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마니아어의 최초기 문헌에 대한 연구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고대 로마인들의 언어였던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소위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이므로 오늘날 자매 언어들인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과 마찬가지로 로마문자로 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루마니아어로 써진 현존하는 최고의 문헌은 1521년에 루마니아의 큼풀룽(Câmpulung) 지역의 한 지주귀족 출신인 ‘네아크슈’(Neacşu)라는 사람이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브라쇼브(Braşov) 시장인 ‘하네스 벤크너’(Hannes Benkner)에게 당시 터키인들이 다뉴브 강을 도하하여 루마니아 공국들을 침범하려 한다는 기별을 알리기 위해 쓴 서신이다. 그밖에도 16세기 중후반경에 필사본으로 된 보로네츠 필사본(Codicele Voroneţean)과 스케이아 시편(Psaltirea Scheiană), 보로네츠 시편(PsaltireaVoroneţeană) 및 흐루무자키 시편(Psaltirea Hurmuzachi) 등과 같은 종교적인 문헌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아울러 이 즈음하여 루마니아에 인쇄술이 도입되면서 출판물들이 속출하기 시작한다. A.D. 842년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초기 프랑스어로 된 문헌인 스트라스부르그 서약(Serment de Strasburg)은 차치하더라도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현존하는 초기 문헌들이 늦어도 11~12세기에 써진 것에 비해 루마니아어로 된 초기 문헌들의 출현이 상당히 늦은 편일뿐만 아니라 이마저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한 점이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로 된 초기 문헌들이 여타 로망스어의 문헌들과 비교해 상당히 늦은 것과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중세 당시 이 지역의 복잡한 정치‧사회‧문화적인 상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엇보다도 루마니아인의 선조들이 라틴어계통의 고유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애당초 문자를 사용하지 못했었다는 점과 훗날 슬라브인들이 대거 이 지역으로 이주해와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함으로써 927년 슬라브 교회가 그리스 정교회로부터 독립하게 되었고 그 후 루마니아교회가 1020년경 슬라브 교회에 속하게 됨으로써 이 지역 일대에선 고대 교회슬라브어어 가 예배의식의 정식 언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는 점과 아울러 루마니아인들이 공식적으로 문자를 처음 사용한 것은 13세기 말경 키릴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4세기 중후반에 발라키아 및 몰다비아 두 루마니아 공국들이 형성되었으나 당시 내적으로는 농민들의 권리주장이 팽배해짐에 따른 사회적인 동요와 외적으로는 오스만 터키제국의 서진정책에 대항하여 투쟁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런 과정에서 트란실바니아 지방에서부터 서서히 루마니아인들의 자주적이고 민족적인 인식이 싹트게 되었고 그 결과물로 16세기 초부터 루마니아어로 된 문헌들이 속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에서 로마문자가 정식으로 도입된 시기는 18세기 중후반부터 루마니아의 트란실바니아학파에 의해서 주도된 루마니아의 민족주의운동의 일환으로 당시까지 루마니아어를 비롯하여 발칸지역 일대의 언어들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왔던 키릴문자의 문제점이 제기된 후 1859년 몰다비아(현재 몰도바)와 발라키아(현재 문테니아) 공국이 연합된 이듬해인 1860년에 몰도바 지방과 문테니아 지방에서 로마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데서 비롯된다. This article aims at a study on the earliest documents of Romanian. Nowaday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genealogy,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rived from Vulgar Latin. Today Romanian is written in a wholly Romanised alphabet with three diacritics. However, the Cyrillic writing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area occupied by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when Old Church Slavonic became the medium for religious texts. Because of the absence of direct contact between Romanian and Latin after the Roman evacuation in the year 275, it was inevitable that the names of Romanian people and places appeared sporadically written in Cyrillic script in Old Church Slavonic texts from the thirteenth century. The earliest extant Romanian texts date from the beginning of sixteenth century. It is the letter written in the Cyrillic writing system by a boyar named ‘Neacşu’ from Câmpulung in the year 1521 destined to the mayor of Braşov, called ‘Hanes Benkner’. The contents of the letter is to give an account of the affair that the Osman Turks contrived an invasion upon the Romanian principalities crossing the Danube. Even though we set apart the oldest extant text among the Romance languages, namely ‘Serment de Strasburg’ which was written in the year 842, the earliest extant Romanian text was made about 5 centuries later than the earliest texts of the other sister Romance languages, such as ‘Chanson de Roland’, ‘Indovinello Veronese’, Cantico delle Creature, Cantar de Mio Cid, Cantiga de Ribeirinha etc.. The reason, why the earliest extant text of Romanian came out so later than the ones of other sister languages and why it was written in the Cyrillic alphabet system, can be speculated to be caused by the complicated political and socio-cultural situations of this area at that time. In addition to this letter, the religious texts such as ‘Codicele Voroneţean’, ‘Psaltirea Scheiană’, ‘Psaltirea Voroneţeană’, ‘Psaltirea Hurmuzachi’ etc. appeared in the second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and moreover from about this time on, the typography being introduced in Romania from Venice via Serbia, many religious translations began to be published in Romania.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hat it was the late eighteenth century scholars of the Transylvanian School who made an attempt to replace the Cyrillic orthography with the Roman one for the first time in Romania. Nevertheless, the replacement of the Cyrillic system by the Roman one could be realized after the union of the principaliti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상징적 의미 : 1994년 개정된 정서법을 중심으로

        이문수(Mun-Suh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8 No.1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로서 지리적인 여건상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되고 있다. 발칸 로망스어들 중에서 유일하게 일개의 국어로서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는 일부 독특한 음소들 및 구별자질들(ă, â, î, ş, ţ 등)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라틴어의 자모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현행 정서법 상에서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a, ă, â, e, i, î, o, u)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 와 î 는 동일한 음가(/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ă/ǝ/, â=î/ɨ/, e/e/, i/i/, o/o/, u/u/)을 지니고 있으며 9개(âi, ea, ia, ie, io, eo, oa, ua, uă)의 이중모음들 및 4개(eoa, eau, iau, iai)의 삼중모음들로 구성되어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모두 19개(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의 자음들과 외래어들의 표기를 위한 4개의 자음들(k, q, w, 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음 c 와 g 는 뒤에 오는 모음이 중설 및 후설음(a, ă, â, î, o, u)일 경우엔 연구개 파열음(/k/, /ɡ/)이 되며, 뒤에 오는 모음이 전설음(e, i)일 경우엔 치경 파찰음(/ʧ/, /ʤ/)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루마니아어는 두개의 반모음들(/w/, /j/)을 제외하면, 모두 20개의 자음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의 자모가 키릴문자에서 현행의 로마문자로 대체된 것은 1860년경에 몰도바지방과 문테니아지방(일명: 발라키아)에서 공식적으로 로마문자가 도입되었으므로 현대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전통은 여타 로망스어들에 비해 비교적 짧은 편이다. 루마니아어에 로마문자가 처음으로 도입될 당시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일부 음소들을 표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키릴문자가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음소들은 로마문자로 표기함으로써 키릴문자와 로마문자가 병용되는 과도기를 거친 후 이어서 1867/69년과 1881년, 1895년, 1904년, 1932년, 1954년 및 1965년에 잇따른 정서법의 개혁을 통하여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그 윤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루마니아 학술원은 1993년 3월 8일자로 기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을 또다시 개정하여 중설 고모음 â 와 î 의 역할을 구별할 것을 결의하였고 의회의 동의를 거쳐 1994년 1월 1일 자로 새로운 정서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정서법이 개정되기 이전에는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루마니아어휘 român 및 그로부터 파생된 România, românesc 등과 같은 루마니아의 국호나 국민 등을 일컫는 어휘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â 모음을 루마니아어의 모든 어휘에서 어중음은 â 로 그리고 어두 및 어말음은 î 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였다. 그밖에도 새로 개정된 정서법에선 a fi(~이다, ~이 있다) 동사의 직설법 현재 시제의 기존 인칭변화형들인 sînt, eşti, este, sîntem, sînteţi, sînt 등을 각기 sunt, eşti, este, suntem, sunteţi, sunt 등으로 바꾸었다. 부언하자면 a fi 동사의 현재시제 인칭변화형에 한하여 어중음 ȋ 를 u 로 표기하도록 정하였다. 새로 개정된 정서법 상에서 관건이 되고 있는 상기된 두 가지 경우들, 즉 하나는 a fi 동사의 직설법 현재 인칭변화형에서의 î 가 u 로(예: sînt>sunt), 또 다른 하나는 모든 어휘상의 어중음 î 가 â 로의 변화(예:cînta>cânta)에서 모두 해당되고 있는 것은 오늘날까지도 그 기원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중설 고모음 î 이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최근까지도 끊임없이 개정되고 있는 것은 18세기 후반부터 트란실바니아 학파에 의해 주동되었던 루마니아의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서 루마니아어의 라틴성 복고운동의 연장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derived via Vulgar Latin, namely Spoken Latin, from the Italic branch of Indo-European. Even th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Romanian became different from that of Lat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nguage of the natives, so called substratum in the Balkan Area, as well as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particularly the Slavic languages, one can say that in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pects, Romanian generally preserves most of the features of Latin. The modern Romanian consonant system has 19 consonants(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 and 4 consonant symbols(k, q, w, y) for the international terms. And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has 8 vowels (a, ă, â, e, i, î, o, u). However, since the vowels â and î are phonetically realized equally as /ɨ/,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ă/ǝ/, â=î/ɨ/, e/e/, i/i/, o/o/, u/u/) in consequence. As stated above,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peculiar vowel symbols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namely ă/ǝ/ and â=î/ɨ/. These two phonemes should be viewed as being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either from the Balkan substratum or from the Slavic languages. In general, the phoneme ă/ǝ/ can be considered as being influenced from the substratum, in view of the existence of this phoneme in the other languages of Balkan such as ъ/ə/ in Bulgarian, ë/ə/ in Albanian etc. As far as the Romanian orthography is concerned, the Cyrillic alphabet system was introduced in Romanian when Old Church Slavonic became the medium for religious texts from the late thirteenth century in the Balkan area. However, nowadays, Romanian is wholly written in a romanized alphabet with three diacritics. We can speculate that there would be two factors which led to the adoption of the Roman writing system in Romanian. The first one would be the growing national awareness of the Romanian peoples that had been increased by their contact with the Western Romance world. The second one would lie in the practical problem of adapting the Cyrillic system to match the phonemes which are introduced into Romanian with Romance loans from the Western, especially from French. It was the Transylvanian School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of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at made an attempt to replace the Cyrillic orthography with the Roman one for the first time in Romania. Since then, the Romanian orthography system has been still changed even up to the recent times. For example, in 1994, the Romanian Academy decided to reform the Romanian orthography concerning the high middle vowel â=î/ɨ in the word-medial positions. That is, the Romanian high vowel î/ɨ/ has been used before the reform even in the word-medial positions such as cînta, rămîne, etc. with the exception of the word român and its deriva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reformed orthographic system in 1994, the intermediate high vowel î should be changed to â such as cânta, rămâne etc. In addition, the indicative present conjugation forms of the verb a fi were before the reform 1. sînt, 2. eşti, 3. este, 4. sîntem, 5. şînteţi, 6. sînt etc. Nowadays it should be written with the vowel u instead of î , for example, sunt, eşti, este, suntem, şunteţi, sunt etc. The recently reformed Romanian orthography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the reromanizing or latinizing tendency of Romanian which was made on a large scale by the scholars of the Transylvanian Schoo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Romania.

      • KCI등재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상징적 의미 -1994년 개정된 정서법을 중심으로-

        이문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8 No.1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로서 지리적인 여건 상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되고 있다. 발칸 로망스어들 중에서 유일하게 일개의 국어로서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는 일부 독특한 음소들 및 구별자질들(ă, â, î, ş, ţ 등)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라틴어의 자모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현행 정서법 상에서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a, ă, â, e, i, î, o, u)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 와 î 는 동일한 음가(/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ă/ǝ/, â=î/ɨ/, e/e/, i/i/, o/o/, u/u/)을 지니고 있으며 9개(âi, ea, ia, ie, io, eo, oa, ua, uă)의 이중모음들 및 4개(eoa, eau, iau, iai)의 삼중모음들로 구성되어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모두 19개(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의 자음들과 외래어들의 표기를 위한 4개의 자음들(k, q, w, 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음 c 와 g 는 뒤에 오는 모음이 중설 및 후설음(a, ă, â, î, o, u)일 경우엔 연구개 파열음(/k/, /ɡ/)이 되며, 뒤에 오는 모음이 전설음(e, i)일 경우엔 치경 파찰음(/ʧ/, /ʤ/)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루마니아어는 두개의 반모음들(/w/, /j/)을 제외하면, 모두 20개의 자음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의 자모가 키릴문자에서 현행의 로마문자로 대체된 것은 1860년경에 몰도바지방과 문테니아지방(일명: 발라키아)에서 공식적으로 로마문자가 도입되었으므로 현대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전통은 여타 로망스어들에 비해 비교적 짧은 편이다. 루마니아어에 로마문자가 처음으로 도입될 당시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일부 음소들을 표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키릴문자가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음소들은 로마문자로 표기함으로써 키릴문자와 로마문자가 병용되는 과도기를 거친 후 이어서 1867/69년과 1881년, 1895년, 1904년, 1932년, 1954년 및 1965년에 잇따른 정서법의 개혁을 통하여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그 윤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루마니아 학술원은 1993년 3월 8일자로 기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을 또다시 개정하여 중설 고모음 â 와 î 의 역할을 구별할 것을 결의하였고 의회의 동의를 거쳐 1994년 1월 1일 자로 새로운 정서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정서법이 개정되기 이전에는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루마니아어휘 român 및 그로부터 파생된 România, românesc 등과 같은 루마니아의 국호나 국민 등을 일컫는 어휘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â 모음을 루마니아어의 모든 어휘에서 어중음은 â 로 그리고 어두 및 어말음은 î 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였다. 그밖에도 새로 개정된 정서법에선 a fi(~이다, ~이 있다) 동사의 직설법 현재시제의 기존 인칭변화형들인 sînt, eşti, este, sîntem, sînteţi, sînt 등을 각기 sunt, eşti, este, suntem, sunteţi, sunt 등으로 바꾸었다. 부언하자면 a fi 동사의 현재시제 인칭변화형에 한하여 어중음 ȋ 를 u 로 표기하도록 정하였다. 새로 개정된 정서법 상에서 관건이 되고 있는 상기된 두 가지 경우들, 즉 하나는 a fi 동사의 직설법 현재 인칭변화형에서의 î 가 u 로(예: sînt>sunt), 또 다른 하나는 모든 어휘상의 어중음 î 가 â 로의 변화(예:cînta>cânta)에서 모두 해당되고 있는 것은 오늘날까지도 그 기원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중설 고모음 î 이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derived via Vulgar Latin, namely Spoken Latin, from the Italic branch of Indo-European. Even th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Romanian became different from that of Lat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nguage of the natives, so called substratum in the Balkan Area, as well as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particularly the Slavic languages, one can say that in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pects, Romanian generally preserves most of the features of Latin. The modern Romanian consonant system has 19 consonants(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 and 4 consonant symbols(k, q, w, y) for the international terms. And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has 8 vowels (a, ă, â, e, i, î, o, u). However, since the vowels â and î are phonetically realized equally as /ɨ/,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ă/ǝ/, â=î/ɨ/, e/e/, i/i/, o/o/, u/u/) in consequence. As stated above,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peculiar vowel symbols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namely ă/ǝ/ and â=î/ɨ/. These two phonemes should be viewed as being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either from the Balkan substratum or from the Slavic languages. In general, the phoneme ă/ǝ/ can be considered as being influenced from the substratum, in view of the existence of this phoneme in the other languages of Balkan such as ъ/ə/ in Bulgarian, ë/ə/ in Albanian etc. As far as the Romanian orthography is concerned, the Cyrillic alphabet system was introduced in Romanian when Old Church Slavonic became the medium for religious texts from the late thirteenth century in the Balkan area. However, nowadays, Romanian is wholly written in a romanized alphabet with three diacritics. We can speculate that there would be two factors which led to the adoption of the Roman writing system in Romanian. The first one would be the growing national awareness of the Romanian peoples that had been increased by their contact with the Western Romance world. The second one would lie in the practical problem of adapting the Cyrillic system to match the phonemes which are introduced into Romanian with Romance loans from the Western, especially from French. It was the Transylvanian School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of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at made an attempt to replace the Cyrillic orthography with the Roman one for the first time in Romania. Since then, the Romanian orthography system has been still changed even up to the recent times. For example, in 1994, the Romanian Academy decided to reform the Romanian orthography concerning the high middle vowel â=î/ɨ in the word-medial positions. That is, the Romanian high vowel î/ɨ/ has been used before the reform even in the word-medial positions such as cînta, rămîne, etc. with the exception of the word român and its deriva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reformed orthographic system in 1994, the intermediate high vowel î should be changed to â such as cânta, rămâne etc. In addition, the indicative present conjugation forms of the verb a fi were before the reform 1. sînt, 2. eşti, 3. este, 4. sîntem, 5. şînteţi, 6. sînt etc. Nowadays it should be written with the vowel u instead of î , for example, sunt, eşti, este, suntem, şunteţi, sunt etc. The recently reformed Romanian orthography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the reromanizing or latinizing tendency of Romanian which was made on a large scale by the scholars of the Transylvanian Schoo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Romania.

      •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의 형성과정과 변화양상

        엄태현(Tae Hyun Oum)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1

        프루트(Prut)강에서 니스트루(Nistru)강 사이에 이르는 지역은 소위 바사라비아로 불리는 곳으로 14세기 중반에 몰도바 공국(Principatul Moldova)이 성립된 이후 루마니아 인들이 지속적으로 거주했던 곳이다. 하지만 이곳은 러시아로 할양된 19세기 초 이후부터 20세기후반까지 루마니아와 러시아 그리고 소비에트 사이에서 여러 차례 지배권이 교체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루마니아로부터 서서히 분리되어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역사적 맥락에서, 두 지역으로 분리된 루마니아의 민족적 정체성과 민족주의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떻게 변화 발전하였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두 지역의 역사적 발전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 경향을 분리하여 각각 살펴보고 비교하였다. 루마니아의 민족주의는 트란실바니아 학파의 라틴주의(Latinism)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라틴주의의 핵심은 로마 민족에서 출발한 루마니아 인들의 역사와 언어에 대한 재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트란실바니아의 지식인 계층이었던 그레코 가톨릭의 신부들은 자랑스러운 역사와 언어를 통해서 루마니아 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민족적 정체성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공통의 의식을 통해서 루마니아 민족은 종교적 공동체에서 민족적 공동체로 발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루마니아 공국들(발라키아공국과 몰도바공국)에서의 민족주의는 대략 19세기 초의 개혁적인 귀족 세력을 중심으로 한 반(反)오토만, 반(反)파나리오트의 정서에 기반을 두고 나타난다. 이들은 교육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루마니아적인 가치를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계몽주의적 성격의 문화 운동의 모습을 보였던 초기의 루마니아 민족주의 운동은 19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혁명적 성격으로 변화하게 된다. 당시 루마니아 공국들에서 발생한 혁명들은 모두 실패로 끝났지만, 이 과정을 통해서 귀족 중심의 민족주의가 대중적 민족주의로 확대되어 발전하게 된다. 발라키아 공국과 몰도바 공국에서 이를 주도한 48년의 혁명세력은 이후 루마니아의 통일을 이끌어내는데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트란실바니아, 발라키아,몰도바에 비해서 프루트 강 동쪽의 바사라비아 지역은 19세기 내도록 러시아화의 길을 걷고 있었다. 바사라비아의 몰도바 인들은 언어, 문화, 교육을 통해서 러시아화 하도록 강요받고 있었으며 인구 정책에 의해서 유태인과 러시아인이 대거 이주해옴으로써 이곳의 인구 구성 비율에서 몰도바 인들의 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1차 세계대전이후 바사라비아를 실지한 소비에트는 이곳에 대한 루마니아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니스트루강 주변의 우크라이나 지역에 MASSR이라는 국가를 인위적으로 설치하고, 문화정책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바사라비아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반면 바사라비아를 되찾은 루마니아는 범루마니아주의의 기치 아래에서 이곳을 루마니아의 일부로 인정받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며,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문화정책을 통해서 재루마니아화 하기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루마니아의 관심과 능력 부족으로 이미 러시아화 한 바사라비아를 다시 루마니아로 돌려놓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1944년 이후부터는 다시 강력한 소비에트화가 진행되면서 바사라비아는 언어적 측면이외에는 루마니아적인 정체성을 많이 상실하게 된다.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민족주의 경향을 종합적으로 볼 때, 라틴주의를 통한 민족적 정체성은 확고하게 자리 잡은 반면, 범루마니아 민족주의는 바사라비아에서의 실패 이후 관심에서 멀어져갔다. 몰도바 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은 루마니아 인들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관성 있게 지속된 영토가 없었으며 정치-경제적으로 비독립적이었고 이로 인해서 하나의 민족이라는 공통된 의식을 가질 안정적인 기반이 없었다는 점에서 볼 때, 이 지역사람들의 민족의식은 매우 희미하고 분열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Romania and Republic of Moldova are divided into different countries, but these were mainly populated by Romanians (or the Vlachs, the ancestors of Romanian People) from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when Romanian Principalities were established. The territorial division took place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Turkey ceded the Bessarabia (a land between Prut and Dnestr river) to Russia and from this time to the end of WWII, over 2 centuries, the controlling powers over Bessarabian region have been changing from Russia to Romania and from Romania to Soviet. During this period Bessarabia began to be separated gradually from Romanian main land not only territorially but also culturally. From this historical context,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historical background of separation, constitutions and changes of ethnic identities of Romanian people, national consciousness of Romania and Moldova. Nationalism in Romania begins with "latinism" promoted by Transylvanian School. The principal ideas of latinism are based on rediscovery of Romanian language and history which are connected to the Roman Empire and Latin language. With this latinism, the Greco-Catholic clergymen, the main intellectual group of Transylvanian Romanians, tried to make a common ethnic identities which could be shared by all Romanian people by having pride in their own language and history. So it could be said that Romanian nationalism was started by Greco-Catholic, but later this became an obstacle for shaping union of Romanian people because of its struggle with Romanian Orthodox Church. Nationalisms in Wallachia and Moldova Principalities started to take it's shape from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by revolutionary noblemen who were having anti-Fanariot and anti-Russian sentiments. They tried to reform education system in which Romanian language could function as a scientific and literary languag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nationalism tendencies in Transylvania, Wallachia and Moldova could be focused on the fact that, from the beginning, nationalist movements were having cultural characters. But at the year of 1848 when revolutionary atmosphere was spread all over the Europe, revolutions took place in Romanian Principalities and Transylvania. Even though all of the revolutions failed to make a new political power to be at throne, they achieved meaningful results : not only the noble class, but also ordinary peasants who were sending supports for the revolutions are considered as a part of Romanian nation. Especially Wallachia and Moldova under Turkish and Russian suzerainty succeeded to reunite and to achieve independence by Forty-eighters(pa?optisti) who were central figures of 1848 revolution. Moldovans in Bessarabia, on the east side of Prut river, have spent about 100 years period under Russian rules and on the continuous way of russific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At that period, i.e. whole 19th century, in Romania, nationalism discourses were most prosperously discussed. So during this period there made a great differences between Romanians in the west side of Prut river and Romanians in Bessarabian region. Even though Romania‘s sovereignty in Bessarabia was decided at Paris Peace Conference, Soviet did not acknowledged officially Bessarabia as a territory of Romania and established artificially MASSR(Moldavian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at Ukraine territory for transmitting cultural propaganda at Bessarabia. So there existed still a tension between Romania and Soviet. After recovered the lost territory of Bessarabia, Romania tried for re-romanisation of this region. But they failed because of the lack of abilities and interests. At the end of WWII this region became a part of Soviet Union again and Sovietisation proceeded strongly.

      • KCI등재후보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언어계보적인 면에서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루마니아어는 오늘날 세 가지의 구별자질(diacritics)과 더불어 완벽한 로마문자로 표기되고 있으며 음성·음운론적이나 형태·통사론적인 면에서도 라틴어 및 여타 로망스어들과 상당한 공통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발칸 로망스어 중에서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가 발칸 라틴어의 특성으로 인하여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음운 변화 과정을 겪게 된 것을 제외하곤 대부분 라틴어의 음운구조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현대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와Î 는 동일한 음가(/i/)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ã/ə/, ã=Î/i/, e/e, i/i/ o/o/ u/u/)을 지니고 있다.루마니아어의 모음들 중에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찾아볼 수 없는 두 개의 중설 모음들CaJ d/. a=피)이 존재하고 있다. 이 두 모음소들의 유래나 도입 시기 등에 관하여 아직도 루마니아의 언어학자들 간에도 남동유럽지역의 기층어 중의 하나인 트라코-다키아어의 영향에 기인한다는 학설과 상층어인 슬라브어의 영향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주장 등으로 의견이 분분하다. 루마니아어의 â/ə 모음은 대개 라틴어 강세음절의 어중모음 a 가 비자음 (m, n) 앞에서나(예: 라틴 어 juramêntum > 루어 jurãmânt), 비 강세음절의 어말음일 경우에(예: 라틴어 casa> 루어 casâ) 나타나며, 어두음일 경우엔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구어체에서(예: ãsta. ãla 등) 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들 중에 특히 모음소 /ə/는 루마니아어 외에도 소위 발칸 언어 연합(the Balkan linguistic union) 에 속해 있는 알바니아어 및 불가리아어에서도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과, 더 나아가서 이 두 음소들이 지니고 있는 음운론적인 기능 및 진화 과정 등을 고려해 보면, 루마니아어의 ald/ 모음은 이 지역의 기층어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기는 루마니아어의 이중모음 ea 및 oa 가 출현했던 6 세기 이후로 추측된다. 루마니아어의 중설 고모음 â=î/i/은 라틴어 폐음절의 a 모음이 비자음들(m , n) 앞에 위치할 경우에 나타나고 있으며(예: 라틴어 lana( 양모) > 루어 lana). a 모음이 어두에서는, 즉 개음절일 경우엔 비자음들 앞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예: 라틴어 annus( 해,년) > 루어 an). 반면에 루마니아어에서 이보다 후에 슬라브어나 기타 비 라틴계 언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에선 폐음절의 a 모음이 비자 음들 앞에서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예: 고대슬라브어 rana> 루어 rana) 따라서 루마니아어의 /i/ 모음소가 도입된 시기는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들과 접촉하여 그들로부터 언어적인 영향을 받기 이전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찾아볼 수 없으며 루마니아어에만 유독 존재하고 있는 이 두 모음들의 경로는 발칸 및 남동유럽지역의 기층어로부터 기인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그 도입 시기는 루마니아어의 이중모음인 oa 와 ea 등이 출현한 6세기 이후에서 루마니아어에 슬라브어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8세기 사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diachronic study of the vowel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stream of Vulgar Latin. Classical Latin had a comparatively large number of vowels due to the maintenance of vowel quantity(a, ã. ê, é. î. í. õ, ô. u. û). while in Vulgar Latin collapsed the quantitative vowel system of Classical Latin. In other words. the vowel length contrast (long vowel vs. short vowel) did not exist in Vulgar Latin and thus the timbre. namely. the differences of quality (openness of vowels e.g., e vs. β Q vs. 0)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ulgar Latin. The Vowel System of Western Romance Languages is derived from that of Vulgar Latin in which the Classical Latin’s short u became closed Q, while in Balkan Latin it became u. For example, the Classical Latin word fûrea became forea in Vulgar Latin from which are derived Italian forea, Spanish horea, Portuguese forea etc. By contrast. the same vowel u became u in Balkan Latin from which becomes furea in Romanian. Modern Romanian has 8 vowels(a, ã, â, e. i. î, o, u). However, the vowels a and i are pronounced equally as Iii so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ã/ə/, ã=î/i/, e/e/. I/i/. o/o/, u/u/) . As stated above. in Romanian exist two special vowel symbols. namely â/ə/ and â=Î/i/, which were not in Latin. The time of their formation or the route of their derivation are still controversial in the field of Romanian Linguistics. Above all, regarding the phoneme /d/, I speculate that it w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raco-Dakish, the substratum of the south eastern part of Europe. The reason for this speculation is that the phoneme also exists in the so-called the Balkan linguistic union, namely, Albanian(ë) and Bulgarian(0). Thus, it may be argued that it is inherited from the common language spoken by the ancestors of the peoples who speak these languages at present. The phoneme a/d/ usually appears as a unstressed variant of the Latin a/a/(e.g., Lat. casa > Rm. casa) but also appears in stressed syllables closed by nasals(e.g., Lat. juramentum> Rm. juramant). With regard to the Romanian high vowel a=i/i/, the Latin a/a/ appears as â=î/i/ in closed syllables immediately followed by nasals(m, n) in Romanian. For example, Latin a in lana becomes a (e.g., lana) and the Latin word campus becomes camp in Romanian. However, in the loan words from Slavonic Languages a remains as a as in rana. In conclusion, Romanian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Romance languages, except for some phonological features produced under the geographical influence of Balkan Latin.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vowel symbols, namely ã/ə/ and a=î/i/,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It should be viewed that these two phoneme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from the Balkan Substratum. In addition, the dating of their appearance in Romanian would be in the period between AD 6 when the Romanian diphthongs oa and ea are formed and AD. 8 when Slavonic languages have an influence on Old Romanian.

      • KCI등재

        근대 루마니아 예술 I

        백승남(Baek, Seung-na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4 No.1

        서유럽 중심의 예술가와 예술 작품을 기준으로 하여 정리되는 예술사에서 결코 소홀히 다룰 수 없는 국가가 루마니 아이다. 루마니아는 19세기 초반까지 세계 예술사에서 그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19세기 중반부터 독립된 국가 체 제에 돌입하면서 문화 예술 면에 그 저력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그렇게 시작된 루마니아 예술의 역사는 19세기 말 20세기 초1), 그리고 양차 세계 대전 사이의 기간 동안 약진하여 당당히 서유럽과 견주어 뒤지지 않 는 위치까지 오른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시대가 바로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반(일부 양차 대전 사이 기간을 언급하지만)까지 루마니아 예술이 발전하면서 근대를 힘차게 뛰어넘어 현대의 길로 들어서는 순간이다. 예술 분야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분야가 미술-회화와 조각-이다. 특히 이 분야에서 루마니아 미술은 서 유럽의 미술사에 큰 자취를 남긴 마네와 드가, 마티스, 모딜리아니나 루소, 로댕 등과 같이 창작 활동을 하면서 그들의 영향을 받기도 하고, 그들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19세기 초반까지 자신의 이름을 드러내며 활동하는 예술가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화 가인 니콜라에 그리고레스쿠(Nicolae Grigorescu, 1838-1907)와 슈테판 루키안(Ştefan Luchian, 1868-1916)은 루 마니아 미술이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또한 예술계를 형성하여 사회의 주목을 받는 일을 감당한다. 그리고 조각가인 콘스탄틴 브른쿠쉬(Constantin Brâncuşi, 1876-1957)는 루마니아 태생으로 세계 미술사에 그 어느 누구와도 비교되 지 않는 이름으로 자리매김을 한다. 이 세 명의 예술가들은 전문적으로 체계가 잡히지 않은 조국의 예술 학교의 한계 로 독일과 프랑스 등지에서 유학하면서 당시 서유럽의 모더니즘 화풍을 공부한다. 그 후 세 젊은 예술가들은 고국에 돌아오거나 고국을 자주 방문하면서 그들이 배운 서유럽의 화풍을 그대로 소개하고 창작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니 라, 외국에서 배운 학문을 바탕으로 루마니아 고유의 전설, 민속 등을 결합시켜 독특한 그들만의 화풍을 만들어낸다. 전통이라는 소재와 모더니즘이라는 기법. 이것이 20세기 전후 루마니아 미술을 정의한다. 화가 니콜라에 그리고레스쿠는 교회의 성상을 그리는 평범한 화가로 출발하지만, 프랑스의 외광주의 화풍을 수업한 뒤 그것을 루마니아의 민속과 아름다운 루마니아 자연에 접목시켜 훌륭한 예술품을 창조한다. 그는 프랑스 회화의 영 향을 받아들이면서도 조국의 자연과 민중의 혼을 묘사하여 근대 루마니아의 회화 기법에 혁명적인 역할을 완수한다. 루마니아 미술을 근대화 시키는데 초석을 다진 그의 업적에 따라 그리고레스쿠를 루마니아 미술의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레스쿠 후 근대 회화에서 이오안 안드레에스쿠(Ioan Andreescu, 1850-1882)와 슈테판 루키안은 앞서 그 리고레스쿠가 빗장을 열어 놓은 루마니아 미술이 제 자리를 잡고 다음 세대의 화가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둥지를 마련 해 준 미술의 어머니라고 칭할 수 있다. 근대 추상 조각가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콘스탄틴 브른쿠쉬는 루마 니아 신화와 전설, 전통 마을과 가옥의 구조와 문양 등을 근대 추상 조각 기법에 응용하여 만들어낸 기념비적 작품으 로 루마니아 예술의 천재성에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루마니아 미술사에서 1870년과 1910년은 뜻있는 해이다. 1870년 그리고레스쿠는 부쿠레쉬티의 “생존하는 예술가 들의 전시회 Expoziţia artiştilor în viaţa”에 26점의 그림을 전시하는데, 이 전시회는 루마니아 미술사에 새로운 화풍이나 뛰어난 화가가 등장한 것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레스쿠의 그림은 당시 루마니아가 예술을 위한 열약한 사회 환경이 변화하는 데에 결정적인 모티브가 된다. 전통적인 경향의 그림에서 벗어나 인상주의의 모더니즘 화풍이 루마니아 화단에 자리 잡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1910년에 열린 “젊은 예술 전시회 Expoziţia tinerimei artistice”에 루마니아의 예술가들이 거의 다 참여하는데, 이 전시회를 주도한 예술 모임인 “젊은 예술”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의 새로운 비전, 예술에 대한 개념을 새로이 정립하는 등의 입장을 밝힌다. 더불어 아마추어 수준이나 몇 명 되 지 않는 인물이 주도하는 제한된 범주 안에서 진행되던 예술이 대중 앞으로 나아가 사회적으로 더 광범위하게 확장되 는 계기가 된다. It cannot be treated negligently 'Romania' in the history of world's art which is written by standard of artists and their works from West Europe. It's difficult to find the traces of Romanian art's until the early years 19th century in the history of world's art, but begin to show the potential power in the culture and art from the middle years of the 19th century. It could be late, but the history of Romanian art rise to high position in which make great strides and keep in touch with the West Europe. The fine arts-pictures and sculptures-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nd principal part of the art's parties. I want to arrange for understanding changes of Romanian fine art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iddle years(before communism) of 20th century. Until late 18th century the fine arts in the Romanian lands followed two distinct traditions: the Byzantine tradition (the two Romanian states and the Orthodox zone represented by the Romanian Transyvanians) and the Western tradition (the Transylvanian zones inhabited by Transylvanian Saxons, Magyars, and the Banat areas). This division, even more striking in arts than in architecture, where stylistic interferences were quite frequent, was caused by the rigorous iconographic programmes imposed by religion, although, in some Orthodox churches in Transylvanian, one can see valuable works clearly influenced by western-type trends. The existence of an old Byzantine tradition was proved by the blossoming mural painting in Wallachia in the 14th century. The wall paintings of the princely church of Curtea de Arges(1362-1366), constitue one of the most imposing 14th century Byzantine-type mural compounds and a model for the wall painters in the Romanian lands and Transylvania, integrated into real local schools of painting. The 16th century Wallachia frescoes, but mainly the exceptional wall paintings adorning the monasteries in Bucovina, Northern Moldavia (Voronet, 1547; Moldoviţa, 1532-1537; Suceviţa, 1582-1598), by their harmonious composition, the well-balanced relat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details, the brilliant colours represent the last flourishing epoch in the history of Byzantine painting after fall of Byzantium. Sculpture holds a modest place in the Middle Ages in the principalities outside the Carpathian arc, the Byzantine-type monuments being in general devoid of carved decorations. Nevertheless, in Transylvania, it is strongly subordinated to the style of Catholic. Detachment from Byzantine canons, characteristic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would reach an acme in the 19th century once the lay character asserted itself in the arts and the latter adapted themselves to modern life both in subject-matter (portrait and historical scene) and in techniques (easel painting) or artistic trends (Academism and Romanticism). They were introduced by foreign artists, who had come from Austria, Germany, Poland, Italy, at the call of the great boyards who commisioned them family portraits. In the early '40s of the 19th century, there appeared the first Romanian artists educated in the West, mainly in Germany, and after 1850, the French vogue made its way in painting. Teodor Aman(1831-1891) and Gheorghe Tăttărescu(1820-1894), representatives of Academicism, are the first beneficiaries of Parisian education. Nicolae Grigorescu(1838-1907), who brought plein-air painting into Romanian arts and Ioan Andreescu(1850-1882) complete their education along the Barbizon painters while Ştefan Luchian(1868-1916) assimilates in Paris the Impressionist experience. With them, Romanian painting makes its brilliant entrance into the zone of modernity. The three great artistic personalities represent at the same time three types of reception and sensitivity.

      • KCI등재

        Does the Granger Causality Tes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Growth in Romania?

        Yeon Joon Kim(김연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3

        루마니아는 2007년 EU에 가입하게 되었고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 국가채무 위기를 경험한 후 최근까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루마니아의 insse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렌저 인과 테스트를 실시하여 루마니아의 고용과 성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루마니아가 EU에 가입한 시점을 기준으로 구조 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루마니아의 GDP 증가는 고용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렌저 인과 테스트 결과는 루마니아가 경제 성장을 할수록 루마니아의 고용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루마니아가 EU에 가입하기 전 기간, 루마니아가 EU에 가입한 후 기간, 그리고 루마니아가 EU에 가입하기 전·후의 전 기간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전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와 루마니아가 EU에 가입하기 전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에 루마니아의 고용 증가는 국제무역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 국가채무 위기가 루마니아의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실업과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오쿤의 법칙이 성립함을 알 수 있었고, 추후 지속적인 성장 대비 고용 창출을 달성하기 위해 루마니아 정부는 다양한 성장 및 고용 정책을 수립하여 고용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omania joined the EU in 2007 and achieved its goal of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Romania has been experiencing a steady economic recovery since 2008 when it suffered from economic difficulties from the U.S. originated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to test whether Romania s economic growth has led to an increase in employment. Specifically, the Granger-causality test is conducted to demonstrat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 Romania. This study also divides research period into three periods to conduct structural analysis: the whole period, before Romania joined the EU, and after Romania joined the EU.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show that increase in GDP affects increase in employment in case of Romania with and without structural analysis. Romania has shown that continuous economic growth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eation.

      • KCI등재

        합스부르크 제국과 루마니아의 민족문화 정체성 형성 트란실바니아를 중심으로

        김정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루마니아와 합스부르크 제국과의 관계는 오늘날 루마니아의 서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트란실바니아 지역에 국한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트란실바니아를 제외한 루마니아의 주요 두 지역인 남쪽의 문테니아와 동북쪽의 몰도바공국은 15세기부터 오토만 투르크 제국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다. 중세시대의 루마니아는 카르파티아 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은 1차 세계대전까지 헝가리(이후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의 지배를, 그리고 동남쪽은 19세기 중반까지 오토만 투르크 제국의 영향 하에 놓인다. 루마니아의 카르파티아 산맥은 당시 거대한 두 제국의 완충지이자 경계점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민족의 자각과 재확립 그리고 문화적 자기이해라는 측면에서는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과 문테니아·몰도바 루마니아인의 지속적인 교류와 재통합이 이루어졌던 장이기도 하다. 합스부르크 제국의 트란실바니아 지배로 형성된 ‘그리스-가톨릭’(우니아트)교회의 설립은 271년 다치아에서 로마제국의 철수 이후 로마와의 단절된 통화를 위한 창구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루마니아인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던 ‘라틴성’에 대한 재환기가 이루어지는 매개체가 되었다. 소수에 불과하였지만 이 연합교회를 통해 배출된 루마니아 지식인 계층은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해방과 인권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들의 영향력은 민족의식의 형성과 발전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19세기에 이르러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어 오토만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동남쪽의 타 루마니아 공국들의 자유와 해방에 촉매제가 되었다. 1,000년 가까운 세월동안 피폐된 삶과 상황을 버텨내며,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인이 민족 각성과 자기 인식을 할 수 있었던 계기와 자극은 다름 아닌 ‘라틴성’의 회복과 재확립의 독려였다. 이러한 정황의 이면에는 합스부르크가 트란실바니아에서 종주권을 행사하면서 취한 일련의 정책이 루마니아인의 민족 권리 인정과 지식층의 형성, 더 나아가 근대 언어의 정립과 민족적 자각을 불러일으키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마니아 민족 정체성의 확립과 근·현대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합스부르크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트란실바니아 지역에 대한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향력은 17-19세기에 집중되는데, 순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합스부르크 제국은 헝가리나 오토만 제국에 의해 피폐되던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민족 권리를 신장하고 민족문화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처음 눈을 뜨게 해준 문화적 해방군의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당시 합스부르크 제국의 중상정책과 문화정책은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이 민족의식을 각성하고 신장시키는데 깊은 영향을 미쳤고, 이후 20세기 ‘대 루마니아’가 건설되는데 있어 보다 성숙된 민족 정체성과 기층문화 하에 루마니아인이 하나로 뭉칠 수 있게 해주는 근거를 제공해주었다.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Romania and the Habsburg Empire must be limited to Transylvania as the west-northern region of Romania today. Early from the 15th century the other two Romanian principalitie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Ottoman Empire. In Romania of the Medieval period, the we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fell under the control of the Kingdom of Hungary (after this, it was controled by the Habsburg Empire, the Austrian Empire and the Austro-Hungarian Dual Monarchy) and the south-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Ottoman Empire until the mid-19th century. Then the Romanian Carpathian Mountains have the important role of boundary line and the buffer zone of these two Empires and at the same time the Carpathians became also an intersecting point of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the reintegration among the Romanians of Transylvania, Muntenia and Moldova in the aspect of the cultural self-recogni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Greco-catholic (Uniate) church formed by the suggestion of the Habsburg Empire, had a role of the window for the reentering into conversation with Rome after the withdraw the Roman troops from Dacia and simultaneously, became an intermediation which awakened to the “Latinity” as the Romanians' root and trunk. Romanian intelligentsia produced by this union of church contributed to develop the protection of Romanians' rights and the emancipation of liberty in Transylvania. The influencing power of these intellectuals catalyzed the emancipation and the freedom of the other principalities dominated by the Ottoman Empire through which it was accomplished the formation of the Romanian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identity. The motive and the stimulus, which helped the Romanians of Transylvania to recognized and to be awaked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cultural self-recognition standing all hardships throughout the millennium, are the recovery and the reestablishing of the “Latinity”. The policies of the Habsburg Empire, especially related to the religion, contributed to form the first school of the Romanian intelligentsia, to recogniz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o constitute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Therefor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modern Romanian culture, the relation with the Habsburg Empire had a very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for Romanians.

      •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언어적 정체성

        엄태현(Tae Hyun OUM)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루마니아와 몰도바공화국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루마니아어”에 차이점이 만들어지는 역사적인 과정을 살펴보고, 이런 역사적 과정에 의해서 만들어진 현재의 언어적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루마니아와 몰도바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루마니아어는 같은 언어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논문의 관점 역시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두 지역 언어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19세기 초반에 바사라비아(Basarabia, 현재의 몰도바공화국과 대부분 일치) 지역이 정치적으로 분리된 이후 이런 단절의 양상이 계속 지속되면서, 두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역시 서로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몰도바공화국의 공식 언어 명칭이 ‘몰도바어’인 것은 이런 경향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과거 모습과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현재의 언어 상태를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가늠하여보는 것은 이 지역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작업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에서는 루마니아와 몰도바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차이가 만들어지는 역사적인 과정을 “방언적 차이”와 “언어정책에 의한 차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방언적인 차이는 근대 루마니아어의 규범이 되었던 남부방언과 몰도바 지역이 중심이 되었던 북부방언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이 방언적 차이는 오늘날 두 지역에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에 상당부분 남아있다. 언어정책적인 차이는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두 지역 언어가 차별화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루마니아의 근대기에 시작된 민족주의 언어관은 재 라틴어화 정책으로 나타나며 러시아화 된 몰도바 지역에서는 루마니아어와 차별화 된 몰도바어 만들기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후 몰도바 지역은 공산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러시아어 공용화 정책에 의해서 한번 더 본토의 루마니아어와는 다른 언어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현재 루마니아와 몰도바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에서 나타나는 차이점들을 어휘, 정서법, 문법, 문어체-구어체 스타일 부분에서 살펴보았다. 어휘의 차이는 일부 나타나지만 이해 가능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루마니아어는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영어의 영향에 의해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지만 몰도바 지역의 루마니아어는 이런 변화의 경향으로부터 한발 물러서있는 입장에 서면서 영어의 영향은 미미하게 나타나는데 이런 점이 두 지역의 어휘적 차이를 만들어내는 한 측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몰도바는 91년 독립 이후 지속적으로 루마니아의 정서법을 따라가려는 경향을 보였다. 문법의 경우 차이는 뚜렷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간접적인 영향을 볼 수 있었다. 문어체-구어체 언어에서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는데 문어체 언어의 경우 현대 루마니아어의 규범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나 구어체 언어의 경우 방언적 차이가 상당히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historical procedures which served to make linguistic differences of Romanian Language between Romania and Republic of Moldova (Bessarabia region) and to examine the current linguistic situations. It is known that the Romanian language which is used both in the Romania and in the R. of Moldova has same linguistic structure and the view point of this article is not different with this idea. Even though, there exist some linguistic differences because of lots of regionalism remained unchanged from Bessarabian subdialect compared to modern Romanian language used in Romania and artificial changed forced by language policies undergone in the period of Russian and Soviet ruling time. At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after political separation of Bessarabian region from Romania, the language of Bessarabia remained unchanged and it became an archaic one and dialectal language compared to modern Romanian which received a lot influencies from French after 19th century. The fact that the official language of Republic of Moldova is not called “Romanian Language”, but “Moldavian Language” is a good example showing the linguistic and extralinguistic situations in Moldova. It will be an important work for understanding of this region to research the past and present aspects of language and expect the directions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is article the historical procedures of making linguistic differences were researched being concentrated on two aspects, “dialectal differences” and “language policies”. Dialectal differences came from the fact that the norms of modern literary Romanian largely based on southern Muntenian dialect, but northern Moldavian dialect was left behind quite isolated. Nowadays the dialectal differences are remaining in oral language used in Republic of Moldova. Language policies were another important factor which made the language different. Linguistic nationalism policies which began at the XIX century was ciesfested by relatinisation of language. Bus anguage policies in Moldova region were concentrated in making their anguage as a different and distinctive one from Romanian language. In the Soviet era the language of this area suffered anther problem of making the Romanian as a seconday language, Russian Language being the first and the strongest official language. In the post-communist era, the differences of Romanian language between Prut river were increased because Romanian in the east side of Prut river was left isolated by a political reason. I researche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Romanian language between Romania and Republic of Moldova from the view points of orthography, lexicology, and literary language VS oral language. Lexical differences were most apparent because of moldavian regionalism, but it could be said that these are small and in the boundary of understanding level. In the part of orthography, it looks that Moldova tried to converge to the Romanian orthography after independence from Soviet Union. Grammatical differences are not that clear, but some indirect influences from Russian language were shown. The differences between oral and literary language were shown apparent. Literary language follow the modern linguistic norm of Romanian language, but in oral language dialectal differences were remained.

      • KCI등재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 român 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고대 로마인은 스스로를 Roma 라는 지명에서 파생된 어휘인 romanus 라고 지칭하였다. 오늘날 로망스어권에서 이 어휘를 계승하여 자국민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루마니아가 유일하다. 현대 루마니아어에서는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로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 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루마니아의 국호 România 를 비롯하여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등과 같은 다양한 파생어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 때 남동유럽 및 발칸지역 일대가 고대 로마제국의 식민지였었던 관계로 이 지역에 로마문화와 라틴어가 보급됐었지만 현재는 이미 사어가 된 달마티아어를 제외하면 루마니아어가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발칸 로망스어이다. 하지만 고대 로마인들이 A.D. 271년 오늘날 루마니아 영토에 해당하는 당시의 다키아지방으로부터 철수한 이후 상당기간동안 이 지역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이 부재하였으므로 루마니아인의 고대 역사가 오랜 기간 공백으로 남아있다. 이런 역사기록상의 침묵을 깨고 루마니아인이 유럽역사에서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중세 때 소위 ‘블라흐족’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 시작하면서다. 현존하고 있는 문헌상에서 루마니아어휘 român 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581년에 출판된 오러슈티에의 구약성서(Palia de la Orăştie)에서 român 이라고 언급되면서부터이다. 비슷한 시기인 16세기 후반에 루마니아의 코레시(Coresi)에 의해 출판된 사도행전(Apostol)에 비록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rumân 이란 어휘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어휘가 다코루마니아어의 român(또는 rumân), 아루마니아어의 armân, arămân(또는 aromân), 메글레노루마니아어의 rumon, 이스트로루마니아어의 rumăr(또는 rumër) 등과 같이 소위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 모두에서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방언들이 분리되기 이전 단계인 루마니아어의 공통조어에서 이미 사용됐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루마니아인들의 문자사용 시기가 13세기 말경에서 14세기 초반으로서 비교적 늦은 편인데다 그마저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문자가 키릴문자이었기 때문에 중세 때 발칸지역 일대의 민족들은 루마니아인을 가리킬 때 고고 독어인 Walhos, Walha 등으로부터 유래된 어휘를 각 민족마다의 고유한 발음습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들인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등과 같이 사용한 반면 루마니아인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일찌감치 라틴어휘 romanus, romani(<단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i, rumâni 등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그들의 국호를 România, Ţara românească 등으로 표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루마니아인의 선조들은 발칸지역 일대의 다사다난한 지정학적인 여건 하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주거지를 옮겨 다녀야만 했던 상황에서도 로마제국의 명성으로부터 오로지 언어만을 보존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인들로 하여금 유구한 역사를 통한 각종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고 루마니아어가 오늘날까지 발칸지역에서 유일하게 로망스어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alogical linguistic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Romanian is one of Itallic branch of Indo-European, namely Romance Languages, such as Italian, Franch, Spanish and Portuguese. Nowadays it is only Romania in the world that uses for the people of a country the word derived directly from Latin romanus , namely român. Besides the word român in Romanian exist a lot of derivatives from Latin romanus, for example, România,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etc. Given the abse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fter the withdrawal of the Roman army from the province Dacia in 271, no Romanian population north of the Danube was mentioned for almost 1,000 years, until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when Vlachs were first recorded there. The word român first appeared in Romanian in the Old Textament from Orăştie in the year 1581. In the almost same time appeared the word rumân in the Acts of the Apostles published by the Romanian Deacon Coresi, even though it was written in the Cyrillic writing system. However, judging from that this word is preserved in all four Romanian varieties in a wider sense, for example, român(or rumân) in Daco-Romani an, armân(or arămân) in Aromanian, rumon in Megleno-Romanian and rumăr(or rumër) in Istro-Romanian, we can recognize the fact that the word was widely used in the Common Romanian language, namely in Old Romanian before the split of four Romanian varieties. While the peoples of the Balkan area described the Romance population including the ancestor of the Romanians in medieval time, according to the manner of their articulation and pronunciation, with the words borrowed from Old Germanic Walhos such as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respectively, the Romanians have called themselves with the word derived from Latin romanus as români and their country as România or Ţara românească etc. We may now conclude that the ancestor of Romanian people who had been Romance population of the Balkan peninsular were able to preserve the language of Roman Empire even though they have begun to use the Cyrillic writing system from the end of 13th cuntury for the first time. It would be the reason that they can today survive as the unique Romance populatio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is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