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이 글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의 이 땅에 파종된 무정부주의의 모습을 천착(穿鑿)하고자 한다. 그가 기초한 『조선혁명선언』과 그 주체인 조선의열단의 노선, 그리고 1927년을 전후하여 그가 마지막 의지처로 생각했던 동방아나키스트연맹에서의 언행과 저작을 통하여 일제 치하에서의 한국 무정부주의의 현실과 이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의도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에는 당시 식민지지배 아래서의 지식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사상적 습합(習合)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그의 사상은 당시 한국에 유입된 양계초(梁啓超)의 영웅주의, 크로포트킨(Count Kropotkin)의 민중주의적 연민과 상호부조론, 고도쿠 슈스이(幸德秋水)의 폭력혁명론, 이석증(李石曾)의 생물학적 진화론 등을 융합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식민지 시대의 무정부주의가 매우 정치(精緻)하고 논리적으로 완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통으로 보면 고토쿠 슈스이를 잇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신채호의 폭력혁명론은 그의 사상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업장(業障)처럼 따라 다니고 있다. 식민지 시대에 독립을 쟁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좌절된 후 최후의 방법으로 폭력 또는 테러리즘의 길을 걷게 된 것은 잘못된 일도 아니고 비난 받을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력 투쟁에 대하여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이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어떻게 다른가에 대하여는 당사자인 신채호도 혼동하고 있고 후세의 평가도 각기 다르다. 신채호도 계급 투쟁이나 평등과 같은 사회주의적 입장을 밝힌 바 있고, 당시 무정부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계급 철폐를 주창하는 등 사회주의적 요소를 표방하는 일이 흔히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와 혼재ㆍ혼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식민지시대의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거부와 혐오감이 그 본질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 정확히 권력이나 또는 정치(정부ㆍ국가)에 대한 거부나 혐오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신채호를 비롯한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정통 논리로부터 다소 빗겨 서 있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depict the reality and idea of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rule through Shin Chae-ho's writings such as the Declaration of Korean Revolution, his political line presented at the Korean Gallant Party(Chosun Uiyuldan), and his dialogues and activities at the East Anarchist Union. Shin Chae-ho's anarchism shows the ideological fusion as a means of independence movement. So as to say, he accepted and reconstructed the heroism of Liang Chi-chao, populist sympathy and mutual assistance theory of Count Kropotkin,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of Kotoku Shushui and biological evolutionism of Lee si-zheng. In this respect, anarchism under the colonial rule, especially in case of Shin Chae-ho, was neither accurate nor logical. While evaluating Shin Chae-ho's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which was connected with Kotoku Shusui, it was a karma given to him. When all kinds of ways to win their independence under the colonial rule were frustrated, violence or terrorism as a last resort was not immoral. In spite of that, Korean historiography was not favorable to his theory of violent struggle. How was Shin Chae-ho's anarchism connected with socialism or communism? Not only Shin himself but also scholars of his ideology were confused in understanding them. Shin had urged such a socialist concept as class struggle and equality, and anarchists at that time often refused private property system and class discrimination. It means that anarchism of the time was mingled with and misused as socialism. Considering the above facts,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colonial seizure was essentially not composed of reluctance to the power such as government or state but to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respect, anarchism of Shin Chae-ho was slightly deviated from the orthodox anarchism.

      • KCI등재

        이입삼李立三 무정부주의에 관한 연구

        한인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이입삼의 무정부주의 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입삼은 초기 중국공산당사에서 주요한 정치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의 ‘좌경모험주의’가 공식적인 ‘비판’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입삼은 다른 초기 공산주의자들이 걸어갔던 사상적 궤적을 따라 현실을 타파하고 새로운 사회가 도래하는 것을 꿈꾸었다. 그리하여 당시 중국에 수입된 무정부주의 사조에 영향을 받았고, 특히 시종일관 노동운동분야에 탁월한 투쟁을 전개한 인물이었다. 이입삼의 무정부주의 사상의 출발점은 그가 프랑스에 가서 이른바 ‘근검공학勤儉工學’의 길을 선택하면서 비롯되었다. 이입삼은 이곳에서 무정부주의 ‘공독주의工讀主義’와 ‘공단주의工團主義’를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이후 이입삼은 특히 중국공산당사에서 노동조합운동에 독보적으로 헌신하는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러한 것은 그가 프랑스에서 경험했던 노동운동이 밑바닥에 깔려 있었다. 그러나 이입삼이 파리에서 ‘근검공학’의 과정을 겪으면서 품었던 무정부주의 사상의 근거였던 ‘공독주의’와 ‘공단주의’에서의 ‘경제주의’ 등은 신중국 건립 이후 모택동과 유소기간의 권력투쟁의 불씨가 되면서 실각되고 말았다. 따라서 결국 이입삼은 문화혁명의 희생양이 되었다. 1978년 이후 등소평에 의한 개혁개방 정책은 이입삼의 복권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고, 그의 사상은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그가 심혈을 기울인 중국노동자 농민에 대한 ‘생산’보다는 ‘분배’를 주장한 것은 중국공산당 제17차 전당대회의 ‘화해사회和諧社會’ 추진에 좋은 참고가 될 만한 사상으로 중국정부로부터 재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중국에서 이입삼의 무정부주의 사상 형성의 배경과 무정부주의자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관계, 더 나아가 이입삼의 무정부주의 형성과 배경 및 그 내용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Although Li lis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fig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Communist Party, he hasn't been taken much of academic notice due to the fact that he received official ‘criticism' from the party. Following the path of early communist, Li lisan dreamed of breaking through conventionalities for the arrival of new society. Accordingly, he was interested in anarchism, which has been just imported in china, especially constant in labor struggle. His idea started from taking the path, so called ‘Hard work and study(勤儉工學)' in France, his experience of those days helped him to absorb new communist idea. On the basis of his own experience of labour dispute in France, Li lisan devoted to the labour movem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Communist Party. Moreover, ‘Working Student(工讀主義)' and economicsism in Syndicalism, the ground of his anarchism which Li lisan conceived while going through ‘Hard work and study(勤儉工學)', led to a party feud between Mao Zedong and Liu Shaoqi after the foundation of PRC(People's Republic of China). Finally he committed suicide as a victim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idea of Li lisan was the topic of seveal criticism, it has been reapprai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planning ‘Reform and Opening-up' since 1978. Therefore, there are four main purpose of this passage ; the way anarchism has been adapted to china, the relation to marxist, the background and formation of Li lisan anarchism and reappraisal the contemporary meaning of Li lisan anarchism.

      • KCI등재후보

        박열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전상숙(Jeon Sang 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박열이 사회변혁사상으로서 무정부주의를 받아들이게 된 원인과 그를 무정부주의자로 판단하게 되는 변모를 첫째, 무정부주의자를 판단하는 기준인 ‘개인’과 ‘개인의 자유’, 그리고 ‘국가’로 통칭될 수 있는 지배ㆍ권력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고찰하고, 둘째, 박열의 사상ㆍ의식 속에 혼재되어 있거나 또는 의식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그의 항일 ‘민족의식’을 통해서 그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박열에게 무정부주의는 일제하 한국 민족의 식민지사회현실을 타개할 사회변혁ㆍ민족해방의 이념이자 민족해방 이후 변혁된 한국사회를 전망할 미래지향적 이념이었다. 박열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인식은 그의 정치혁명ㆍ정치운동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그에 입각한 ‘국가’의 부당성 및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에 대한 지향 속에 내재되어 있다. 무정부주의자 박열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것은,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자유’의 확보와 그 개개인의 자유가 조화를 이루며 자율적으로 사회질서가 이루어지는 이상적인 무지배ㆍ무권력의 사회였다. 박열은 지향하는 무정부사회의 초석이 될 인간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게 되어 허무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역설적인 허무주의적 사유 속에서 항일민족 의식ㆍ대일증오감을 자신의 희생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행하지 않을 수 없었던 무정부주의 이상주의자였다. Anarchism was an ideology not only to liberate and reform the nation under Japanese control but also an future-oriented ideology to present a blueprint for the reformed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for Park Yeoul. His cognition of anarchism can be found in his critics on political revolution and political movement, insistence on improperness of 'state', and orientation for the liberal and equal individuals. The ultimate purpose of Park Yeoul as an anarchist was to establish an utopian society without governing and power in which the liberty of individuals are secured and harmonious with each other so that autonomically the social order, too. However, he was inclined to nihilism when he lost his credit on the humanities which should be the footstone of his utopian society. Nevertheless, he was an anarchic idealist who would not but put into practice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tred against Japan via self-sacrifice.

      • KCI등재

        일반논문 : 신채호의에 나타난 불교 무정부주의 양상에 대한 연구

        김용하 ( Yong Ha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3 No.-

        신채호는 중국 망명 이후 정신적으로 곤경에 처해 있었다. 그는 근대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독립 운동의 방향과 목적과 수단에 대한 혼란을 목격하면서 근대의 모순을 해체할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독립운동 노선의 갈등을 목도하면서 정신적으로 환멸을 느꼈다. 1920년대를 기점으로 그는 승려 생활을 했다. 그는 승려생활을 하면서 불교 경전을 탐독한 후 정신적 상처를 극복하려고 했다. 그는 기존의 민족주의의 한계를 직시하고, 독립운동의 새로운 이론적 방향을 모색하던 중에 무정부주의의 세계를 발견했다. 그의 민족주의와 무정부주의론에는 불교 체험이 자리 잡고 있다. 그는 『유마경』과 『대승기신론』의 세계를 접하면서 중생 구제의 원리를 터득하고 개인적 상처를 치유하는 계기를 맞이했다. 그의 민족주의와 무정부주의의 접속 사이에 존재하는 불교 체험은 1920년대 그의 사유의 기저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특히 『유마경』에 대한 이해는 근대의 폭력을 공의세계로 인식하고, 중생과 유사한 민중의 직접 혁명을 모색하는 것으로 귀결됐다. 중생 구제의 원리는 민중 구제로, 직접 혁명은 폭력의 방법으로 전환되었고, 민족주의와 무정부주의는 사상적으로 융합하였다. 그는민족주의에 대한 환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대승불교의 차원에서 재인식하면서 무정부주의적 시각을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보살 수행의 태도를 보였다. 그의 불교 체험은 민족주의와 무정부주의 수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거쳐 성립했다는 점을 고려해야만 한다. 요컨대, 그의 무정부주의는 불교 무정부주의라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After the exil of china, Shin chae ho experenced the daily of monk. He read the Vimalakirti - nirdresa- sutra (有摩經) and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y?na (大乘起信論). He tried to combine the nationalism with the anachism. But He become disillusioned because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went bad. he can`t help reading the Buddhist scripture. Keeping these biographic fact in mind,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he buddhist anachism reflected in Shin, Chae-ho`s A declaration of Korea`s Revolution. His A declaration of Korea`s Revolution insisted on the national people`s revolution. The national people`s revolution included the destruction and violence as revolutional means. But this view can`t exactly elucidate the features of A declaration. So according to the Buddhist anachism, this pager analysised the fact which a declaration reflected Buddhist`s idea. Namely, the idea of A declaration is similar to the thought of the Vimalakirti - nirdresa- sutra (有摩經). He pored over the Vimalakirti - nirdresa- sutra (有摩經). So the Vimalakirti - nirdresa- sutra (有摩經) influenced to his anarcho thought. Shin, Chae- ho empathiezed people`s pain. he wished to help the people. His the practice og the Mahayana Buddhism based on the zero(空). So A declaration made nothing of the imperialism and colonalism of the modern japan, created zero - world of the people of korea. For this reason, he declared the destrution and violence of the people. His revolutional direct act ventured the practice of the Bodhisattva.

      • KCI등재

        論一九二○年代巴金和申采浩的無政府主義

        朴蘭英 中國語文硏究會 2001 中國語文論叢 Vol.21 No.-

        본고는 1920년대에서 30년대까지 巴金과 申采浩가 아나키즘을 수용하게 되는 과정과 그 사상의 내함 및 활동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巴金이 현대중국에서 작가이자 아나키스트로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필적할 만큼, 申采浩가 독립운동가이며 역사학자, 아나키스트로서 한국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지대하기 때문에 양자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했다. 申采浩가 아나키즘을 수용하게 되었던 이유는 민족의 미래의 정치체제의 가능성을 전제로 하는 사상체계라고 할 수 있다.이념적인 측면에서 그는 아나키즘 사상을 부르주아 지배체제와 프롤레타리아 지배체제를 극복할 수 있는 종국적인 체제로 여겼다.즉 사회의 악의 근원이 불평등에서 연유되고 그러한 불평등을 사실상 구조화하고 제도화한 것이 국가이기 때문에, 모든 사회의 구성원들이 자발성과 창의성을 가질 때 국가는 더 이상 존립될 수 없을 것이며, 평등의 사회체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국가의 존립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했다.실천적인 측면에서 단재는 민족의 독립을 쟁취함에 있어서 전체 민중의 직접 폭력의 행사를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아나키즘에서 강조되는 지배집단이나 지도세력에 대한 배격을 수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즉 그는 일반민중의 애국주의적인 의식을 높여줌과 동시에 그 당시의 독립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자본주의 지향세력과 사회주의 지향세력 사이의 갈등에 대한 제3의 가능성으로서의 아나키즘을 내세웠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신문화운동의 물결 속에서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사는 세계의 실현을 꿈꾸며 아나키즘을 자신의 신념으로 수용하게 된 巴金은 이상적인 사회의 실현에 방해가 된다고 여겨 정부, 법률, 자본가로 대표되는 현존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며 노동자의 단결을 호소한다.아울러 아나키즘 이론서의 번역과 집필을 통해 아나키즘 이론의 근거와 원리를 탐구하고자 노력한다.프랑스 유학 중 그는 이태리 아나키스트 싸코와 반제티의 구명운동에 참가하며 세계적 아나키스트와 교류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平等》의 집필과 편집을 통해 세계의 아나키즘 운동의 동향을 중국에 소개하는 한편 중국의 국내 정치형세에 주목하여 아나키즘 운동을 중국에서 어떻게 진행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탐색한다.이러한 활동의 근저에는 국가라는 인위적 제도의 장벽을 넘어 온 인류의 의사소통과 보편적 이상을 지향하는 아나키즘의 기본정신이 자리잡고 있음을 볼 수 있다. 申采浩는 식민지 국가의 망국의 독립운동가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아나키즘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민족주의 색채가 농후했음에 비해 巴金은 1920년대가 그의 청년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나키즘의 순수성을 지향하고, 이론적 천착과 선전을 당시 삶의 주요 과제로 삼았기 때문에 국제적 아나키스트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결국 申采浩는 위체사건으로 인해 감옥에서 생을 마감하고 巴金은 이후 현실적인 아나키즘 운동에서의 실패 대신 보다 나은 세계의 실현을 위한 행보를 문학창작을 통해 실현하게 되는데 문학작품에 나타난 아나키즘의 영향에 대해서는 차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KCI등재

        논문 : 예로센코, 노신(魯迅), 주작인(周作人)의 세계주의적 경향과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상적 공명

        홍석표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3

        世界語早已經失去了現實性的力量,無政府主義也因其超越國家和民族的理想主義的性格,而沒能在現實中紮根。但是對1920年代的東亞知識分子而言,那是實現社會變革和民族解放的重要的語言工具和思想武器。1920年代初曾停留於北京的吳相淳、李又觀、柳林等韓國進步知識分子之所以能與愛羅先珂、魯迅、周作人進行接觸和知識上的交流,是因爲世界語和無政府主義也起到了媒介作用。當時韓國知識分子積極參與了中國的世界語運動,通過與愛羅先珂的關係、對中國新文學的關心、北京世界語學會的活動、北京世界語專門學校的設立等,與周作人、魯迅進行交流,形成了知識上的共感地帶。其實韓中知識分子通過與柳宗悅、武者小路實篤等日本的白樺派知識分子進行交流,産生了思想上的共鳴,而這種思想上的共鳴成爲1920年代初韓中知識分子交流的基礎。尤其在接觸白樺派知識分子的過程中,對他們起到一定影響的愛羅先珂在周家停留時,剛好也在北京停留的韓國知識分子以對愛羅先珂的信任爲基礎,從無政府主義的角度理解魯迅,幷受到他在知識和思想上的影響。對韓國知識分子而言,世界語和無政府主義是超越國家與民族,進行相互理解和思想紐帶的重要的語言工具和思想武器,所以在韓國的獨立問題十分迫切的情況下,他們試圖通過世界語和無政府主義與愛羅先珂、周作人、魯迅進行交流,尋求思想上的紐帶。

      • KCI등재후보

        코토쿠 슈스이(幸德秋水)의 무정부주의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1910년(메이지 43)년 5월, 일련의 사회주의자ㆍ무정부주의자들이 메이지 천황(天皇) 암살을 기도한 ‘대역사건(大逆事件)’이 있었다. 코토쿠 슈스이(幸德秋水)는 그 수모자(首謀者)에 다름아니었다. 일본 ‘무정부주의(아나키즘)’ 운동과 이념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그는 ‘사회민주주의에서 무정부주의에로’라는 흥미로운 사상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1911년 처형당한 그로서는 ‘러시아 혁명’ (1917년)을 경험하지 못했다. ‘초기 사회주의’ (初期社會主義) 운동과 이념이라는 문맥에서 읽어야 한다. 자유민권 사상과 니카에 쵸오민의 사상, 제국주의와 사회주의, 러일전쟁과 비전론 등이 그의 사상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보통선거에 의한 사회혁명의 전망’이라는 비견과 더불어 독일 사회민주당을 모델로 삼았던 그는 감옥에서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읽고, 또 그와 교류하게 되면서 생각이 점차로 바뀌게 되었다. 동시에 1905년의 러시아혁명을 높이 평가하게 되었다. 지난날 ‘절망의 철학’ ‘허무의 사상’으로 일종의 죄악/해독처럼 여겼던 무정부주의, 그리고 부정적으로 비판했던 러시아 ‘허무당’ 내지 ‘무정부당’ (사회혁명당)의 방식으로 기울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죽기 직전 감옥에서 쓴 글(〈陳弁書〉)에서 그는 무정부주의가 ‘동양의 노장(老莊)과 같은 일종의 ’철학’으로 ‘자유와 평화’를 사랑한다는 것, 암살과 폭력을 쓰더라도 그것은 사회적 약자들의 ‘정당방위’라는 것, 그리고 직접행동이란 자신의 일을 스스로 처리하는 것일 뿐이라는 식으로 적극 변호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그가 생각한 비전은 모든 정치조직과 사회조직을 근본적으로 변혁시키는 혁명에 다름아니었다. Some socialists and anarchists of Japan tried to assasinate the Meiji(明治) Emperor at May of 1910, and usually it has been called the Trial of High Treason(大逆事件). Kotoku Shusui(幸德秋水) was the leader of that trial. As a representative of Japanese anarchism, he has shown an interesting change of thoughts from a social democrat to an anarchist. He was executed at January of 1911, so he did not and can not experience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So we have to read him in the perspective of the ideal and movement of the earlier Socialism(初期社會主義). The thoughts of Liberty and Rights(自由民權), thoughts of Nakae Chomin(中江兆民), imperialism and socialism, the Japan-Russian War and the Hizenron(非戰論) had given impact on his formation of thoughts of social democracy. He has had the vision of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universal suffrage, and regarded the Social Democratic Party of Germany as a good model. But he has read Pyotr Alekseevich Kropotkin's works in Jail, and come to exchange opinions on society each other, and he had changed his thoughts gradually. And he has come to evaluate the meaning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In fact, he had regarded anarchism as the philosophy of despair and the thoughts of nihilism, and criticized it harshly as the Russian Nihilistic Party's way. He has defended the anarchism earnestly and positively at his Prison Note(〈陳弁書〉) as follows: The anarchism is a kind of philosophy, and loves the liberty and peace just like the Taoist philosophy. Assasination and viloence are a series of legitimate self-defense of social minorities. Direct action is to treat his own works. In the end, the ultimate vision of Kotoku Shusui was a social revolution which change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fundamentally.

      • KCI등재

        신채호의「용(龍)과 용(龍)의 대격전(大激戰)」에 나타난 불교 무정부주의와 점복 신앙의 정치적 서사 양상에 대한 연구

        김용하 ( Yong Ha Kim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신채호는 중국 망명 이후 근대 식민주의의 폭력에 현실적으로 대응할 방식을 고민하던 중 무정부주의를 수용했다. 그는 이론과 실천을 주체적으로 도모했다. 그는 무정부주의를 주체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이론과 실천의 구조를 확보했다. 그가 중국 망명 시기에 불교 서적을 탐독하고 승려 생활을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시각에는 불교적 사유가 반영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그는 지식인과 영웅 중심적 세계관을 벗어나 기층 민중이 혁명의 주체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민중적 세계관을 수용했다. 그는 근대 사회의 억압을 파괴하기 위해 민중의 자각한 의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조건을 서사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 「龍과 龍의 大激戰」이다. 「龍과 龍의 大激戰」은 불교 무정부주의와 점복 신앙의 혁명적 조건을 서사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민중은 사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공적 연대를 형성하면서 혁명 주체로 부각한다. 즉, 민중은 무아 주체로서 상호 연대의 가능성을 도모하기 때문에 연대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다. 민중의 무아 주체에 대한 자각에는 공(空)에 대한 사유가 반영되어 있다. 미리와 드래곤은 무아 주체의 공(空)에 대한 자각여부에 대한 상징이다. 민중이 선천 시대의 폭력을 무자각한 상황에서는 미리가 등장한다면, 폭력적 해탈을 거쳐 후천 시대의 유토피아를 마련하려는 의식이 갖춰진다면 드래곤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미리와 드래곤은 민중이 현실 세계의 모순을 자각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상징체계가 형성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아울러 신채호는 민중적 세계관을 재인식했다. 이른바 그는 기층 민중의 점복 신앙을 서사적으로 활용하면서 혁명 주체를 견고하게 만들었다. 민중은 후천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드래곤으로 표상되는 저주의 주문을 확산한다. 특히 「龍과 龍의 大激戰」은 신점을 통해 천국의 종말을 예언하는 장면을 서사적으로 배치해 후천 시대의 시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龍과 龍의 大激戰」은 신채호의 후기 사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무정부주의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면서 불교와의 이념적 융합을 모색했고, 민중의 혁명적 조건을 무조건 승인하지 않으면서 민중의 점복 신앙을 전면적으로 수용하면서 후천 시대의 혁명적 기운을 존속하고자 했다. 「龍과 龍의 大激戰」은 불교 무정부주의와 점복 신앙을 통해 근대 사회의 억압적 토대를 파괴하고 민중적 세계를 건설하기 위한 정치적 서사의 일환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Buddhist Anarchism and the divination of grassroots people in the 「The Fierce Strife between Two Dragons」(「龍과 龍의 大激戰」). The Shin- chaeho`s thought of the latter part is to be the Buddhist Anarchism. He lived as the monk in the early 1920s. After the chinese asylum, he used to be absorbed in the Buddhism scriptures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Vrimalakirti Sutra』- . He combined the Buddhism with the anarchism. He appreciated the limit of the modern thinking. He saw through the violence of the modern thinking. The modern thinking concealed the contraction of the capitalism and colonialism. So, he wished to deconstruct the structure of the modern thinking. He regarded the grassroots people as the subject of the revolution. The grassroots people had to the destructive power. They destroyed the authority of the modern thinking. As mentioned, Shin-chaeho wanted to combined the Buddhism with the grassroots people`s thinking. But practically, he found the project heavy going because of the realistic difficulty. So, he sought to write the fictional writing. The fictional writing provided the possibility for the imaginary community. These thoughts were reflected in the 「The Fierce Strife between Two Dragons」. The narrative characters in the 「The Fierce Strife between Two Dragons」 were as follows. First, it reflected to eradicate the ill- fated relationship and a misdeed of the pre heaven. It wanted to destroy the structure of pre heaven, including the modern epoch. The King of kings(上帝) and the dragon(미르) are the symbol of the violence of the pre heaven. They used violence against grassroots people. Second, it expressed the sunyada(空)of the niratman-subject(無我-主體). the niratman-subject indicated that the association of the grassroots people will be formed as the subversive subject. Because the niratman-subject regarded the modern as the sunyada(空), it overcomed the violence of the modern. the structure of pre heaven, including the modern epoch is not fixed but changeable according to the grassroots people` degree of self-awarenes about the modern contradiction. Third, the niratman-subject used counterviolence for the vimoksa(解脫). They didn`t admit the modern violence, engaged in aimed struggle for the post heaven. They disaffirmed the repression of pre heaven. Fourth, The eschatology in the 「The Fierce Strife between Two Dragons」 was Divination and the curse of dragon. The grassroots people depended on the divination in their daily life. As we have seen, 「The Fierce Strife between Two Dragons」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Buddhist Anarchism and the eschatology of the divination of grassroots people.

      • KCI등재

        신채호의 무정부주의동방연맹 활동

        김명섭 한국근현대사학회 2017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0 No.-

        This thesis analyzed the ‘Anarchist Orient Federation’(無政府主義東方聯盟) and Sin Chae-ho’(申采浩)s anti Japan activities. Against the imperialist policy of Japan, the beginning anti-war movement of 1903 was fruitful as an anarchist organization in September 1927. China, Taiwan, Vietnam, Japan and India as well as the Shin Chae-ho of the Korean, attended the inaugural ceremony held in the French territory of China Tianjin. It was the first anarchi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combat the communist’s comintern, alo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Participants decided to set up a bomb and a gun factory, assassinate Japanese dignitaries, and send propaganda newspaper to Japan. In order to put the resolution into practice, Shin Chae-ho decided to hold a separate Korean conference in Tianjin in April 1928, to write his own declaration and issue a magazine. In addition, he was arrested by Lin Bing-Won, a Taiwanese correspondent who had been working for the Beijing Post Office, with the intention of raising funds for the project, to find a way to get it. Shin Chae-ho tried to expose the Confidentiality of the Federation as much as possible in the court trials four times. He maintained that the headquarters of the federation had no enrollment procedures or code of conduct, and that he did not know who the members were. Later on June 14, 1928,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narchists organized the ‘Orient Federation of Anarchists’(O.A.F). The Federation published ≪The Orient≫, and tried to rally the anarchists of various countries through the secretariat. It was intended to function as a central body of Asian anarchists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policy and the global communist revolution. Although they did not perform various activities due to the arrest of the main forces, their seeds became the basis of the international anarchist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1930s. 이 논문은 신채호의 무정부주의동방연맹 참가와 항일활동을 분석하였다. 일본의제국주의화와 침략정책에 맞서 1903년 平民社로부터 비롯된 반제·반전운동은 1927 년 9월 무정부주의동방연맹의 조직으로 결실을 맺었다. 중국 天津의 프랑스 조계지에서 비밀리에 열린 무정부주의동방연맹의 창립대회에는 韓人 신채호와 이필현을비롯해 일본·중국·대만·베트남·인도 등 6개국 대표자 120여 명이 참석하였다. 이연맹은 일제 침략은 물론 공산주의자들의 국제조직인 코민테른에 맞서기 위해 조직된 최초의 아나키스트 국제조직이라 할 수 있겠다. 신채호는 1924년부터 교류한 대만청년 林炳文과 한인 유학생 이필현과 함께무정부주의동방연맹 창립대회에 한인 대표로 참석했다. 아나키스트 국제연대 단체가 중국 북부지역에 조직된다는 소식을 듣고 창립대회에 참석한 신채호는 폭탄·총기공장의 설치, 일본 고관암살과 파괴, 항일선전문 발송 등을 결의하였다. 그는 1928년 4월 천진에서 한인 대회를 별도로 개최하여 직접 선언문을 작성하고 잡지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나아가 이 사업에 소요될 자금을 조달할 계획으로 북경 郵務管理局 외국위체계에 근무하던 대만동지 林炳文에게 위체를 발행하게 해 이를 대만의 기륭우체국에서 찾으려다 체포되고 말았다. 신채호는 4차례에 걸친 법정공판에서 최대한동방연맹의 기밀사항을 노출시키지 않기 노력하였다. 그는 연맹의 본부도, 입회수속이나 강령규약도 없으며 더욱이 회원도 누구인지 모른다하여 연맹원들을 보호하려는 태도로 일관하였다. 신채호·임병문의 체포에도 불구하고, 아나키스트들은 1928년 6월 14일 東方無 政府主義者聯盟을 조직하였다. 이 연맹은 기관지 ≪東方≫을 발간하고 서기국을통해 각국 아나키스트들을 규합하였다. 이들이 뿌린 씨앗은 이후 1930년대 국제연대에 의한 항일운동의 기틀이 되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申采浩의 아나키즘 수용과 東方被壓迫民族連帶論

        박걸순(Park Gul-S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8

        신채호는 3·1운동 때 분출된 민중의 힘을 경험하며 민중을 역사변혁의 주체로 인식하게 되었다. 1923년에는 「朝鮮革命宣言」을 집필하며 무정부주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고, 이해 가을경 무정부주의자를 자처할 정도로 인식이 심화되었다. 단재의 무정부주의 사상과 운동을 평가하는 관점 또한 다양하나, 이는 그가 이미 경험한 독립운동 이념과 방법론의 주체적 변화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단재는 절대 독립론과 민중 직접혁명론을 실현하기 위한 방편으로 동방민족연대론을 구상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가 국제적 연대나 동방민족연대론을 지니게 된 것은 무정부주의 사상의 주체적 수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그의 사상과 독립운동론에서 커다란 변화였다. 1920년대 들어 단재는 조선의 독립이 동양평화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확신하고 한중연대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동방민족연대론을 주장하였다. 그의 동방민족연대론은 곧 植民地·半植民地 동방피압박민족연대론이었다. 단재는 1926년 여름경부터 무정부주의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그러나 활동 자금 조달을 위해 외국위체를 위조하여 현금으로 찾으려다 1928년 기륭우편국에서 피체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丹齋 申采浩, 그는 조선의 크로포트킨이 되어 독립을 추구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였을 뿐만 아니라, 동방피압박민족의 식민지·반식민지 모순을 타파하고 동양평화를 이루고자 한 동방의 혁명가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Experiencing people power which gushed out at the 3·1Independence Movement, he recognized the mass of the people as the main agent of a historical change. Writing "A declaration of Korea's Revolution" in 1923, he broadened his understanding of anarchism and deepened his understanding of it enough to call himself an anarchist in the autumn of the year. Though there are diverse views evaluating his thought of anarchism and activities, it would be appropriate to recognize them as the subjective change of the ideology and methodolog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he had experienced. Danjae designed the "Theory of solidarity of the oppressed people in the East" as a means to carry out the theories of "Absolute independence" and "Direct revolution by the mass of the people" and tried to put it into practice. His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theory of solidarity of the people in the East had close relations with his subjective acceptance of anarchism and this was a considerable change in his thought and theory of independence movement. Danjae was sure that Korea's independence would have a significant meaning for peace in the East and maintaine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And by extension, he maintained the theory of solidarity of the people in the East. His theory was the theory of solidarity of the oppressed people in East who were under colonial rule. He participated in an organization of anarchism and worked for it. But he was captured at a postoffice in Keelung in 1928 exchanging the fake foreign exchanging into currency in order to raise capital for their activities and couldn't attain his aim. Danjae Shin, Chae-ho, he could be called as a revolutionist in the East who tried to attain peace in the East breaking down contradiction of colonial rule for the oppressed people as well as an independence fighter looking for Korea's independence as a Korea's Kropotk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