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자일 문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 동적 역량, 디지털 업무 경쟁력의 구조적 관계

        김재명,정재석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6

        [연구목적]본 연구는 경영환경에서 성공을 위해 중요한 요인인 기업의 애자일 문화가 조직 구성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조직 구성원의 동적 역량과 디지털 업무경쟁력의 다중매개 역할에 대해 실증하고자 한다. 특히, 조직 구성원의 동적 역량과 디지털 업무경쟁력 증진을 위한 교육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다양한 국내 기업 구성원 1,330명에게 배부하여 제조업, IT업, 금융업의 구성원 설문 5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애자일 문화, 동적 역량, 디지털 업무경쟁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 설정을 했으며, 통계 도구는 확인적 요인 분석(CFA)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가설 검증은 SPSS 25.0, AMOS 25.0,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애자일 문화는 동적 역량, 디지털 업무경쟁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동적 역량과 디지털 업무경쟁력의 다중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애자일 문화가 동적 역량과 디지털 업무경쟁력을 거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으로 연결되는 과정 검증을 통해 애자일 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영역을 확장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4차 산업혁명 이후 구성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 증대에 관심이 있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애자일 문화 도입을 위한 노력과 구성원의 동적 역량과 디지털 업무경쟁력 향상이 조직 구성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을 증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원의 교육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는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 firm's agile cultur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succes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demonstrates the multi-mediating role of the dynamic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digital work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aim to prepare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digit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rough training to improve their dynamic capabilities and digital work competitiveness. [Methodology]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330 members of various domestic companies, and 500 questionnaires of members of manufacturing, IT, and financial industr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hypothesis was set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gile culture, dynamic competence, digital business competitiveness, and digital transformation competence. The statistical tool was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SPSS 25.0, AMOS 25.0, and Process Macro 3.0. [Findings]As a result of this study's hypothesis testing, agile cultu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ynamic capabilities, digital work competitiveness, and digit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an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and digital work competitiveness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Implication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research area on the impact of agile culture by verifying the process by which agile culture connects to digit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through dynamic capabilities and digital work competitiveness. In addition,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interested in increas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of their members aft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fforts to introduce an agile culture and improve the dynamic capabilities and digital work competitiveness of members are essential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the results that it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formation capabilities, we would like to present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introduc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members is necessary.

      • KCI등재

        테마파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고객만족 성공전략 -디즈니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훈 ( Lee Sang-hoon ),김형석 ( Kim Hyeong-seok ),김태성 ( Kim Tae-sung ),이정환 ( Lee Jeong-hwa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1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의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적용 범위와 대상을 제한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일부 신기술만 도입하게 되면서 시장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비즈니스 전반에 모두 적용되어야 하고, 이는 단순한 기술 혁신, 상품 개선 등과는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활용한 고객만족 사례를 디즈니랜드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국내의 테마파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디즈니랜드의 고객만족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고객참여, 디지털 솔루션,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 지적재산, 혁신 문화, 기술자산 관점에서 구분하여 이제 맞는 디즈니랜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테마파크라는 제한적 공간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새로운 가치 창조 공간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디즈니랜드 사례에서 확인 가능하며, 이를 통해 국내 테마파크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applies digital technology to innovate new business models, is an important challenge for companies. However, as man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have limited the scope and targets of application and introduced only some new technologi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they are not responding appropriately to changes in the market. Digital transform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business, which is distinct from simpl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roduct improvement. In this study, customer satisfaction cases using digital transformation were analyzed using Disneyland,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domestic theme parks were derived. Disneyland's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for customer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in terms of customer engagement, digital solution, digital service platform, intellectual property, culture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assets, and presented the case of Disneyland that fits now.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expanding a limited space called a theme park into a space for creating new values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can be confirmed in the case of Disneyland, and through thi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domestic theme parks can be presented.

      • KCI등재

        디지털 역량과 리더십 역량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미치는 영향

        이수익,백승령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23 국방연구 Vol.66 No.1

        Digital is deeply penetrating and affecting not only our daily lives but also society as a whole. Accordingl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re introducing digital technology in all areas of the company, including recruitment, production, planning, marketing, and sales, and declaring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is operated based on vast amounts of data, as a ground task and striving to achieve it. Many global companies are already evaluated to have achieved digital transformation, and from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se companies, there is a consensus that digital transformation is not just an option to improve management, but an essential element for survival. In the field of defense, the need for digital transformation is likewise emphasize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cently began comprehensively reviewing and specifying the defens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Defense Reform 2.0. In order to fundamentally change and innovate the way and means of work, not just the use of technolog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making various efforts by establishing the 4th Business Revolution Smart Defense Innovation Promotion Plan (2020) and setting five tasks such as digital leadership. Such efforts by the military to achieve digital transformation will ultimately lead to an improvement in combat power and are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overwhelming dominance of the military and the victory of the war.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military officials based on Westerman (2014), who emphasized digital and leadership capabilities as determina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ov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o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taking in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a survey of 179 soldiers and military personnel of field and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survey data,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ackag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f digital capabilities and leadership capabilities on digital transformation lev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sensitive propens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apabilities and digital transformation levels. This study is of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empirical studies for military officials,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taking tendency,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digital and leadership capabilities to achiev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ilitary, and the need to revitalize risk-taking organizational culture. 디지털은 우리의 일상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깊숙이 침투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국내·외의 기업들은 채용, 생산, 기획, 마케팅, 영업 등 기업의 모든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방분야에서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필요성은 마찬가지로 강조되고 있다. 국방부는 최근 「국방개혁 2.0」에서 디지털 기술의 국방 적용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구체화하기 시작하였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달성하기 위한 군의 노력은 궁극적으로 전투력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고 군사력에서의 압도적인 우세와 전쟁승리의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결정요인으로 디지털 역량과 리더십 역량을 강조한 Westerman(2014)의 이론을 토대로 군 관계자 대상의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위험감수성향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결정요인을 군 관계자 대상의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위험감수성향의 조절효과를 함께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군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달성을 위한 디지털 역량 및 리더십 역량 발전의 필요성, 그리고 위험감수 조직문화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수용 결정요인과 수용행위에 관한 연구

        박지현,최명규,류승완 한국산업경제학회 2022 산업경제연구 Vol.35 No.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ts influence on users' acceptance behavior. To this end, we first identify the key determinants that affect users'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behaviors based on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TOE) framework. We then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determinants on users' acceptance intention and resistance to digital transform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determina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consist of six dimensions: digital technology,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operability, operations, business environment, and perceived risk. Among these determinants, organizational culture, digital technology, and business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the most positive influence factors on user acceptance, while organizational operability is a negative factor. On the other hand, acceptance resistance, organizational culture,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operability, and digital technology turned out to be the most negativ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ing six determinants and their influence on user behavior will play an essential role for organizations in establishing efficient and effective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산업 전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행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수용행위에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환경-조직(TOE) 프레임워크를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앞서 추출한 핵심 결정요인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수용의도와 수용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데이터는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분야인 공공, 유통, 금융, 교육, 의료, 교통 및 제조 등 7개 분야의 종사자 약 3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도입에 대한 핵심 결정요인은 기술, 조직 문화, 조직 운용성, 업무운영, 비즈니스환경과 지각된 위험 등 총 6가지로 구성됨을 밝혔고, 이중 조직 문화가 수용의도와 수용저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기업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행 전략을 수립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가상현실 기술 기반 패션의 유형과 가치

        남윤진 ( Nam¸ Yoon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4차 산업혁명과 COVID-19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디지털 패션 기술과 가상 세계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관련 사례들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핵심 기술 중 가상현실에 기반한 패션의 유형과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가상현실 기술의 개념을 살펴보고, 최근 5년간의 사례와 리뷰의 키워드를 통해 유형별 경향과 가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VR 기반 패션의 유형은 1) 가상 패션 프리젠테이션 : 가상 쇼, 가상 전시, 가상 룩북 형식, 2) 가상 패션 플랫폼 : 가상 공간 메타버스, 가상 스토어, 가상 애플리케이션 형식, 3) 가상 패션 디자인 : 가상 의류, 가상 인터랙션, 가상 AI 형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VR 기반 패션의 가치는 사용자 중심, 커뮤니케이션, 지속가능성, 게이미피케이션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VR 기반 패션은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와 커스터마이즈의 경험을 강화하고 있으며, 시공간과 젠더의 규범을 탈피한 탈경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고 있다. 넷째, VR 기반 패션이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VR 기반 마케팅이 소비를 촉진하는 이면이 있지만, VR 기반 패션의 효율과 비물리적 역할이 확장되면서 긍정적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VR 기반 패션은 게이미피케이션의 가치를 지향하며, 아바타와 MZ세대의 재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재미의 요소가 주로 시각에 집중되어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에 대한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패션 전반의 실질적 사례 분석으로 VR 패션의 현 위치를 총체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디자인 기획에서부터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국내 패션의 가상현실 기술에 기반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nd related cases are rapidly increasing as interest in the virtual world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values of fashion based on virtual reality among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age. The research method is to examine the concept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from literatures, and to derive trends and values of the types through keywords from cases and reviews of the last five yea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VR-based fashion were classified as 1) virtual fashion presentation : virtual show, virtual exhibition, and virtual look book, 2) virtual fashion platform : virtual space metaverse, virtual store, and virtual application, 3) virtual fashion design : virtual clothing, virtual interaction, and virtual AI. Second, the values of VR-based fashion were derived as user-centeredness, communication, sustainability, and gamification. Third, VR-based fashion is reinforcing user-centered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experiences, and pursues trans-boundary communication that breaks stereotypes of space-time and gender. Fourth, it is noteworthy that VR-based fashion is oriented toward the value of sustainability. Although VR-based marketing promotes consumption, its positive aspects are emerging with the expansion of the efficiency and non-physical role of VR-based fashion. VR-based fashion is oriented towards the value of gamification, and focuses on the fun of avatars and MZ generation. Since the elements of fun are mainly focused on the visual display, It seems necessary to try various senses such as aural and haptic displays. This study can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VR fashion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rough practical case analysis of overall fashion, and it is meaningful in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domestic fashion from design planning to marketing.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데이터 활용 패러다임에 대한탐색적 사례 연구: 민간 및 공기업을 중심으로

        장제욱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데이터 활용 패러다임에 대한탐색적 사례 연구: 민간 및 공기업을 중심으로장 제 욱**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있어서 데이터 활용사례 고찰을 통해, 패러다임 변화 및 성공요소를 조망하고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질적 연구로써 해외 민간기업과 국내 공기업에 대한 사례연구 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평가 영역 등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기업들의 비즈니스 운영 및 고객 측면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행 수준을 비즈니스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즈니스 운영에 있어 ‘AI’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정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비즈니스 고객 측면의 ‘개인화 서비스’ 제공과 ‘고객 관여도’라는 이슈가 데이터 활용 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공기업의 디지털 전환 방향성을 제언하였고, 향후 디지털 전환 성숙도 평가에 대한 후속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AI 데이터, 개인화 서비스, 고객관여도, 공기업 □ 접수일: 2022년 8월 15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1학년도 건양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 건양대학교 휴머니티칼리지 인문융합학부 교수(Professor, Konyang Univ., Email: hipuma96@naver.com) A Case Study on the Paradigm of Using Data in the DigitalTransformation Era: Based on Private and Public CompaniesJewook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paradigm changes and success factors and obtain implications through a review of data use cases in corporate digital transformation. As a qualitative study, the case study method for foreign private companies and domestic public companies was applied. Prior studies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evaluation areas are examined, and implications for business operations and customers of companies are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evaluate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implementation from a business perspectiv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I’ and ‘data-based decision-making’ are being established in business oper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ssue of providing ‘personalization services’ and ‘customer involvement’ in terms of business customers is important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data utilization. The direc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enterprises was suggested,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follow-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transformation maturity evaluation. Key Words: Digital Transformation, AI Data, Personalization Service, Customer Involvement, Public Company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기반 전략경영에 관한 연구

        노규성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의 경쟁우위 확보 및 생존을 위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경영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기업 CEO 10인의 집중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에 의한 뉴노멀 과 이로 인해 야기된 경영환경 변화 트렌드 및 대응 전략 유형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전개될 수 있는 전략 대안 가운데 기업의 디지털 기반 경영 및 사업 수준의 전략 대안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기업 수준 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사업구조 리디자인 전략,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ESG 경영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 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사업 수준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산업구조 리딩의 디지털전략, 디지털 혁신의 경쟁전 략, 개방형 혁신의 플랫폼 전략, 고객 가치 지향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전략을 보다 체계화하고 자 하는 시도였다는 점과 어려운 상황을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는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을 보다 체계적으로 시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를 하였다. This study decid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 strategy for survival in the new normal era and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tried to suggest a management strategic alternative. To this end, this study derives the new normal caused by Corona 19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change trend and response strategy type caused by thi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nsive interviews of 10 corporate CEOs.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digital-based management and business-level strategic alternatives among strategic alternatives that can be deployed in various fields and areas. Business structure redesign strategy, resilience reinforcement strategy, ESG management strate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corporate-level digital-based strategies. As an alternative to business-level digital-based strategies, a digital strategy for industrial structure leading, a competitive strategy for digital innovation, an open innovation platform strategy, and a customer value-oriented strategy were suggested. It contributed in that it was an attempt to systematize a digital-based strategy more and it contributed in that it can support companies who have to deal with difficult situations wisely to implement strategic responses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 동적역량 매개효과와 관리자 코칭행동의 조절효과

        심현수,오상진 리더십학회 2023 리더십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최근 기업의 경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모트워크 등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조직의 지속 성장을 위해 기업의리더가 갖추어야 할 리더십과 역량에 대해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IT 기업종사자 350명을 대상으로, 리더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조직의 동적 역량과 관리자의 코칭 행동이 디지털 시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리더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의 동적역량은리더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매개효과를, 리더의 관리자 코칭행동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조직의 동적역량과 리더의 관리자 코칭행동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 기업의 리더나 경영자들에게 새로운 리더십의 방향성을제시하고 있다. 이는 향후 디지털 시대에서 조직의 리더는 개인의 특성이나 역량에 의해 발휘되었던 집중된 리더십이 아닌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역량을 부각시키고, 애자일(Agile) 중심의 동적역량이 기반이 되는 분산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s the leadership and capabilities that corporate leaders must posses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organization amidst unprecedente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have recently emerged as corporate management issues. To this end, this study targeted 350 employees of domestic IT companie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a leader's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on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organization's dynamic capabilities and managers' coaching behavior influence the innovation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digital er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addition, the dynamic capability of the organiz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leader's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he innovation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leader's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s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leader's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suggest a new direction of leadership to corporate leaders and managers who must cre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digital innov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in the future, leaders of organizations in the digital era will need distributed leadership that emphasizes the capabilities of each member of the organization and is based on agile-centered dynamic capabilities, rather than focused leadership that is exercis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capabilities.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회와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

        이상원(Sangwo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개인, 조직 및 사회 전체에 디지털화가 초래한 총제적인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져올 소비, 기업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고찰하고, 진화경제성장이론 및 혁신과 성장에 관한 경제학적 접근, 한국의 혁신 산업정책과 국가혁신체제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새 정부가 고려해야 할 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는 이종 기술 및 이종산업 간의 융합이 발전 전략의 핵심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한국의 경우 후발 주자가 선발 주자의 경로를 답습하여 추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선도로 진입하거나 새로운 경로를 창출하는 융합에 기반한 ‘탈추격형(post catch-up) 발전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한국의 국가혁신체제도 모방을 통한 추격 단계를 넘어선 ‘탈추격형 국가혁신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igital transformation is understood as the total effects on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ies which digitalization process induc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and changes on consumption, firms and society, which digital transformation will bring about. Also, through the examination of evolutionary economics and other economics theories on innovation policies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this study suggests new administration’s industrial policy direction.

      • KCI등재

        KBR 특별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지속가능경영

        차경진(Kyung Jin Cha),강주영(Juyoung Kang),양성병(Sung-Byung Yang)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신년 특별호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구조 및 경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나아가 산업생태계 자체의 변혁이 촉발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이에 이번 특집호에서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경영실무자 및 연구자들의 관심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대표적인 기술들이 조직의 업무 및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를 통해 어떤 가치를 창출하며 비즈니스 혁신 및 사업의 전환을 이뤄갈 수 있는지, 이로 인한 또 다른 기회와 위험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에 대한 광범위한 고찰을 다양한 경영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모색해 보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주제로 한 9편의 엄선된 논문들을 통해 조직 및 이를 둘러싼 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속에 녹아 있는 학문적 함의 및 실무적 통찰 또한 얻어 가시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industrial structures and competitive environments have changed rapidly, an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finally triggered the transforma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itself. Reflecting on the growing interest of both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his special issue prepares a platform for discussions and explores how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teract with the organizations work environment, how digital transformation drives business innovation and value, and further, what other opportunities and risks within it should be considered for substantiality management based on various management perspectives. Through the nine selected papers on the subj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hoped to better understand the huge flow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its surrounding ecosystem from diverse perspectives, and further inquiry of academic implications in addition to practical insights embedded with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