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의 무용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전망

        장은실 ( Eun Sil Ja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지역의 사회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현장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사회교육의 하나로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발전되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에서 무용관련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와 프로그램을 수강한 수강생, 그리고 사회교육기관의 담당자를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유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으로 각각 3명씩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공식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식적인 면담의 형식은 반구조화된 면담(semi- structured interview)과 비구조화된 면담(unstructured interview)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강릉지역에는 전통연희와 관련되어진 프로그램의 개설이 상당히 미흡한실정이며, 이러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어렵고 난해한 것이 아닌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것이라는 수강생들의 인식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에서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무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적극적인 홍보와 공간의 확장, 수강인원의 조정 등 시설의 보완 및 적극적인 재정적지원이 요구되어진다. 셋째,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별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뛰어난 실기능력과성실한 태도를 갖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적인 지도자, 그리고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요구되어진다. 넷째, 사회교육기관에서는 각종 대회 및 발표회 등을 통해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강제도 혹은 무료강좌나 세미나식의 강좌를 활용하여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해 일반인들로 하여금 직접보고,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무용문화의 생활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dance education programs operated at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Gangneung, Gangwon-do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programs as one of social educations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For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lecturers of dance-related programs, three students of dance programs, and three staff members at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Gangneung, Gangwon-do through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performed form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formal interviews used both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unstructured interview.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dance education at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Gangneung, Gangwon-do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 the Gangneung area has few programs related to traditional theatrical arts. Thus, it is necessary first to change dance learners’ idea so that they think such dance education programs are not difficult or complicated but easy for anybody to learn. Secon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Gangneung area are in need of active promotion, expansion of space, adjustment of students, supplement of facilities, and active financial support. Third, danc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level, and it is required to raise instructors specialized in dance education programs equipped with outstanding skills and sincere attitude, and to diversify programs. Fourth,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th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display their skills at public performances, contests, etc. and expand programs enjoyable with family using special lectures, free lectures or seminar-type lectures so that ordinary people may see and participate in such programs and enjoy dance culture in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

        무용교육프로그램 성과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황인주 ( Hwang Injoo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5 No.-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가 무용교육의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가치의 달성이라는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효과적으로 평가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기본원칙과 분석틀에 기반을 둔 성과분석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평가질문에 답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성과분석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분석모형인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성과분석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무용교육프로그램 성과평가모형은 무용교육평가의 전통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벗어나 투입- 산출-성과-영향이라는 성과과정단계로 구성된 성과분석모형을 개발하고 단계별 세부 성과지표를 개발ㆍ제시함으로써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성과과정 상의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성과결과를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학생-교사-교육내용-교육공간이라는 무용교육평가영역에서 이루어진 미시적 무용교육평가를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장기적 성과 및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시된 성과평가모형은 무용교육프로그램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개선방안 도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o evaluate properly the performance of the dance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logical and efficient principles. In other word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which can provide answers for key question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dance education program.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evaluation model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the dance educational program operated by Korea Arts & Service Education Service. To build up a systematic model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he basic framework of the logic model is used, for the logic model has been widely considered to help evaluators design evalu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for various programs. The evaluation model derived in this study logically explain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ey elements in the evaluation process, and provides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make it possible to measure performance outcomes and impacts quantitatively. Using the suggested model, it is expec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dance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Korea Arts & Service Education Servic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미래관객 개발을 위한 극장 무용교육 사례연구 -뉴욕 심포니스페이스 극장 CAP사례 중심으로-

        박난영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공연예술 활성화와 전문인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관객층을 일반 대중으로 확대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극장 내 예술교육을 수단으로 사용 할 때 어떠한 교육철학이 제시되어야 하는 방법을 찾는다. 여기서 우리의 쟁점은 무용공연예술과 사회와의 관계성 설정문제이다. 공연예술단체는 극장 내에서 관객개발 기반 위에 세워진 관객의 심리분석과 요구에 대해 기획된 교육프로그램들을 요구한다. 국내사례는 아직 시작단계에 와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문제를 다루기 위해 외국 단체의 사례를 통해서 대안점을 찾아보겠다. 미국에서 예술교육기반은 정부에서 국민의 사회 교육적 기능과 문화향수의 기회를 넓히는 문화복지를 완수한다는 취지에서 세워졌다. 이러한 취지에서 예술교육은 정책적인 차원에서 공교육과 연계되어 지원되고 있으며, 문화복지의 수단으로 세분화 되어 다루어진다. 극장내의 무용교육 또한 이를 기 반으로 사회적요구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프로그램들로 이루어져 있어 미래의 관객을 개발을 위한 모형으로 적절하다. 연구대상으로 심포니스페이스를 선정한 이유는 1980년 이래 뉴욕의 미래관객인 아동관객을 위한 프로그램인 CAP(Curriculum Art Project) 를 통해 미국 문화와 극장교육 관계성 형성이 적절히 되어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국내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극장의 환경적 여건 안에서 체계적인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프로그램이 부족한 현실여건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 및 방향성 연구를 위해 CAP사례를 분석한다. 예술교육프로그램 CAP(Curriculum Arts Project) 는 세계의 문화적인 전통을 현실 예술교육에 재구성해 놓은 창의성교육으로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예술에 대한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다민족으로 구성된 미국사회의 문화적 요구에도 부합하는 CAP의 교과내용의 분석은 사회적 요구에 의한 극장무용교육의 하나의 모범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또한 미래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방안의 모색을 위해 미래관객인 아동의 이해를 바탕으로 구성된 방법론을 찾는데 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예술교육이라는 새로운 관객개발 방식을 도입하게 된 마케팅적 관점의 이론적 배경과 국내외의 현황 분석을 통하여 개선안을 논의한다. 우리나라 사례와 연결 긍정적인 방향성 제시우리나라 지역사회의 극장 환경은 교육을 하기위한 하드웨어 부분은 잘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예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라는 소프트웨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is research is for dancing performance activity and changing an expert into a general public in dancing art. Using a way to instruct people, I find method to present how educational philosophy is appropriate to the general. It is important to make relation dancing performance art with the society in my research. The dancing performance groups require instructional program designed for spectators' demands and psychological analysis based upon drawing the general public. Interior case is first step yet. Through the foreign case, I am looking for the alternative for dealing with program issue. In America, the basis of art education was founded on a fact that the government could accomplish prosperity of culture that extends the social instruction of the people and opportunity of culture enjoyment. In that view, education of art is being supported by policy related to public education and handled by means of cultural welfare in detail. Instruction of theater is appropriate to the model for developing a future audience because it consist of several programs reflecting current of an age and social requirement. The reason that I selected symphony space for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hat I concluded that the relation between american culture and instruction of theater have built up properly. Through the CAP(Curriculum Art Project) of the program for children who will be an audience in the future in New York. Korea has to make a educational contents systemically in a condition which is already made of theater circumstances. Considering that program for the education is lack at the present, I am analyzing the CAP case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direction of study. Art educational program, CAP(Curriculum Art Project) which recomposes originally traditional culture of the world into current art education has an aim at approach to the art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art culture. The CAP is adequate to the demands of American society composed of several race. And the analysis of the CAP contents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e theater dancing education required by social demands. It will be a case which help look for the method based upon understanding children who will be a future audience for searching the future system of instructional method. It is to be discussed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theoretical grounds of a view of marketing which is introduced to draw the people into the theater· by art education. Our device system for instruction is well prepared in community theater. But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actice program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모형연구

        이선화 ( Sun Hwa L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6 예술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 봄으로써 유아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유아 무용 교육을 논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유아의 특징과 성장 발달을 인지한다. 둘째. 유아 무용과 창의성 발달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셋째. 효율적인 유아 무용 교육 프로그램 실현을 위해 기본 동작 프로그램과 신체적 움직임을 표현한 프로그램을 제시해 봄으로써 이의 활용을 도모한다. 본 연구는 유아 무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가져 올수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유아 무용 교육이 사회교육에 한 분야로써의 새로운 입지와 그 중요성을 일깨우고 나아가 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유아 발달 및 그들의 특성에 맞춰 전인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무용교육의 중요성은 표현할 대상에 대한 충분한 탐구를 통하여 인지력을 발달시키고 표현력과 창의력을 기르는데 있으며 신체 움직임의 언어로 의사소통 하고 유아들이 교사의 신체 언어를 읽을 수 있도록 유아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무용 교육의 전반적인 개선이 기대된다. Dance is, Naturally and Intentionally, the performance expressed idea and feeling of human as rhythmic movement. The goal of education is to improve the personality as dance, harmonically to develop the mind, body and ingenuity. Then it is very important to educate dance in period of an infant. For that reas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tudy on realization for the Dance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he ingenuity of an infant as the foundational material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st, Hav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growth of an infant. Second, Have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dance and ingenuity. Third, Effectively to realize for the Performance Education Program, Have to plan to study on the foundational motion and physical movements, This study is to find to out which the Education of Dance develops the ingenuity of an infant or not, to provide it as the foundational materials. To increase the effect of Education, an educator has suitably to educate an infant, and then the education for an infant justly is considered by th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nterest, desire and ete. Nevertheless, the current Education is the actual condition that has under parent and teachers control.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an infant is to develop the ingenuity, expression and acknowledgement power. The creative education of dance communicates by the physical motion with an infant, and an infant have to be know the physical message of un educator. Also the education for the same level. it is wish to be provide the foundational materials.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무용프로그램 모형개발

        임주미,손재현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의 청소년에게 문화 다양성 및 상호문화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용프로 그램을 제공하고자 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인 변혁적 접근법, 사회 행동적 접근법 요소를 기반으로 무용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및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수집 후 분석을 실시하 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무용프로그램 모형은 다각적 검증법 단계를 거 쳐 타당성 검증을 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변혁적 접근법의 모형은 기존의 교육과정 본질을 변화 시켜, 주류 문화가 아닌 소수문화의 관점에서 상호문화를 이해하고, 인식 및 행동 변화를 통해 몸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정당화하는 기능으로 자신을 발견하며, 자유와 평등 나아가 세계시민으로서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 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사회 행동적 접근법의 모형은 사회적 이슈, 문제, 주제들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직접 문제 해결방안을 결정하고 무용을 통해 문화 시민적 행동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dance program model based on the transformative approach, social and behavioral approach elements of Banks' approach to multicultural curriculum, in order to provide dance program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ultural diversity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multicultural youth. This study conducted a due diligence o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hrough expert meetings. The dance program model was constructed as follows through the various stages of the verification method. First, the model of the transformative approach consisted of curriculum that changed the nature of the existing curriculum, understood the mutu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minority culture, not mainstream culture, found itself as a function of body expression and justification through change of perception and behavior, and made it possible for freedom, equality, and as a citizen of the world. Second, the model of social and behavioral approaches developed and presented dance pro-grams by organizing curricula so that learners could decide on the solution of problems themselves and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cultural and civic actions through dance.

      • KCI등재

        파킨스를 위한 무용교육프로그램: Dance for PD

        이경희 무용역사기록학회 2018 무용역사기록학 Vol.51 No.-

        This study suggests that Dance for PD, 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vitalize programs need to cotribute to the creation of new jobs that can utilize a wide range of artistic resources of dance major. The opportunity change jobs after retirement. The patient can feel happiness and joy while learning danc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opportunity to help mitigate Parkinson's disease. At this le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for PD program, which is just introduced in Korea, focus on the happiness and creative activity that can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patients like dancers and experiencing dance arts. Dance for PD Through Dance for PD, a patient-dancer gains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fun, and joy in structured programs, and acquirinpg dance.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generations of the Since the older generations of Korea is characteristically unfamiliar with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at reveal them selves, Parkinson's patients in Korea think about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unfamiliar with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at reveal themselves. Since the older generations of Korea is charscteristically unfamiliar with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at reveal them selves., Dance for PD, a structured dance education program, is the most appropriate program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전문 지원무용수 지원센터에서 도입한 파킨스병 환자를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인 ‘댄스 포 피디(Dance for PD)’에 대해서 소개한다. Dance for PD는 2001년부터 미국의 마크 모리스 댄스그룹(Mark Morris Dance Group, MMDG)과 브루클린 파킨스 그룹(BPG)의 협력으로 출발한 파킨스병 환자들을 위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무용 교육프로램이다. 현재, Dance for PD 프로그램은 뉴욕시를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20개국, 140개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이미 의학적으로 많은 의사· 전문가 또는 과학자들에게 그 효과가 검증되었고, 오늘날 4차 산업에 발맞추어 과학과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있다. 파킨스병 환자의 장기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약물치료를 포함한 다차원적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무용교육은 신체기능 향상·회복이라는 효과 이외에 비슷한 호소문제를 가진 참여자들과 함께 어려움을 공유하고 서로 지지받으며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을 감소시키고, 움직임을 통한 비언어적 소통을 통해 즐거움을 공유하며 장애를 가진 사람들과도 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희망과 심리적 안녕감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다. Dance for PD는 무용이 지니는 고유의 자원을 이용한 무용교육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교육과정에서 무엇보다 강조한 부분이 바로 치료가 아니라 무용교육이며, 교육자들은 치료사가 아니라 무용가임을 강조한다. 즉 Dance for PD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한 가지 기본전제는 ‘예술적 경험’이다. 수업을 받는 동안 환자들은 자신이 환자라는 사실을 잠시 잊고, 온전히 춤 동작과 리듬에 몸을 움직이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행복감과 성취감은 신체적 효능감과 함께 정신적 행복감을 줄 수 있다. 이 무용교육프로그램은 무용예술의 순기능과 역할을 의학적인 차원이 아니라 예술적 차원에서 접근한 것이어서 향후, 우리나라의 많은 무용 전공인들을 위한 새로운 직업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미 2017년부터 국내에서 첫 강사진들을 배출하기 시작하였고, 올해 두 번째로 강사진들을 배출하였다. 이들은 현재 각 기관에서 파킨스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습하고 있으며, 수업에 참여하는 환자 역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본 연구자는 직접 Dance for PD 무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으로서 이 교육의 목적과 수업의 핵심원리 및 내용들을 소개하여 좀 더 많은 무용 전공인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 이 무용교육프로램의 활성화로 인해 향후, 파킨스병은 물론 치매, 알츠하이머 분야로도 연구영역이 확대되어 무용 전공인들의 새로운 직업창출과 사회적 기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온라인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 운영 및 지도 방향 탐색

        김행화,이강순 한국초등체육학회 202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온라인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 운영 및 지도 방향 탐색으로 교육대학교 교수와 초등학교 교사가 온라인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을 개발 후 예비교사를 지도하고, 문화소외지역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한 사례를 탐 색하여 앞으로 온라인 무용교육봉사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사례연 구 방법을 사용하여 온라인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및 운영 계획서, 사전교육 워크숍 지도자료, 회의 록, 교육과정 분석 자료, 수업지도안, 결과보고서, 설문지, 심층면담 및 관찰 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 다. A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들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 영역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국민 속무용, 세계민속무용, 실용무용의 세 가지 무용 분야로 개발한 온라인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을 A 교육대학교 재 학생인 참여 멘토들에게 지도한 후 멘토들이 대상에 알맞은 온라인 수업 콘텐츠로 제작하여 문화소외지역의 B 초 등학교 43명의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지도 역량을 강화하는 전문성 함양, 온라인 교육봉사의 지역사회 협력 모델 마련, 현장 교사의 예체능 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 예체능 교육과 관련한 비 대면 수업 모델의 연구와 개발 등의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후속 연구와 온 라인 무용교육봉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무용교육봉사를 위해 다양한 수업 방식의 결합, 무용교육봉 사 프로그램 및 예체능 수업 콘텐츠 활용 플랫폼 마련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무용통합교육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희영(Hee Young Seo),문영(Young Moon) 한국무용과학회 200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의 총체적인 특징을 반영한 무용과 타교과목과의 접목을 구체화한 무용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고찰을 통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무용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적용의 가능성을 모색함은 물론, 나아가 초등무용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3학년 2개의 정규 학급 아동 40명을 각각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10회의 무용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각 회기의 시간은 40~50분으로 제한하였다. 무용통합프로그램의 실험처치가 시행되기 전의 사전검사와 무용통합프로그램이 시행된 후의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2(집단)×2(검사) 실험설계에 따른 이원변량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지적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신체적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무용통합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의 지적, 사회·정서적, 신체적 하위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서, 무용통합프로그램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실증적 연구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와같은 결론은 근본적인 예술교과목에 대한 관심과 변화는 물론, 학교 현장에서의 예술교육활동의 지속적 관심을 촉발시키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 수업 과정 안에 무용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학교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program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that ha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dance reflected and integrated dance into other subjects specifically, to provide objective and empirical data by reviewing its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to search for the potential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in the field. It also aim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activation of elementary danc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students from two third-grade classes in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hich each consisted of 20. The program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otal ten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for 40 to 50 minutes.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was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to test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A pretest was given before the treatment, and a posttest was given after the treatment. Using two-way ANOVA according to the 2(group)x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tes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previou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0.1% level in the intellectual area, social and emotional area, and physical area of the subareas of self-efficacy. Tho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program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w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intellectual, social and emotional and physical subarea of children's self-efficacy. They also make the study as an empirical one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 program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and children's self-efficacy. Those conclusion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they can stimulate ongoing concern with the activities of arts education in school as well as interest in and changes to the fundamental arts subjects. They also imply that a program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can be integrated into the lecture process in school and used in a wide rang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자기표현 능력함양에 관한 연구-창작무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홍지영,이유리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e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a creative dance program that applies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ory. Because of cultural and educational issues that we are currently facing,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loss of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is an important time for mental and physical whole personality development, and we help form a proper self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harmonious education. Among these, the dance field in elementary education helps the development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It can b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awakening the sense of free expression and, by extension, expanding creative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creative dance program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 theory and applied it to 23 5th grade students of H elementary school in U area. The research proceeded for a total of six months from July 2020 to January 2021, excluding August, and the creative danc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6 sessions with expert advice (FG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tudents were able to cultivate self-expression (confidence) ability, and second, they were able to develop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choosing and expressing various topics, students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and naturally think creatively. Third, it was possible to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In group activities, they showed consideration by distributing roles well and show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completing the piece of work. It can be say that this process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school life with a passive attitude. Ultimately, it is believed that it has been jump as a growth process that allows students to feel closer to their friends and enjoy school life. For more advanced dance education, sufficient interest and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eagerly needed.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arts education to students, teachers must develop sufficient artistic competency through art-related occupational training.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a more in-depth art education rather than a simple dance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I consider that to improve and expand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expression activities, it is needed that not only from individual teachers but also from the institutional dimension's practical efforts.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 LMA) 이론을 적용한 창작 무용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창의적 자기표현 능력을 어떻게 함양하게 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화적, 교육적 이슈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 간 소통의 부재, 자기표현 기회의 상실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초등교육에서 무용 영역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의 발달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이는 자유로운 표현에 대한 감각을 일깨워 창의적인 사고로 확장할 수 있는데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 이론을 기반 하여 창작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U지역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23명에게 적용해보았다. 연구 진행은 2020년 7월부터 2021년 1월까지, 8월을 제외하고 총 6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전문가 자문(FGI)를 받아 총 16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생들은 자기표현(자신감)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으며, 둘째,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주제를 정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창의적 사고를 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협동심을 함양할 수 있었다. 모둠 활동에서도 역할 분배를 잘하며 배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작품을 완성하여 성취감을 얻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이 소극적인 자세로 학교생활에 임하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할 수 있겠다. 궁극적으로, 친구들과 더 친밀감을 느끼며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성장 과정으로 거듭났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더욱 발전적인 무용 교육을 위해서는 초등교사의 충분한 관심과 역량 또한 절실히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교사가 예술 교육과 관련된 직무연수를 통해 충분한 예술적 역량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예술 교육을 질 높은 예술교육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교육과정 내에서의 무용 교육이 아닌, 한 층 더 심화된 예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표현활동 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확장을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제도권 차원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해본다.

      • KCI등재

        미디어와 결합된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연계

        조가영(ka-Young, Cho)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한 ‘2019년 콘텐츠 창의체험스쿨 운영 지원사업’을 통해미디어와 결합된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젓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수업한 사례를 다룬다. 현재 국내에서 창의·융합형 미래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해 학교 예술교육의젓요성이 인식되고 있고, 자유학기제 시행 취지에 부합되는 예술 분야 콘텐츠 제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부합하여 미디어와 결합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융·복합 예술세계를 직접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융.복합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들에게 설문지 작성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이 융복합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수업에 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수업의 사례가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아 지속적으로 연구하면서 수정·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직 자유학기제에 취지에 부합되는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과 수업의 사례가 많지 않아,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활용되어 좀 더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ase of teaching in conne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middle school by developing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dance combined with the media through the ‘2019 Art × Tech Creative School Support Project’ host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t present,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in school is recognized in Korea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creative convergence for future talents, and the necessity of producing contents in the art field that meets the intention of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is raised. At this point, the development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media is timely, and its purpose is to allow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world of convergence through dance education combined with media. This allows students to identify their own aptitudes and explore different career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class in middle school, it was possible to motivate them by watching the video related to the class and to arouse their interest in order to make them participate in the class more actively, by using the video and various props to maximize the effect of teach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creative dance by group, it helped to learn cooperation and empathy among members and helped to improve confidence and achievement. Although there are not many cases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dance that fit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ore systematic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