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맑스의 민족주의의 이해에 대하여 : 레닌의 제국주의론으로

        노태구 경기대학교 2000 論文集 Vol.44 No.1

        맑스의 저작에서 우리가 보아온 바와 같이 동양은 맑스주의의 범주내에서 서구의 정보를 접하는 초창기의 서구로 취급되고 있다. 레닌의 사고에 있어서는 동방은, 자본주의 새로운 단계로 통합되는 것을 시사한 제국주의의 이론을 통하여 맑스주의내에 포함되어지는 것이다. 이 단계의 성격은 레닌에 따르면 동방은 반드시 그 스스로는 충분하게 자본주의자로 될 수 없는 자본주의의 부분과 같은 것이다. 그리하여 레닌은 이러한 이론적 포용의 대가는 그 특수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함이 없이 맑스주의의 이론내로 포함시켰다. 동시에 이 특수성은 더 이상 동양주의적 단어로 여기지 않게 되었다. 레닌이 제국주의의 시기전에 동양의 역사에 대해 별로 말하지 않고, 그리고 그 주제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그 쟁점에 대해 어떠한 사려깊은 고려를 하지 않은 것을 보여주는 것도 사실이다. 진정으로 그들은 동양주의적 은유와 이미지로 충만되어 있다. 레닌은 동방을 정체되어 있고 동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 외에서도 레닌은 러시아를 '아시아적'인 것으로 규정하였을 때, 그 용어는 후진성 그리고 심지어 야만성을 위한 은유로서 기능하였다. 그러나 좀 더 기본적인 의미에서 레닌의 이론은 동양주의의 파라다임의 토대를 완전히 파괴하였다. 왜냐하면 제국주의가 어떻게 지구의 후진적 부분을 자본주의의 영향력하에 둘 것인가를 서술함에 있어서 레닌은 그 스스로 동방의 특수성을 국한시키려 하지 않았다. 그는 또 동구를 동일한 과정에 종속되는 것으로 보았다. 반대로 레닌은 일본은 제국주의국가의 수준에 속한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이 구분은 더 이상 '동양'과 '서양'의 개념을 불가결한 것으로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제국주의국가와 식민지화된 국가, 상대적으로 선진적이고 상대적으로 후진인 국가, 억압민족과 피억압민족으로 구분하였다. 레닌의 제국주의론은 당시로는 얼마의 절묘한 솜씨로 처리한 묘기였다. 제국주의론에서 동방은 맑스주의이론 속으로 통합되었다. 그것은 사회주의혁명에 있어서 동방의 중요성은 매우 직접적이며 그리고 즉시에 이 혁명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식민지문제와 민족문제는 레닌의 경우는 복수심으로 결합시킨데 반해, 맑스는 분리된 잇슈로 취급했다. 그리고 맑스에 있어서와 같이 불안의 잠재적 요소로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제 민족문제의 형태로서 식민지 문제는 무산대중 혁명의 동맹자와 같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여기서 레닌에 의해 기도된 맑스주의이론의 발전과 재구성의 중요성은 (다른 영역에서와 같이) 과대평가되어질 수 없다. 맑스주의이론에서 차지하는 비서구세계의 위치는 사회주의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급진적으로 재고되었다. 이는 물론 새로운 문제를 제기했으며 항상 직접적으로는 드러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더욱 더 구체적인 설명이 요구되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관점과 관련하여 레닌이론의 두가지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Seth, 1995 :49) 가끔 지적하였다시피 레닌은 식민지 민족주의운동을 억압국가의 민족주의가 어떤 점에서는 반동적으로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결코 고려하지 않고 부르죠아 - 민주주의로 서술하였다. 이유는 제국주의의 반테제로서 떠오르는 (그리고 여기에는 그러므로 그 정치적 내용에 관해 어떠한 특별한 결론도 수반하지 않는) 식민지민족주의의 새로운 이해에 따라, 동방은 여전히 민주주의 등을 옹호할 성장중의 자산계급을 유지하면서 서방을 따라 역사적 단계로 출현하는 동방민족주의의 진화적 견해를 소유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두 개의 전망은 모순적이지 않다. 그러나 레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이들 두가지 시각이 반드시 함께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반세기 그리고 그 이상의 역사적 경험으로 때로는 맑스주의자들이 (그러나 맑스주의자 뿐만 아니라) 놀라고 자주 곤경스러워 하면서 심지어 어느 의미에서 반제국주의로 있는 피압박민족의 민족주의운동이 언제나 자유적이고 민주적이지 않다는 것을 되풀이하여 입증하는 것이다. 제국주의에 대한 해답으로 창출된 식민지 민족주의와, 지구의 후진지역의 역사적 진화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식민지 민족주의의 사이에 단순한 잘못으로 구분을 하는 이러한 실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식민지 민족주의가 반제국주의적이지만 어떤 다른 의미에서는 부르죠아민주주의적이거나 진보적이지 않고 심지어 반동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이들 사이를 구분하는 것은, 세계혁명의 대의명분이 달리는 진보적일 수 없는 사건들과 과정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레닌은 이 단계를 다루지 않았다. 그 이유를 살펴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정치적으로 혁명적인 것은 역사적으로도 진보적이라는 주장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를 정치에 이용하는 것은 레닌이 제2국제당의 완고하고 결정론적이며 진화론적인 맑스주의와 단호하게 관계를 단절하고 난 이후에는 역사를 정치에 이용하는 것은 레닌의 맑스주의에 중요하게 되었다. 레닌은 역사의 진화론적 (그리고 목적론적) 해석에서 정치적 선택을 기초로 하는 것을 계속하였다. 역사의 해석속에서 정치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역사적 진보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발견되며, 진보의 각종 관념이 (정치적이고 그리고 역사적/진화적인) 다른 것을 보증함으로써, 이러한 이중적 의미에서 진화적이며 진보적이었다. 레닌이론의 두 번째 결과는 식민지와 민족문제를 융합함에 있어서 식민지문제는 문제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민족문제도 표면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말하자면 억압민족주의와 피억압민족주의 사이의 구분을 중심 쟁점으로 함으로써 레닌은 다음과 같은 다른 가능한 문제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민족형성의 문화적 그리고/ 또는 언어적, 역사적 차원, 그리고 진보적인 다양성에 관한 이러한 사회주의적 요구를 민족주의가 제기하는 것을 배격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레닌은 아마도 이와 같은 문제들을 구체적인 혁명적 덕목과 비교하여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것으로 취급한 것 같다. 실로 그와 같은 문제가 틀림없이 레닌의 반응을 기대하며 제기되었을 때, 레닌은 이러한 쟁점에 대해 전념하지 않았다.(Seth, 1995 :48-51) 사실상 맑스는 이런 문제에 역점을 두지 않았다. 맑스와 엥겔스의 민족문제에 관한 저서는, 홉슨의 말에 의하면, 민족과 민족해방의 운동은 그들 스스로 목적으로서가 아니라 세계혁명의 과정, 이익과 전략과 관련하여서만 고려된다는 확고한 신념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레닌의 저술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레닌은 어떤 민족투쟁이 세계혁명에 기여하였는가 하는 여부를 판별할 때, 임시의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실용적 기초를 제공하기보다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론화'에 의하여 암시되는 바로 그 체계화는 역시 맑스의 저술에서 결여된 것은 레닌의 저술로부터도 명백히 제외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억압민족과 피억압민족사이의 구별이 주요한 쟁점이 되고, 그리고 이러한 기본위에서 진보적 민족주의와 반동적 민족주의를 구분함으로써, 레닌의 이론은 민족과 민족주의가 레닌주의의 구체화속에서 맑시즘내의 문제로하여 그들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초창기 사회주의 지식인의 러시아혁명 인식

        김현주(Hyun-Joo Kim),카게모토 츠요시(KAGEMOTO Tsuyoshi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1 No.-

        이 연구는 한국에서 최초로 레닌과 볼셰비즘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글로 평가받는 김명식의 「니콜라이 레닌은 어떠한 사람인가」(『동아일보』, 1921.6.3.~8.31, 총 61회 연재, 이하 「레닌」)를 중심으로 조선의 사회주의 지식인들이 공론장에서 러시아혁명과 볼셰비즘을 논제로 삼기 시작했을 때의 문제의식과 인식 내용을 살펴보았다. 「레닌」의 전체 20절 중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18개의 절은 일본에서 여러 저자가 발표한 글 또는 책에서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 본고는 첫째 「레닌」의 일본어 저본을 확정하고, 둘째 저본들의 성격을 검토했으며, 셋째 저본들을 분절하여 교차적으로 배치한 의도와 효과를 분석했다. 「레닌」의 본론은 다음과 같은 논문과 책에서 가져온 내용이 짜깁기되어 있다. 야마카와 히토시(山川均)의 「레닌의 생애와 사업(レーニンの生涯と事業)」, 「레닌의 첫인상(レーニンの第一印象)」(『社會主義硏究』, 1921.4)에서는 1917년 혁명에 성공하여 소비에트 정부의 수반이 되기까지 레닌의 생애와 혁명 활동, 그리고 레닌에 대한 짧은 인상기를 가져왔다. 우치야마 쇼조(內山省三)의 『世界革命史論』(江原書店, 1919.7.)에서는 러시아의 근대사와 혁명운동의 전개, 1905년에서 1917년까지 러시아 국내 혁명의 경과, 그리고 혁명 성공 후 볼셰비키의 정책에 대한 서술을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출처 미상의 볼셰비키의 헌법에 대한 설명과 나카메 히사요시(中目尙義)가 번역한 『볼셰비즘 비판: 원제 과격파의 본령(ボルシェヴィズム批判 : 原名 過激派の本領』(大鐙閣, 1921)에서 가져온 볼세비키의 대내외 선전에 대한 설명이 있다. 김명식은 레닌주의자인 야마카와의 글과 반볼셰비즘의 주장이 담긴 우치야마와 나카메의 책에서 가져온 조각들을 교차 배열함으로써 검열을 우회하는 한편, 레닌의 생애 이야기를 넘어서 러시아혁명의 역사적 조건과 현재 모습을 이해하고자 했다. 김명식이 레닌이 활약하기 이전 러시아의 근대사와 혁명운동에 대한 우치야마의 분석에 관심을 가진 것은 식민지인 조선의 상황과의 유사성 때문이었다. 한편 독일과의 강화조약을 볼셰비키의 굴욕적 양보로 평가한 우치야마에 대해 레닌을 인용하면서 주석을 단 것은 강화조약이 제국의 해체와 연동되어 있었음을 인식한 결과로서 식민지 지식인의 위치성을 드러낸다. 아울러 그는 우치야마와 나카야마의 글을 통해 혁명 후 법과 제도 등으로 구현된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현황도 파악하고자 했다. 「레닌」의 목표는 러시아혁명에 대한 역사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 Myung-sik(金明植, 1890~1943)'s “What kind of person is Nikolai Lenin?” (Dong-A Ilbo, 1921.6.3.~8.31, serialized 61 times in total, hereinafter “Lenin”), as the first article to introduce Lenin and Bolshevism in earnest. Of the total 20 verses of “Lenin”, 18 verses-that is, ex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were translated from articles or books published by various authors in Japan at the time. This study first confirms the original Japanese articles of “Lenin”, before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intention and effect of having segmented and intersected them.

      • KCI등재

        『레닌기치』에 반영된 고려인 사회 - 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

        김현주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6

        It has been 150 years since the Koreans(Korea-In) were forced to migrate from the Maritime province in Soviet Union, the home of their lives, to the unfamiliar Central Asia by the Soviet government in the fall of 1937. Even though they have passed through those years, they still call themselves 'Koreans‘(Korea-In), and their bending life, which has not put a cord as a Korean nation, is another sick affair of ours. However, the lives of the Koreans(Korea-In) have accumulated in the veil for a while, but they have begun to attract attention recently. As a result, numerous studies on Koreans(Korea–In) have exploded, and active research is underway. Most studies, however, focus on Korean Diaspora (forced migration) history. In other words, it focuses on the deplorable immigration, violence, coercive measures, and forced lives of the Koreans(Korea-In) in Central Asia. Of course, this initial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even if i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consensus as the same national. This is because we could understand how the history of Koreans(Korea-In) that had been covered in veil flowed. However, it is now considered that analyzing the Korean community people based on more objective facts is the right way to understand them properly. For this purpose,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analyze the <Lenin Gichi> newspaper, the sole source of their daily life. As <Lenin Gichi> is the party institution, all the articles in the newspaper are thoroughly censored, so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Koreans(Korea-In) completely. However, when we look closely, the traces of the Koreans(Korea-In) are revealed in various forms in the newspaper <Lenin Gichi>. In the 1950s, <Lenin Gichi> began to take on a more flexible form at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 period. Not only Peloton, but also new corners are noticeable, occupying a corner of the <Lenin Gichi> newspaper floor in various formats such as "Reader's Letters," "Discussion on paper," and "Newspaper Dictionary."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s the various types of corners in the <Lenin Gichi>, and aims to trace what is inherent in the Korean community in the 1950s and to gauge the identity of Koreans(Korea-In) of the time.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the mutual ability of Koreans(Korea-In)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Ultimately, this work is part of the process of completing a specific topographical map of forced migration(diaspora) history.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의 삶이 최근 재조명되고 있다.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까지로 이어지는 굴곡진 그들의 이민사는 정치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베일에 가려져 있었지만 긴 세월을 관통하면서 스스로를 ‘고려사람’이라 칭하며 한민족으로서의 끈을 놓지 않았던 그들의 삶이 복원되어야 할 이유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때『레닌기치』신문은 그들의 일상을 추적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라 할만하다. 물론『레닌기치』가 당 기관지인 만큼 신문에 실린 모든 기사는 철저하게 검열되었기 때문에 그 기사만으로 고려인들의 실체를 파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당 주도하의 선동적이고 형식적인 기사들 사이에는 의외로 고려인들의 삶의 흔적이 다양한 형태로 놓여 있다. 예컨대 “펠레톤(feuilleton) 예컨대,『꽤 추운데요』, 몇몇 꼴호스원들,『레닌기치』1950.1.24., 3면.『여러가지 “재간”』, 김청학,『레닌기치』1956.11.10. 3면,『검정 상점』, 우 마르웨이,『레닌기치』1956.11.18. 2면,『수입조』, 아. 오델린,『레닌기치』, 1956.12.11. 2면,『“바늘 도적이 소 도적이 된다고…”』, 정종환(그림), 리은영,『레닌기치』1956.12.16. 3면, 등이 펠레톤에 해당된다. 펠레톤은 한 달 기준으로 많게는 3-4편, 적게는 1편정도 실리는데 1950년대가 가장 활성화 되었던 시기이다. ”으로 분류되는 풍자적이면서 현실 비판적인 기사들이 간혹 존재하는데, 바로 이 글들에서 고려인의 참된 일상을 엿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주 초기를 지나 1950~60년대『레닌기치』신문에는 펠레톤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식의 코너가 신설되면서『레닌기치』신문에 대한 고려인들의 관심과 참여가 증가된다. 이는 스탈린 사후 억압된 사회적 분위기가 여러모로 점차 호전되어 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데, “유모어”, “퀴즈(수수께끼)”, “박보장기” 등의 재미있는 코너나, “신기한 일”, “이런 것을 아십니까” 같은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코너가『레닌기치』신문 지면을 장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코너는『레닌기치』구독자들의 관심을 자극해 신문 구독률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독자편지”, “지상토론”, “신문사전” 같은 코너에서는 고려인 사회의 내부적인 문제를 공개적으로 다루기까지 한다. 당시 고려인들 사회에 내재된 문제를 직접 마주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코너는 고려인들의 의식 변화 과정을 추적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현장을 분석하는 것은 당대 고려인들의 삶을 통찰할 수 있는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레닌에 대한 재평가 또는 재활용?

        박상철(서평자)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2

        이 책은 “촛불시대에 다시 생각하는 레닌과 러시아혁명”이라는 주제로 2008년 7월 8일에 열린 학술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논문 세 편, 토론문, 그리고 레닌에 관한 독자적인 논문 세 편 등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서평은 특히 레닌 사상의 현재적 의미를 살펴본 1부와 2부에 초점을 맞춰 작성되었다. 우선 발표된 세 논문은 레닌의 혁명사상을 각각 외부성, 제헌권력, 소비에트 민주주의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레닌의 사유가 불철저했다고, 시대가 변화했기 때문에 그 내용이 새롭게 규정되어야 한다고, 그리고 소비에트 민주주의, 즉 반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주창자로서 레닌을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논지 전개의 중심에 놓여있는 외부성, 제헌권력 등의 개념 자체가 상당히 모호하며, 때로는 레닌의 사상을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해석하며, 레닌 사상의 특정 측면을 서로 상반되게 파악하기도 하며, 각 논문의 논지가 서로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책의 여러 글들은, 비록 이런 취약점을 지녔을지라도, 서로의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주면서 촛불시대의 ‘혁명’이 제기하는 중요한 문제들을 레닌의 사상과 러시아혁명의 경험에 비춰 살펴보려고 시도함으로써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준다 This book is made up of the three sections: three papers presented to the academic symposium “Rethinking Lenin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period of the Candlelight Protest” held on 8 July 2008, the debates in the symposium, and the separate articles on Lenin. In this book review the focus is put on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The three papers in the first section deal with the externality, the constituent power, and the Soviet democratism irrespectively. The first paper asserts that Lenin’s thought was not consistent enough. The second one maintains that due to the lapse of time the content of Leninism should be redefined anew. The third one argues that Lenin should be succeeded as an advocator of the anti-liberal democratism. However, such main notions as the externality and the constituent power are far from being clear. Moreover, there are some arbitrary interpretations of Lenin’s thought, the inconsistency in the understanding of some aspects of Leninism, and sometimes the conflict between the arguments of the papers. Despite such shortcomings, the papers and articles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mutually. The principal virtue of this book lies in searches for the possibilities of a new revolution on the basis of the reappraisal of Lenin’s thought and the experiences of the Russian Revolution.

      • KCI등재

        북한 체제 형성 초기 레닌 사상 수용의 양상 : 모스크바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경화(Lim, Kyoung Hwa)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0 No.1

        해방 후 사회주의체제로의 근본적인 전환을 목표로 했던 북한에서는 새로운 소련식 ‘당-국가 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이 체제를 확립시킨 레닌의 저술과 사상의 체계적인 번역 수용이 무엇보다 시급했다. 이를 통해 신국가의 주도 집단으로서의 간부층에 대한 정치교육을 실시하고 일반 대중에게 사회주의사상을 보급하여 새로운 집단정체성을 가진 정치적 주체로서 조직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식민지 시기부터 축적된 레닌 저작의 번역, 소개의 역사적 경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사회로부터 사회주의사상을 본격적으로 번역 수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해방 초기 남북한 모두에서 이것이 신속히 실행될 수 있었던 것은, 모스크바의 외국로동자출판사 및 외국문서적출판부에서 1930년대부터 체계적으로 추진해온 마르크스 ․ 레닌주의 원전의 한글판 번역사업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외국로동자출판사 및 외국문서적출판부의 역사를 러시아 RGASPI의 아카이브 문서를 통해 밝히는 한편, 미군노획문서에서 확인되는 레닌 저작들을 활용하여 외국문서적출판부판과 북한의 로동당출판부판의 계통과 표기법 및 구성을 비교하여 해방 초기 북한에서 레닌 사상 번역 수용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소련의 한글 번역본을 거의 그대로 도입하면서 시작된 레닌의 수용은 점차 북한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독자적으로 기획된 역서를 간행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해방 초기 레닌 저작의 수용에는 1920년대부터 일역본의 중역을 통해 정착된 ‘고도의 지식문화’로서의 지식인 엘리트 위주의 국한문혼용체 번역과, 원문을 직접 번역한 소련의 외국문서적출판부의 한글판으로 대표되는 대중성, 인민성이 중시된 순한글체 번역이 혼재되어 있었다. 1950년대에 북한에서는 한글 전용의 『레닌 전집』이 간행되어, 정전화를 위한 국한문혼용체와 대중화를 위한 한글 전용의 이중적 표기체계가 통일되는데, 그 언어정책의 급격한 전환의 모델로서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은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In North Korea, which essentially aimed at a transition to a socialist system after the Liberation, it was urgent to systematically introduce translations of Lenin’s writings and idea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Soviet-style Party-State system. Lenin’s translated works were needed to conduct ‘political education’ for the ‘cadres’, the leading group of the new state, and socialist ideas had to be popularized among the general public to organize them as political subjects with a new collective identity. However, despite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ranslating and introducing Lenin’s works since the colonial period, the translation-mediated internalization of the Soviet-type socialist ideology was no easy endeavour. Nevertheless, the spread of Lenin’s works was relatively quick already in the early days of Liberation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thanks to the Korean translations of Marxist-Leninist systematically produced and published by the Foreign Workers’ Publishing House and its successor, Publishing House for the Literature in Foreign Languages, in Moscow since the 1930s. This paper deals with the history of both Moscow-based publishers, very scarce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utilizing both the Russian RGASPI archive documents and the indications about North Korean-produced translations of Lenin found in the North Korean documents captured by the US troops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it compares the spelling, structure and text provenance of the Lenin translations produced by North Korean Labor Party Publishing House and the Moscowproduced translations, with a focus on clarifying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Lenin’s introduction into early post-Liberation North Korea.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ception of Lenin’s texts, which began with the literal introduction of the Soviet-produced Hangul translations, gradually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further indigeniz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demand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The reception of Lenin’s work in the early post-Liberation days was represented, on one hand, by the translations in complicated Sino-Korean script, reminiscent of the translations of Lenin via Japanese produced by highly educated Korean Marxists since the 1920s for the ‘vanguard’ revolutionary elites. On the other hand, the Moscow-produced translations were mostly in Hangul vernacular, linguistically simplified and aiming at broad public. This duality was soon overcome, however, and a unified linguistic system for translated Lenin texts was established. In the 1950s, North Korea published a complete collection of Lenin’s works exclusively in Hangeul, thus establishing a canonical model for further translations of Lenin. It appears as if the popular, highly readable style of Moscow-produced translations might have exerted a great influence in the process of forming North Korea’s own canonical mode of Lenin translations.

      • KCI등재

        정치 지도자 숭배와 허위 민속에 나타난 레닌 이미지

        김상현(Kim, Sa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2 No.-

        수직적 위계질서의 전복 (아래로부터의 혁명)과 중심, 주변 간의 급격한 자리바꿈으로 특징되는 혁명의 생리와 파급효과는 1917년 러시아 혁명에서 극명하게 증명된다. 19세기적 전제 군주의 짜르가 처단된 자리엔 노동 대중과 농민의 지도자 영웅 레닌이 들어선다. 앙샹레짐의 패망 이후 새 이데올로기의 주입과 혁명 정신의 물결이 창조해 낸 강력한 국가 이미지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정권을 표상하는 문화 상징의 등장과 신화 구축으로 표현되었다. 새 신화 쓰기의 한 중간에는 레닌 스스로 주인공이 되었고, 그의 죽음 이후에는 수평적 프롤레타리아 문화정책 (위로부터의 혁명)을 들고 나온 스탈린이 권력을 계승한다.본 논문은 레닌이즘으로 표상되는 지도자 숭배와 허위 민속에 나타난 레닌의 이미지를 추적하는 것에 제일 큰 목적이 있다. 분석의 기본 자료는 당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승인된, 일명 사상적으로 안전하고 계획적으로 창조된 소비에트식 구전문학 텍스트 (허위 민속 자료)를 기본으로 한다. 새 정권이 이에 걸맞는 새 이데올로기를 필요로 했던 것처럼, 공산주의 권력은 새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권력 아이콘을 창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노동 대중과 농민을 교화시키고 당에 충성하는 노동 기계를 만들기 위해 선전선동을 자극하는 각종 정치 포스터가 혁명의 언어를 정치세력화한다. 각종 조직 (콤소몰과 레닌 연구소)과 정치의식 (레닌코너, 레닌묘, 동상참배)들이 이에 동반되었다. 이와 동시에 혁명의 표면적 기치와 외형적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저항의 움직임들은 역설적이게도 이미 혁명의 시작과 동시에 감지되고 있었다. 이것이 표면적으로 권력화되어 공산주의 정권에 정면으로 맞설 정도로까지 성장, 확대되지는 않았지만 민중들 사이에서 구전되던 당시의 민속 자료는 이러한 잠재적 위험성을 내러티브로 잘 보여준다. 프롤레타리아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의 실행이 실패로 이어지고, 예상과는 달리 농민층의 반대급부가 현실화되자 공산당이 관심을 돌린 것이 바로 지도자 개인 숭배의 신화적 마스크였다. 국가 동원의 실효성이 부재하였고, 혁명 이데올로기가 그 파급적 효력을 점차 상실해 감에 따라 대두된 것이 바로 스탈린의 강압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성격의 정책들이었다. 레닌에서 스탈린으로 이어지는 정권이양과 그 구전문학적 반영의 문제는 이제 사회과학적 시각 일변도의 기존 연구 경향의 테두리를 벗어나 보다 풍부한 고문서 자료와 인접학문의 이론적 도움을 얻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때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구전성을 기반으로 한 민속 장르의 분석을 통해 레닌의 정치 지도자 이미지와 도상성 (iconocity)을 점검하면서 스탈린과 비교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의 단계에서는 당 혹은 전문 작가들에 의해 계도적이고, 의도적으로 제작 보급되어 만들어진, 이른바 ‘만들어진’ 전통과 의식, 허위 소비에트 민담이라고 하는 비문학적 정치가공물들을 분석한다. In this work, I present two kinds of different oral history (folklore genre) regarding the political leader Lenin and the Lenin cult since the October Revolution of 1917 to the demi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comparing those of Stalin’s. The former is grouped as tales that are officially sanctioned narratives about Lenin and more importantly about his heroic deeds for this nation and its people. The latter is devoted to sarcastic or historical materials pertaining to anti-Lenin discourse. Throughout this study, however, I do not treat Lenin folklore as a surviving remnant of the erased past; rather, it is a national experience and distinctive national response to the archetypal image as the founder of the first Socialist Revolution in the world. Political and cultural folklore pertaining to Lenin cult in this respect show two different levels of cultual acts: folklore in the making and the tradition invented. These two categories are instrumental in shaping the past folklore rhetoric and the contemporary sarcastic discourse, both of which shed a new light on who was Lenin, why the image of Lenin has still survived regardless of its positive and negative remnants, and finally how we interpret this tendency. Lenin’s corpse, even after his physical death, has functioned as political regime symbol both within the mausoleum and outside of it well into the people’s threatened mindset, overcoming the people’s forceful plea for segregating his body from his permanent house. Historically, under Lenin’s political power was still strong, paying a visit to his grave is a sort of mandatory ritual among Soviet peoples. More essential, with this keeping vigilance to the grave and thousands of public delivery of songs, poems, letters, marching parade, his death had served as important political symbol for mobilizing totalitarian collectivism which had governed the individual’s inner world and the whole nation’s behavior as well. This is why and how Lenin’s influence is made and permeates all nation’s life of living. I argue that the examination of the problem of Lenin cult from the perspective of retrospective glance is far from nachronism. Even though nowhere was Lenin eagerly accepted especially after the demise of former Soviet Union, it is high time, I strong believe, to analyze the political and cultural origin of Lenin cult to better understand the Russian people’s way of thinking and of interpreting their home country’s heroic and talismanic leader, Lenin and Stalin. Ideologically, a new regime with revolutionary aspiration seeks to create a totally new or relatively new political and cultural symbols that can represent a secular myth. Once this new myth is established, the successor of this first regime struggles with keeping this and continuing the original foundation, adding more stable ideological constructs. The first might be called a hierarchial and vertical transition, while the latter a horizontal and stable one. To this socio-political end, new authorities need a new iconography and symbolic emblems as well. Concomitant to the basic principles of socialist realism proclaimed as a Soviet literary movement, new communist authorities seek an edifying example to encourage its people with proper cultural education by means of reading club, organizational cultures, new rituals at a Lenin corner, political posters, and other mobilizing movements, etc.

      • KCI등재

        레닌묘의 상징성과 기억의 정치학

        김상현(Kim, Sang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1

        본 연구는 소비에트식 기념비 건설의 건축미학을 가강 기본적이고, 상징적으로 응축하고 있는 레닌묘를 신화 구조와 러시아 정교회 건축술의 세속적 재해석의 바탕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닌 사후 90년이 넘었고,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에서조차 레닌 시신을 이장하자는 논의가 끊임없이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레닌묘가 건재하게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인지도 아울러 살펴본다. 레닌묘에 대한 시민 의식구조 분석이 논의된 본 연구는 무엇보다 레닌묘가 함축하고 있는 풍수리지적 · 신화적 · 정치적 조건과 상징성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Vladimir Lenin, not only the leader of the 1917 Russian October Revolution, but a permanent secular saint in most of Russians, has become a phenomenon that stands for a political cult in the communist regime, including a particular reservation of his tomb-Lenin Mausoleum. Over the past more than 25 years, after the dismemberment of the former USSR, the issue of his corpse, that is, the re-interment of his body from the current mausoleum has brought about an endless debate on what has to be done with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n is to close look at this issue from its early beginning to the most present period. Drawing upon a wide variety of documents, visual materials, and pictures personally taken by the author of this paper, this study scrutinizes the whole course of the debate. Moreover, this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Lenin Mausoleum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geomency’ and the orientation in Russian orthodox church architecture. The problem of memory about the political leader Lenin is also discussed here, so that this study examines why the Mausoleum has been kept and remained in situ there, despite the fact that Lenin himself did not want to be embalmed and many people, young generation in particular, give their voices to have Lenin’s corpse are evil and be removed from the place.

      • KCI등재

        북한 문학과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노선, 1953-1956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1953년부터 김일성은 사상교양분야에서 북한의 현실에 맞는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을 주장하며 탈소련화를 추진하였다. 1953년 초, 조선로동당은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을 당의 사상교양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조선로동당의 역사와 사상을 당원들에게 교육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 문학도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전기(biography) 수준을 넘어 본격화 하였다. 1954년부터 소련파는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노선을 소련공산당의 개인숭배비판과 집단지도체제 노선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비판하였으며, 1955년 소련공산당 역시 김일성에 대한 ‘개인숭배’를 이유로 북한 권력의 재편을 추진하였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서 김일성은 1956년 초사상교양분야의 소련파를 숙청하고,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대회에서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노선을 당의 공식적인 사상 노선으로 채택하였다. 1958년 이후 김일성이 소련이나 중국과는 다른 독자 노선을 걷기로 결심하면서 이 노선은 ‘주체사상’ 노선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at the “Juche” line developed from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line in the field of ideological education since 1953, and North Korean litera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actice the principle,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Juche” line afterward. In early 1953, the Korean Workers’ Party decided to adopt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as the principle of the Party’s ideological education, study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s the Party’s revolutionary history and educate it to the Party members. Consequently,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embodied in biographies of Kim Il-sung before began to be officially studied by the party organizations and members, and its literary figuration came into full swing. From 1954, the Soviet faction started to criticize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line for deviation from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CPSU)’s line of criticism at “personality cult” and return to the collective leadership. In 1955, the CPSU regarded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as a “personality cult,” pursuing the reshuffling of North Korea’s power structure for correcting this error. Against the measure, Kim Il-sung purged main figures of the Soviet faction in early 1956. After this watershed moment,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was adopted as the Party’s official ideology line, and being developed into “Juche Ideology,” as Kim Il-sung determined to take North Korea’s own path getting out of Soviet Union and China"s influences.

      • KCI등재

        레닌의 혁명 사상과 민족자결주의: 제1차 세계대전 시기를 중심으로

        박상철 호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7 No.-

        레닌은 자신의 제국주의 이론을 통하여 제국주의란 독점 단계의 자본주의로서 자본주의 발전의 최고이자 최후의 단계, 즉 사회주의 혁명의 전야라는 점, 현 전쟁은 세계를 재분할하기 위한 제국주의 전쟁이며 제국주의 시대에 전쟁은 불가피하다는 점, 기회주의와 사회배외주의의 사회적 토대는 부르주아지가 식민지로부터 착취한 초과이윤으로 매수한 일부 프롤레타리아트 상층이라는 점, 제국주의는 소수의 선진국들이 엄청난 다수의 주민들에게 식민지적 억압과 금융적 교살을 자행하는 세계적 체제가 되었다는 점. 그리고 자본 수출은 후진국과 식민지에서 자본주의의 발전과 격렬한 민중적 저항을 초래함으로써 세계혁명의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는 점 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런 제국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레닌은 우선 기회주의 및 사회배외주의와 이념적으로 투쟁할 뿐만 아니라 조직적으로 분리해야 하며 그런 원칙 위에서 새로운 인터내셔널을 조직해야 한다는 것, 전쟁이 낳은 혁명적 상황을 실제 혁명으로 이끌 수 있는 주체적인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노동자 조직이 합법성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 현재의 전쟁은 제국주의 전쟁이기 때문에 반대해야 하지만, 억압계급에 맞선 피억압 계급의 전쟁과 사회주의적 혁명전쟁은 지지해야 한다는 것, 따라서 제국주의 전쟁을 내전으로 전환시키자는 슬로건이 사회주의자들의 가장 올바른 구호라는 것 등등을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러시아가 유럽 혁명 또는 세계 혁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믿었는데, 제국주의 전쟁 상황에서 세계 혁명은 선진국의 사회주의 혁명과 나머지 지역의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또는 민족해방운동이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며, 사회주의는 처음에 하나 또는 몇몇 나라에서만 승리할 수도 있다고 예견하였다. 또한 레닌은 후진국과 식민지의 민족자결권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는데, 그것은 첫째, 선진국의 사회주의 혁명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었고, 둘째로는 사회주의란 모든 억압과 착취가 폐지된 철저한 민주주의를 의미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레닌은 민족자결권이 노동자계급의 국제주의적 단결에 기여해야 한다고,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모든 민족을 억압 민족들과 피억압 민족들로 구분하여 억압민족의 사회주의자는 피억압 민족의 민족자결권을 적극 지지해야 하는 반면에, 피억압민족의 사회주의자는 억압민족 노동자계급과 피억압민족 노동자계급 사이의 단결을 옹호해야 한다고 믿었다. 마지막으로 레닌은 서유럽 선진국의 사회주의 혁명이 곧 일어날 것이고, 그리고 그것이 세계 혁명의 중심에 놓여있다고 믿었다. 민족 자결권 문제에서도 그의 주된 관심은 반식민지 및 식민지보다는 동유럽 지역에 놓여 있었다. 레닌의 이런 혁명 사상, 특히 민족자결권 옹호는 1917년 러시아 혁명 과정 및 그 이후에도 큰 변화 없이 계속되었다. 또한 러시아 혁명 이후 유럽의 정세는 레닌의 예측이 실현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혁명의 물결은 곧 가라앉았다. 반면에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 혁명정부가 천명한 민족자결주의는 특히 아시아지역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 결과 아시아 지역의 민족운동이 급속히 확산되자 레닌은 아시아 민족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더욱 강조하게 되었으며 러시아 사회주의 정권의 소수민족 정책이 아시아 민족들... Lenin, in his pamphlet on imperialism, tried to prove that imperialism is the monopoly capitalism, the highest and final stage of capitalist development; that it is the eve of the socialist revolution; that the current war is an imperialist war for redividing the world and a war is inevitable in the age of imperialism; that the social basis of opportunism and social chauvinism is the upper part of the proletariat which the bourgeois bought by excess profits from the colonies; that imperialism is a global system of colonial oppression and financial exploitations of a vast majority of its population by a few advanced countries; and that capital exports ar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world revolution by causing capitalist development and violent popular resistance in unadvanced countries and colonies. Based on this theory, Lenin insisted that socialists should not only ideologically fight opportunists and social chauvinists, but organizationally be separated from them; that socialists should organize a new international on such principles; that proletarians should strengthen their capacity to lead the revolutionary situation, created by the war, into the revolution; that workers' organizations should not be bound by legitimacy; that socialists should oppose the current imperialist war, but support the civil wars of the oppressed against the oppressing; therefore, that the slogan to turn the imperialist war into civil war was the only correct slogan of the socialists. He believed that Russian revolution would play a leading role in the European revolution or the world revolution. He predicted that the world revolution would proceed in a way that would combine the socialist revolution of advanced countries with the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or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f the rest of the world; and that socialism might initially triumph in only one or a few countries. Lenin also actively defend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unadvanced and colonial nations, because he believed that it would promote the socialist revolution in advanced nations, and that socialism meant a thorough democracy in which all oppression and exploitation were abolished. However, Lenin though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nations should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unity of the working class, and to do this, all the nations should be divided into oppressed and oppressing nations. The socialists of the oppressing should actively support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oppressed nations, while the socialists of the oppressed should advocate the unity between working classes of oppressed and oppressing nations. Lastly, Lenin foresaw that the socialist revolution of western European nations would soon take place, and that it would take the decisive place in the world revolution. In the matter of self-determination of nations, his main interest was in Eastern Europe rather than in semi-colonies and colonies. Lenin's view on world revolution, especially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nations continued without major changes during an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for a while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Lenin's predictions seemed to come true in Europe. But a revolutionary wave soon subsided. On the other hand, the doctrin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nations, declared by the Russian revolutionary government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had a repercussion, especially in Asia. As a result, the rapid spread of national movements in Asia led Lenin to emphasi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national movements in Asia, and emphasized that minority policies of the Russian socialist regime should be a good example for Asian peoples.

      • KCI등재

        레닌묘를 읽는 두 가지 해석: 축소된 우주론, 풍수의 정치학

        김상현 ( Sang Hy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7 슬라브연구 Vol.33 No.1

        레닌의 죽음(1924년)은 `불멸의 개인 신격화` 혹은 신의 이미지를 대체할 `인간 이미지의 정치적 이용`이란 모델로 지금까지 줄곧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레닌 시신의 처리문제는 러시아 정교회의 장례법에 위배됨은 물론, 생전의 레닌 자신의 입장에도 합치하지 않는다. 매장이 아닌 영원한 미라 방식으로 처리되어 안치된 시신은 `상징정치학`의 표본으로 보기에도 충분하다. 본 연구는 레닌 시신을 이용한 레닌묘의 정치 · 문화적 의미가 구 소비에트인의 “기억된 과거”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모델임을 증거하며, 동시에 레닌묘는 그의 죽음을 영원한 현재에 묶어두려 했던 세속 정권의 정치적 이용 사례라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자 한다. 이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동양의 풍수지리, 서양의 지오멘시, 경관의 사회학 개념, 그리고 러시아 정교회의 건축기술법을 원용하여 레닌묘가 함축하고 있는 신화적·종교적·정치적·문화적 다의성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Lenin Mausoleum, one of the most distinguishing historical symbols representing the communist power toward Vladimir Lenin, is no doubt the landmark located in the center of city Moscow. Since Lenin`s death(1924) and the construction of his mausoleum(1930), reburial of Lenin`s corpse has frequently been hot issue in Russian, regardless among the intellectuals and common people. Moreover, Lenin`s death has brought about a sort of political cult in the communist regime, even before and after the former Soviet Union. Nowadays, on the other hand, Lenin Mausoleum has invited numerous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how it could be analyzed and why it has remained so far, even in the time post-Soviet period.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n is to scrutinize this issue surrounding the Mausoleum, paying a special focus on its symbolic and architectural meaning. Drawing upon a wide variety of documents, visual materials, and pictures personally taken by the author of this paper, this study overviews the whole course of the debate. In particular, this study illuminate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Lenin Mausoleum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geomency` and the orientation in Russian orthodox church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