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 무대화를 위한 무대의상 제작 프로세스

        김국희(Kim, Ku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극작가의 작품을 무대화하는 공연예술 시장이 커지고 세분화되면서 공연예술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여러 분야의 협업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문화된 무대의상 디자이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전문성을 갖춘 무대의상 디자이너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무대의상 제작과 관련된 교과목에서 무대의상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 체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대의상을 이용하여 배우의 캐릭터를 표현하고 배우들의 배역을 살려주는 무대의상 제작 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극의 무대의상 지도자로 참여하여 관찰한 기록물들을 토대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한 연극은 2016년 11월 3일에서 5일까지 서경대학교 문예홀에서 공연된 체호프의 ‘갈매기’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갈매기’는 시대의상과 성격의상 두 가지의 형태를 취하며, 정확한 시대 고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19세기 말 러시아의 시골이라는 시공간을 기준으로 의상의 색채, 질감, 형태 등을 이용하여 시대적 분위기가 극 전체에 드러나면서 등장인물들 각각의 캐릭터가 표현되도록 디자인하였다. 여자 배우의 의상은 X형과 H형 실루엣을 사용하였다. 아이템은 원피스 드레스(혹은 블라우스와 스커트)에 재킷(혹은 코트)을 조합시켰다. 남자 배우의 의상은 H형 실루엣을 사용하였다. 아이템은 셔츠와 베스트와 팬츠에 재킷(혹은 코트)을 조합시켰다. 톤으로 통일감을 주면서 캐릭터별로 차이를 두었다. 주 소재는 모를 사용하였다. 등장인물별로 필요한 의상목록을 작성하고 착장 스케치를 통해 아이템들의 조합을 확인한 후 실물로 구현하여 공연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시대 고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대의상과 성격의상 두 가지 형태를 취하는 극을 대상으로 예술감독 및 연출가의 작품의도를 파악하고 여러 팀들과의 협업을 통해 공연예술을 위한 무대의상 관련 교과목들이 공유할 수 있는 무대의상 제작과정을 제안하여, 무대의상 제작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향후 공연예술을 연극(연극, 뮤지컬), 무용(무용, 발레), 양악(양악, 오페라), 국악, 복합장르로 구분하여 장르별 특성을 고려한 무대의상 제작 프로세스를 비교해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As market growth and segmentation for performing arts staging the works of playwrights increases, collaboration among various fields becomes important for production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pecialized costume designers. In order to cultivate professional theatrical costume designer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d the costume-making processes taught in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related co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heatrical production as costume director. The play chosen for case study is Chekhov’s ‘The Seagull’. The performance was held at the Arts Hall of Seokyeong University from November 3 to 5, 2016.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note. ‘The Seagull’ adopted both period costume and character costume, and precise background research was not necessary. Hence, with a background set in the Russian countryside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we used color, texture and form etc. in our costume design to not only bring out the period and background throughout the entire play, but also to give expression to each and every character in the cast. We used X-shaped and H-shaped silhouettes for the costumes of female actors. Items were combinations of dresses(or blouses and skirts) with jackets(or coats). We used H-shaped silhouettes for the costumes of male actors. Items were combinations of shirts, vests and pants with jackets(or coats). We made the costume for each character different as we tried to give a unified look to the costumes through tone. Wool was the main material used. We created a costume list for each character and draw up costume sketches to check the combination of the items before carrying out production of the costumes and using them for performance. Without a need for precise background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nt of the artistic director and director based on plays that deal with period costumes and character costumes.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various teams, the study proposes a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process that can be shared among stage costume related courses for the performing arts,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program.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comparing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processes based on genre characteristics, which may be conducted by segmenting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to theater (drama, musical), dance (dance, ballet), Western music (Western music, opera),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lti-genre performance.

      • KCI등재

        오페라 ‘아이다’ 무대의상에 관한 고찰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2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study about stage costumes of the Verdi's 'Aida' which holds the stage internal and external nowadays. And also study about stage producing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Guiseppe Verdi' & 'Aida'. In this article, several opera DVD were sorted and analyzed mainly with the stage costumes including costume design, color, materials and stage design. Of course these DVD were acknowledged for main producers and were masterpieces that live recorded DVD. Consequently, First, the changes of opera producing influences opera stage costumes. As the greatest change, the absolute status of producer became paralleled with the conductor compare to past. This suggests that the gravity of stage costumes came into the picture. In first performance of 'Aida' in Cairo Theater in Egypt, the sets and costumes are designed by Egyptian influences such as paintings of pyramid and Egyptian heritages. Second, the producing methods of opera is in diverse progressing continually for 150 years. But in spite of These changes, traditional stages and costumes are still existence. and there are reinterpretations of opera libretto, delicate and psychological producing, and reproduction of past production. According to these changes, stage costume brought modern fashion style, ethenic influence and recycling of old fashion style. And these remarkable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as a manufacturing stage costume related to gorgeous light and the high tech-movies rather than stage design. Therefore stage costume design has to attempt with an initiative spirit. For the diverse producing of opera, systematical training course is needed for deep understanding on the works and multiplicity o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intention of expressing of the play. We need educated experts who has sensuous design ability which sh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cultual, art, social background based on the humanists grounded according to thi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especially good quality of opera performances, big interests about stage costumes are needed. 본 연구는 베르디의 ‘아이다’ 무대의상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무대연출과 무대의상, 오페라 ’아이다‘와 ’주세페 베르디‘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도 고찰하였다. 오페라 ’아이다‘의 공연영상물 중에서 특징적인 무대의상을 보여주었던 오페라 ’아이다‘ 공연 을 선별하여 본 연구의 대상 공연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오페라 무대의상은 연출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하며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연에서는 이집트문화를 상징하는 신전의 벽화나 고대 이집트 의상이 무대의상의 기본 콘셉트였었다. 그러나 초연 이후 약 150여년의 세월동안 오페라 무대는 계속 진화하고 있었다. 우선 오페라의 무대가 다양해졌다. 이러한 무대유형의 변화는 무대의상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원작과 초연을 그대로 따르는 재현의 무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리브레토 자체를 재해석한 무대연출도 찾을 수 있었다. 이 경우 시대는 물론 상황까지도 재해석하여 연출을 설정함으로서 무대의상도 이에 따라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 오페라 제작 시기를 무시하고 현대의 상황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현대패션의 흐름을 반영하는 무대의상을 필요로 하였다. 또 다른 연출의 변화로는 아리아 음악을 중심으로 부각시키는 심리극적 연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출은 협소한 무대에서도 손색없는 오페라 연출이 가능하며 무대의상의 역할이 더욱 커짐을 알 수 있었다. 과거에 성공적인 연출을 경험했던 극장들의 기 프로덕션의 재활용 연출도 확인되었다. 이 경우에는 과거의 무대의상을 리폼하거나 같은 형태로 새롭게 제작하는 등 무대의상 활용의 범주가 더욱 다양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대와 상황의 변화, 다양한 연출에 호응하는 수준 있는 무대의상을 위해서는 문화와 예술과 사회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인문학적 소양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소양을 바탕으로 감각적인 디자인 능력과 작품에 대한 이해, 등장인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무대 위에서 작품의 내용과 연출의 의도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무대의상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발전, 오페라의 발전을 위해서는 수준 있는 무대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L'Effect-matière du costume de scène : une nouvelle voie d'appréciation de la mise en scène

        NA In-Wha(나인화),LEE Yeon-Hee(이연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7 프랑스문화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무대의상을 단순히 장식과 시각적 표현도구로 바라보지 않고 연출의 의도를 극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 가능한 도구로 보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공연전달의 새로운 연출 인식 도구로서의 무대의상을 재 인식해보고 다양한 소재 효과와 그 특성을 이해해 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무대의상의 소재효과를 살펴보기 앞서 무대의상 창작 시 나타나는 다양한 제작기법을 정리해 보았다. 먼저 무대의상을 형태, 색상, 재질과 같은 조형적 기호와 사회문화적 기호의 재조합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해 보고 연출 분석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살펴본 후 무대의상이 연출의 구체적 암시 도구로서 바뀜에 따라 달라진 무대의상의 위상과 그 중요성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가며 연구하였다. 이어서 무대의상 소재효과의 정의 범위를 살펴보고 무대의상 제작에서부터 공연 그리고 보관에 이르기까지 무대의상 소재효과 특성을 여섯 개념으로 정리하여 (재생, 착시, 다가 표현성, 장인정신, 일시적 효용성, 모순적인 견고성)무대의상에 미친 기술적 미학적 결과 그리고 그에 따른 무대의상의 소재연출과 제작기법의 다양화 등을 분석해 보았다. 무대의상을 구체적인 제작기법과 소재활용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본 연구는 무대의상의 위상이 연출의도를 추론 해 볼 수 있을 정도의 독립적 공연 예술 작품으로 인정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무대의상에 나타난 디자인 분석 연구 -‘비올레타’ 와 ‘알프레도’ 의상을 중심으로-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3

        Stage costumes can be a best effective way or method that could express thecharacteristics of the casts and the contents or the theme of the play. Especially these costumes have powerful varicolored expressions unless they transform the main topic that was supposed to be an intention of the director. In Opera, we use directions and stage costumes in order to stimulate the audience also grant a special feature for the pla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stume of the main pair, 'Violeta' and 'Alleto's’ in Verdi's 'La Traviata' which holds the stage internal and external nowadays. In this study, 9 movies were sorted and analyzed mainly with the silhouette and detail and also color and materials and plus trimming. Of course these movies were acknowledged for main singers and were masterpieces that live recorded DVD in 1976 through 2009. Consequently, three common content themes emerged from the directional tendency. First, as the greatest change, the absolute status of producer became paralleled with the conductor compare to past. This suggests that the gravity of stage appearance came into the picture so that the stage costume design. Second, the minimized stage is becoming a trend. According to this fact the role of costume of the actor is more significant than those stage set and properties. For this desire, these remarkable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as a manufacturing stage costume related to gorgeous light and the high tech-movies rather than stage design. Third, appearance of star actors rose to the surface more than singing ability. They attract young audience to the seats on the stage costume design with perfect external body condition. In Fact, the age of audience is becoming younger(40-50's to 30's) which anticipates the advent in various production in Europe and also in Korea. Therefore stage costume design has to attempt with an initiative spirit. In Korea, we need educated experts who has sensuous design ability which sh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cultual, art, social background based on the humanists grounded according to this implication. In conclusion, systematical training course is needed for deep understanding on the works and also multiplicity o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intention of expressing of the play. 무대의상이란 극의 내용과 주제,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표현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자 도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대의상은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주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 될 수 있다. 시각효과가 중요한 오페라공연에서는 무대 연출과 함께, 무대의상을 활용하여 각각의 공연마다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근 공연예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오페라공연 가운데서 국내외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무대에 오르는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두 남녀 주인공, ‘비올레타’와 ‘알프레토’의 무대의상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76년부터 2009년까지 공연실황 DVD영상물 가운데서 주역가수들의 명성이 높은 공연과 마스터피스 공연으로 인정받은 영상물 9개를 선별하여 실루엣과 디테일, 색과 소재, 세부 장식 요소인 트리밍을 중심으로 무대의상이 각각 어떤 특성과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는지 분석 연구하였다. 그 결과, 무대의상디자인과 관련된 오페라의 연출 경향을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가장 큰 변화는 지휘자보다는 연출가의 시대가 도래 했다는 점이다. 이는 무대의 중요성이 더욱 커져 무대의상디자인도 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본다. 둘째, 미니멀한 무대가 대세라는 점이다. 화려한 세트와 소품대신 단순한 무대에서는 연기자와 그가 착용하고 있는 의상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해진 무대에 화려한 조명과 첨단 영상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무대의상제작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창력보다는 외모와 연기력을 갖춘 스타연기자들이 부상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잘 갖추어진 신체조건으로 무대의상디자인 여하에 따라 다양하게 그들의 기량을 발휘함으로서 젊은 관객들을 객석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유럽은 물론 국내 오페라 관객들의 나이도 40-50대에서 30대로 젊어지고 있어 더욱 다양한 연출의 출현이 예견되며 이에 따른 창의적인 무대의상디자인이 시도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문화와 예술과 사회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감각적인 디자인 능력을 갖춘 무대의상디자인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이해, 등장인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무대 위에서 작품의 내용과 연출의 의도를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의상디자인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오스카 슐레머의 Triadic Ballet의 영향을 받은 현대 아티스트 무대의상의 조형적 특성 - 아힘 프라이어, 안드레이 바르테네브, 어슐러 색스를 중심으로 -

        손주희,전재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1

        무대예술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의 유희적 본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발전해온 시각 예술이다.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 무대예술 분야에 한 획을 그은 오스카 슐레머는 1922년 선보인 Triadic Ballet 무용공연에 서 기하학적 실루엣의 복식우선형 의복을 선보여 화제를 모았고, 이후 현대 아티스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매체에서 그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된 세 명의 아티스트인 아힘 프라이어, 안드레이 바르테네브, 그리고 어슐러 색스가 연출한 무대의상의 조형적 맥락이 오스카 슐레머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오스카 슐레머의 Triadic Ballet 무대의상의 조형적 특징 은 첫째, 색채의 측면에서 칸딘스키가 주장한 삼원적 색채론이 주를 이뤘다는 것과 둘째, 형태적 측면에서 기하학적 도형 형태의 복식우선형이라는 것, 셋째, 소재의 측면에서 기존의 발레공연 무대의상과는 다른 소 재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또한, 무대의상 외적인 요소의 특징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첫째, 흰 칠을 한 얼굴 표현, 둘째, 기하학적 형태의 소품 활용, 셋째, 소재로 인한 무용수의 동작 제한, 넷째, 무대의 상과 배경의 관련성이다. 오스카 슐레머와 3인의 아티스트의 무대의상은 복식우선형에 기본을 둔 의상이라 는 점에서 형태의 측면에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아힘 프라이어는 무대배경에서 회화적인 표현을 사용했다는 점, 안드레이 바르테네브는 무용수가 장치를 달고 의상을 제어했다는 점, 어슐 러 색스는 무대의상을 유연한 소재로 제작하여 무용수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이지만 상기 언급 한 차이점들은 조형적 차이라기보다는 연출방식에서의 차이였기 때문에 조형적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아 티스트의 개별적인 독창성이나 차별성은 미흡했다. 최근 발표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현대 무대예술은 기술 적 요소에만 의존하여 시각적 효과를 남용한다는 비판과는 대조적으로, 오스카 슐레머는 순수예술의 조형적 요소들 간의 조화를 연출력과 무대의상을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아티스트들에게 기본적 조형원 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대예술사와 복식사 분야 모두에서 그 학술적 가치를 지녔다고 사료된다. Stage art has been developed since ancient times to satisfy human’s entertainment instincts. Oskar Schlemmer, who made a mark in the field of stage art, drew attention when he presented his geometric clothing at the 1922 “Triadic Ballet” dance performance, which later greatly influenced modern artists. Thus,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skar Schlemmer and three modern artists, Achim Freyer, Andrey Bartenev, and Ursula Sax, who were mention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him in prior research and media. The formative features of Oskar Schlemmer’s “Triadic Ballet” stage costumes were: First, the use of Kandinsky’s color theory, second, the form of geometric shapes as the clothing-first type, and third, a different material from that of the existing ballet costume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elements of his stage costumes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e expression of faces painted white, second, the use of geometric props, third, the restriction of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due to the material, and fourth, the connection between stage costumes and the background. The stage costumes of Oscar Schlemer and the three artists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in terms of form such as the clothing-first type. As for their differences, Achim Freyer used pictorial expressions in the stage background, Andrey Bartenev had control of the costumes through the device, and Ursula Sax utilized flexible materials to make dancers move freely. However, the above-mentioned differences originated not from forms but from directing method, and each artist’s individual originality could not be found in their costumes. In contrast to the criticism that modern stage art abuses visual effects by relying on technological elements, Oscar Schlemmer’s stage costumes showed the harmony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arts. This study has its academic value in both the performing arts history and costume history in that his works showed the importance of basic formative principles.

      • KCI등재

        Peirce의 이론을 응용한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 뮤지컬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

        안미화,장애란 한국생활과학회 2019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8 No.2

        Stage costume is a tool used to convey the meaning of certain works in their visual representation of what is implied in the works. Thus, the inculcation of the tool in visual arts is to emphasize and dramatize the aura, style, and theme of those works.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condui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roducer. This study aim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stage costumes in mediating communication through semiotic interpretation of the visual manifestation. I utilized Peirce’s three categories of signs (icon, index, and symbol), a theory apt to analyze semiotic interpretations of stage costumes. In addition, I chose to use Empress Myeong-Seong, South Korea’s representative musical as my object of analysis. Empress Myeong-Seong was debuted in 1995 and has been perform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ges for a long time. The interpretation of the semiotic results of Empress Myeong-Seong’s stage costumes analyzed through the lenses of Peirce’s theory, are as follows:iconic sign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s and restorative representations of the stage costumes), indexical sign (the structuring of the signs conveying and representing the meaning behind the stage costumes), and symbolic sign (elegance, sublimity, and tragic ). In this study, the use of sign in the semiotic analysis of Empress Myeong-Seong’s stage costumes offers a useful framework that facilitate visual communication. 무대의상이란 관객들에게 작품의 의미전달을 위한 방법으로 작품에 함축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의 형상화를 통해 인물창조 및 극의 분위기, 스타일, 주제를 강화 시키고 극적 효과를 표현한 일종의 시각적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즉, 무대의상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극을 보는 관객과 연출자 사이의 의미전달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대의상의 시각적인 형상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기호적 해석을 통해 무대의상도 일종의 기호임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여러 기호학 이론 중에 무대의상의 기호적 해석에 적합한 Peirce의 삼분법(iconic sign, indexical sign, symbolic sign)을 차용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1995년 초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활발히 국내·외 무대에 오르고 있는 한국 대표 창작뮤지컬 명성황후를 선택하였다.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을 Peirce의 삼분법을 차용한 기호적 해석의 결과는 도상기호(현대적 재해석과 고증적 재현의 무대의상), 지표기호(무대의상의 의미를 전달 ⋅표현하는 기호의 언어 구조화), 상징기호(엘레강스, 숭고, 비장)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의 기호적 해석을 통해 무대의상은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지닌 기호임을 규명함으로써 기호적 측면에서 무대의상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해석의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연극의 등장인물에 따른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연극 감사관을 중심으로)

        이상봉 대구미래대학 2001 論文集 Vol.19 No.1

        이상으로 연극 "감사관"에 있어서의 무대의상 대자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연구로서 연극의 배경과 성격, 무대의상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아보았고, 시대적 배경에 따른 당시의 복식과 무대분석을 통한 Costume plot를 만들고, 등장인물의 인물분석 및 극의 구성과 개인별 무대의상 Chart를 작성하였다. 이 작품은 신랄한 사회풍자와 양식의 독창성-비판적 리얼리즘의 확립-, 등장인물의 정확한 성격묘사 등으로 엄숙하면서도 신성한 희극이다.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본 논문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의상이란 등장인물의 역할과 성격을 정교하게 관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입혀지는 극적인 요소인 만큼 대본에서 나타나는 극적 분위기나 등장인물의 특성은 물론이며 사회적 배경이나 내면세계까지도 자세히 고려되어 표현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연극은 종합예술인 만큼 다른 전문가들과 특히 시각적인 요소인 무대장치, 조명, 소도구 등과의 조화를 통해 제작, 구성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연극 무대의상 제작시 배우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등장인물의 역할과 이미지를 부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복식은 이와 같이 '옷을 입는다'는 물리적·실용적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그 시대의 철학·종교·도덕적 관념·정치·경제·사회의 현상을 배경으로 형성되는 개인의 예술적 감각 및 공동의 예술양식을 수용하고 표출한다는 사실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J. M. Synge의 ‘바다로 간 기사들’ 공연을 위한 무대의상 연구

        박은정(Park, Eu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의 공연예술 작품을 선택하고 그 극에 어울리는 무대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여 제작하는 과정을 고찰하여, 무대의상 관련 분야의 전공자나 종사자가 무대의상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범위는 무대의상의 기획과 디자인 제작으로 한정하였다. 여기에는 분장과 헤어스타일을 제외시켰다. 연구를 위해 선정한 공연예술은 싱의 ‘바다로 간 기사들’이다. 이 극은 2014년 3월 13일에서 3월 15일까지 3일간 서경대학교 북악관 9층의 블랙박스에서 공연되었으며, 연구자가 무대의상 디자이너로 참여하여 직접적인 관찰이 가능한 극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본분석을 토대로 실제 공연을 지휘하는 예술감독의 연출의도 파악, 작가의 작품세계 분석, 대본 분석을 통한 작가의 제작 의도와 작품의 성격 및 주제 파악, 주요 등장인물들 간의 역할과 관계 분석을 토대로 무대의상 디자인을 기획하고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둘째, 의상은 극의 시대적 배경(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과 공간적 배경(아일랜드의 이니시만)을 배경을 나타내기 위해 시대의상으로 제작하였다. 다음은 의상을 제작할 때 고려한 사항이다. 형태의 경우,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도록 여유가 있는 X형 실루엣을 사용하여 활동량이 많은 서민들의 삶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여자 배역들의 의상 아이템은 블라우스, 스커트, 점퍼스커트, 조끼, 앞치마로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통일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여 단막극에서 의상에 의한 산만함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남자 배역들의 의상 아이템 역시 셔츠와 바지 및 조끼로 국한시켰다. 인물별 특성은 네크라인, 점퍼스커트의 형태, 앞치마의 길이, 스커트의 주름에 의해 생기는 선 등 의상의 내부선으로 표현하였다. 색의 경우, 채도와 명도가 낮은 톤을 사용하여 극 전체에 통일감을 주었다. 전체적인 극의 내용이 무겁고 암울한 것은 명도가 낮은 색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가족을 잃게 되는 슬픔이나 다가올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무채색에 가까운 낮은 채도의 그레이쉬 톤과 라이트 그레이쉬 톤, 덜 톤으로 표현하였다. 소재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천을 구할 수 없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태에 색상만 조금씩 다른 옷을 착용하였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하여 주소재로 거친 느낌의 머슬린과 크래쉬 소재를 사용하였다. 셋째, 제작한 의상을 실제 공연에 사용하여 무대의 상의 사용 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practitioner on making costume in related fields of the performing arts work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planning and making the costume. Research methods were combined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stumes produced. There were excluded the makeup and hair styles. Performing arts selected for the study was Synge"s "Riders to the Sea". The play was performed at the Black Box in Bugakkwan of Seokyeong University from March. 13 ~ March 15, 2014, it was the direct observation enabled by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stage as stage costume design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s were planned and made as the analysis of art director"s intention to direct a performance based on a scenarios, author"s portfolio, screenplay identify the nature and subject matter of the analysis on rol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s of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stumes. Second, Costume was produced to consider the period costume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stume(in the late 18th century~early 19th century) to represent the background (Inishmaan of Ireland) as spatial background. The following is information considered when creating costumes. By using the loose X-shaped silhouette with a space not to expose, the lives of ordinary person to move physically were expressed. The items of clothing for women were various as blouses, skirts, jumpers, skirts, vests, however we can rule out distraction by the costumes of unified impression in one-act plays. Apparel items for men were limited to shirts and pants and vests. People of a figure were represented by a line such as internal line of clothing on neckline, type of jumper skirt, the length of the apron, the folds of the skirt. For the color, the unity was maintained on the whole using a low tone in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The contents of the entire mood was gloomy, which expressed using the heavy and dark color, and the atmosphere of fear of the future and grief that losing a family break was expressed with greyish tone in low saturation close to the achromatic tones and light greyish and dull tones. For the fabric,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period when it was hard to were in variety but similar or the same, it was selected with coarse muscle and crash material as main fabric. Third, it showed a costume in the actual performance on the stage by using the costumes made in the course.

      • KCI등재

        Étude sur les costumes de scène de Sarah Bernhardt

        NA Inwha(나인화)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25 No.-

        유럽의 무대예술은 19세기 말부터 등장한 연출의 개념과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장식적이고 피상적인 19세기 부르주아 연극에 반대하는 대신 개혁 예술가들은 《Theatre d’art》를 주창하였다. 이는 각기 다른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여 각자의 분야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무대라는 공동 작업을 통해 재평가되는 연출성 있는 공연을 뜻한다. 무대예술의 대변혁은 또한 의상의 호화로움과 아름다움의 역할과 개념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20세기 전반에 걸쳐 무대의상 제작 시 배우의 아름다운 외관보다는 인물의 연기력을 돋보이게 하는데 더 주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20세기 초 연출가들은 한 배우의 유명세와 개인적 취향에 따라 제작될 수밖에 없는 무대의상을 배척하게 되는데 이는 20세기의 무대연출이 더 이상 유명한 스타 급 배우의 고귀한 이미지 부각에만 집착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근대(19세기 말)에서 현대(20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무대예술의 시대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당시 프랑스 스타 급 여배우였던 Sarah Bernhardt(1844-1923)의 무대의상을 연구하는데 크게 두 가지 의의가 있다. 먼저 도래하는 새로운 시대의 현대성을 거부하는 매개체로서의 무대의상, 그리고 과거의 영화로움에 집착하는 호화로운 의상 그 자체의 예술성이다. 그녀의 의상은 새로운 미래에 대한 의심과 호기심을 물질적으로 승화시킨 결과이며 한편으로는 여배우로서 스스로를 가장 아름답게 드러나게 하는 최상의 매개체였다. Sarah Bernhardt의 무대의상은 장인의 경지에 견줄만한 최상의 기술과 최고의 재료로 만들어진 예술작품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Sarah Bernhardt의 무대의상 창작과 그 제작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공연사적 정황과 복식사적 발달과 같은 역사적 배경과 Sarah Bernhardt만의 독특한 취향과 개성 또한 함께 접근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arah Bernhardt 스스로 쓴 에세이와 편지, 공연 작품에 관한 신문과 잡지 기사들, Sarah Bernhardt에 관한 일대기와 논문들과 같은 문헌 조사를 위주로 했으며 특히 2000년도 프랑스 국립 박물관(BnF)에서 열린 Sarah Bernhardt 전시회를 계기로 출간된 전시 도록과 서적들이 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BnF의 Departement des Arts des Spectacles 이 소장하고 있는 Sarah Bernhardt Collection의 의상과 악세서리를 문헌의 사진이나 그림과 대조작업을 통해 문헌에서 묘사된 의상과 실제 의상과의 비교 연구 또한 이루어졌다.

      • KCI등재

        3D 가상착의 프로그램 활용 무대 의상 디자인 전개 - AI 재난 로봇 오페라 『레테』를 중심으로 -

        윤희진 ( Yun Hee Jin ),최윤미 ( Choi Yoon Mi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4

        현대 사회와 문화의 주요 이슈를 반영하는 무대예술은 끊임없이 진화하며 독특한 상상력과 당대의 첨단기술을 사용해왔다. 최근에는 미래사회와 인공지능에 관련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연의 주요 배역으로 로봇이 증가하고 있다. 무대 의상 디자인 과정에서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은 작품 제작 관계자 상호 간 의사소통에 기여하고 디지털 변환을 연관 분야에 적극적으로 시도하는데 의의가 있다. 무대 의상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극의 전개 과정을 대상으로 하며 최근 발전된 기술인 3D 가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창작 무대 의상 연구는 부족하다. 무대 의상 제작 시 3D 가상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상상 속의 디자인 정보를 전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며 조명과 관객과의 거리에 따른 의상의 시각적 배치를 예상하고 생동감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작 오페라 『레테』의 대본 분석, SF 영화 의상, 컬렉션 자료 등의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주요 배역인 레테 1, 레테 2, 레테 엑소 슈트, 엔지니어의 착장을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4벌의 실제 의상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로봇 의상 개발에 클로를 활용하여 실제 의상을 생산하기 전에 완성될 의상을 예측하여 디자인, 패턴 제작, 생산 과정 등에서 시간적, 인적,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제작 방법을 제안하고 다품종 의복을 신속하게 공급해야 하는 무대 의상의 요구에 부응하며 의류 제품의 생산 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창작공연이 넉넉지 않은 제작비로 진행되므로 디지털 가상착의를 제공함으로써 샘플 제작에서 디자인과 결과물의 차이를 줄이고 의사소통의 정확성에 기여할 수 있다. Stage art, which reflects major issues in modern society and culture, has constantly evolved and used unique imagination and advanced technology of the time. Interest in future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akes robots main characters as the main background of recent performances. The use of CLO (CLO Virtual Fashion Inc.)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in the stage costume design process is meaningful in contributing to mutual communication and actively attemp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related fields. Most of the papers on stage costumes focu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lay, and research on creative stage costumes using CLO programs, a recently developed technology, is insufficient. It can be reproduced almost similar to actual clothing, conveying imaginary design information, forming consensus, and predicting visual arrangement of costumes according to lighting and distance from the audience. It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script of the creative opera ‘Lethe’ , investigates SF movie costumes, collection data, uses 3D virtual programs to virtually express the design before sample work, produces performance costumes, and combines new technologies to performance producers and stage designers to contribute to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nhance stage costume completion.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stage to present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s stage costume production, qualitative research on design concept, performance production intention, and character analysis, and presented four major role costumes using a CLO virtual fitting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CLO was used to predict costumes to be completed before producing 4 actual costumes to verify production methods that can increase time, human, and economic efficiency in design, pattern production, and production processes. Since most creative performances are conducted at insufficient production costs, the provision of digital virtual clothing can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and results in sample production and contribute to communication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