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민수의 설치미술 연구: ‘메타복스’와 ‘30캐럿’ 소그룹을 중심으로

        심진솔(Jin Sol Shim)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50

        본 논문은 하민수(1961-)의 설치미술을 1980년대 ‘메타복스(META-VOX)’와 1990년대 ‘30캐럿’ 소그룹 활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하민수는 작업 활동을 해왔던 대부분의 기간 동안 소그룹에 속하여 작품의 형식과 주제 의식을 탐구하였기 때문에 소그룹 활동이 작가의 작업 세계의 중심축을 형성하였다. 탈모던을 표방한 메타복스 활동 중 하민수는 설치를 매체화하여 오브제에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담아내는 독자적인 시각 언어를 발전시킴으로써 메타복스의 멤버들과는 다른 길을 걷는다. 메타복스 해체 이후 하민수는 여성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세상에 대한 공통의 목소리를 내고자 30세 전후의 여성작가 10명으로 구성된 소그룹 30캐럿의 결성을 주도한다.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총 7회의 전시를 개최하면서 여성의 본질, 남성성, 한국성, 사회적 병리 현상, 환경, 결혼 등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하여 대담하게 논평하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30캐럿은 민중미술 계열의 페미니즘과는 다른 길을 걸었던 소그룹 운동으로 대학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중산층 여성작가의 입장에서 주체적인 목소리를 내고자 했던 의미 있는 시도였다. 하지만 30캐럿은 한국의 주류 페미니즘 미술사에서 탈락되게 되는데, 본고의 필자는 그 원인을 1990년대에‘ 사적인’ 여성의 경험을‘ 공적인’ 영역으로 공론화시킬 수 없었던 페미니즘 담론의 부재로 인해 한국 페미니즘 미술사에 존재하게 된 공백이라고 파악하고, 30캐럿을 한국 페미니즘 미술의 맥락에 재위치시켰다. Min-su Ha (b. 1961) is a Korean artist based in Seoul. This article explores her development of a unique visual language through examining her artworks from the 1980s to the 1990s focusing on the small groups META-VOX and 30 carat. META-VOX is a ‘tal-modern’ small group, which aimed to overcome Korean modern aesthetics that prevailed in the 1970s. During the META-VOX period, Ha sought to express her own experience and feelings through the medium of objects and installation. In the 1990s, Ha took the initiative in forming 30 carat, which consisted of ten women artists in their early thirties. Through seven exhibitions from 1993 to 2000, Ha rigorously delved into subjects such as femininity and masculinity, Koreannes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While 30 carat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mall group movements in the 1990s, which took a different path from the feminist art movement affiliated with Minjung art in the 1980s, it has not yet received proper critical attention.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blank space in Korean feminist art history caused by the absence of feminist discourse bringing women’s personal experience into the political realm, and relocates 30 carat in the context of Korean feminist art history.

      • KCI등재

        1980년대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설치미술: 표현매체로서의 물성, 그리고 현실과 전통

        이윤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This paper aims to focus specifically on restoring the installation works of Nanjido and Meta-Vox, two small art groups in the 1980s that have only been discussed as an example of post-modernism and as a background for Korean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It also aims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aspects. In particular, it reconsiders their works by raising questions about their limitations as pointed out by literature, such as “following the search for materiality as before” and “expanding only the formal level.” Their installation art originated from a desire to challenge the rigidity of the Korean art scene, which was divided into Dansaekhwa and Minjung Art. While their works are relevant to the influence of neo-expressionism, an international trend at that time, they also have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sets them apart from overseas art: their method of using the materiality of everyday objects as the main means of expression. This characteristic stems from appropriating the materiality that was a main characteristic of Korean art in the 1970s. Moreover, in terms of content, the works of Nanjido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which was urbanized and industrialized, and the works of Meta-Vox explore various Korean traditions. In this way, Nanjido and Meta-Vox endeavored to overcome the rigidity of Korean art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materiality” and “reflection of reality and tradition,” in contrast to previous evaluations by literature. Their works were essential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rt scene at the time, demonstrating their attempts to explore new art and transform Korean art from within the inner context, not just through the imitation of overseas art.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사례 그리고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의 배경으로서만 다루어진 1980년대 미술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설치미술을 구체적으로 복원하고 그 특징과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동안 그들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성세대의 특징인 물성 탐구의 답습 그리고 형식적 층위만의 확장이라는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두 소그룹의 설치미술에 대해 재고하고자 한다. 일상 사물의 물성을 표현의 주요 수단으로 삼은 그들의 설치미술은 단색조 회화와 민중미술로 양분된 한국미술계의 경직성에 대한 반감 그리고 자유로운 미술 표현의 갈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의 미술은 당시 국제적 조류였던 신표현주의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지만, 그 해외미술과 차별되는 지점이 존재한다. 그것은 물성을 표현의 수단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작가들이 1970년대 한국미술의 특징인 물성을 전용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내용적인 면에서, 난지도는 도시화·산업화된 당대 현실을 반영하였고, 메타복스는 다양한 전통을 탐색하고 적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처럼 난지도와 메타복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물성의 전용’과 ‘현실의 반영과 전통의 적용’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경직성을 타계하려 하였다. 이는 당시 한국미술계의 맥락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단순한 해외 미술의 도입을 통해서가 아닌 내적 흐름 안에서 새로운 미술을 탐색하고 한국 현대미술을 전환하고자 했던 그들의 시도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