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뮤지컬 <루나틱>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조진숙 ( Jean-suk Cho ),유선아 ( Seon-a Y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본 연구는 뮤지컬 무대의상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서 2005년 6월 28일부터 2006년 4월 23일까지 대학로에 소재한 소극장 `씨어터 일`에서 공연된 뮤지컬 <루나틱>에 본 연구자가 의상 스텝으로 직접 참여하여 진행한 연구 결과이다. 뮤지컬 <루나틱>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방법은 대본 읽기와 제작회의를 거쳐서 연출가의 극에 대한 해석에 따라 무대의상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자료수집 및 조사를 거쳐서 무대의상 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등장인물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그 특징적 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실루엣과 디테일, 색상, 소재 등과 같은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디자인 스케치를 완성하였다. 디자인 스케치 과정에서는 제작회의를 통해 상호의견이 교환되고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디자인 과정을 통해서 등장인물들의 의상을 상징적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관객들에게 극의 내용을 이해시키는 무대의상의 기능적 역할의 확대를 기대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가 뮤지컬 무대의상의 발전과 공연의 활성화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looks into stage costume design for the musical < Lunatic >. I have been interested in designing the musical costumes and participated as costume design staff in the < Lunatic >, a musical presented in Theater Ⅰ located in Daehakro from June 28, 2005 to April 23, 2006, for this study. The costume design was conducted along with several processes ranges from script reading and the production meeting, to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costumes chart and schedule arrangements, the design planning, sketching, and evaluation. After that, a rehearsal for the costumes was conducted to define any shortcomings and address them. As such, the costumes of the characters were designed with symbolism, ensuring extended function of musical costumes in making the audience better understand the underlying theme of the drama. Furthermore it maximizes visual effects of performance and outlines the image of characters, while adding spice to the drama and increasing dramatic perfection. Costume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audience`s interests in the mesical, eventually contributing to its development.

      • KCI등재

        J. M. Synge의 ‘바다로 간 기사들’ 공연을 위한 무대의상 연구

        박은정(Park, Eu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의 공연예술 작품을 선택하고 그 극에 어울리는 무대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여 제작하는 과정을 고찰하여, 무대의상 관련 분야의 전공자나 종사자가 무대의상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범위는 무대의상의 기획과 디자인 제작으로 한정하였다. 여기에는 분장과 헤어스타일을 제외시켰다. 연구를 위해 선정한 공연예술은 싱의 ‘바다로 간 기사들’이다. 이 극은 2014년 3월 13일에서 3월 15일까지 3일간 서경대학교 북악관 9층의 블랙박스에서 공연되었으며, 연구자가 무대의상 디자이너로 참여하여 직접적인 관찰이 가능한 극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본분석을 토대로 실제 공연을 지휘하는 예술감독의 연출의도 파악, 작가의 작품세계 분석, 대본 분석을 통한 작가의 제작 의도와 작품의 성격 및 주제 파악, 주요 등장인물들 간의 역할과 관계 분석을 토대로 무대의상 디자인을 기획하고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둘째, 의상은 극의 시대적 배경(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과 공간적 배경(아일랜드의 이니시만)을 배경을 나타내기 위해 시대의상으로 제작하였다. 다음은 의상을 제작할 때 고려한 사항이다. 형태의 경우,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도록 여유가 있는 X형 실루엣을 사용하여 활동량이 많은 서민들의 삶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여자 배역들의 의상 아이템은 블라우스, 스커트, 점퍼스커트, 조끼, 앞치마로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통일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여 단막극에서 의상에 의한 산만함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남자 배역들의 의상 아이템 역시 셔츠와 바지 및 조끼로 국한시켰다. 인물별 특성은 네크라인, 점퍼스커트의 형태, 앞치마의 길이, 스커트의 주름에 의해 생기는 선 등 의상의 내부선으로 표현하였다. 색의 경우, 채도와 명도가 낮은 톤을 사용하여 극 전체에 통일감을 주었다. 전체적인 극의 내용이 무겁고 암울한 것은 명도가 낮은 색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가족을 잃게 되는 슬픔이나 다가올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무채색에 가까운 낮은 채도의 그레이쉬 톤과 라이트 그레이쉬 톤, 덜 톤으로 표현하였다. 소재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천을 구할 수 없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태에 색상만 조금씩 다른 옷을 착용하였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하여 주소재로 거친 느낌의 머슬린과 크래쉬 소재를 사용하였다. 셋째, 제작한 의상을 실제 공연에 사용하여 무대의 상의 사용 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practitioner on making costume in related fields of the performing arts work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planning and making the costume. Research methods were combined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stumes produced. There were excluded the makeup and hair styles. Performing arts selected for the study was Synge"s "Riders to the Sea". The play was performed at the Black Box in Bugakkwan of Seokyeong University from March. 13 ~ March 15, 2014, it was the direct observation enabled by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stage as stage costume design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s were planned and made as the analysis of art director"s intention to direct a performance based on a scenarios, author"s portfolio, screenplay identify the nature and subject matter of the analysis on rol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s of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stumes. Second, Costume was produced to consider the period costume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stume(in the late 18th century~early 19th century) to represent the background (Inishmaan of Ireland) as spatial background. The following is information considered when creating costumes. By using the loose X-shaped silhouette with a space not to expose, the lives of ordinary person to move physically were expressed. The items of clothing for women were various as blouses, skirts, jumpers, skirts, vests, however we can rule out distraction by the costumes of unified impression in one-act plays. Apparel items for men were limited to shirts and pants and vests. People of a figure were represented by a line such as internal line of clothing on neckline, type of jumper skirt, the length of the apron, the folds of the skirt. For the color, the unity was maintained on the whole using a low tone in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The contents of the entire mood was gloomy, which expressed using the heavy and dark color, and the atmosphere of fear of the future and grief that losing a family break was expressed with greyish tone in low saturation close to the achromatic tones and light greyish and dull tones. For the fabric,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period when it was hard to were in variety but similar or the same, it was selected with coarse muscle and crash material as main fabric. Third, it showed a costume in the actual performance on the stage by using the costumes made in the course.

      • KCI등재

        창작 뮤지컬 의상 디자인 연구

        노은영(Roh,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 뮤지컬 작품의 무대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여 실물로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창작 뮤지컬의 무대의상 제작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창작 뮤지컬의 작품 분석과 무대의상의 기획 · 디자인 · 제작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택한 뮤지컬은 2016년 11월 16일에서 20일까지 5일간 서경대학교 문예홀에서 공연된 ‘청 이야기’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작 분석결과와 연출가의 연출의도를 토대로 뮤지컬 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였다. 또한, 디자인에는 무대의상의 요소와 원리를 기초로 현대적 이미지가 반영되고 캐릭터의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여자 배역들은 X형 실루엣의 원피스 드레스, 남자 배역들은 H형 실루엣의 포 형식의 코트를 기본으로 디자인하였다. 동양적인 이미지는 서플리스 네크라인과 전개형(前開型) 디자인을 활용하였다. 각 인물들의 특징은 컬러, 소재, 디자인 원리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계급은 소재와 대칭 · 비대칭균형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둘째, 작품의 분석에서 공연의상 디자인 및 제작을 거쳐 창작 뮤지컬 공연에서의 실제 사용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duction process of a stage costume for a creative musical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a real-size costume through planning & designing of the stage costume for a creative musical work. The study limited its research scope to work analysis of a creative musical, and planning, design, and production of a stage costum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Cheong Story’ which was performed at MOONYE HALL of Seokyeong University for five days from Nov. 16 to 20, 2016.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d theoretical research with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lanned and designed the musical costum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director’s directing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made a design which could reflect a modern image and express characters’ image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 of a stage costume. Also, this study made a design of one-piece dress in X-type silhouette for female parts, and a coat of bracket set system of H-type silhouette for male parts as a base respectively. To create an Oriental image, this study utilized surplice neckline and extensive-form design.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d color, materials and design principles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each character, and particularly, expressed a rank by utilizing materials and the balance between symmetry and asymmetry. Second, in the analysis of a work, this study showed an actual use process of a costume in a creative musical through design and production of a performance costume.

      • KCI등재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 무대화를 위한 무대의상 제작 프로세스

        김국희(Kim, Ku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극작가의 작품을 무대화하는 공연예술 시장이 커지고 세분화되면서 공연예술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여러 분야의 협업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문화된 무대의상 디자이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전문성을 갖춘 무대의상 디자이너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무대의상 제작과 관련된 교과목에서 무대의상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 체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대의상을 이용하여 배우의 캐릭터를 표현하고 배우들의 배역을 살려주는 무대의상 제작 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극의 무대의상 지도자로 참여하여 관찰한 기록물들을 토대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한 연극은 2016년 11월 3일에서 5일까지 서경대학교 문예홀에서 공연된 체호프의 ‘갈매기’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갈매기’는 시대의상과 성격의상 두 가지의 형태를 취하며, 정확한 시대 고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19세기 말 러시아의 시골이라는 시공간을 기준으로 의상의 색채, 질감, 형태 등을 이용하여 시대적 분위기가 극 전체에 드러나면서 등장인물들 각각의 캐릭터가 표현되도록 디자인하였다. 여자 배우의 의상은 X형과 H형 실루엣을 사용하였다. 아이템은 원피스 드레스(혹은 블라우스와 스커트)에 재킷(혹은 코트)을 조합시켰다. 남자 배우의 의상은 H형 실루엣을 사용하였다. 아이템은 셔츠와 베스트와 팬츠에 재킷(혹은 코트)을 조합시켰다. 톤으로 통일감을 주면서 캐릭터별로 차이를 두었다. 주 소재는 모를 사용하였다. 등장인물별로 필요한 의상목록을 작성하고 착장 스케치를 통해 아이템들의 조합을 확인한 후 실물로 구현하여 공연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시대 고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대의상과 성격의상 두 가지 형태를 취하는 극을 대상으로 예술감독 및 연출가의 작품의도를 파악하고 여러 팀들과의 협업을 통해 공연예술을 위한 무대의상 관련 교과목들이 공유할 수 있는 무대의상 제작과정을 제안하여, 무대의상 제작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향후 공연예술을 연극(연극, 뮤지컬), 무용(무용, 발레), 양악(양악, 오페라), 국악, 복합장르로 구분하여 장르별 특성을 고려한 무대의상 제작 프로세스를 비교해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As market growth and segmentation for performing arts staging the works of playwrights increases, collaboration among various fields becomes important for production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pecialized costume designers. In order to cultivate professional theatrical costume designer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d the costume-making processes taught in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related co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heatrical production as costume director. The play chosen for case study is Chekhov’s ‘The Seagull’. The performance was held at the Arts Hall of Seokyeong University from November 3 to 5, 2016.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note. ‘The Seagull’ adopted both period costume and character costume, and precise background research was not necessary. Hence, with a background set in the Russian countryside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we used color, texture and form etc. in our costume design to not only bring out the period and background throughout the entire play, but also to give expression to each and every character in the cast. We used X-shaped and H-shaped silhouettes for the costumes of female actors. Items were combinations of dresses(or blouses and skirts) with jackets(or coats). We used H-shaped silhouettes for the costumes of male actors. Items were combinations of shirts, vests and pants with jackets(or coats). We made the costume for each character different as we tried to give a unified look to the costumes through tone. Wool was the main material used. We created a costume list for each character and draw up costume sketches to check the combination of the items before carrying out production of the costumes and using them for performance. Without a need for precise background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nt of the artistic director and director based on plays that deal with period costumes and character costumes.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various teams, the study proposes a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process that can be shared among stage costume related courses for the performing arts,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program.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comparing theatrical costume production processes based on genre characteristics, which may be conducted by segmenting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to theater (drama, musical), dance (dance, ballet), Western music (Western music, opera),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lti-genre performance.

      • 연극의 등장인물에 따른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연극 감사관을 중심으로)

        이상봉 대구미래대학 2001 論文集 Vol.19 No.1

        이상으로 연극 "감사관"에 있어서의 무대의상 대자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연구로서 연극의 배경과 성격, 무대의상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아보았고, 시대적 배경에 따른 당시의 복식과 무대분석을 통한 Costume plot를 만들고, 등장인물의 인물분석 및 극의 구성과 개인별 무대의상 Chart를 작성하였다. 이 작품은 신랄한 사회풍자와 양식의 독창성-비판적 리얼리즘의 확립-, 등장인물의 정확한 성격묘사 등으로 엄숙하면서도 신성한 희극이다.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본 논문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의상이란 등장인물의 역할과 성격을 정교하게 관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입혀지는 극적인 요소인 만큼 대본에서 나타나는 극적 분위기나 등장인물의 특성은 물론이며 사회적 배경이나 내면세계까지도 자세히 고려되어 표현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연극은 종합예술인 만큼 다른 전문가들과 특히 시각적인 요소인 무대장치, 조명, 소도구 등과의 조화를 통해 제작, 구성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연극 무대의상 제작시 배우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등장인물의 역할과 이미지를 부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복식은 이와 같이 '옷을 입는다'는 물리적·실용적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그 시대의 철학·종교·도덕적 관념·정치·경제·사회의 현상을 배경으로 형성되는 개인의 예술적 감각 및 공동의 예술양식을 수용하고 표출한다는 사실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공연기획을 위한 무대의상디자인 트렌드 조사연구 - 오페라 ‘카르멘’의 여주인공 의상을 중심으로 -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3

        People are going to enjoy the performing arts. Opera represented by 'serious art' audience enjoying steadily increased. Thus,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in opera costumes is growing. In particular, the acting and vocal singers should wear costumes that share a functional and artistic, so very important to bear its influence while elements of the performing arts that also looks flawless. Therefore, in this study, stage costume design of the overall trends in the context of research need to be focused on. This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background, including doubles in context was to determine the trend. As a result, First, to express the contemporary fashion style trend was intact. Bustle Style of the late 19th century, reflecting the popular fashion clothes and practical costume design to symbolize the start of a trend was observed. Second, Eroticism was found that the representations. Third, Exoticism costumes reflect the design trends of the fashion were identified. Fourth, Ethnic Style is dominated trend in stage costume design. Ethnic Style to the influence of Spanish flamenco and gypsy style costume design trend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organize planning the opera, as well as costume design for the opera stage in the planning and execution as well as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good for experts expect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공연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오페라로 대표되는 ‘serious art'를 즐기는 관객들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오페라 무대의상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가수들이 착용하고 연기와 발성을 해야 하는 무대의상은 기능적이면서도 예술적인 몫을 감당해야하므로 매우 중요한 공연예술의 요소이면서 그 영향력 또한 막강하다고 본다. 이처럼 많은 변화를 필요로 하는 오페라 무대의상디자인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무대의상디자인의 전체적인 맥락에서의 트렌드를 조사 연구할 필요에 중점을 두었다. 즉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문화적 환경 및 복식사적 배경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맥락에서 그 트렌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당대의 Fashion Style을 그대로 표현하는 트렌드가 많았다. 19세기 말의 Bustle Style을 반영한 의상과 실용적인 대중패션의 시작을 상징하는 의상디자인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Eroticism의 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여주인공 ’카르멘‘의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너웨어를 활용하거나 코르셋과 데꼴테 등의 착용이 두드러졌다. 셋째, Exoticism의 유행을 반영한 무대의상디자인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Ethnic Style의 영향으로 스페인 풍의 플라멩코스티일이 강조되는 트렌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정리결과는 오페라 공연기획은 물론, 오페라 무대의상디자인을 위한 기획과 실행에 있어 유용할 뿐 아니라 관련 전문가들에게도 좋은 정보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작은 아씨들’ 공연을 위한 뮤지컬 의상 제작 프로세스

        노은영(Roh, Eun Young),박은정(Park, Eu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뮤지컬 공연예술 작품을 중심으로 공연에 적합한 무대의상의 기획과 디자인의 제작과정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뮤지컬 의상디자이너의 역할과 무대의상 제작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작품 분석과 무대의상의 기획과 디자인 및 실물 제작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정한 공연예술은 2015년 11월 19일에서 11월 22일까지 4일간 서경대학교 문예관 문예홀에서 공연된 올컷의 ‘작은 아씨들’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성격과 주요 등장인물들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뮤지컬 공연의 원작을 분석하였다. 원작분석이 끝난 후 예술감독의 연출의도를 파악하여 뮤지컬 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였다. 둘째, 의상을 디자인할 때 극의 시대적 배경인 19세기중반, 공간적 배경인 미국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와 뉴욕(New York), 극장의 규모를 고려한 연출감독의 의견 등을 반영하여 시대적 의상이지만 실루엣(Silhouette)의 크기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의상디자인 시 고려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여자 의상은 19세기 중반의 크리놀린 실루엣(Crinoline Silhouette)을 축소한 형태의 X형 실루엣을 기본으로 하였다. 의상 아이템은 원피스 드레스, 셔츠블라우스, 스커트를 사용하였다. 남자 의상은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ilhouette)을 기본으로 하고 의상 아이템은 셔츠, 팬츠, 베스트, 코트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색상은 딥톤과 덜톤의 웜 컬러를 사용하였다. 소재는 각 상황에 맞는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해 면기모, 모직물, 스웨이드, 새틴, 자카드, 벨벳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인물에 따른 특성은 소재의 종류, 컬러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실물제작을 통한 뮤지컬 공연에서의 사용과정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put forward stage costume planning & design production process suited for performance with the work of musical performing arts as the center.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is intending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ould serve to understand a musical costume designer’s role,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costume, and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industrial site. As regards the research range, this study set limits to musical work analysis, stage costume planning, and actual clothing making for musical performance. The performing art this study selected for this research is Louise May Alcott’s ‘Little Women’ which was put on stage at the Munye Hall of Seokyeong Universityaffiliated Munyegwon for four days from Nov. 19 to Nov. 22, 2015.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d a theoretical research with a positive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original work for musical performance to grasp the character of the work and major the characters’ role. After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work, this study did planning & designing of the musical costume by grasping the art director’s directing intention. Second, when doing costume design, this study conducted it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Silhouette size somewhat contrary to period costume by reflecting the mid-19th century marking the time setting of the musical, the State of Massachusetts, US, and New York marking the spatial setting of the musical, and the performance director’s opinion about the size of the theater, etc. The considerations in time of costume designing are as follows: As for woman’s costume, this study based it on X-shaped Silhouette in reduced form of the mid-19th century Crinoline silhouette. In addition ,this study used one-piece dress, shirts blouse, and skirt as a costume item. As for man’s costume, this study based it on Straight silhouette, and used shirts, pants, vest and coat as a costume item. As for the overall color, this study used warm color of a deep tone and dull tone. As for costume material, this study used brushed cotton, woolen fabrics, suede, jacquard, and velvet, etc. to express the characters in line with each circumstance. In additio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 consequent on each character by sorts of material and color. Third, this study disclosed the use process in actual clothing making, and musical performance.

      • KCI등재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표현방식 연구

        노은영(Roh,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희곡이나 소설에서 출발하여 뮤지컬, 연극 등의 무대공연용 예술로 재가공되고 영화 같은 영상상영용 예술로 재가공되는 작품의 의상을 비교하여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디자인 표현방식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국내에서 공연 및 상영된 ‘스위니 토드’의 주요 등장인물들의 뮤지컬 의상과 영화의상이다. 연구의 범위는 두 장르에 등장하는 동일 인물들 중 주요 배역들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고찰과 사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요소 중 형태와 소재에 비해 색상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형태는 아이템과 실루엣에서 유사하게 표현되었고, 소재는 영화의상이 뮤지컬의상보다 고급 소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색상은 뮤지컬의상이 영화의상보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둘째, 두 장르 모두 역사적 고증에 기초한 시대의상으로 디자인되었다. 뮤지컬의상은 완벽한 재현이 아닌 당대를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영화의상은 대체로 정확하게 고증되어 디자인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현대적 해석도 가미되었다. 셋째, 뮤지컬의상은 인물의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색상의 차이와 변화를 이용하였고, 영화의상은 아이템, 실루엣, 소재의 사실적인 표현 방법을 이용하였다. 넷째, 뮤지컬에서는 연출가의 개성보다 무대상영이라는 공연의 특성이 부각되었고, 영화에서는 감독의 개성이 영화 전체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의상의 표현에도 드러났다. 다섯째, 뮤지컬은 공연의 원활한 진행과 배우의 움직임 및 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의상을 사용하여 퀵체인지의 수를 줄인다. 이를 위해 시대 고증보다는 공연에 적합한 의상디자인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카메라의 근접 촬영을 통해 사실적인 촬영이 가능하므로 의상디자인 제약이 적고 장면에 어울리는 의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대 고증을 통해 재현된 다양한 의상디자인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은 시대적 배경과 공간적 배경을 표현하고 등장인물들 각각의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시각적 요소이자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비언어적 도구이다. 장르별로 의상을 표현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표현양식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표현 특징에 차이가 있다. 장르별 의상디자인 기획 및 제작 과정에 대한 부분을 다루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관련 분야의 의상디자이너 전공자 및 실무자의 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a design expression mode of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by comparing the costume of works which are reprocessed as the art for a stage performance like musicals and theatricals, etc., and the art for an imagery performance like a movie starting from a drama, or a novel. The study subjects include the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of the main characters of ‘Sweeney Todd’ which has been performed and screened in Korea. The rang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main cast members among the same characters appeared in both genres.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were used as the methods for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finite difference in color in comparison with forms and materials among design elements. Also, this study result showed that a form was expressed similarly in items and silhouettes while fine quality materials were more used in movie costume than in musical costume; in addition, color was used more diversely in musical costume than in movie costume. Second, both of the two genres were designed as period costume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Musical costume was created by the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time dramatically other than a flawless reproduction. Movie costume was designed through accurate historical research on the whole, and in some cases, modern interpretation was also added to movie costume. Third, musical costume used mainly the difference and variations of color to express personalities of characters while movie costume used a graphical expression technique of items, silhouette and materials. Fourth, in musical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age showing were highlighted rather than a director’s personality, and in movies, a director’s personality had an influence on the whole of a movie, which was exposed even in the expression of costume. Fifth, musicals were found to reduce the number of quick changes using the minimum costume for the sake of smooth progress of a performance, actors and actresses’ movements and safety. It seems that a musical might pursue costume design suited for a performance rather than background research to meet its purpose. In contrast, it’s possible for a movie to do realistic filming through the close-up of a camera, so there are fewer restrictions on costume design, and the costume fit for a scene is available. Accordingly, it seems that diverse costume designs, which are reproduced through background research, are feasible for its purpose. Putting the above things together,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are important visual elements for expressing time setting, and spatial background as well as respectiv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also non-verbal tools leading a narrative.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costume expression by genre, and also in expression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ccording to an expression mode.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위한 무대의상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수연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4

        For the cultivation of future talents and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for happiness, our country implemented ‘Free-Semester’ along the way in 2016. Particularly, due to the growth and diversification of the fields of performing arts, the area of costume design has broadened, and the need of design education increased as well, the programs suitable for this are incomplet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gn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teenagers with an opportunity to cultivate their career competencies and explore their career for successful realization of free-semester.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free-semester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ed a total of 16 periods of educational program using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and business process of costume desig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execution with 74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B middle school in S-gu, seoul city, and its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ade point average of the item ‘had an interest in costume design and clothing-related career path’ was 4.04/5, which 70(94.59%) out of 74 students gave more than theoretical average mark(3). Accordingly, it could be seen that this program was successful in that it allowed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free-semester program to know and have an interest in costume design and clothing-related career path.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esign-related programs meeting the purpose of free-semester including this program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미래인재 양성 및 행복교육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는 2016년 ‘자유학기제’를 전면 실시하였다. 특히 공연예술 분야의 성장과 다양화로 인해 무대의상디자인의 영역은 광범위해지고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청소년의 진로역량함양 및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의 현황을 고찰하고, 무대의상디자인의 교육현황 및 업무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총 16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S구 소재 B 중학교 1학년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실행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를 분석한 결과 ‘무대의상디자인과 의상 관련 진로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항목의 평균 평점이 4.04/5로 총 74명 중 70명(94.59%)이 이론적 평균(3) 이상의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로 하여금 무대의상디자인 및 의상관련 진로를 알고 관심을 부여하는 데 성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비롯하여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을 기대한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와 변천

        박수연(Park, Su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셰익스피어 작품의 무대의상은 희곡의 시대 · 문화적 배경을 설명해 줌과 동시에 캐릭터의 성격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셰익스피어 희곡의 광대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 광대나 무대의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로, 셰익스피어 희곡의 궁정광대를 중심으로 광대의상의 특징요소와 변화양상을 심도있게 파악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와 변천 분석을 통해 셰익스피어 작품의 궁정광대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셰익스피어 희곡의 광대 캐릭터 연구와 궁정광대 캐릭터의 역할 및 성격, 의상의 요소를 고찰하고 특징요소의 기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1850년부터 2017년까지의 『좋으실 대로(As You Like It)』의 터치스톤(Touchstone), 『십이야(Twelfth Night)』의 페스테(Feste), 『리어왕(King Lear)』의 바보(Lear’s Fool) 가 나타난 작품의 연극 초상화, 공연 사진자료를 대상으로 총 27벌의 의상 자료를 수집하여 19, 20, 21세기로 나누어 시기별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와 변천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는 중세시대 궁정광대 의상을 기반으로 수탉의 볏(Cock’s Comb), 나귀의 귀(Asses’ Ears), 파티칼라(Parti- Colored), 홀 (Scepter), 대깅(Dagging), 종(Bell), 풀렌느(Poulaines), 호즈(Hose)로 나타났다. 둘째, 이는 시기별로 변화양상을 보였는데, 종합적으로는 나귀의 귀 · 종, 파티칼라, 호즈, 대깅, 홀, 수탉의 볏 · 풀렌느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19세기에는 중세시대 궁정광대 의상을 기반으로 나타난 반면, 20세기를 기점으로 작품이 제작되는 시기의 복식사적 경향과 현대적 재해석에 따른 변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21세기에 이르러 더욱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시기가 변화함에 따라 특징요소의 본질은 유지되나 표현방법에 있어 재해석되고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사적 경향과 디자이너의 의도에 따른 재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무대의상 디자이너들에게 창의적인 발상을 자극하고 셰익스피어 작품과 관련된 예술가들에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Theatrical costumes in Shakespeare’s plays explain not onl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plays but also describe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clown characters in Shakespeare’s plays and the clowns or theatrical costumes, and that no study has ever evaluat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changes of court jesters’ costumes mainly focusing on the court jesters in the Shakespeare’s plays in depth.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a court jesters are expressed in Shakespeare’s play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changes of court jesters’ costumes. For a method,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mbined, and for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clowns’ character and the roles, the natures, and the costume elements of court jesters in Shakespeare’s plays were examined, and previou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standard for characteristic elements. For empirical research, a total of 27 pieces of costumes were collected with the data of theatrical portraits and performance photos worn by Touchstone in 『As You Like It』, Feste in 『Twelfth Night』, and Lear’s Fool in 『King Lear』 between 1850 and 2017,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ourt jesters’ costumes were investigated dividing into the 19<SUP>th</SUP>, 20<SUP>th</SUP>, and 21<SUP>th</SUP> centu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ourt jesters’ costumes shown in Shakespeare’s works were cock’s comb, asses’ ears, parti-colored, scepter, dagging, bell, poulaines, and hose based on the court jesters’ costumes in the Middle Ages. Second, these elements varied for each time period; synthetically, asses’ ears · bell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parti-colored, hose, dagging, scepter, cock’s comb · poulaines. In the 19<SUP>th</SUP> century, they appeared based on the court jesters’ costumes in the Middle Ages, whereas their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dressing history and the current reinterpretation in the period of play production appeared beginning in the 20<SUP>th</SUP> century. This tendency has become more frequent in the 21<SUP>th</SUP> century; nevertheless, and as the times change, it could be seen that the essentials of characteristic elements are maintained, but the expression ways are reinterpreted and changed.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ourt jesters’ costumes in Shakespeare’s works are being reinterpreted depending on tendency of dressing history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designers’ intention. Accordingly, they appear in different expression 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stimulate the creative idea of theatrical costume designers an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artists related to Shakespeare’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