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묘사의 개념과 방법 연구 -사고 작용의 관점에서-

        김종률 ( Jong-ryul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5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묘사의 개념과 방법을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사고 작용의 관점에서 묘사의 개념과 더불어 그에 적합한 묘사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 보여준 묘사의 개념은 대체로 회화적 차원에 머물러 국어교과의 특성을 보여주지 못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묘사의 방법 또한 그 개념의 연장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이분화되면서 대립적 관계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묘사의 개념 속 의미망의 하나인 ‘그리다’를 언어 행위로서의 ‘표현하다’로 변용하였다. 다음으로 ‘무엇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서 ‘어떻게’에 해당하는 용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사고작용의 관점에서 ‘사실적으로’, ‘형상적으로’, ‘정서적으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묘사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묘사란 사물이나 풍경, 현상, 현실, 인물 등으로서의 대상을 사고 작용에 의한 언어사용을 통하여 사실적으로, 형상적으로, 정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 개념과 관련하여 묘사의 방법은 사실적 묘사, 형상적 묘사, 정서적 묘사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묘사가 맞물려 있는 복합적 묘사가 설정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concept and method of description in the perspective of operation of thinking, based on review about concept and method of description made in previous study. The concept of description made in previous study is described generally in the pictorial dimension. So the concept does not show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The method of description made in previous study also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extension of the concept. As well as the method is divided into two simply, it is set to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changed the draw set in the concept of description to ‘express’ as language act. Next set ‘realistically’, ‘figuratively’, ‘emotionally’ in the perspective of operation of thinking, considering importance of theoretical term corresponding to the How in ‘How to express.’ Based on this discussion, concept of description can be set as follows. Description is to express realistically, figuratively, emotionally the subject as object, landscape, phenomenon, reality, character etc. through language use by operation of thinking. with respect to the concept, method of description can be set to realistic description, figurative description, emotional description. And complex description can be set by the engagement of these description.

      • KCI등재

        김훈 소설에서 묘사의 문제 -『내 젊은 날의 숲』을 중심으로

        김주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6

        This paper focuses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world that is revealed through the description. The object that Kim Hoon describes in The Forest of My Young Days starts with a small flower and ends up being a scenery. The protagonist is an artist who paints botanical art on canvas and at the same time a narrator who expresses what he cannot draw and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By distinguishing ‘see’ from ‘seen’, the author highlights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the process of painting and describing it as a major narrative situation. The prosperity realm of Kim Hoon does not lie in overlapping the issue of epistemology in painting. It is to replace and magnify the problem with a problem of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For Kim Hoon, describing the object would be describing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created with the subject. Why? Despite its outstanding sensual brilliance, the end of the forest comes into being something that cannot be described in The Forest of My Young Days because it is the ‘scenery’ of the Autre. What Kim Hoon's description world challenges is not the world of autre who can fully define and control the object with language expressions. Only when one departs from the ideology of "landscape" in the liberal arts of Eastern, one can meet the scenery of the Autre. The scenery meeting outside all ideologies is the Autre and a cosmic futility. When the scenery becomes foregrounded, things like historical or social and political topics can be backgrounded. This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ality of Kim Hoon's novel, especially the novel The Forest of My Young Days. In Kim Hoon's novel, scenery is not subordinate to the subject as an ancillary existence, or as an excuse for setting. It comes as a hidden protagonist, hard to describe in itself. 이 연구는 묘사를 통해 드러나는 작가와 세계와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주력한다. 김훈이 『내 젊은 날의 숲』에서 묘사하는 대상은 작은 꽃 하나에서부터 시작해결국 풍경이라고 할 수 있다. 주인공은 화폭에 식물 세밀화를 그리는 화가이면서동시에 텍스트 도처에서 그릴 수 없는 것, 묘사 불가능성을 토로하는 화자이기도하다. 작가는 ‘본다’는 행위와 ‘보인다’는 사실을 구분함으로써 그림에 이르는 과정, 묘사하기 과정의 방법론적 문제를 주요 서술 상황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김훈 득의의 영역은 그림 그리기에 인식론의 문제를 중첩시킨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그 문제를 묘사 불가능성의 문제로 치환하고 확대한다는 데 있다. 김훈에게 대상을 묘사한다는 것은 대상과 함께 생성된 묘사 불가능성을 묘사하는 일이 되는 것이다. 왜 그런가? 빼어난 감각적 탁월성에도 불구하고 『내 젊은 날의 숲』에서 숲이 끝내는 묘사될 수 없는 것으로 등장하는 까닭은, 이를테면 숲이 대타자의 ‘풍경’이기 때문이다. 김훈의 묘사 세계가 도전하는 것은 언어 표상으로 대상을 충분히 정의하고 장악할수 있는 소타자의 세계를 넘어서 끊임없이 묘사 불가능성의 곤경을 동반하는 대타자의 세계이다. 동양의 인문 교양 속에 있는 ‘산수’라는 이데올로기를 벗어나야 비로소 대타자 풍경을 만날 수 있다. 모든 이데올로기를 벗어난 지점에서 만나는 풍경은 대타자이며, 우주적 허무이다. 풍경이 전경화될 때 역사적 주제 혹은 사회적· 정치적 주제 같은 것이 후경화될 수 있다는 것은 김훈 소설, 특히 『내 젊은 날의 숲』의 소설 현실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김훈의 이 소설에서 풍경은 주제의 보조적인 존재로서, 혹은 세팅의 한 구실로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 자체만으로도 묘사하기 힘들고 벅찬 숨은 주인공으로 다가와 있다.

      • KCI등재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묘사’의 방법론 고찰 : 1930년대 비평과 소설을 중심으로

        김미지(Kim Mi-ji)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묘사는 소설의 성패를 가늠하는 잣대로 여겨질 만큼 중요한 텍스트 요소이지만 성격상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삭제해도 서사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서사의 잉여 또는 군더더기이기도 하고 서사의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이기도 한 양가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묘사는 이런 점에서 서사와의 관련성, 서사 안(또는 밖)에서의 기능 문제, 유형화의 가능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는 텍스트적 자질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한국 근대 문학에서 묘사의 방법론을 추출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근대 비평에 나타난 묘사론과 소설 텍스트에 나타난 묘사 방법의 문제를 몇 가지 쟁점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묘사의 방법론을 추출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근대문학에서 묘사론이 범박한 일반론에서 벗어나 이론적 구체성을 띠게 되는 것은 30년대 장편소설들의 등장과 함께이다. 한국 문학 비평에서 ‘묘사’의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것은 세태묘사의 소설이나 풍속소설 등 30년대 후반의 특징적인 소설 양식의 출현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본격적인 이론적 탐색 또한 그러한 텍스트의 확보를 통해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핍진성, 리얼리티, 서사내적(외적) 장치로서의 기능과 같은 묘사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 그 결과이다. 묘사의 문제는 흔히 생각하듯 ‘핍진성의 확보’라는 저자의 목적론이나 인식론과는 오히려 무관한 지점에 놓여 있다. 즉 묘사가 제기하는 문제는 그보다는 그것이 속한 텍스트 또는 그것과 다른 텍스트의 소통과 효과의 문제이며 서사체 내의 정당화에 관한 것이다. 본고는 묘사가 ‘현실’의 그럴듯한 재현이나 핍진성을 보증하는 장치라기보다는 서사성을 강화 또는 약화하는 방법론이 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서사를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들 예컨대 사건의 무대라든가 인물의 시선 이동이나 성격화와 같은 것들이 묘사의 정당성을 위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reread the meaning of socialist literary movement in 1920's in terms of 'human nature'. Having a close look at the two parts, there is a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marxism and anarchism. However, marxists in KAPF regarding themselves as orthodoxes excluded anarchists from KAPF, which made them distance themselves from Marx's belief in human nature. It was Marx that had an utopian dream of free associated society founded upon natural power of human beings and mutual aids between them. Moreover, in the name of scientific socialism KAPF failed to notice anarchists claims that people with creative instinct as well as abilities of self-government should be the very subject of socialist literary movement. It is clear that KAPF failed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issue of human nature in Marx's dreams and thoughts even though it played an essential role in setting an agenda for recovery of oppressed instinct of human beings in capitalist society. Instead of marxists in KAPF, anarchists shared key ideas with Marx. Everyone in social movement has a firm belief that human nature can change. But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fact that without thorough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considering the problem of it, it is impossible to change our society.

      • KCI등재

        소설(小說) 읽기를 위한 묘사(描寫) 교육(敎育) 내용(內容) 연구(硏究) -현덕(玄德)의 '노마 연작(聯作)'을 중심(中心)으로-

        이인화 ( Lee In-wha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이 硏究는 描寫가 단순하고 脫脈絡的인 命題的 智識으로 취급되고 있는 現況을 비판적으로 檢討하고, 묘사에 대한 이해가 소설 이해에 도움이 됨을 밝혀 묘사 교육 내용을 具案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묘사는 作家가 讀者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媒介이고, 독자는 묘사의 意味를 적극적인 의미 推論의 대상으로 認識해야 한다는 疏通論的 觀點에 터하고 있다. 묘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묘사의 主體와 條件, 묘사의 客體가 필요하다. 소설 속에서 묘사의 주체인 敍述者는 對象-人物, 對象-人物 外, 視空間에 대해 敍述하게 되는데, 이때 스토리 시간이 遲延되고 事件으로부터 거리감을 갖는 동시에 사건과의 聯關性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묘사를 통한 소설 읽기의 實例를 보이기 위해 玄德의 노마 聯作을 分析하였다. 그 결과, 묘사는 場面化를 통해 사건을 綜合하고, 낯설게 하기를 통해 倫理的 感覺을 提高하며, 情緖 表現을 통해 독자의 共感을 이끈다는 사실을 確認했다. Description is a familiar concept but, it is not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 a result of review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it is clear that description education is in disord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spect description in novel education. In this research, description is set up as a thing of reception and inference. Enhancing the value of description in reading novel is intended. In a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description is a kind of mediation for delivering messages from an author to readers. Readers have a obligation to inference the meaning of description. From a dimension of communication, description is not a concept for defining, but a target of interpreting to understanding novels. To describe, the subject of description(narrator), conditions and the objects of description is needed. The narrator narrate object-characters, object- non-characters, time and space in novels. At this time, ⑴ story-time is delayed, ⑵ description put sense of distance with narrative events, simultaneously ⑶ description has relevance to narrative events. To show importance of description in reading novels, a series of 'Noma' written by Hyun-Deok are analyzed. After analysis, description ⑴ synthesize narrative events through scene making, ⑵ raise ethical sense through defamiliarization, and ⑶ induce sympathy of readers through expression of emotion is revealed. Such a thing of this results prove that description is a agency for communication between author and readers.

      • KCI등재후보

        국문장편소설의 묘사담론 연구

        김문희(Kim Moon - H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국문장편소설에서 빈번하게 드러나는 묘사에 주목하여 묘사의 양상과 그 인식적 기반을 살펴보는 것이다. 국문장편소설에서 묘사는 독자층의 인식이나 관심사, 문화적 기반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국문장편소설의 묘사에 주목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국문 장편소설의 묘사는 인물의 외면과 내면을 재현하며 공간을 재현하는 데 가장 두드러진다. 여기서 묘사양상과 서술자의 의도가 드러나고 묘사를 작동하는 인식적 기반을 살펴볼 수 있다. 인물의 외면묘사에서는 미추(美醜)의 과장법과 전고(典故)의 관습화라는 방식을 통해 사대부 계층이 인물을 바라보고 판단하는 이상적 미의식이 드러난다. 인물의 슬픈 내면을 표현할 때는 슬픔을 환기하는 단어와 문장을 병렬하여 독자가 슬픔에 감응하도록 하고, 분노를 표현할 때는 인물의 감정과 행동을 계기적으로 서술하여 독자가 인물의 분노의 감정을 이해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인물의 내면묘사는 사대부 여성이 자기 감정을 풀어내며 말하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하는 방법이 된다. 공간묘사에서는 현실적 공간 속에 탈속적 세계를 환기하는 이중적 공간 표지가 결합되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현실적 부귀를 추구하면서도 도덕적 품성과 같은 정신적 가치에 대한 지향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묘사는 물질적 번화와 부귀의 가치와 함께 도덕적 기품과 같은 정신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이상적 삶이라는 사대부 계층의 현실 중심적 세계관이 투영된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descriptions in Korean long piece novels to examine their aspects and epistemological foundation. In Korean long piece novels, a description is where the awareness and interest of readers are manifested in details.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the appearances of a character, her inner state of mind and the surrounding space are the most remarkable. In appearance descriptions, through exaggeration of beauty and ugliness, and through methods to customize authentic precedents, the ideal sense of beauty among the noble class reveals itself. In descriptions of the internal state of a character, when sorrow is expressed, the words and sentences conveying sadness are juxtaposed so that readers would be touched, and when anger is expressed, the emotions and actions of a character are described in a chronological order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angry feeling of the character. This manner of internal state description reflects the desire of women in noble families to express their emotions, the desire to describe oneself. Meanwhile, in descriptions of surrounding space, there appears a dual sign combined where an fantastic world is brought to mind in a realistic space. This reveals the desire of people to pursue moral clean-ness at the same timeas they pursue wealth and fame in reality. This space description reflects the realistic world view of the noble class that regarded an ideal life as one which balanced material wealth and value and moral dignity.

      • KCI등재

        『귀족의 둥지』에 나타난 자연묘사

        최동규(Choi Dong Gyu)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4

        인물의 심리묘사와 연결된 자연묘사 방식은 투르게네프의 작품에 아름다운 서정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서사 방식의 하나이다. 그러나 그의 두 번째 장편 소설 『귀족의 둥지』에는, 『예브게니 오네긴』의 따찌야나, 『죄와 벌』의 소냐와 더불어 러시아 문학의 ‘영원한 여성’으로 인정받고 있는 작품의 여주인공 리자의 심리묘사와 관련된 자연묘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이 작품에 나타난 자연묘사 방식에 대한 연구는 큰 관심을 받지 못해왔으며, 심지어 자연묘사가 이 소설의 서사에 중요한 기능을 차지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자연묘사가 이 소설의 주제 구현과 관련된 서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귀족의 둥지』의 자연묘사는 거의 대부분 소설의 주인공 라브레쯔끼의 심리묘사와 결합된 서사 속에 집중되어 있다. 자연은 라브레쯔끼가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명상의 순간에, 그리고 리자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키워나가는 장면들 속에 등장하여서 주인공의 심적 분위기를 반영하기도 하고, 더 나아가 주인공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숨겨진 등장인물’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처럼 암시된다. 라브레쯔끼의 심리묘사와 연결된 자연묘사의 장면들을 분석한 결과, 작가 투르게네프는 자연묘사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해서 라브레쯔끼의 심리와 결합되어 묘사되는 디테일들을 신중하게 선택한 후에, 선택된 디테일들에게 포괄적, 총칭적인 이름이 아니라 개별적 이름을 부여하면서 그것들을 등장인물과 교감할 수 있는 개체화된 특수한 사물로 개체화시키고 있다. 또한 다양한 색조와, 소리, 그리고 냄새를 지닌 디테일을 등장인물의 심리묘사나 특별한 서정적 분위기 창출을 위한 매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을 의인화하고, 비유 특히 은유를 빈번히 사용하며, 동음 반복이 이루어지는 단어들을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물의 개성을 두드러지게 하고 신비하게 만들면서, 풍경묘사에 강한 서정성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해서, 리자와의 행복한 사랑을 이루어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던 라브레쯔끼가 그 사랑의 좌절을 겪고 나서야 농노들을 위한 이타적인 새로운 삶을 살게 된다는 『귀족의 둥지』의 서사 속에서, 자연묘사는 작품의 주제 즉 사랑하는 사람과의 ‘행복한 삶’의 성취 여부는 인간의 뜻이 아닌 신의 뜻에 달려있다는 소설의 주제 구현을 위한 중요한 서사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The narrative device of Turgenev combining nature description with character’ state of mind is one of his well-known narrative devices. But somehow it is difficult to find a nature description related to Lisa, the heroine in 〈The Nest of Gentry〉, who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ternal Woman’ in Russian Literature along with Tatijana in 〈Evgenij Onegin〉 and Sonja in 〈Crime and Punishment〉. By some researchers think that the nature description does not play a great role in the narration of the novel.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make clear that in fact the nature description in this novel plays an important role of constructing the main theme of the novel. Most nature descriptions in 〈The Nest of Gentry〉 are centered in the narrations on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Lavretskij, and are combined with the descriptions of his state of mind. Nature descriptions are located either along with Lavretskij’s meditation on the meaning of his life, or along with his emotions filled with love toward Lisa. Thus they not only reflect Lavretskij’s state of mind, but also console and encourage him, playing the implied role of ‘a hidden character’ in the novel. After analyzing the scenes where the nature descriptions are combined with the description of Lavretskij’s state of mind, it is made clear that the author cautiously selects the details in the nature for the nature description and gives the details not names for the species but individualized names, and also gives the details in nature descriptions various colors and sounds and smells in order to make lyrical mood from the scene or in order to hint the readers Lavretskij’s state of mind. And this article finds that the author uses the pathetic fallacy with many other narrative devices such as, making natural details more characteristic or mysterious, using many similes, metaphors, and words having same homophone, thus gives the nature description stronger lyrical mood.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nature descriptions in 〈The Nest of Gentry〉 given in the story line that after being frustrated in his hope to have happiness with his love for Liza, Lavretskij starts living for the peasant, are being used as an important devices for construction the main theme of the novel that he who tries to have happy life realizes the natural law that the human being’s happiness does depend not on the will of man but on the will of God.

      • KCI등재

        신라 적석목곽묘 묘사(墓祀)의 성격과 의미

        김은경(Kim Eun-kyung)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2 No.112

        이 글은 그동안 고분제사 혹은 무덤제사라고 하는 소위 ‘제사·제의유구’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적석목곽묘의 주변에서 확인된 제사유구는 고분 축조 완료후 진행된 묘사(墓祀)로 해석할 수있고, 비교적 다양한 양상이 확인된다. 신라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된 묘사의 특징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 유형이 관찰된다. 첫 번째는호석 주변에서 대호를 비롯하여 각종 토기류가 확인되고, 그 밖에 옹관묘와 말무덤이 확인되기도한다. 두 번째는 특정 고분에 해당되지 않지만 고분군 내 특정 구역에서 대호를 사용한 각종 묘사관련 유물이 확인된다. 또한 ‘석재구조물’이라고 불리는 방형·원형의 단독부장곽도 확인된다. 마지막으로는 주구에서 각종 토기류와 동물유체가 훼기된 상태로 매납된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유형을 종합하여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된 묘사의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신라의 묘사는특수한 인물에 한하여 시행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러한 의례의 특징은 대호를 사용한 음식공헌의례라고 파악된다. 그간 의례용기는 소형의 특수 기종을 중심으로 파악되어 왔으나, 대호 역시단순한 저장용기가 아닌 의례용 용기, 그중에서도 음식공헌의례라는 특수한 용도의 저장용 토기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다만 대호를 사용하였지만 ‘원통형 구조물’과 결합된 경우는 음식공헌의례를위한 것이기 보다는 유물 자체가 벽사의 성격 혹은 주술적 성격을 가진 대용품으로 추정된다. 신라의 묘사는 기본적으로 조상제사로 볼 수 있다. 고대사회에서의 의례는 내재된 신분적 차등질서와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었기 때문에,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된 묘사는 의례주관집단이 정치적 지위의 정통성과 계승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정통성 확보 전략 중 하나는 선축된 고분에 연접하여 새로운 고분을 축조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묘사는 고분이 가지는 장소성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특정 집단의 사회적인 결속 혹은집단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살펴보면 각 고분에서 확인되는 묘사의 독창적인 특징들, 즉 원통형 구조물과 도치된 대호 부장유구, 단독부장곽 등은 곧 해당 고분의 축조집단 혹은 특정 정치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주는 표지라고 할 수 있다. Three types are obser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墓祀) of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from Silla. First, around Hoseok (護石), many kinds of earthenware including great jars (Daeho; 大壺) are found. Also, a jar coffin tomb and horse tombs are observed, too. Second, inside the ancient tomb, many kinds of memorial service relics using Daeho and also square and round independent Grave goods burial compartment(副葬槨) are found. Lastly, in Jugu(周構), too, earthenware and animal bones are buried. To sum up what is written above, Sill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s Myoje is characterized as food ritual using Daeho. In addition, ‘the cylindrical structure’ is not for food ritual but the relic itself equip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yeoksa(辟邪) or shamanism. Silla Myoje is basically an ancestral memorial service. In ancient society, rituals were the means of securing the internalized order of graded social status and political justifica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yoje of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was used as a strategy that the political families or the groups holding the ritual employed to maintain the legitimacy of their social status and relations of succession.

      • KCI등재

        <소현성록>에 나타난 외모묘사의 양상과 특징

        최윤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1 No.-

        이 논문은 17세기 중후반에 창작된 국문 장편소설 <소현성록>에 나타난 외모묘사의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소현성록> 등장인물에 대한 외모묘사 어구들을 추출하여 신체 부분별로 나누고 등장인물의 외모와 생김새를 비교해 봄으로써 남녀 외모묘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였다. 남녀 공통으로 특정 부위가 묘사되고 있으나 남녀 차이가 나타나는 것, 묘사에 있어 남녀 차이가 나지 않는 것 그리고, 묘사에 있어 한쪽의 성에만 주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골격, 기질, 풍채, 이마, 눈썹, 미우, 눈, 귀밑은 묘사에 있어 남녀 차이가 나타났고, 피부, 얼굴, 양볼, 어깨 묘사는 남녀 차이가 나지 않지 않았다. 그리고 머리, 입술, 허리, 신장은 여성에게만 주도적으로 묘사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외모묘사에 사용된 비유어들을 추출하여 <소현성록> 인물 묘사의 특징을 분석했다. 첫째, 등장인물의 상호 관계에 따라 신체 전체의 비유도 달리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조선 후기 소설들과 달리 <소현성록>에서는 사물에 대한 비유나 전고의 인물을 거의 빗대어 사용하지 않았으며, 손에 대한 비유도 없었다. 둘째, <소현성록>에서는 꽃과 일월성신과 같은 자연물의 비유를 통해 구체적으로 인물의 변별 자질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등장인물의 외모와 생김새를 구체적으로, 경험적으로 살핌으로써 <소현성록>의 묘사의 양상과 특징을 고찰함으로 17세기 중후반의 장편소설의 미의식을 탐색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This paper, there is a purpose in order to analyze the appearance description of persons appearing in the <Sohyonsunglok>. Ideological part of the portrait when you read the full-length classic novel that has been cre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rather than read in fiction, the fact that I will read specifically, put the final goal. In the first method, and those depicting the entire body to find the description part of the appearance, were classified in that depicts the part of the body. Further, in this classification, it reveal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piction of men and women. In the second metho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rait which extracts figurative language that was used to the appearance depicted appearing in <Sohyonsunglok>. Appearance depiction, mainly skeleton and temperament, for the attitude, accounted for most of the amount. The person is most often portrayed person named SokSukLan, a man named as follows: Sohyunsung depiction there were many. <Sohyonsunglok> features of appearance depiction is that not even in the old days of the person of China. And is that to ensure the concreteness to resemble the natural objects. Further, the flower, the sun, the moon, cleanliness overall person through natural objects such as stars, sunny,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an attempt to show the brightness.

      • KCI등재

        이광수 초기 단편소설의 묘사 유형과 기능

        조계숙 ( Cho Gye-sook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4 No.-

        이 논문은 이광수가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쓴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근대 초기의 묘사문장의 유형과 기능이 어떠했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근대사회는 새로운 세계관이나 사유의 틀을 요구했고, 근대소설은 새로운 문예사조를 매개로 창작 기법이나 세계관의 변화를 담는 장르가 되었다. 따라서 이광수가 시도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문장은 근대의 새로운 기법이자 세계관의 표출이라는 것이 서론의 전제이다. 본론에서는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묘사문장들을 시간, 공간, 인물, 자연이라는 네 영역으로 나누어 유형화한 다음, 그 유형들이 소설의 구성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근대적 시간묘사는 밤 시간의 감각적 묘사유형과 근대적 서사의 확대 기능, 시간의 주관적 묘사유형과 서사 시간의 속도 조절 기능으로, 근대적 공간묘사는 이국적 공간의 묘사유형과 근대적 서사 공간의 전경화 기능, 공간의 주관적 묘사유형과 서술자와 인물의 어조 통일 기능으로, 근대적 인물묘사는 인물의 비교 대조 묘사 유형과 인물 주도형 서사 기능, 인물의 다층적 관찰묘사 유형과 근대적 개인의 개별성 부각 기능으로, 근대적 자연묘사는 자연의 반복 묘사 유형과 서사단위의 진출입 기능, 자연의 변주 묘사 유형과 심리의 상징적 대리 기능으로 집약되었다. 이광수 이후의 작가들이 어떤 묘사문장을 통해 그들의 미의식을 드러냈는지는 후속연구로 남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ypes and functions of description in the early short stories written by Lee, Gwang-Soo around the time when he has finished the first modern novel titled 「Moojeong」. He tried to exercise and create new types of descriptive sentences at that time. And the new modern descriptions were related to modern aesthetic distinctions and ways of thinking. It was to be classified into four objects, that is to say, description of time, space, character and nature. What this study found in result are two phases in brief. Firstly the types of descriptions are describing evening and night sensitively, describing time subjectively, describing exotic space, describing space subjectively, describing characters comparatively, describing one character from different viewpoints, describing nature repeatedly and describing nature in a series of variation. Secondly the functions of the descriptive types are magnifying modern narrative, handling narrative speed, standing out modern narrative space, being identical narrator and character, character leading narrative, focusing on modern individual, sign dividing narrative units and acting as substitute for describing mentality. I hope this study would be based on the next studies investigating modern aesthetic sentences and ways of thinking comparing to the other novelists.

      • KCI등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공간 묘사와 공간 인식

        김문희(Kim, Moon Hee)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인 『소현성록』,『조씨삼대록』, 『임씨삼대록』에 나타나는 공간 묘사의 유형성을 살펴보고 공간 묘사의 유형성에 투영되어 있는 소설 향유층의 인식을 논의하는 것이다.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은 다른 고전소설에 비해 공간 묘사가 풍부하게 드러난다. 특히 가문의 근거지 묘사와 여성적 공간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지는데 이 공간 묘사를 통해 소설 향유층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 인식, 윤리적 인식, 낭만적 인식을 포착해낼 수 있다. 가문의 근거지를 묘사할 때는 광활함과 탈속의 공간 묘사와 번화함과 탈속의 공간 묘사가 유형적으로 나타난다. 이 중 가문의 근거지에 대한 번화함의 묘사는 사대부 계층이 가지고 있는 물질적 욕망을 극대화한 것이고, 가문의 근거지에 대한 광활함과 탈속의 묘사는 물질적 욕망의 부정성을 상쇄하는 정신적 기품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결국 이러한 공간 묘사의 유형성은 사대부 계층이 가지고 있는 물질적 욕망과 정신적 기품의 균형 감각을 보여준다. 여성적 공간을 묘사할 때는 사치와 근검의 공간 묘사, 정묘와 아치의 공간 묘사, 애정과 매혹의 공간 묘사가 유형적으로 나타난다. 그 중 사치와 근검의 공간묘사, 정묘와 아치의 공간 묘사는 윤리적 관점에서 여성적 공간의 가치를 판단하고 공간의 자질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공간을 재현하기보다는 유교적 윤리의식이 보다 상위에서 공간 자체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고 소설 속 공간을 재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대부 계층의 윤리적 인식과 주관적 미의식을 보여주는 좌표가 된다. 애정과 매혹의 공간 묘사는 남성의 애정 욕망과 매혹 심리를 섬세하고 심미적으로 표현하여 애정과 매혹의 공간이 일상과 다른 특별한 곳으로 만들고, 독자가 애정 행각에 대한 이성적 판단을 잠시 접어두고 남성 인물의 매혹심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이것은 애정 욕망을 낭만적으로 바라보는 사대부 계층의 인식을 드러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to describe and recognize space in Sohyeonseongrok, Jossisamdaerok and Limssisamdaerok of three generation series of Korean long novels. Space description is more abundant in the three generation series of Korean long piece novel compare to the other Korean classic novel. Especially, There are a lot of description about the base of a family and woman"s spaces. This space description is a tool to show reality recognition, ethical recognition and romantic recognition of writer and reader of the novel. The novels employ spaciousness and unworldliness, and prosperity and unworldliness in depicting the base of a family. These space descriptions show the balance in material desires and spiritual dignity which the gentry have. They use luxury and frugality, and precision and chic to describe women"s spaces. This shows the gentry’s ethical recognition and subjective aesthetic. Affection and fascination used in space description express men"s mentalities like their lusts and fascination in detail and aesthetically. This reveals the gentry"s romantic recogni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 research into the space description on three generation series of Korean long piece novel from a new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