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 디지털 뉴스 이용의 관계

        변경가,김현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 literacy and digital media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digital natives and Generation Z. This study diagnosed critical media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investigate their daily digital news us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media literacy levels and digital news use. The analysis on the data of university students’ critical media literacy and digital news use showed that their media literacy levels are quite high, but their media practices are not. They perceived the credibility of social media as a source of information to be moderate and believed it to be trustworthy in attractiveness rather than qualifications or expertise. Nonetheless, they reported that social media is the primary source of news in their daily lives.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goal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transfer their media literacy skills into everyday media practices.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increase of the interest of researchers in the area of university media literacy education. 본 연구는 디지털 원주민이자Z세대인 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과 디지털미디어 실천을 살피고,양자 간의 관계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에 따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를 진단하고 일상에서의 디지털 뉴스 이용 양상을 조사한 뒤,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과 디지털 뉴스 이용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참여 대학생들의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고,이들은 정보의 출처로서 소셜미디어의 신뢰도를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이것이 적격성이나 전문성보다는 매력도 측면에서 신뢰할 만하다고답하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를접한다고 밝혔다.또한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자신이 선택한 미디어가 믿을 만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확인되어,별다른 이유가 있지 않는 한자신의 현재 디지털 뉴스 이용 방식을 지속할 것임이 예측되었다.주요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면,대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신장을 넘어 자신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일상의 실천으로 연계할 수 있는 데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았고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에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에도,해당 역량을 일상에서의 비판적 미디어 실천으로 전이시키지 못했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다각도로 조명하고 그 관계를 실제적으로밝혔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데이터피케이션(datafication)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데이터 리터러시 논의의 대안적 검토를 중심으로

        김연지,서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5

        이 연구는 리터러시 교육이 데이터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한 문식 환경의 변화를 포섭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다.논의의 개진을 위해,데이터피케이션 현상의 쟁점을 문식 주체가 경험하게 될 문식 실천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데이터피케이션 소통 환경 속에서 주도성 상실,데이터 인식론의 지배,통제와 같은문제에 처한 학습자들을 위해 리터러시 교육의 국면에서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어서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해,데이터 리터러시 논의가전개되어온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데이터 리터러시는 빅 데이터 기술의 편재와 함께 그 응답으로서 주목을 받아온 개념이다.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의 학제적 성격과 핵심적인 의미역을 검토하고,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담론의 지형을 확인하였다.또한 데이터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데이터 리터러시의 대안적 논의와 그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종합적 검토를 바탕으로 비판적 리터러시에 터한데이터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이 연구는 데이터피케이션 소통 환경에서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있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 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멀티리터러시」

        김종규 ( Kim Jong-gyu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멀티리터러시를 현실과 디지털 현실의 구축과 이해의 능력이라는 통합적 역량으로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리터러시들(multiliteracies)은 디지털 전환 이후 다양한 소통 환경이 촉발됨으로써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다양한 리터러시들이 때로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와 혼동됨으로써, 다양한 리터러시들 및 멀티리터러시 개념의 등장이 갖고 있는 근본적 의미가 왜곡되고 있다. 이는 리터러시에 대한 기존 이해와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그간 리터러시를 문자의 해석과 활용이라고 규정해왔다. 이로 인하여 리터러시를 현실과 세계에 대한 인간 활동이 아닌 그 활동의 수단으로만 이해하였다. 주어진 상황에 대응하는 도구로서, 다양한 소통 환경의 조성에 따른 도구의 다양화로서 이해된 것이 바로 멀티리터러시와 혼동되었던 다양한 리터러시들이다. 그러나 이 혼돈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리터러시들 역시 ‘리터러시’라는 점에서 본 논문은 다양한 리터러시들과 멀티리터러시를 구분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사용되는 리터러시의 방식을 넘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근본적 의미를 문자 전환과 디지털 전환과 연관하여 추적하여, 리터러시가 인간의 세계와 현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멀티리터러시가 우리의 다양한 현실, 즉 현실과 디지털 현실을 구축하고 그 세계를 이해하는 통합적 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define multiliteracy as the competence of constructing and understanding reality and digit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transformation. Multiliteracies sprang out of divergent environments of communication after digital transformation. But both the meaning of multiliteracies and multiliteracy have been distorted, for multiliteracies have been confounded with multiliterac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established understanding of literacy. We have defined literacy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letters. Thus, we have understood it as a tool of human action, not as the human action to the reality and world. Multiliteracies confounded with multiliteracy is the result of understanding them as tools corresponding to given situations, i.e. as the diversification of tools. However, we have to distinguish multiliteracy from multiliteracies to straighten out the confounding problem. Through these means, the writer tried to trace the fundamental meaning of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light of the words transform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is tracing, we became aware that literacy i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world. And we discovered that the fundamental meaning of multiliteracy is the integrated competence to construct and understand reality and digital reality.

      • KCI등재

        사회과 리터러시 교육의 의의와 실천 양상

        허수미(Heo, Su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과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리터러시 수업의 의의와 한계를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에 나타난 리터러시 교육의 최근 동향을 검토한 후 사 회과 교사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과 교사들은 첫째,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을 비판적 리터러시로 인식하고, 둘째, 텍스트에 반영된 사회·문화·역사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중시하며, 셋째, 학습자의 실생활과 리터러시 소재와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첫째, 리터러시 활동이 주로 동기유발 기능에 한정되고, 둘째, 학습내용 이해를 위한 활동에 비해 비판적 사고 경험이 부족하게 제공되며, 셋 째, 읽기보다는 쓰고 말하기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고, 넷째, 교과 수업보다 교과 외 리터러시 수업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사회과 리터러시 교육 목표를 명확히 하고, 둘째, 교사들의 리터러시 학습전략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며, 셋째, 학생의 과제 수행 이전에 체계적인 리터러시 학습 지도가 선행되도록 수업과정을 구성하고, 넷째, 개념과 내용 이해를 위한 리터러시 활동에서도 ‘읽기’와 ‘사고하기’가 분리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s for improving the Social Studies literacy classes by analyzing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tion about literacy education and practice patterns. For this, after reviewing the recent tren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mpared them with the current situations of Social Studies literacy education. Necessary data a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s interview.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tion about literacy education is like the followings. Firstly, they think the core of literacy education is critical literacy. Secondly, they consider it very important to grasp the social, cultural, historical significance reflected in the text. Thirdly, they emphasi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real life and literacy materials. But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literacy classes is like the followings. Firstly, literacy activities are used mainly for motivation. Secondly, literacy activities for critical thinking are not sufficient compared with the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tents. Thirdly, teachers find it more difficult to use the writing, speaking activities than reading activities in the class. Fourth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extracurricular literacy class is higher than that with Social Studies class. The following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ly,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Secondly, Social Studies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literacy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intensified. Thirdly, before making the learners perform their tasks, literacy learning instructions should be made. Fourthly, reading and thinking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literacy activities for acquiring the concepts and the knowledge.

      • KCI등재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오의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3

        This study redefines information literacy (IL) and recommends its contents and media (platforms). Redefinition of IL was based on concepts such as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and related researches. ‘Social Relationship’, ‘Media Convergence’, ‘Critical and Evaluative Insight on Information’ was extracted by major contents of new IL. To determine program methods, mass media’s ‘ubiquity’ was applied to the study. Some social statistics reports proved that ubiquity of social media is quite high. Finally, proposed empirical study of IL using social media by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정보리터러시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리터러시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재정의를 위하여, 오늘날의 정보환경을 표현하는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사회적 관계’, ‘미디어 융합과 다양성 인식’, ‘정보에 대한 평가적 안목’ 등을 추출하였다. 교육의 방법(미디어)을 결정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의 편재성을 조사하였고, 조사결과 소셜미디어는 편재성이 높은 미디어로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활용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다. 후속연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노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한 변화와 어려움을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코로나 19 이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시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8명을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증가하였으며(교수·학습 활동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협력 학습이 증가하였고(교수·학습 형태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평가가 증가하였다(교수· 학습 평가의 변화). 둘째, 학습자 간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 내 격차, 교사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모든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나, 그 시기와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AI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황현정,황용석,박지수,신민호,이현종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4 리터러시 연구 Vol.15 No.2

        AI가 발전하면서 ‘AI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과 역량 강화가 사회적으로 요구되고있지만, 국내 인공지능 사용자의 AI 리터러시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미비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국내외 AI 리터러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해 AI 리터러시의 차원을 구분하고 문항을 개발했다. 이후,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를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통해 타당도를 검증했다.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바탕으로 처음 선행연구에 기초해 설정했던 AI 리터러시 요인과 요인별 세부 문항에 일부 수정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AI 리터러시의 하위 구성요소가 5개의 요인(AI 식별, AI 이해, AI 사용, AI 응용, AI 창조)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별로 적합한 세부 문항으로 18개 문항을 도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앞으로 더욱 보편화될 인공지능 사용에 대해리터러시 수준을 진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되는 한편, 법제도적 정책적 기반자료로써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Social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competency empowerment of ‘AI literacy’ are required as AI has been developing.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evaluate the AI literacy of Domestic AI user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ity and reliability Scale of AI Literacy for domestic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rinciples related to AI literacy and developed the AI literacy dimensions and questionnaires. Second, this study con ducted a survey on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reliability through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through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stly, the study refined the AI literacy factors and measurement model. As a result, there have been founded five sub elements of AI literacy: AI iden tification, AI understanding, AI usage, AI application and AI creation, and 18 spe cific ques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can be expected to serve as an objective assessment for Al literacy usage and foundational resource for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연구 - 유학생 4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형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4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Korean digital literacy curriculum, and aims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igital literacy experience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during their study abroad,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FGI).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digital literac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by function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and social literacy. The four internation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of this study are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at University A, who have different majors but have advanced Korean proficiency. Their functional literacy is relatively excellent, and it is of a high level that greatly help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while studying abroad. From the aspect critical literac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continued to face a challenge in selecting and collecting data from digital media critically. At the university, they learned quoting and subscribing, which are necessary for writing reports. However, this is not sufficient to utilize the knowledge explicitly, and the knowledge were acquired and understood as explicit knowledge only. In the area of social literacy, we examine the efforts and demands that the learners make to recognize their identity and status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we qualitatively explore the actual digital literac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before suggesting a digital literacy education plan, which is centered on instructors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초점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여 이들이 유학 생활 중 경험하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분석하였다.본고에서는 외국인 학부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한정선 외(2006)에서 제안한 세 가지 영역 구분 방식,기능적 리터러시,비판적 리터러시,사회적 리터러시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인터뷰 참여자는A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부생들로 전공은 다르지만 모두 고급 수준의 한국어능력을 가지고 있다.이들의 기능적 리터러시는 비교적 우수하여 학업 수행과 유학생활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수준이다.비판적 리터러시 영역에서는 학습자들이아직 디지털 매체로부터 비판적으로 자료를 선별하고 수집하는 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학교에서는 보고서 쓰기에 필요한 ‘인용하기’나 ‘출처달기’를 학습한 정도인데,이는 단지 명시적 지식으로 습득되어 이해하고 있을 뿐 실제로 활용하기에는 여러모로 역부족이다.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최상위 영역으로 분류되는 사회적 리터러시 영역에서는 학습자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지위를인정받기 위해 수행하는 노력과 요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 연구는 한국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학습자 중심적 측면에서 실제 외국인 학부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실행 상황과 요구를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통합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가능성 탐색

        조혜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4 사고와표현 Vol.17 No.1

        본 논문은 리터러시 교육에 있어서 원래의 리터러시 개념에서 분화되어 나온 다양한 리터러시(multi literacies)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하여 통합 리터러 시 교육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리터러시 통합 의 필요성은 리터러시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제한된 자원(시간, 교 수 여건 등)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에 분절적으로 이뤄졌던 리터 러시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에 있다. 이는 단순히 매체의 다양성을 확보하 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제 간 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필자는 기존의 다양한 리터러시 개념들을 고찰하여 시사점 을 탐색하였다. 이후 다양한 리터러시들을 개별적으로(분절적으로) 접근하여 교 육하기보다는 다양한 리터러시의 근간이 되는 기존의 리터러시 교육에 새로운 리터러시들을 통합하여 설계할 필요성을 제시하되, 매체의 다양성 확보와 더불 어 학제 간 교육을 통해 통합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는 리터러 시 교육의 의미를 재음미하고 한정된 교육 자원 내에서 통합적인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하는 멀티 리터러시(multi literacy) 교육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면서 그것의 한계로서 어느 하나의 리터러시가 주도권을 잡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며 통합 리터러시(Integrated literacy) 교육의 실현 방안으로서 기존의 통합 교과목의 사례를 참조하여 통합리터러시 교과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제한점은 제안한 통합 리터러시 교과목이 리터러시 통합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효과성은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검증할 수 있는지 제시하지 못한 데 있다. 이는 향 후 교과목의 실질적인 운영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literacies (multi literaci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literacy in literacy education. The need for literacy integration aim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ragmented literacy education b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tilizing limited resources (time, teaching conditions, etc.) without damaging the essence of literacy education. The ultimate goal is not simply to secure diversity in media, but to pursu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author examined various existing literacy concepts and explored their implications. Afterwards, rather than approaching and educating various literacies individually (segmentally), we suggested the need to integrate new literacies into existing literacy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various literacies, and design them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well as securing the diversity of media. He emphasized the need to pursue integration. This i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and build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within limited educational resources. Second, the author critically explores the meaning of multi-literacy education proposed in existing research, raises the issue of any one literacy taking the lead as a limitation, and proposes ways to realize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An integrated literacy subject (draft) was proposed by referring to examples of existing integrated subject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fails to suggest to what extent the proposed integrated literacy course can achieve the purpose of integrating literacy, and by what standards and how its effectiveness can be verified. This will be verified through actual operation of future subjects.

      • KCI등재

        교양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부산 S대 교양일본어 학습자 니즈 분석을 중심으로-

        김세련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98 No.-

        본 연구는 부산 S대 교양일본어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와 그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22학년도 2학기 교양일본어 SJP 강좌 전체 수강자204명, 응답자는 167명으로 81.9%의 응답률을 보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터러시’ 용어는 24.6%의 낮은 인지도를 보여, 용어 자체를 생소하고 다소 낯설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수강자에게 가장 친숙한 리터러시는 디지털리터러시(46%)와 미디어리터러시(26%)로 나타나, 디지털 사회에서는 디지털 역량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수업의 전체 영역에 적용된 비율은 33.8%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학습법’에서 37.7%의 가장 높은 적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문법과 회화수업에서의 적용단계의 상이점은 보이지 않고,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넷째, 디지털 도구의 활용도는 퀴즈게임(31.1%)과 내용설명(26.6%)에서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교육의 장애요인으로 인식부족(42.2%)과 교육환경의 미비(23.4%)를 지적하였다. 여섯째, SJP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여부에 따른 만족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정 결과, 문법수업의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 평균 4.57(SD=.76), 미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평균 4.10(SD=1.22), 이러한 차이는 t=2.05, p<.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함으로써 수강자의 교수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수업설계의 개선 방향으로 STCPR 방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학습자 맞춤형 프로젝트 교육과정 개편과 다양한 디지털 플렛폼 및 도구 활용을 부분교사에서 전체교수로 확대하여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을 제안한다. 끝으로 본고의 설문결과가 향후 디지털 기반 수업의 대응 전략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교양교육에서의 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 사례연구가 계속 이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