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90년대 이후 중학 어문 교과서의 변화와 문학 경전 질서의 재편성

        김태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6 No.-

        本文爲筆者的博士論文《50-80年代中學語文敎科書與現代文學的經典化》的后續硏究成果。 本文認爲中學語文敎科書作爲傳播文學作品的主要媒體之一。在此基礎上, 本文考察1990年代以后中學語文敎科書收錄現代文學作品的情況。筆者在硏究中學語文敎科書與現代文學經典的關系上, 將其歷史劃分爲兩個時期:50-80年代和90年代以后。分期的主要標准是1986年。于1986年, 中國發布九年制義務敎育的實施以及敎科書編寫審定制的實行。這些等制度改革導致中學語文敎科書收錄文學作品的選材標准發生變化。 90年代初期的審定制敎科書基本上大量收錄50-80年代語文敎科書的經典課文。但根据編寫地方,編寫机構的特殊情況, 有些敎科書有所調整, 增加新課文, 主要是80年代以后發表的新作或者發表于民國時期而由于政治原因長期未選入敎科書的一些現代文學作品。 90年代末的語文敎育大討論提供中學語文敎育界一個更新的机會。關于文學作品敎育, 有兩種議論― 工具論與人文論。因此2000年代以后的中學語問敎科書?重視文學敎育方面, 結果文學作品的選材標准也注重于文學史上的意義以及藝術性。于是, 許多現代文學作品被編入中學語文敎科書, 接觸廣泛讀者, 獲得文學經典的地位。 可是, 社會上關于語文學科與文學作品之間的關系議論紛紛。中學語文課本畢竟是學校敎育的敎材, 其特殊屬性在文學作品的經典化過程中引起種種變數。語文敎科書編寫上最難以解決的問題大致在于一下兩點:是否應該重視文學作品的文學史价値;是否應該重視文學作品作爲敎學敎材的功能。尤其2000年代以后中學語文敎育注重文學作品的鑒賞, 隨之出現了學生在閱讀文學經典時缺乏接受能力的種種現象。 如此的論爭起源于中學語文敎科書的特殊性。文學作品通過語文敎科書能接觸廣大讀者, 同時需要承擔敎育尙未成熟的中學生的任務。因此語文敎科書收錄甚?文學作品永遠是爭議的焦点。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을 자료로 삼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실상을 학년별, 갈래별, 성취기준별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확인된다. 첫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본, 보조 포함)의 수록 횟수 평균값은 3개 학년 동안 대체로 10회 내외에 이른다. 그 중 고전문학 본 제재를 수록한 경우의 수는 교과서별로 1회에서 6회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고전문학 작품이 본 제재로 채택된 단원의 수를 검토한 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교과서가 크게 재구성되지 않고 문학 교실에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된다고 가정할 때, 이 시기 학습자들은 평균적으로 중학교 매 학년마다 1회 정도 고전문학 작품을 본 제재로 접하는 학습 경험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둘째, 국가 단위 중학교 수준의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가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크게 줄었다는 점이 뚜렷하게 부각된다. 검인정 심사를 통과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종류가 줄어든 점, 학습량을 줄이려는 경향 등과 맞물려 드러난 현상이겠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중학교 학습자들이 접할 가능성이 있는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는 바로 이전 시기인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보다도 크게 줄어들었다. 셋째,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가 줄어들면서 새로운 고전문학 제재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포함되기보다는 오히려 전통적인 정전의 지위에 있던 작품들의 수록이 더 확고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시조, 서사무가, 한문 산문 갈래 등에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 추가되었으나 수가 많지 않으며 보조 갈래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제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전시가 혹은 고전소설 갈래에서는 기존 국어 교과서 내에서 정전의 지위를 뚜렷하게 인정받은 작품들의 수록이 두드러진다. 넷째, 교과서 9종 전체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10개 항목 모두가 고전문학 제재와 결합하여 중학교 국어교과서에서 단원으로 구체화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문학 영역 성취기준 10개 항목과 각각 결합하는 횟수는 차이를 보이는바, 고전문학 제재들은 작품의 창작 배경, 창작 맥락, 작품에 반영된 사회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한 문학감상 관련 성취기준 항목들과 더 많이 결합한 반면, 문학 작품의 구성 요소를 익혀 감상하는, 내적 독해 및 감상과 관련된 성취기준들과는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결합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다섯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제재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비문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결합하기도 하였다.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 중 고전문학 제재는 읽기 성취기준과 가장 많이 결합하였다.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 중 고전문학 제재를 본 제재로 채택한 성취기준은 ‘서사 요약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 것이다. 그 외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을 구체화한 단원에서 고전문학제재는 모두 보조 제재로 활용되어 추가 학습활동 자료나 읽기 자료로 기능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n 2015 revised curriculum on the basis of grade, genre,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nine types of textbooks, the total number of units containing classical materials is from 6 to 13, and the average is generally less than 10 units. Assuming that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are used as materials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learners will have a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they encounter the classics literary materials once in each grade of middle school.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t is clear that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at the national level of middle school education. As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decreases,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end to include works that were in the traditional canon of state rather than include new classical work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were relatively more combined with achievement standard items intended for literary appreci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contex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y are relatively loosely coupled with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inner reading and appreciation.

      • KCI등재

        2009 개정 문학교과서의 正典 속 定典의 문제

        김용기(Kim, Yong-ki)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이 글은 문학적 총체로서의 正典이 定典化 되는 양상을, 개정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필자는 문학적 총체로서의 正典과 문학교육과정 속에서 교수요목으로 취사선택 된 定典은 구별 될 필요가 있다고 전제하고, 12종의 문학교과서에 나타난 고소설 수록 실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12종의 <문학Ⅰ>에 나타난 고소설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확인해 본 결과, ‘고소설1’과 ‘고소설2’를 합하여 본문에 15작품, 학습활동에 14작품, 그리고 본문과 학습활동 모두에 수록된 작품은 5편이었다. 그래서 <문학Ⅰ>에 수록된 고소설의 작품 총량은 많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문학Ⅱ>의 경우에는, ‘고소설1’과 ‘고소설2’를 합하여 본문에 23편, 학습활동에 15편, 본문과 학습활동 모두에 수록된 작품은 6편이었다. 그래서 <문학Ⅱ>는<문학Ⅰ>에 비해 양과 질적 측면에서 개선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균형 감각을 갖추었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과서 속 고소설을 통해, 正典의 定典化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문학교과서 속 작품이 定典으로서의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점검해 보았다. 채택 된 작품들이 대단원과 중?소단원 학습목표에 맞게 선별되었는지, 문학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작품인지, 고소설의 하위 갈래적 측면에서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큰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 장에서는 문학교과서 속 定典과 입시와의 연계성을 검토한 후 문학교육이 잘 되지 않는 몇 가지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학교과서 속 定典들의 자격과 품격은 입시에 얼마나 반영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기출문제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특정 작품이 문학교과서 속에서 定典으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입시와 연계되는 비율이 높아져야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the aspect that canon as the whole literature is selected and introduced on the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The writer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distinguish canon as the whole literature from the selected canon as a syllabus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So 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n how the old novels were included in the twelve literature contexts. First of all, the old novels of twelve literature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are 15 works on the body of book, 14 works on the learning activity and 5 works are included on the body of book and the learning activity both. 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total amount of works included on the <Literature textbook Ⅰ> was not enough. On the <Literature textbook Ⅱ>, there are 23 works on the body of book, 15 works on the learning activity including <The old novel 1> and <the old novel 2> and 6 works are included on the body of book and the learning activity both. According to this, we could recognize that <Literature textbook Ⅱ> was improv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it has a sense of balance comparing to <Literature Ⅱ>. On the basis of this, the writer examined the aspect of selecting works of canon in the old novels of the literature textbooks. It was the main point that works of the literature textbook have the qualification. The qualification was checked like these; whether work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the lesson and unit or not, whether works have a literary significance or not, whether works have the representativeness on the subordinate part of the old novels or not. As a result, there was no big drawback. In the last chapter, the main causes that influenced on the literature education badly were suggested after looking through the connectivity the way of selecting works and entrance examina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quality and qualification of the selected works could be changed by the fact; how much does it effect on the entrance examination? So, it was needed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connectivity between the works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to be selected as a canon in the literature textbook and keep in position.

      • KCI등재

        교과서 현대시 제재 선정 문제에 대한 일고찰 - 현행 『문학』 교과서와 서정주 시의 수록현상을 중심으로 -

        이원영(Lee, Won-Young)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1 No.-

        본고는 현행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수록 양상과, 교과서에서의 서정주 시의 정전화와 탈락 현상을 중심으로 교과서 현대시 제재 수록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교과서 현대시 제재 수록 문제에 관한 시사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현행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수록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문학』 교과서에서는 제재의 정전화보다는 제재의 다양화와 탈정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각 교육과정기 『문학』 교과서의 서정주 시 수록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서정주 시의 정전화와 탈락의 과정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확인한 내용을 검토하면서 교과서 제재의 다양화 흐름 및 정전 해체 현상이 문학성을 갖춘 현대시 텍스트들을 탈락시킬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 문제에 대해 교과서의 현대시제재선정과정을‘문학을 통한 공론의장’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인식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issue of selecting in modern poetry in textbooks, focusing on the aspect of the current “Lliterature” textbooks and the phenomenon of canonization and dropout of Seo Jeong-ju"s poetry in textbook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regarding the selection of materials for textbook modern poetry. This paper proceed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aspects of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s in modern poetr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of diversification and drop out of canonization of materials is occurring rather than the canonization of materials in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s. Next, we analyzed the aspect of Seo Jeong-ju"s poetry in the “Literature” textbooks in each curriculum period. Through this, we confirmed the process of canonization and dropout of Seo Jeong-ju"s poetry that appears in the “Literature” textbook. Lastly, while reviewing the contents identified so far, the diversification flow of textbook materials and the phenomenon of dropout of canon raised the problem that modern poetry texts with excellent literary quality could be dropped. It was suggested that it be recognized the process of selecting modern poetry materials for textbooks as a process of forming a “forum for public discussion through literature”.

      • KCI등재

        2015년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현대시조 제재 수록 현황과 과제

        김태경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9 No.-

        In this study, we analyzed 82 Korean textbooks (10 types),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12 types), and literature textbooks (10 types) revised in 2015 for first and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to find parts containing modern Sijo and examine the pattern of use of sanctions. First, we evaluated the cases in which modern Sijo was adopted in the main and sub-sanctions and examined what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mbin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n example of the use of modern Sijo as main sanction is mul, su, Je, bi by Jeong Wan-yeong. This work has been used to learn the concept of rhyme and the principle of formation, which is an individual idea and literary expression method in the area of ​​Literature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 works included as subtitles include Rereading Part of Speech by Literary and Muhak and Garangbi by Jeong Wan-yeong. As both works are linked to the content of “grammar” rather than the “literature” area, one can observe the diversity of use of modern Sijo sanctions. In addition, two original poems were written by non-authors as an activity to build a modern Sijo by referring to the original Sijo. However, in both cases, the second note was out of the standard of the Sijo, in which the last note had to be of five or more characters. In the case of high school Korean/literature textbooks, we could not find any examples of modern Sijo used as a main sanction. However, two works (Moon = Late Night Food by Kim Si-yeon and Smiling Sin by Shin Yang-ran) were included as examples for learners to create Sijo in the Korean textbook of modern Sijo, which was used as a subtitle. Moreover,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seventh case was used in the area of ​​Character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first in the area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due to the subtitle of the modern Sijo. The former case was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2 Literature 03-03], which explores and appreciat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the latter was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 [12 Literature 02-01]. Next, although the text of modern Sijo was not directly presented, we found several activities for creating modern Sijo and explor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ctivity patterns related to Sijo creation. We identified activities for learners to create modern Sijo in various ways: four time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ive tim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once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usage patterns of modern Sijo sanctions in middle school Korean and high school Korean/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s the reality of Sijo literary education.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중학교 1~3학년 국어 교과서(10종)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12종), 문학 교과서(10종) 총 82권을 분석하여, 현대시조가 수록된 부분을 찾고 제재 활용 양상을 점검해 보았다. 우선, 현대시조가 본제재와 부제재로 채택된 사례를 확인하여 어떤 성취기준과 결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경우, 현대시조가 본제재로 활용된 사례로는 정완영의 「물,수,제,비」가 있다. 이 작품은 핵심개념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에서 개성적인 발상과 문학적 표현 방법 중 하나인 운율의 개념과 형성 원리를 학습하는 부분에서 활용되었다. 부제재로 수록된 작품으로는 문무학의 「품사 다시 읽기」와 정완영의 「가랑비」가 있으며, 두 작품은 모두 ‘문학’ 영역에서가 아닌 ‘문법’ 내용과 연결되어 현대시조 제재 활용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 비작가의 창작 시조가 두 편 수록된 것을 발견하였다. 창작 시조를 참고하여 현대시조를 지어보는 활동이었다. 그러나 두 편 모두 종장 둘째 음보가 다섯 자 이상의 과음보가 되어야 하는 시조의 정형에서 벗어나 있었다.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경우, 현대시조가 본제재로 활용한 사례는 찾을 수 없었다. 다만 부제재로 활용된 현대시조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는 1회 두 작품(김시연의 「달=야식」, 신양란의 「웃은 죄」)이 함께 학습자의 시조 창작을 위한 예시로 수록되었다. 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는 현대시조 부제재로 7회가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영역에, 1회가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전자의 사례는 모두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상하는 성취기준 [12문학03-03]과 연관되었으며, 후자는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비교 분석하는 성취기준 [12문학02-01]과 연결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현대시조 텍스트를 직접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시조를 창작해보는 활동이 여러 차례 발견되어, 시조 창작과 연관된 성취기준과 활동 양상 등도 탐구해 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4회,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5회,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는 1회,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가 현대시조를 창작하는 활동을 찾을 수 있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이 고시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조 제재 현황과 활용 양상이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탐색하고 시조 문학교육의 실체를 분석하는 후속 논의에 발판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 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황윤정 ( Hwang Yun-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 12종 및 문학 교과서 10종을 살펴 교과서 내 고전문학 제재 활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 안에서 고전시가 제재는 문학사 관련 성취 기준과 가장 빈번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많이 활용된 제재는 <제망매가>, <가시리>, <용비어천가>, <동짓달 기나긴 밤>,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이다. 국어 교과서 안에서 고전 산문 제재는 여러 성취 기준과의 결합을 보였으나, 무엇보다 문학사 관련 성취 기준과의 결합이 가장 많았다. <춘향전>이 고전 산문 제재 전체 가운데 가장 많은 활용을 보였고, <세종어제훈민정음 서문>은 국어 표기의 변화 관련 성취 기준과 관련하여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문학 교과서 안에서 고전 시가는 문학사나 사회·역사 반영 관계의 탐구 관련 성취 기준과 빈번한 결합을 이루어 제시되었고, <제망매가>, <만흥>, <속미인곡>이 교과서 수록에 선호되는 제재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전 산문 역시 마찬가지로 문학사나 사회·역사 반영 관계의 탐구 관련 성취 기준과 빈번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수록 선호 제재로는 <단군신화>, <주몽 신화>, <봉산탈춤>, <흥부가>를 들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제재의 배치 및 수록 현황을 살피는 것으로 교육의 실제를 밝히고, 내용 연구의 방향을 마련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12 kinds of Korean textbooks and 10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n textbooks, classical poem material was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literary history.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s are <je-mang-mae-ga>, <gasili>, <yongbi-eocheon-ga>, <dong-jis-dal ginagin bam>, <gae-leul yeo-nameun-ina gi-leu-doe>. In Korean textbooks, classical prose material showed the combination with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but above all, the combination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chun-hyan-gjeon> showed the most use among all the materials of classical prose. <sejong-eo-jehunminjeong- eum seo-mun> was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the change of Korean notation. In literary textbooks, classical poetry was presented in frequent combination with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and historical reflections. <je-mang-mae-ga>, <man-heung>, <sog-mi-in-gog> were found to be the preferred material for textbooks. Classical prose, likewise, is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relations between society and history. The preferred materials included are <dan-gun myth>, <ju-mong myth>, <bong-san-mask dance>, <heung-bu-g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prepares the direction of contents research.

      • KCI등재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기술(記述)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제언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9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단원 기술(記述)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했다. 10종의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기술은 시대구분(4종)과 갈래 구분(6종)을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시대별 문학사 기술 교과서에서는 시대구분의 기준이나 이유 제시도 없이 시대 설정이 너무 넓고, 시대별 문학적 특징 서술이 막연하다. 갈래 중심 문학사 기술 교과서에서는 갈래 구분 자체에 대한 근거 제시나 설명이 없고, 하위 갈래가 어떤 상위 갈래에 속하는지 교과서마다 다르다. 텍스트 지식, 콘텍스트 지식, 그리고 메타 텍스트 지식에 해당하는 문학사용어 또는 설명 내용이 모호하거나, 한자 표기가 틀렸거나 개념이 잘못 사용된 경우도 발견된다. 검정 심의를 통과한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지식과 기술 내용상의 오류, 표기상의 오류, 출처 제시의 오류가 여럿 보이고, 학습 활동에서도 자료 제시가 부족하거나 모호한 표현들도 여럿 보인다. 이것이 현행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단원 기술과 문학사 교육의 현주소이다. 일차적으로 집필진이 문학사 기술과 문학사 교육 내용 설계를 위한 치열한 고민과 책임 있는 집필이 요구된다. 그리고 교과서 내 문학사 집필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개선 또한 긴요하다. 충분한 교과서 집필 기간을 확보하고, 각 영역별 전공자가 문학사 집필에 참여하고, 문학사 기술 내용을 내ㆍ외부에서 공신력 있는 검토ㆍ감수를 받는 식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문학사 교육에서는 전문적인 문학 지식에 대한 정확한 설명과 자료 제시가 중요한 만큼, 이에 관한 기술상의 오류나 미흡 요소를 해소하는 것이 관건이다. 집필에 필요한 교육용 문학사 용어 및 개념 정리 및 매뉴얼 제공도 필요하다. 문학사에서 논쟁이 되는 지점에 대해 학습자에게 알려주고 학습자들이 문학 지식을 활용해 시대와 갈래별 문학적 특질을 함께 직접 탐구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의 재설계가 긴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 and present some suggestions to solve the problem. The literature history description in 10 literary textbooks focuses on the distinction of period(4 types) and the genre(6 types). However, in the literature history textbook, the setting of the periods is too wide without providing any criteria or reasons for dividing the periods, and the description of literary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s vague. There is no basis or explanation for the genre itself in the textbook o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centered on the division of the genre, and each textbook differs from one to the other. Literary historical terms or descriptions corresponding to textual knowledge, context knowledge, and meta-text knowledge are also found to be ambiguous, Chinese characterization is incorrect, or concepts are misused. Despite the textbook passing the screening process, there are several errors in literary knowledge and descriptive content, typographical errors, and presentation of sources, and several vague expressions are also seen in learning activities. This is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history unit and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n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First of all, writers are required to write fiercely and responsible writing for the design of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and literary history education content. And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improvement for writing literature history in textbooks is also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write textbooks,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literary history by majors in each area, and to improve the system in which the contents of literature history description are review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education, accurate explanations and data presentation of professional literature knowledge are important, so the key is to resolve descriptive errors or insufficient factor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literature history terms and concepts and manuals necessary for writing.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redesign of learning activities that provide learners with controversial points in literary history and allow learners to directly explor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s and genres by utilizing literary knowledge.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한국의 문화 ; 개화기 교재 『한문학교과서』의 작품 수록 양상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본고는 1907년 7월에 발간된 중등 한문 교과서인 『한문학교과서(漢文學敎科書)』를 대상으로 이 책의 편찬자와 발간 배경 그리고 한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 등을 고구할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한문학교과서』는 2권 2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권은 우리나라 고문 작가들의 글이고 제2권은 중국의 작품들이다. 본고에서는 제1권에 한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사실상 이 책의 편찬을 주도한 여규형은 당시 최고의 한문 문장가였다. 그가 성품이 굳세지 못하고 결국 친일의 길을 걸음으로써 불행한 행적을 남기고 말았지만 한문에 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창작 능력 등은 뭇사람의 인정을 받았다. 그는 유교와 한문을 동일한 하나로 규정하고 유교와 한문의 수호를 위해 노력했고 한문과 중등학교 교사로 일하며 한문 교육에도 지대한 관심을 쏟았다. 변화된 여건에서 한문 교육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했고 교사로서 현장에서 직접 이러한 필요를 절감했을 여규형이 직접 교과서 개발에 나선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당시에는 논설과 토론이 크게 유행하였고 특히 논설 쓰기는 각광 받는 글쓰기였다. 신문과 잡지에서도 논설이 주목받았고 각종 시험에서도 논설은 중요한 글쓰기였다. 이런 점에 유의하여 여규형은 논변류의 작품들만으로 교과서를 제작하였다. 『한문학교과서』는 고려와 조선의 명문장가의 고문 작품들 중에서 논변류만을 선취한 ``논변선집``이다. 여규형은 수록 작가를 선정함에 있어 각 시기별 안배를 염두에 두었다. 이 점은 『동문집성』이나 『여한구가문초』, 『대동문수』 등 다른 선집류와 다른 점이다. 여규형은 수록 작품들에 대해 일일이 평가하고 자신의 견해를 짤막하게 기록하였다. 대부분 당송의 고문이나 진한의 고문에 이른 작품들을 높게 평가하되 당송·진한 중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았다.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다 같이 평가하고 주석도 가하였다. 오늘날의 기준에 의하면, 『한문학교과서』는 한문과 교과서로 적합하지 않다. 내용이 어렵고 하나의 문체만 배우게 되는 약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한문학의 대가들의 면모를 고르게 알 수 있고 고려와 조선 전 시기의 고문 명작들을 접하게 하는 점은 장점이다. 한문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는 시점에서 탁월한 한문 능력을 구비한 대가에 의해 선집류 교과서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한문교육사는 물론이고 한문학사에서도 크게 의미를 부여해야 할 일이다. 「Hanmunhakgyogwaseo(漢文學敎科書)」had published high school Chinese textbook in July, 1907. These books were composed of two volumes. First volume was made up of Koreans` prose and second Chinese` The aims of this article concentrate on first volume. The fact that first volume tag together by Yeo Gyu-hyeong. He was both supreme Chinese writer in those days and a high school teacher. He insisted that he keep on using Chinese and teach the students to core of Chinese. 「Hanmunhakgyogwaseo」 is gathering fine articles in Chinese. The topics were covered with Chinese prose from Corea to enlightening period. All works were prose, especially took a pick an archaic style. These points were kin to 「Dongmunjibseong(東文集成)」 and 「Daedongmunsoo(大東文粹)」. These books listed diverse styles. On the contrary, 「Hanmunhakgyogwaseo」 only articles. Due to social background, pervading disputes and writing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lively, I think, make them possible one and only style. At this point in time, 「Hanmunhakgyogwaseo」 is not suitable for textbook because of an esoteric Chinese styles. One of its good points, appreciate articles of supreme Korean writers about Chinese literature, though. Take notice of Yeo Gyu-hyeong. Put in articles of writers from the latter Joseon period to enlightening period. 「Hanmunhakgyogwaseo」 will go far toward making a description of a literary history.

      • KCI등재

        문학 교과서의 성별 편중성 분석: 젠더의 눈으로 문학 교과서 읽기

        우신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gender tendency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target audience is 11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lthough gender tendency can be analyzed at various levels of planning, writing, composition, form, content (description, illustration, activity, etc.) of textbook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and textbooks (Sanctification) of the work contained in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author. There are five major research problems. Sex biasedness revealed in the sex ratio of the textbooks of literature, gender stereotypes appearing in the textbooks of literary textbooks, gender bias attributed to the sex ratio of the writers in the literary textbooks, gender bias in the occupational and sanctioning genres of the writers, textbook writers gender This is the correlation between biasedness and gender bias of the wri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composition of textbooks and composing works. In order to be able to describe literary textbooks in a more delicate manner as texts for constructing the emotional structure of a generation and a generation, efforts should be actively made to resolve gender stereotypes of the writers and sanctioned writers. There should also be a number of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mechanisms to help criticize literary textbooks with the gender's eye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성별 편중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 대상은 11종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이다. 문학 교과서를 둘러싼 성별 편중성은 교과서의 기획, 집필, 구성, 형식, 내용(서술, 삽화, 활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가시적이고 양화 가능한 성별 편중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교과서 집필진의 구성과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작가 구성을 주된 분석 자료로 삼았다. 연구 문제는 크게 다섯 가지로 다음과 같다. 문학 교과서 집필진 구성의 성비에서 드러나는 성별 편중성, 문학 교과서 집필진 별 집필 분량에서 나타나는 성별 편중성,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작가들의 성비에서 드러나는 성별 편중성, 작품 작가들의 직업 및 제재 장르에서 나타나는 성별 편중성, 교과서 집필진 성별 편중성과 수록 작품 작가들의 성별 편중성의 상관관계 등이 그것이다. 분석 결과 교과서 집필진 구성 및 작품 제재 작가 구성에서 젠더가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시대, 한 세대의 감성구조를 건축하는 텍스트로서 문학 교과서가 보다 섬세한 방식으로 서술되기 위해서는 집필진 및 제재 작가의 성별 편중성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젠더의 눈으로 문학 교과서를 비평하도록 돕는 여러 가지 제도적, 교육적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지역 문학 교육의 필요성 고찰 - 요산 김정한 소설의 문학교과서 수록 양상을 중심으로

        오현석(Oh Hyounsu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최근 국어과 교육과정은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2 고시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10년 동안 4번의 변동이 있었다.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국어 선택 과목들의 명칭이 변경되었고 교과서도 계속 새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문학 과목에도 영향을 주었다. 문학 과목은 4차 교육과정 이후 과목명은 그대로 유지되어 국어 교과의 선택과목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부여받았다. 하지만 문학교과서는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3번에 걸쳐 새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들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새로 수록되거나 제외되는 작품들의 비율 변동이 증가했다. 과거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는 문학작품들은 지배이데올로기나 권력에 의해서 정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작품들이 지금도 문학 교과서에 일부 그대로 남아 있고 이런 작품들을 정전이라고 부 른다. 문학 정전 때문에 다른 작품들이 문학 교과서에 실리기 어렵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김정한의 소설이 최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는 거의 대부분 제외되었다. 본고는 그동안 문학 본질적 측면에서 거치를 부여받고 수록되었던 김정한의 소설이 최근 교육과정에서는 제외된 원인이 지역 문학 교육의 홀대에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가 수준 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지역 수준 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했다. 문학 교육은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에 따라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중 지역 문학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성취기준 중에 문학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를 배우고 공동체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항목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과 지역을 다루는 문학작품 교육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지역 문학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 때문에 김정한과 같은 지역 작가의 작품이 교과서에 실리지 못했다. 김정한은 부산에서 평생 살면서 민중들의 삶에 관심을 가졌던 작가이다. 그는 현실을 반영한 리얼리즘 소설을 주로 썼다. 그는 지역에 살면서 지역을 다루는 작가였다. 하지만 그가 다루는 지역성은 좁은 의미의 지역성이 아니라 넓은 의미의 지역성이다. 모든 장소와 공간은 지역적이다. 지역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다. 지역이 모여서 세계가 된다. 그러므로 세계를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지역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김정한과 같이 지역성을 담고 있으면서 현실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작품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지역의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역 문학 교육이 중요하다. 또 공동체 의식과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역 문학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지역 교육과정을 실질적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 Recently,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has changed three times in 10 years from 2007 revised curriculum, 2009 revised curriculum, 2012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ames of the Korean elective subjects were changed and textbooks were newly created with each revision. The name of Literary subject has remained the same after the fourth curriculum, but textbooks have been replac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nges. In the past, literary works in literary textbooks were often determined by dominant ideology or power. Such works still remain in literary textbooks and are called Canon. Due to the Canon, it is difficult for other works to be written in literary textbooks. Literature education should conform to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people tend to take lightly the standard related to local literature education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we do not regard the importance of learning various culture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ulture through literature However, we need to educate literary works that deal with various local places and characters in order to understand diverse cultures. So far, local literature like Kim Jung-han s works did not appear in textbooks because of the tendency not to consider local literature as important. Kim Jeong-han is a writer who had been interested in the lives of the people while living in Busan. He mainly wrote realistic novels reflecting reality. He lived in the region and was a writer who deals with the region. However, the locality he deals with is not a narrow sense of locality but a broad sense of locality. All places and spaces are local. The region is not fixed but fluid and dynamic. The regions get together and become the world. Understanding the world is therefore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orks that contain local characteristics and accuse the problems of reality like Kim Jeong-han’s works. Local literacy educat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verse cultures and values of the region. Local literacy education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ultural diversity. To do this, the local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