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절기 ‘매향’ 딸기의 삽목 번식 시 관수방법에 따른 생육 및 발근율

        김현민(Hyeon Min Kim),김혜민(Hye Min Kim),정현우(Hyeon Woo Jeong),이혜리(Hye Ri Lee),정병룡(Byoung Ryong Jeong),강남준(Nam Jun Kang),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하절기 ‘매향’ 딸기 자묘의 삽목 번식에 적절한 관수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자묘의 삽수는 24구 딸기 전용 포트(24구, 60 × 34 × 10cm)에 상업용 혼합 상토(Tosilee)를 이용하여 삽목하고, 반밀폐형 소형비닐터널에 위치시켰다. 각각의 반 밀폐형 소형터널의 처리는 다음과 같이 처리했다; 대조구(무처리), 두상관수(하루 두 번), 매트관수(하루 두 번), 그리고 안개관수(8:00시부터 18:00시까지 30분 온/오프 설정). 딸기 자묘는 반 밀폐형 소형터널 내에서 8일 동안 발근을 하였고, 그 이후 플라스틱 필름을 제거 하였다. 삽목 후 61일째에 초장, 근장, 1차 근수, 엽병장, 엽장, 엽폭, 크라운 직경, 엽록소 값,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터널 내의 하루 평균 상대습도는 각각 안개관수, 두상관수, 매트관수, 대조구 순으로 72.5, 56.3, 45.8, 그리고 29%를 나타냈다. 그러나 공기온도는 모든 처리에서 유사하였다. 딸기 자묘의 4일째와 8일째 발근율은 두상관수와 안개관수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초장, 엽병장, 크라운 직경, 엽면적은 두상관수와 안개관수 처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게다가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다른 처리에 비해 두상관수와 안개관수 처리에서 무거웠다. 지하부의 건물중은 안개관수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무거웠다. 하지만 근장, 1차 근수, 엽록소 값, 지하부의 생체중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매향’ 딸기의 삽목 번식 시 생육과 발근율은 두상관수와 안개관수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irrigation method for propagation of cutti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 plantlet in summer season. The cutting strawberry plantlets were planted in 24-cell tray (60 × 34 × 10 cm) filled with commercial mixed medium (Tosilee) and placed in semi closedtype small plastic tunnel. Each semi closed-type small plastic tunnel was treated as follows; control (non-treatment), over head irrigation (twice a day), capillary mats irrigation (twice a day), or fog irrigation (30 minutes turn on and 10 minutes off from 8:00 to 18:00). The strawberry plantlets were rooted during 8 days in the semi closed-type small plastic tunnel, and then plastic film was removed. Growth parameters, such as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primary roots, petiole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crown diameter, SPAD, leaf area,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and root, were measured at 61 days after cutting. Relative humidity in tunnel was high in the order by fog irrigation, over head irrigation, capillary mats, and the control as 72.5, 56.3, 45.8, and 29% on average, respectively. However, the air temperature was similar in all treatments. On the 4 and 8 days, the rooting rate of strawberry plantle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 head irrigation and fog irrigation treatments. Plant height, petiole length, crown diameter, and leaf area were highest in the over head irrigation and fog irrigation treatments. In addition,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 were greater in over head irrigation and fog irrigation treatments than the others. Dry weight of root was differed significantly heaviest in the fog irrigation treatment. However, root length, no. of primary roots, SPAD value, and fresh weight of roo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rowth and rooting for propagation of cutting strawberry plantlet ‘Maehyang’ were best achievement in the over head irrigation and fog irrigation treatments.

      • KCI등재

        관수방법, 관수회수 및 송풍처리에 따른 초화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민병로(Min Byeong-Ro),김웅(Kim Woong),이범선(Lee Beom-Seon),이대원(Lee Dae-We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주행경로의 설정 및 제어가 용이한 고정 경로 방식을 이용한 주행 시스템을 개발하여 온실의 형태, 고랑의 위치 등에 무관하게 자동관수 및 송풍장치에 따른 생육상태를 실험할 수 있는 다목적 자동작업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성능들을 알아보기 위해 초화류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력두상관수 처리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생육의 부진을 나타냈으며, 자동관수 처리 중 송풍을 하지 않은 무풍처리구의 경우, 초장 및 엽면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장의 억제는 저속과 고속송풍처리구에 있어 초장억제 효과가 유의성이 있게 나타났으며, 풍속이 빠를수록 초장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줄기의 지름은 송풍을 하지 않고, 자동관수 3회를 한 경우 줄기의 지름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수는 인력관수나 자동관수 2회 처리에 비교하여 3회처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은 관수회수가 많을수록 생장량이 높게 나타났다. On this study, a multipurpose operating system was developed to adjust a configuration of a moving path which have no connection with a form of greenhouse. To being performance the multipurpose working system, we have experienced growth quality on the plants in greenhouse. Some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watering by the hand spray. the condition of plant was generally no good. It was shown that plant height and leaf area were all high without wind during watering by the automatic spray. The effect to retrain a plant growth was high as a ventilation was strong. The diameter of a plant stem was small without ventilation condition during watering 3 times by automatic spray. The number of leaf was relatively large during 3 times by automatic spray compared to 2 times by automatic spray or hand spray. Growth of plant was fast as the times of spray were large.

      • KCI등재

        육묘 시 해양심층수의 관수 방법이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홍성유(Sung Yu Hong),윤병성(Byeong Sung Yoon),강원희(Won Hee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2

        토마토 초장의 경우 심층수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두 상관수는 50%, 저면관수는 58% 감소하였고, 표층수 처리구에서는 두상관수는 49%, 저면관수는 56% 감소하였으며, NaCl 처리구에서는 두상관수는 47%, 저면 관수는 57% 감소하여 저변관수 처리방법이 도장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지상부 생체중의 경우 두장관수보다 저면관수에서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부 생체중 대조구에 비하여 두상관수는 38%정도 감소한 반면 저면관수는 49% 정도 감소하여, 저면관수에 의해 생육이 현저히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은 생체중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염에 의한 뿌리생육의 저하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경경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처리 방법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T/R률에 비추어 보면 두상관수 처리에서 묘소질이 더 뛰어났으나, 묘의 충실도(compactness)는 처리구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의 경우 초장의 억제정도나 묘의 충실도에 비춰보아 저면관수 방법이 도장억제에 더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오이의 경우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초장, 생체중, 건물중, 경경, 엽면적이 감소하였다. 저면관수가 두상관수에 비해 도장억제 효과와, 생육억제가 좀 더 뚜렷이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두 처리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Overhead and sub-irrigation of deep sea water to tomato seedlings reduced the height as 50% and 58% than control plants. In the same treatment with surface sea water and NaCl water, the reduced rate in tomato seedlings' height were 49% and 56% in overhead irrigation, and 47% and 57% in sub-irrigation, respectively.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inhibition of the growth of the seedling was sub-irrigation method, which supplied water through the roo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 fresh weight of the upper part of tomato and cucumber seedlings, though the sub-irrigation reduced the fresh weight than the overhead irrigation. The reduced rate of fresh weight of seedlings by overhead irrigation was by 38% and sub-irrigation by 49% as compared to control. Similarly dry weight of upper and under soil parts of seedlings showed same trend of results thereof as fresh weight. This result can be traced to reduction of growth caused by salts in the water. In stem diameter of seedling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wo irrigation methods, even though both deep sea and NaCl water reduced stem diameter, as compared to control water. Overhead irrigation can be chosen by seedling producers because of better seedling quality by using TIR ratio. Seedling compactness were not noticed in both the overhead and sub-irrigation. Sub-irrigation was found more effective method for the inhibition of height and compactness of tomato seedlings. Higher the concentration of NaCl, deep sea, and surface sea water, lesser the growth in height, fresh and dry weight, stem diameter, and leaf area was obtain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ough sub-irrigation suppress the growth of seedlings.

      • KCI등재

        수출용 접목 선인장 ‘황월’에 적합한 배지선발

        김양희,유병열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3

        수출용 접목선인장 ‘황월’의 기존에 사용되는 배지인 피트모스 보다 가격이 낮으며, 생육이 피트모스와 비슷한 배지를 선발하고자 7가지 종류 배지 (피트모스, 배양토 BM6 , 코코피트, 하이드로크레이, 하이드로볼, 휴가토, 버 미큘라이트)에 재배하여 배지의 이화학적 성분과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지의 이화학적 분석결과로는 코 코피트가 식재 90일 후에도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가 거의없어 안정적이었으며, 하이드로볼이 보수력이 높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수출용 접목선인장 ‘황월’의 생육조사 결과 유기질 배지에서 대조구인 피트모스와 비슷한 생육을 보 인 배지는 코코피트 였으며, 무기질 배지에서는 휴가토, 버미큘라이트, 하이드로클레이가 대체적으로 양호한 생육 을 보였다. 그러나 무기질 배지는 무게가 가벼워 식물식재 후 이동 시 쓰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피트모스와 비슷한 생육조건과 낮은 가격을 가진 배지로는 유기질 배지인 코 코피트와 수태를 감싸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무기질 배 지인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고 값이 낮으며 국내 생산이 되는 하이드로볼이 수출용 선인장 재배 배지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work is for selecting superior media which is similar to Peat Moss that is in general use as media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for Export such as ‘Hwang wall’ but lower price. The result on growth of 7 kinds of media (Peat Moss, BM6 Culture Medium, Coco Peat , Hydro Cray, Hydro Ball, Hugato, Vermiculite) which are applied watering (overhead irrigation, sub irrigation) based on bichemical analysis including chemical, physical analysis are following. The result of bi-chemical analysis shows that Coco Peat was stabilized planting after 90 days and Hydro Ball has high water holding capacity. The experimental result of growth in grafted cactus ‘Hwangwall’ shows Coco Peat is similar to Peat Moss on organic matter and in case of inorganic media, Hugato, Vermiculite, Hydro Cray made satisfactory results. But, the weight of inorganic media is too light to be tied. Consequently, Coco Peat and sphagnum moss as organic media has lower price and the condition of growth is analogous to Peat Moss. On the other hands, Hydro Ball was chosen as a substitute of Peat Moss in inorganic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