대화할 때 생기는 문화적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를 이해하며, 상황에 맞는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으며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서로의 문화 차이점을 인식하여 의사소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갈등을 줄여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으로 탄뎀 수업을 실례로 보여주고자 한다. 탄뎀 수업은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습자가 일대일 즉, 면대면으로만나 학습하는 것이므로 목표어, 목표 문화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적절한 교수학습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에 세 학기 동안 탄뎀 수업을 수강한 외국인 학습자 33명과 한국인 학습자 35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양상을 살펴보며, 또한 탄뎀 수업 운영 방식과 학습자들의 성취도와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Goal of Koreanlanguage education to foreign students is to build communication skillsneeded for their daily lives. Foreign students experience intercultural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from various cultures and the instructorof the target languag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is the ability to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behave properly in thegiven situation and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clearly. This study introduces tandem class as a case of a class for improving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andem class is a class thatapplies tandem language learning in which a group of two people ofdifferent mother tongues gets together to learn each other's language. Intandem class, foreign student and Korean student have one on one,face-to-face session to directly experience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therefore it is the most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33 foreign students and 35Korean students who took tandem classes for 3 semesters; how tandemclasses were managed; and how much the students improved and weresatisfied.

      • KCI등재후보

        영어교실에서 문화 간 화자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실러버스와 과제 구성의 방향

        김진석,장은숙,이효신,윤웅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적응 발달단계와 문화 간 의사소통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2개 반과 중학교 2개 반의 영어 수업에서 설계한 1, 2학기의 실러버스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 적응 단계별 실러버스 및 과제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화 적응 발달 단계는 인식, 수용, 통합 단계로 구분한다. 각 단계들과 문화 간 의사소통 간의 관련성을 논의한 결과, 인식 단계에는 무능력이나 무지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장벽으로 오류를 많이 범하면서 의사소통을 하는 의사소통 전 단계를, 수용 단계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겪으면서도 문화적 장벽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단계를, 통합 단계에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와 의사소통하는 데 문화적 장벽이 거의 없이 적절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의사소통 숙달 능력 단계를 제안하였다. 실러버스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강교사와 홍교사는 문화 간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문화 기반 활동들이 제대로 설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간 화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시청이나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여 문화 간의 차이를 우리말로 설명하기, 노래와 찬트하기, 문화 TPR로 문화 간 차이 체험하기, 문화 간 비교하기, 문화동화법, 문화 퀴즈, 문화 섬 체험 등이 체계 적으로 수업 시간에 구현되도록 실러버스를 계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학교 배교사와 이교사의 경우, 대부분의 활동들이 타문화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머물고 있어서 초등학교의 문화 수업 간의 위계화나 연계성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의 내용을 소재로 하는 활동들을 고려하여 실러버스 및 수업 활동이 좀 더 체계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고려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으로 시뮬레이션, 문화 주제의 소집단 토의, 홈스테이, 문화 기반 상호작용 전략 연습, 구두발표, 역할극, 미니드라마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ing syllabuses and task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intercultural speakers in English class, because the objective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wo primary classes and two middle school classe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 connectedness, scope, and task considering the ways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nectedness and the scop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asks between primary syllabuses and secondary syllabuses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in class were not design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Thus,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the syllabuse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designed systematically.

      • KCI등재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에 나타난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Ⅰ의 특징연구

        김유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of the German I of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for the last 4 years (2019-2022) in the field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and to find out whether the questions or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 properly the points of view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well. To this end, in this paper,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lture and communication domain of the German I subject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the two curriculum presented above, and then the questions of the culture and communication part in the German I of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aterial of questions on culture, geography took the largest proportion, and life, language, and tradition were ask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Second, the field of questions on culture was expanded from German culture to German-speaking areas, while questions on culture that could evalu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with people from German culture were not asked. Third, the questions on the communication area were evenly asked in the basic expressions of communication in <Table 1> present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various conversation materials, on the other hand, only two questions were able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cultures. It is true that 2 out of a total of 64 questions on the field of communication for the past 4 years, or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sk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small in number, but the example of the questions can serve as an index for developing questions that evalu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에서 최근 4년(2019-2022) 동안의 독일어Ⅰ 수능시험의 문항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문항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인 문화 간 의사소통의 관점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위에 제시한 2개 교육과정에서의 독일어Ⅰ과목의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의 평가 기준을 각각 살펴보고, 다음으로 독일어Ⅰ수능시험의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문항의 소재는 지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생활, 언어, 전통 순의비중으로 출제되었다. 둘째, 문화 문항의 영역이 독일 문화권에서 독일어권으로 확대되어 출제되었으나, 독일어 문화권 사람과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문화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다. 셋째,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은 다양한 대화 소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본표현에서 골고루 출제되었으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은 단 2개에 불과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최근 4 년간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에 해당하는 총 64개의 문항 중 2문항이 문화 간 의사소통관점에서 출제되었다는 점은 수치로는 적은 편이지만, 이 문항의 사례는 향후 수능시험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 개발을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아랍어·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교육 내용 연구

        조위수,윤주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ducation contents and to establish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speaking Arabic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need not only linguistic skills but also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culture and classification of thinking that enables speaking in the target language. For such a reas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n, using iceberg model, categorized the items of the culture education by four types as follows: ‘attitude·manner’, ‘cultural base’, ‘cultural surface’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tems described Korean and Arabian cultural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be able to present the detaile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deep culture and surface culture of Korean’s and Arabian's and constructed the cultural contents by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와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교육의 항목을 설계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다. 이 두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목표 문화권의 화자들과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발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고의 유형과 문화의 심층 구조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빙산 모델을 활용하여 ‘자세·태도’, ‘문화 기저’, ‘문화 표층’, ‘소통 기술’로 범주화한 교육 항목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한-아 문화 내용들을 기술하였다. 본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 수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으나, 한국과 아랍의 문화 영역을 심층 문화와 표층 문화로 구분하여 문화 교육 항목을 설정하고, 영역별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에 대한 탐색연구: 호스트와 체류자 관계를 중심으로

        이두원 ( Du Won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호스트(host)와 체류자(sojourner)의 시각에서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을 비교·탐색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최근 한국대학에 외국인 유학생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외국인 유학생 수 대비 중국인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0%에 다다르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고 온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사회의 편견과 문화간 소통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배려 부족으로 오히려 ``반한정서``를 갖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은 호스트로서 한국인 학생과 체류자로서 중국인 유학생 간에 발생하는 소통현상이다. 이때 타문화 권으로부터의 방문객(異邦人)을 상대로 문화간 소통을 수행하는 한국인 대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지식, 태도, 기술, 인식을 갖고 임하는가? 반면 타문화(異文化)권의 체류자로서 호스트 문화의 구성원을 상대로 문화간 소통을 수행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지식, 태도, 기술, 인식을 갖고 임하는가? 이러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 연구에서는 호스트로서 한국인 대학생과 체류자로서 중국인 유학생 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 능력의 구성요인 별로 호스트와 체류자 그룹 사이에 어떤 수행능력의 차이와 특성이 내재되어 있는가를 성찰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as hosts and Chinese students as sojourners in Korean universitie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the complex of abilities needed to perform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when encountering with others who are culturally and often linguistically different from oneself. Competence is abstract and cannot be witnessed directly; thus, it should be inferred by observing how one performs. Competence and performance are interrelated. From this perspective on competence, this study aims at observing how Korean students as hosts and Chinese students as sojourners perform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aim,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erformance of four dimensio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volving the knowledge, attitudes, skills, awareness was measured with a survey. The study result offers not only the performative comparison betwee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and that of Chinese students but also a theoretical schema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host and a sojourner.

      • KCI등재

        탄뎀소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하수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rsitäten in Korea verlangt eine Intensivierung zur Förderung des interkulturellen Verständnisses. Das Tandem-Lernen ist eine hierzu passende Lernmethode. Es gibt drei verschiedene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Tandem-Lernens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Studiums. Der Tandemunterricht mit zwei Zielsprachen ist eine Möglichkeit davon. Dabei steht das Sprachlernen an erster Stelle, aber da finde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utomatisch statt, da die Sprecher aus zwei verschiedenen Ländern stammen. Eine weitere Möglichkeit bietet der Tandemunterricht mit über 3 Zielsprachen.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rgibt sich dabei automatisch aus dem kommunikationsstrukturellen Grund. Die dritte und letzte Möglichkeit wird im Curriculum für allgemeine Bildung angeboten. Diese Art des Tandemunterrichts wird hier 'interkultureller Tandemunterricht zur allgemeinen Bildung' genannt. In diesem Unterricht steh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n erster Stelle.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 곳곳에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는 다문화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교육과 더불어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초·중등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 필요성은 한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출 지향적 산업구조를 가진 한국에 글로벌 시장 개척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대학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상호문화 소통능력을 함양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살아갈 국내외의 생활환경이 이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 소통능력 함양은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사실이다. 지식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에서 상호문화 소통을 경험하면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오늘날 적잖은 대학생들이 해외여행, 교환학생 참여, 어학연수 등으로 해외에 체류하거나, 국내외에서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하기, 온라인으로 외국인 친구와 소통하기 등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상호문화 소통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건과 기회를 충분하게 활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즉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상호문화 소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대학교육 환경의 글로벌화를 대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역량 강화에 활용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탄뎀학습을 제안하고, 탄뎀학습이 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 역량 함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제2장에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기술하고, 이어 제3장에서 탄뎀학습을 통한 상호문화 소통역량 교육의 특수성과 구현방법을 기술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조사한 수업경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